KR101507902B1 - 회전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902B1
KR101507902B1 KR1020137014935A KR20137014935A KR101507902B1 KR 101507902 B1 KR101507902 B1 KR 101507902B1 KR 1020137014935 A KR1020137014935 A KR 1020137014935A KR 20137014935 A KR20137014935 A KR 20137014935A KR 101507902 B1 KR101507902 B1 KR 101507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or
rotation
stator
plat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7649A (ko
Inventor
코수케 야마와키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7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1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for accumulation of energy to absorb shocks or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 방향의 높이를 억제하여 소형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상대 회전 규제 수단을 가지는 스티어링 롤 커넥터(10)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티어링 롤 커넥터(10)는, 스테이터(30)와 로테이터(20)를 시계회전 방향 및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같은 축 상에 결합하여 구성하면서 동시에 스테이터(30)와 로테이터(20)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상대 회전 규제 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대 회전 규제 수단을, 고정자(30)에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하여 설치된 계지부(34)와, 로테이터(20)에 대해서 동시 회전하면서 로테이터(20)의 축 방향에서의 규제 위치와 규제 해제 위치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 규제체(60)와, 회전 규제체(60)를 규제 위치 측에 탄성 지지하는 가압수단으로 구성하였다. 게다가, 가압수단을 회전 규제체(60)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설편부(72)를 가지는 박판형의 고리모양 판스프링(70)으로 구성하였다.

Description

회전 커넥터 장치 {ROTATING CONNECTOR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스테어링 휠 측과 차체 측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장착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는, 주로 차체 측에 고정하는 스테이터와 스테어링 휠 측에 조립하는 로테이터를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같은 축상에 조립해서 구성된다. 그리고 또한, 스테이터와 로테이터로 구성하는 수용 공간 내에 플랫 케이블을 스테어링 휠의 회전에 추종해서 감기 및 되감기를 할 수 있도록 수용되어 있다.
이 플랫 케이블은 스테어링 휠 측에 장비한 혼 모듈, 에어백 모듈, 혹은 오디오 컨트롤 모듈 등의 전장품과, 차체측 전원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한다.
이러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차체에 조립할 때 혹은 스테어링 휠을 조립할 때에 로테이터가 회전해서 플랫 케이블의 휘감기 상태에 편향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문에 스테어링 휠의 회전방향 중립위치와 회전 커넥터 장치의 회전방향 중립위치에 어긋남이 생긴 채로 조립될 우려가 있었다. 만일, 회전방향 중립위치에 없는 회전 커넥터 장치가 차체에 조립되면, 스테어링 휠을 조종했을 때, 플랫 케이블이 끊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과 같이 스테어링 휠의 조립이 완료될 때까지 로테이터와 스테이터가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상대 회전 규제 수단을 구비한 회전 커넥터 장치가 제안되었다.
특허문헌 1의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스테이터(3)에 수용된 코일 스프링(30)의 탄성에 의해서 축 방향으로 밀어 올려진 스토퍼(34)가 로테이터(2)의 개구부(15)에 결합함으로써, 로테이터(2)와 스테이터(3)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고 있다. 그리고, 스토퍼(34)가 스테어링 휠(특허문헌 1에서의 스티어링 장치(100)에 상당)의 심금(101)에 의해서 밀어 내려져서 스토퍼(34)가 개구부(15)로부터 개방된다. 이러한 상대 회전 규제 수단에 의해서 로테이터(2)와 스테이터(3)의 상대 회전의 규제 및 규제 해제를 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런데, 요즈음 회전 커넥터 장치는, 차체측의 수용 스페이스에서의 공간적 제약 때문에 그 크기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과 같은 상대 회전 규제수단을 가지는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적어도 로테이터와 스테이터의 상대 회전의 규제 해제시에 있어서, 수축해서 적층된 복수의 선 직경 정도의 높이에 상당하는 코일 스프링의 수용 공간이 축 방향으로 필요해진다.
이에 대해서 특허문헌 2의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측면에서 보아 북 타입의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회전 규제 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그런데, 북 타입의 코일 스프링에 의해 수축시의 코일 스프링의 원형선(丸線)의 중복을 어긋나게 하여서 축 방향 높이를 억제해도 코일 스프링의 수용 공간을 크게 줄이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한, 상대 회전 규제 수단을 가지는 회전 커넥터 장치에는 상대 회전의 규제 및 규제 해제를 행하는 스토퍼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트로크 양이 요구된다. 이 스토퍼의 스트로크 양은 상대 회전 규제 수단의 제조 불균형이나 조립 불균형을 고려해서 어느 정도 여유분을 가지게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여유분을 가지게 함으로써 스토퍼는 상대 회전의 규제 및 규제 해제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요구되는 소형화에 대해 회전 커넥터 장치의 축 방향 높이를 낮게 하면, 회전 커넥터 장치의 축 방향 높이에 있어서 수축된 코일 스프링의 수용 공간의 축 방향 높이가 차지하는 비율이 커진다. 이 때문에 스토퍼의 스트로크 양에 여유분을 확보할 수 없게 되어 상대 회전의 규제를 확실히 해제할 수 없을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상대 회전 규제 수단을 가지는 회전 커넥터 장치는 축 방향 높이에 있어서 소형화의 요구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9-193688호 유럽특허 제0693806호 명세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서 축 방향의 높이를 억제하여 소형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상대 회전 규제 수단을 가지는 회전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리모양(環狀)의 고정측 링판, 그 고정측 링판의 외주연(外周緣)에 형성된 원통형의 고정측 외주 통부(筒部), 및 상기 고정측 링판의 내주연(內周緣)에 형성된 원통형의 고정측 내주 통부로 구성되는 스테이터와, 고리모양의 회전측 링판, 및 그 회전측 링판의 내주연에 형성된 원통형의 회전측 내주 통부로 구성되는 로테이터를, 상기 고정측 내주 통부의 외주면과, 상기 회전측 내주 통부의 내주면을 지름방향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게 하면서 동시에 시계회전 방향 및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같은 축 상에서 결합해서 구성되면서 동시에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로테이터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상대 회전 규제 수단을 구비한 회전 커넥터 장치로서, 상기 상대 회전 규제 수단을 상기 고정측 내주 통부에서의 상기 로테이터측 단부에 지름방향 안쪽을 향해서 돌출하여 설치되는 계지부(係止部)와, 상기 로테이터에 대해서 동시 회전하면서 상기 로테이터의 축 방향에서의 규제 위치와 규제 해제 위치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 규제체와, 상기 로테이터 상에 배치해서 상기 회전 규제체를 상기 규제 위치 측에 탄성 지지하는 가압(付勢)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회전 규제체를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고정측 내주 통부의 내주면과 지름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는 대략 원통형의 통부 및 그 통부의 상기 로테이터측 외주연에 형성한 플랜지부로 구성하면서 동시에 상기 회전 규제체의 통부에 상기 규제 위치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에 대해서 둘레방향으로 결합하여 상기 로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계합부(係合部)를 지름방향 바깥쪽을 향해서 돌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가압수단을 비스듬히 위쪽으로 올라가는 형상으로 형상하면서 상기 회전 규제체의 플랜지부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설편부(舌片部)를 가지는 박판형 판모양 탄성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으로 축 방향의 높이를 억제하여 소형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상대 회전 규제 수단을 가지는 회전 커넥터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어링 휠 미장착시에는 설편부의 탄성 지지에 의해 회전 규제체가 규제 위치에서 지지되면서 동시에 회전 규제체의 계합부가 스테이터의 계지부와 둘레방향으로 결합함으로써, 로테이터와 스테이터의 상대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어링 휠을 장착하면, 회전 규제체가 규제 해제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 규제체의 계합부와 스테이터의 계지부의 결합이 해제되어서 로테이터와 스테이터의 상대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스테어링 휠이 회전 규제체를 가압함으로써 판 모양 탄성부재의 설편부를 축 방향으로 크게 휘게 할 수 있으므로, 로테이터와 회전 규제체의 플랜지부 사이의 축 방향 높이는 설편부의 판 두께와 대략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즉, 회전 규제체의 규제 해제 위치에 있어서 판 모양 탄성부재를 수용하고 있는 축 방향 높이는 판 모양 탄성부재의 판 두께와 대략 동등하게까지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 커넥터 장치의 축 방향 높이에 대해서 판 모양 탄성부재를 수용하고 있는 축 방향 높이가 차지하는 비율을 큰 폭으로 줄일 수 있다. 즉, 회전 커넥터 장치의 축 방향 높이를 억제하였다 하더라도, 회전 규제체가 규제 위치와 규제 해제 위치를 이동하는 스트로크 양에 여유분을 갖게 할 수 있어서 로테이터와 스테이터의 상대 회전의 규제 및 규제 해제를 확실히 실시할 수 있다. 
더하여, 판 모양 탄성부재로 함에 따라 회전 커넥터 장치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규제 위치와 규제 해제 위치를 이동하는 회전 규제체를 판 모양 탄성부재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판 모양 탄성부재를 수용하고 있는 축 방향 높이를 억제할 수 있고, 상대 회전 규제 수단을 가지는 회전 커넥터 장치는 축 방향의 높이를 억제하여 소형화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설편부의 상기 로테이터측 단부를 대략 포물선 형태로 솟아오르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판 모양 탄성부재는 설편부의 축 방향의 변위량이 미소영역에서부터 최대영역에 걸쳐서 탄성에 의한 반발력을 보다 안정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즉, 회전 규제체는 규제 위치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탄성 지지되면서 동시에 규제 위치와 규제 해제 위치 사이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설편부를 대략 포물선 형태로 솟아오르는 형상으로 한 판 모양 탄성부재에 의해 로테이터와 스테이터의 상대 회전의 규제 및 규제 해제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 회전 규제 수단을 가지는 회전 커넥터 장치는 축 방향의 높이를 억제하여 소형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판 모양 탄성부재를 상기 로테이터와 동심의 고리모양으로 형성한 베이스부와, 그 베이스부의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한 상기 복수의 설편부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판 모양 탄성부재를 복수의 설편부를 가지는 고리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로테이터 상에서 판 모양 탄성부재가 회전하더라도, 복수의 설편부의 간격이 바뀌지 않기 때문에 규제 위치에 있어서 판 모양 탄성부재는 설편부의 탄성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회전 규제체를 안정적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설편부를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있어서, 회전 규제체의 플랜지부를 균형있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회전 규제체가 기울어서 규제 위치와 규제 해제 위치를 이동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회전 규제체의 계합부와 스테이터의 계지부의 결합 및 결합 해제를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판 모양 탄성부재를 고리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회전 규제체에 의한 규제 및 규제 해제를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서 상대 회전 규제 수단을 가지는 회전 커넥터 장치는 축 방향의 높이를 억제해서 소형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박판 형태로 형성된 베이스부와 그 베이스에 형성한 상기 설편부로 단체(單體) 판 모양 탄성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판 모양 탄성부재를 둘레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복수 설치한 단체 판 모양 탄성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판 모양 탄성 부재를 복수의 단체 판 모양 탄성부재, 즉 설편부별로 나누어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리모양의 판 모양 탄성부재를 배치하는 스페이스가 로테이터 상에 없는 경우에 있어서, 복수의 단체 판 모양 탄성부재를 로테이터의 둘레방향에 배설할 수 있다. 혹은, 회전 규제체의 플랜지부가 고리모양으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회전 규제체의 플랜지부의 형상에 따라 단체 판 모양 탄성부재를 로테이터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즉, 판 모양 탄성부재를 복수의 단체 판 모양 탄성부재로 구성함으로써, 회전 커넥터 장치의 지름 방향에서의 소형화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체 판 모양 탄성부재로 구성함으로써, 판 모양 탄성부재를 더 경량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 커넥터 장치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판 모양 탄성부재를 설편부별로 나누어 구성함으로써, 상대 회전 규제 수단을 가지는 회전 커넥터 장치는 축 방향의 높이를 억제해서 소형화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축 방향의 높이를 억제하여 소형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상대 회전 규제 수단을 가지는 회전 커넥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스티어링 롤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스티어링 롤 커넥터의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중의 A-A선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중의 B-B선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5는 고리모양 판스프링에 관한 설명도이고,
도 6은 규제 위치에서의 회전 규제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규제 해제 위치에서의 회전 규제체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고리모양 판스프링의 다른 형상에 관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스티어링 롤 커넥터(10)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2는 스티어링 롤 커넥터(10)의 우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1중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2중의 B-B선에서 본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5는 고리모양 판스프링(70)에 관한 설명도로, (a)는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의 평면도, (b)는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또한, 도 3에 있어서 수용공간(S) 내의 도시를 생략하면서 도 4에서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의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부 혹은 상방은, 스티어링 롤 커넥터(10)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로테이터(20) 측을 나타내고, 하부 혹은 하방은, 회전축 방향에서의 스테이터(30) 측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스티어링 롤 커넥터(1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케이블 하우징(10a)과 회전 규제체(60)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블 하우징(10a)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중앙부분에 스티어링의 회전축 방향(도 2중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삽입홀(H)이 형성된 대략 원통형태로 구성된다. 삽입홀(H)은 스티어링 칼럼(도시생략)에서 돌출된 스티어링 샤프트(도시생략)의 삽입을 허용하는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블 하우징(10a)은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한 스테이터(30)와 로테이터(2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스티어링 샤프트의 상단부에는 회전 조작을 하기 위한 스테어링 휠을 고정한다.
로테이터(2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고리모양으로 형성된 천정판으로서 기능하는 회전측 링판(21)과 이 회전측 링판(21)의 내주연으로부터 아래를 향해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의 회전측 내주 통부(2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측 내주 통부(22)의 축 방향 대략 중앙에는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름방향 내측을 향해서 링 형태로 형성된 판스프링 받이부(23)를 마련한다. 그리고 또한 판스프링 받이부(23)의 상면에는 회전측 내주 통부(22)의 내주면에 따르도록 형성된 홈부(23a)를 마련한다.
또한, 로테이터(20)의 회전측 내주 통부(22)의 하부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슬리브(40)를 끼워 결합한다. 
슬리브(40)는 회전측 내주 통부(22)에 결합 고정 가능하며, 스티어링 칼럼에서 돌출되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삽입을 허용하는 내주 지름을 가지는 대략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리브(40)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삽입을 가이드 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슬리브(40)는 회전측 내주 통부(22)에서 연장 설치되도록 해서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혹은, 스테이터(30)의 고정측 내주 통부(32)에 결합하는, 고정측 내주 통부(32)와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판스프링 받이부(23)의 내주연에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두 개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부(25)를 둘레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복수 배치한다. 이 슬라이드 가이드부(25)는 판스프링 받이부(23)의 원주 가장자리 일부를 지름방향 내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 설치한 후, 하방으로 늘어뜨린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슬라이드 가이드부(25)는 후술되는 회전 규제체(60)의 규제 위치 및 규제 해제 위치의 이동을 축 방향으로 가이드하면서 동시에 로테이터(20)과 동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한다.
그리고, 로테이터(20)는 스테어링 휠에 고정되고, 스테어링 휠과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구성이다. 자세한 것은 로테이터(20)는 스테어링 휠의 회전축과 동일한 축 회전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로테이터(20)에는 로테이터(20)의 회전에 수반하여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로테이터측 포스트(24)를 구비한다. 로테이터측 포스트(24)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커넥터 접속구가 위를 향하도록 회전측 링판(21) 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로테이터측 포스트(24)는 예를 들면 스테어링 휠에 배치되는 혼 스윗치, 에어백 유닛 등 전기 회로에서 인출된 스티어링측 케이블(1)에 접속되어 있다.
스테이터(30)는 차체 측의 적당한 부재, 예를 들면 스티어링 칼럼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콤비네이션 브래킷 스위치(도시생략)에 고정해서, 스테어링 휠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터(3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측 외주 통부(31), 고정측 내주 통부(32), 및 고정측 링판(33)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측 외주 통부(31)는 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테이터(20)의 회전측 링판(21)의 외주 지름보다 약간 소경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측 내주 통부(32)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로테이터(20)의 회전측 내주통부(22)의 내주 지름보다 약간 소경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측 외주 통부(31)의 내주면과 지름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지름방향 내측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측 내주 통부(32)의 내주면의 상단에는 후술되는 회전 규제체(60)의 계합부(64)와 결합하는 계지부(34)를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배치한다.
이 계지부(34)는 도 4에서와 같이 회전 규제체(60)가 인접하는 계합부(64)의 사이에서, 고정측 내주 통부(32)의 내주면 상단에서 지름방향 내측을 향해서 형성하면서 동시에 내주지름이 회전 규제체(60)의 외주지름(후술되는 회전 규제체(60)의 통부(62)에서의 외주지름)과 대략 동등해지는 평면에서 보아 부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측 링판(33)은 도 3에서와 같이 고리모양으로 형성하고, 고정측 외주 통부(31)의 내주면 및 고정측 내주 통부(32)의 외주면의 축 방향 대략 중앙을 잇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30)에는 스테이터측 커넥터(35)를 구비한다.
스테이터측 커넥터(35)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커넥터 접속구가 가로방향을 향하도록 스테이터(30)의 하부에 배치한다. 그리고, 스테이터측 커넥터(35)는, 로어 칼럼 커버(도시생략) 내에서 차체 측의 전기 회로 등에서 인출된 케이블(도시생략)에 각각 접속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스테이터(30)와 로테이터(20)를 고정측 내주 통부(32)의 외주면과, 회전측 내주 통부(22)의 내주면을 지름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게 하면서 동시에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축과 같은 축 상에 조립해서 케이블 하우징(10a)을 구성한다. 그리고, 케이블 하우징(10a)의 내부에 있어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스테이터(30)의 고정측 링판(33)이 로테이터(20)의 회전측 링판(21)과 축방향에서 대면하면서 동시에 스테이터(30)의 고정측 외주 통부(31)가 로테이터(20)의 회전측 내주 통부(22)에 대해서 지름방향 외측에서 대면해서 수용공간(S)을 구성한다.
이 수용공간(S)은 스테어링 휠 측에 장비한 혼 모듈, 에어백 모듈, 혹은 오디오 컨트롤 모듈 등의 전장품과 차체 측 전원의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는 플랫 케이블(C)을 스테어링 휠의 회전에 추종해서 감기 및 되감기 가능하게 수용한다.
상세하게는 수용공간(S)에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리테이너(50)와 플랫 케이블(C)을 수용한다. 
리테이너(50)는, 도 4에서와 같이 베이스링(51)과 복수의 회전 롤러(52)로 구성하여, 수용공간(S)을 구성하는 스테이터(30)의 저면에 로테이터(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링(51)은 수용공간(S)에 수용 가능한 평면에서 보아 고리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링(51)에는 복수의 가이드벽(53), 가압 가이드부(54), 및 회전 롤러(52)를 지지하는 롤러 지지 돌기부(도시생략)를 수용공간(S)을 향해서 입설한다. 또한, 롤러 지지 돌기부는 베이스링(51)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복수 마련한다.
가이드벽(53)은 도 4에서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인접한 회전 롤러(52)의 사이에서 로테이터(20)의 회전측 내주 통부(22)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감겨진 플랫 케이블(C)(후술되는 플랫 케이블의 내측 감기부분(Ci))을 지름 외측에서 안내하도록 지름 외측에 개구를 가지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가압 가이드부(54)는 도 4에서와 같이 복수의 회전 롤러(52) 중 하나에 U자형으로 감아 걸리도록 해서 방향을 반전시킨 플랫 케이블(C)(후술되는 플랫 케이블 (C)의 반전부분Cr)에 근접하는 가이드벽(53)에 반전부분(Cr)을 따르도록 평면에서 보아 대략 활 모양으로 만곡해서 형성한다.
회전 롤러(52)는 도 4에서와 같이 롤러 지지 돌기부에 축 지지되고, 각각이 로테이터(20)의 회전축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플랫 케이블(C)은 복수의 편평한 도체를 소정의 피치로 평행하게 배열하여, 절연 피복체로 피복한 가요성을 가지는 띠 모양의 전송선으로서, 수용공간(S)에 있어서 감아 돌린 상태로 수용하여, 로테이터측 포스트(24)와 스테이터측 커넥터(35)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술하면, 플랫 케이블(C)에서의 길이방향의 일단을 로테이터측 포스트(24)에 접속하고, 타단을 스테이터측 커넥터(35)에 접속한다.
그리고, 플랫 케이블(C)은 케이블 하우징(10a)의 내부의 수용공간(S)에 있어서, 고정측 링판(33)에 대해서 회전 자유롭게 배치된 리테이너(50)에 의해 지지되어 감아 돌린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더 자세하게는 플랫 케이블(C)은 수용공간(S)에 있어서 스테이터측 커넥터 (35)에서 수용공간(S)으로 인입되어,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리테이너(50)의 외측에서 스테이터(30)의 고정측 외주 통부(31)의 내주면을 따르도록 감겨진 외측 감기부분(Co)을 구성한다.
그리고, 플랫 케이블(C)은 길이방향의 도중에서 회전 롤러(52) 중 하나에 U자형으로 감아 걸리도록 해서 방향을 반전시킨 반전부분(Cr)을 구성한다.
게다가 플랫 케이블(C)은 반전부분(Cr)보다 길이방향의 선단측에 의해 리테이너(50)의 내측에서 로테이터(20)의 회전측 내주 통부(22)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감겨진 내측 감기부분(Ci)을 구성한다. 플랫 케이블(C)은 최종적으로는 수용공간(S)에서 인출되어서 로테이터측 포스트(24)에 접속한다.
또한, 플랫 케이블(C)은 수용공간(S)에 있어서 몇 겹으로 감아 돌려 수용되어 있지만, 도 3 및 도 4에서는 간략화되어 한 줄만을 감아 돌린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 하우징(10a)에 대해서, 로테이터(20)와 스테이터(30)의 상대 회전의 규제 및 규제 해제를 행하는 회전 규제체(60)는 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면 링판(61), 통부(62), 및 플랜지부(63)로 구성된다.
저면 링판(61)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로테이터(20)의 판스프링 받이부(23)의 내주 지름보다 조금 소경의 외주지름을 가지는 고리모양으로 형성하여, 회전 규제체(60)의 저판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저면 링판(61)의 내주지름은 스티어링 샤프트의 삽입을 허용하는 지름으로 한다.
통부(62)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저면 링판(61)의 외주연에서 윗쪽을 향해서 연장하는 대략 원통 형태로 형성한다. 게다가 통부(62)에는 개구부(X)와 계합부(64)를 마련한다.
개구부(X)는 통부(62)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두 개 한 세트의 슬라이드 가이드부(25)의 원호길이와 대략 동등한 원호 길이로, 통부(62)의 축 방향에 있어서 통부(62)의 상단 근방에서 하단 및 저면 링(61)의 외주연 근방에 이르는 범위를 개구해서 형성한다. 또한 개구부(X)는 두 개 한 세트의 슬라이드 가이드부(25)와 동수(同數)로 둘레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계합부(64)는 통부(62)의 개구부(X)를 제외한 외주면에 있어서, 지름방향 외측을 향해서 축 방향 대략 중앙에 복수 돌출해서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63)는 도 3에서와 같이 통부(62)의 상단 외주연에서 지름방향 외측으로 비스듬히 상방으로 경사진 화분 형태로 형성된 경사부(63a)와, 경사부(63a)의 외주연에서 로테이터(20)의 회전측 링판(21)과 대략 평행하고, 판스프링 받이부(23)의 외주지름과 동등한 외주지름을 가지는 고리모양으로 형성된 플랜지 링부(63b)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회전 규제체(60)는 로테이터(20)와 동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더 자세하게는 회전 규제체(60)는 계합부(64)가 로테이터(20)의 판스프링 받이부(23)의 축방향 하방에 위치하면서 동시에 개구부(X)가 로테이터(20)의 두 개 한 세트의 슬라이드 가이드부(25)와 결합해 있다. 그리고, 회전 규제체(60)는 로테이터(20)의 판스프링 받이부(23)에 배치한 고리모양 판스프링(70)으로 탄성 지지된다.
이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은 도 5에서와 같이 베이스부(71)와 복수의 설편부(72)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부(71)는 박판이며 고리모양으로 형성된 평면부(71a)와, 평면부(71a)의 외주연을 축 방향 하방으로 접어 구부려서 형성한 외주면부(71b)로 구성된다.
설편부(72)는 도5(a)에서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베이스부(71)로부터 원호형태로 자른 것처럼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한다. 또한, 설편부(72)는 도 5(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베이스부(71) 근방이 대략 포물선 형태로 만곡하도록 해서 축 방향 비스듬히 상방으로 솟아오르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설편부(72)는 그 축방향 높이를 회전 규제체(60)가 규제위치와 규제 해제 위치를 이동하는 거리보다 약간 크게 형성한다. 또한 도 5(b)중에서 설편부(72)는 간략화를 위해 하나만 도시한다.
그리고,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은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면부(71 b)를 판스프링 받이부(23)의 홈부(23a)에 삽입해서 판스프링 받이부(23)에 설치되면서 동시에 설편부(72)로 회전 규제체(60)를 탄성 지지한다.
또한,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의 재질은 SUS가 바람직하다. 또한, 반복에 의해 약해지는 것을 고려하면, SUS301EH가 더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스티어링 롤 커넥터(10)에 있어서, 회전 규제체(6)가 규제위치와 규제 해제 위치를 이동해서, 로테이터(20)와 스테이터(30)의 상대 회전의 규제 및 규제 해제를 행하는 동작에 관해서 도 6 및 도 7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6은 규제 위치에서의 회전 규제체(60) 상태의 요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7은 규제 해제 위치에서의 회전 규제체(60) 상태의 요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회전 규제체(60)는 도 6에서와 같이 스테어링 휠 미장착시에 있어서 로테이터(20)와 스테이터(30)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에 있다. 또한, 스티어링 롤 커넥터(10)는 회전 방향에 있어서 시계회전 및 반시계 회전에 중립인 중립 위치에 있어, 수용공간(S) 내의 플랫 케이블(C) 감기에 편향이 없는 상태에서 로테이터 (20)와 스테이터(30)의 상대 회전이 규제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규제 위치에서의 회전 규제체(60)는 도 6에서와 같이 로테이터(20)에 배치한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의 설편부(72)의 탄성 지지에 의해, 플랜지부(63)가 판스프링 받이부(23)에서 설편부(72)의 축 방향 높이 정도로 떨어진 위치에 있다.
이때, 회전 규제체(60)의 계합부(64)는, 판스프링 받이부(23)의 축 방향 하면과 맞닿으면서 동시에 둘레방향에서 인접하는 스테이터(30)의 계지부(34) 사이에 계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전 규제체(60)는 둘레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즉, 회전 규제체(60)와 동시 회전 가능한 로테이터(20)는 스테이터(30)와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
이어서 스테어링 휠이 장착되었을 때의 회전 규제체(6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스테어링 휠이 스티어링 샤프트에 장착되면, 스테어링 휠의 심금(芯金)(도시생략)에 의해 회전 규제체(60)는 도 6에서와 같이 축 방향 하방(도 6중 화살표 Y의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로테이터(20)의 슬라이드 가이드부(25)를 따라서 축 방향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회전 규제체(60)의 플랜지부(63)에 의해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의 설편부(72)의 선단을 축 방향 하방으로 가압하므로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의 설편부(72)는 베이스부(71) 근방을 중심으로 축 방향 아래에 넘어진다.
그리고, 스테어링 휠이 스티어링 샤프트에 완전하게 장착되면, 회전 규제체 (60)는 도 7에서와 같이 플랜지부(63)의 플랜지 링부(63b)가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의 베이스부(71)에 축 방향에서 접촉하는 규제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의 설편부(72)가 플랜지부(63)에 의해서 완전하게 찌부러진다. 즉, 규제 해제 위치에 있어서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을 수용하는 공간의 축 방향 높이는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의 베이스부(71)의 판 두께와 대략 동등해진다.
또한, 규제 해제 위치에서의 회전 규제체(60)의 계합부(64)는 스테이터(30)의 계지부(34)와의 결합을 해제한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회전 규제체(60)와 동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로테이터(20)는 스테이터(30)와의 상대 회전의 규제가 해제된다.
이어서, 수리 등으로 스테어링 휠을 떼어냈을 때의 회전 규제체(60)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스테어링 휠의 회전 방향에서의 위치를, 시계회전 방향 및 반시계 회전 방향의 중립 위치에 맞춘 후, 스테어링 휠을 떼어낸다. 그러면,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의 설편부(72)의 탄성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회전 규제체(60)는 슬라이드 가이드부 (25)를 따라서 축 방향 상방으로 밀어 올려져서 규제 해제 위치에서 규제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스테어링 휠은 회전 방향에 있어서 중립 위치에 있기 때문에 회전 규제체(60)의 계합부(64)는 스테이터(30)가 인접하는 계지부(34)의 사이에 결합한다.그리고, 회전 규제체(60)는 규제 위치로 이동 완료하면서 동시에 로테이터(20)와 스테이터(30)의 상대 회전을 규제한다.
이상과 같은 동작을 실현할 수 있는 전술된 구성의 스티어링 롤 커넥터(10)는 축 방향의 높이를 억제해서 소형화에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어링 휠 미장착시에는 설편부(72)의 탄성 지지에 의해 회전 규제체(60)가 규제 위치에서 지지되면서 동시에 회전 규제체(60)의 계합부(64)가 스테이터(30)의 계지부(34)와 둘레방향으로 결합함으로써 로테이터(20)와 스테이터(30)의 상대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어링 휠을 장착하면, 회전 규제체(60)가 규제 해제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회전 규제체(60)의 계합부(64)와 스테이터(30)의 계지부(34)의 결합이 해제되어서 로테이터(20)와 스테이터(30)의 상대 회전을 행할 수 있다.
이때, 스테어링 휠이 회전 규제체(60)를 가압함으로써, 고리모양 판스프링 (70)의 설편부(72)를 축 방향으로 크게 휘게 할 수 있으므로 로테이터(20)와 회전 규제체(60)의 플랜지부(63)와의 사이의 축 방향 높이는 설편부(72)의 판 두께와 대략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즉, 회전 규제체(60)의 규제 해제 위치에 있어서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을 수용하는 축 방향 높이는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의 판 두께와 대략 동등하게까지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티어링 롤 커넥터(10)의 축 방향 높이에 대해서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을 수용하는 축 방향 높이가 차지하는 비율을 큰 폭으로 줄일 수 있다. 즉, 스티어링 롤 커넥터(10)의 축 방향 높이를 억제하였다 하더라도, 회전 규제체(60)가 규제 위치와 규제 해제 위치를 이동하는 스트로크 양에 여유분을 갖게 할 수 있어서 로테이터(20)와 스테이터(30)의 상대 회전의 규제 및 규제 해제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더하여 고리모양 판스프링(70)으로 함으로써 스티어링 롤 커넥터(1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규제 위치와 규제 해제 위치를 이동하는 회전 규제체(60)를 고리모양 판스프링(70)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을 수용하는 축 방향 높이를 억제할 수 있고, 스티어링 롤 커넥터(10)는 축 방향의 높이를 억제하여서 소형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설편부(72)의 베이스부(71) 근방을 대략 포물선 형태로 솟아오르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은, 설편부(72)의 축 방향의 변위량이 미소영역부터 최대영역에 걸쳐서 탄성에 의한 반발력을 보다 안정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즉, 회전 규제체(60)는 규제 위치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탄성 지지되면서 동시에 규제 위치와 규제 해제 위치와의 사이를 더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설편부(72)의 베이스부(71) 근방을 대략 포물선 형태로 솟아오르는 형상으로 한 고리모양 판스프링(70)에 의해 로테이터(20)와 스테이터(30)의 상대 회전의 규제 및 규제 해제를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스티어링 롤 커넥터(10)는 축 방향의 높이를 억제하여 소형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을 로테이터(20)와 동심의 고리모양으로 형성한 베이스부(71)와, 베이스부(71)의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한 복수의 설편부(72)로 구성함에 따라,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을 복수의 설편부(72)를 가지는 고리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로테이터(20) 상에서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이 회전해도 복수의 설편부(72)의 간격이 바뀌는 일이 없기 때문에 규제 위치에 있어서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은 설편부(72)의 탄성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회전 규제체(60)를 안정적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설편부(72)를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 규제체(60)의 플랜지부(63)를 균형있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회전 규제체(60)가 기울어서 규제 위치와 규제 해제 위치를 이동하는 일은 없기 때문에 회전 규제체(60)의 계합부(64)와 스테이터(30)의 계지부(34)의 결합 및 결합 해제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고리모양 판스프링(70)에 외주면부(71b)를 마련해서, 판스프링 받이부 (23)의 홈부(23a)에 삽입함으로써, 회전 규제체(60)가 규제 해제 위치로부터 규제 위치로 이동할 때, 혹은 규제 위치에서 진동 등에 의해서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이 판스프링 받이부(23)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을 고리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회전 규제체 (60)에 의한 규제 및 규제 해제를 더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서 스티어링 롤 커넥터 (10)는 축 방향의 높이를 억제해서 소형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을 세 개의 설편부(72)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했지만, 설편부(72)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설편부(72)는 세 개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의 베이스부(71)에는 축 방향 하방으로 접어 구부린 외주면부(71b)를 마련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부(71)의 평면부(71 a)만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은 외주면부(71b)를 판스프링 받이부(23)의 홈부(23a)에 끼워지게 해서 로테이터(20)에 배치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판스프링 받이부(23)와 용착해서 고정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수용공간(S) 내에서의 플랫 케이블(C)의 배치나 구성 요소는 전술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적정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수용공간(S) 내에서 회전 롤러(52) 등을 배치하지 않고, 플랫 케이블(C)을 소용돌이 형태로 감아 돌려서 수용한 구성으로 하는 등, 여러 가지 수용 형태라도 된다. 게다가 로테이터(20)와 스테이터(60)의 상대회전을 규제하는 스테이터(30)의 계지부(34) 및 회전규제체(60)의 계합부(64)의 형상 혹은 배치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상대 회전 규제 가능하면, 적당한 형상, 배치라도 좋다.
본 발명의 구성과 상술한 실시형태의 대응에 있어서,
본 발명의 회전 커넥터 장치는, 실시형태의 스티어링 롤 커넥터(10)에 대응하여,
아래와 마찬가지로
판모양 탄성부재는 고리모양 판스프링(70)에 대응되고,
상대 회전 규제 수단은 회전 규제체(60), 계지부(34), 고리모양 판스프링(70)에 대응하고,
가압수단은, 고리모양 판스프링(70)에 대응하고,
단체(單體) 판모양 탄성부재는 단체 판스프링(74)에 대응하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많은 실시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의 다른 형상에 관해서 설명한 도면을 나타내는 도 8과 같이,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을, 설편부(72)와, 박판 형태의 베이스부(73)로 형성한 단체 판스프링(74)을 고리모양으로 복수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 8 (a)는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의 다른 형상의 평면도를 나타고, 도8 (b)는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의 다른 형상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이 단체 판스프링(74)은 로테이터(20)의 판스프링 받이부(23) 상에 있어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하면서 용착해서 고정한다.
이에 따라 고리모양의 베이스부(71)를 배치하는 스페이스가 로테이터(20) 상에 없는 경우, 복수의 단체 판스프링(74)을 로테이터(20)의 둘레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혹은, 회전 규제체(60)의 플랜지부(63)가 고리모양으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회전 규제체(60)의 플랜지부(63)의 형상에 따라서 단체 판스프링(74)을 로테이터(20) 상에 배설할 수 있다. 즉,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을 복수의 단체 판스프링(74)으로 구성함으로써 스티어링 롤 커넥터(10)의 지름 방향에서의 소형화에 대해서 단체 판스프링(74)을 적당하게 배치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또,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을 복수의 단체 판스프링(74)으로 구성함으로써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을 더 경량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티어링 롤 커넥터(1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고리모양 판스프링(70)을 설편부(72)별로 나누어 구성함으로써 스티어링 롤 커넥터(10)는 축 방향의 높이를 억제해서 소형화에 대응할 수 있다.
10; 스티어링 롤 커넥터
20; 로테이터
21; 회전측 링판
22; 회전측 내주 통부(筒部)
30; 스테이터
31; 고정측 외주 통부
32; 고정측 내주 통부
33; 고정측 링판
34; 계지부(係止部)
60; 회전 규제체
62; 통부
63; 플랜지부
64; 계합부(係合部)
70; 고리모양 판스프링
71, 73; 베이스부
72; 설편부
74; 단체 판스프링

Claims (4)

  1. 고리모양의 고정측 링판, 그 고정측 링판의 외주연에 형성된 원통형의 고정측 외주 통부, 및 상기 고정측 링판의 내주연에 형성된 원통형의 고정측 내주 통부로 구성하는 스테이터와,
    고리모양의 회전측 링판, 및 그 회전측 링판의 내주연에 형성된 원통형의 회전측 내주 통부로 구성하는 로테이터를,
    상기 고정측 내주 통부의 외주면과, 상기 회전측 내주 통부의 내주면을 지름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게 하면서 시계회전 방향 및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같은 축 상에 결합하여 구성하면서,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로테이터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상대 회전 규제 수단을 구비한 회전 커넥터 장치로서,
    상기 상대 회전 규제 수단을,
    상기 고정측 내주 통부에서의 상기 로테이터측 단부에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해서 돌출해서 설치되는 계지부와,
    상기 로테이터에 대해서 동시 회전하면서 동시에 상기 로테이터의 축 방향에 서의 규제 위치와 규제 해제 위치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 규제체와,
    상기 로테이터 상에 배치하여 상기 회전 규제체를 상기 규제 위치 측에 탄성 지지하는 가압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회전 규제체를,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고정측 내주 통부의 내주면과 지름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는 원통형의 통부 및 그 통부의 상기 로테이터측 외주연에 형성한 플랜지부로 구성하면서 동시에,
    상기 회전 규제체의 통부에,
    상기 규제 위치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에 대해서 둘레방향으로 결합하여 상기 로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와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계합부를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해서 돌출하여 설치하고,
    상기 가압수단을,
    비스듬히 상방으로 솟아오르는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상기 회전 규제체의 플랜지부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설편부를 가지는 박판 형상의 판 모양 탄성 부재로 구성한 회전 커넥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편부의 상기 로테이터측 단부를 포물선 형태로 솟아오르는 형상으로 형성한 회전 커넥터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 모양 탄성 부재를,
    상기 로테이터와 동심의 고리모양으로 형성한 베이스부와,
    그 베이스부의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한 상기 복수의 설편부로 구성한 회전 커넥터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박판 형태로 형성한 베이스부와 그 베이스부에 형성한 상기 설편부로 단체 판모양 탄성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판모양 탄성부재를,
    둘레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에 복수 배치한 단체 판모양 탄성부재로 구성한 회전 커넥터 장치.
KR1020137014935A 2011-03-29 2012-03-22 회전 커넥터 장치 KR101507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71368 2011-03-29
JP2011071368A JP5697033B2 (ja) 2011-03-29 2011-03-29 回転コネクタ装置
PCT/JP2012/057265 WO2012133076A1 (ja) 2011-03-29 2012-03-22 回転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649A KR20130137649A (ko) 2013-12-17
KR101507902B1 true KR101507902B1 (ko) 2015-04-07

Family

ID=46930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935A KR101507902B1 (ko) 2011-03-29 2012-03-22 회전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45348B2 (ko)
EP (1) EP2693577B1 (ko)
JP (1) JP5697033B2 (ko)
KR (1) KR101507902B1 (ko)
CN (1) CN103262363B (ko)
WO (1) WO20121330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54377B2 (ja) 2016-01-08 2020-09-0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WO2018088235A1 (ja) * 2016-11-09 2018-05-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接続構造体及び該接続構造体を備える回転コネクタ装置
KR20210071006A (ko) 2018-10-11 2021-06-15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회전 커넥터 장치 및 회전 커넥터 장치의 조립 방법
EP3745093A1 (de) * 2019-05-28 2020-12-02 Etel S.A. Stützglied für eine präzisionsvorrichtung, stützgerüst für eine präzisionsvorrichtung, sowie präzisionsvorrichtung mit einem solchen stützglied oder stützgerüs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6334A (en) 1988-04-18 1990-10-30 Alps Electric Co., Ltd. Cable reel
EP0693806A1 (de) * 1994-07-22 1996-01-24 Alcatel Kabel AG & Co. Vorrichtung zur Signalübertragung zwischen zwei Endstellen
JP2009193688A (ja) 2008-02-12 2009-08-2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回転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4245A (en) * 1971-10-01 1973-05-22 Motor Wheel Corp Electric brake
KR0133984B1 (ko) * 1993-05-31 1998-05-15 가따오까 마사따까 클럭스프링 콘넥터
JPH07177642A (ja) * 1993-12-22 1995-07-14 Nippon Plast Co Ltd ケーブル用リール装置
FR2742268B1 (fr) * 1995-12-12 1998-02-27 Magneti Marelli France Perfectionnement aux contacteurs electriques tournants
JPH11187557A (ja) * 1997-12-17 1999-07-09 Harness Syst Tech Res Ltd 回転接続装置
JP3681623B2 (ja) * 2000-08-25 2005-08-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2003252207A (ja) * 2002-02-28 2003-09-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用回転装置
US7104821B2 (en) * 2004-09-16 2006-09-12 Alps Electric Co., Ltd. Rotary connector
JP2009158170A (ja) * 2007-12-25 2009-07-16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
JP2009224061A (ja) * 2008-03-13 2009-10-01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6334A (en) 1988-04-18 1990-10-30 Alps Electric Co., Ltd. Cable reel
EP0693806A1 (de) * 1994-07-22 1996-01-24 Alcatel Kabel AG & Co. Vorrichtung zur Signalübertragung zwischen zwei Endstellen
JP2009193688A (ja) 2008-02-12 2009-08-2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回転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62363B (zh) 2015-08-26
CN103262363A (zh) 2013-08-21
WO2012133076A1 (ja) 2012-10-04
EP2693577A4 (en) 2014-08-20
US8845348B2 (en) 2014-09-30
JP5697033B2 (ja) 2015-04-08
EP2693577A1 (en) 2014-02-05
JP2012209016A (ja) 2012-10-25
EP2693577B1 (en) 2018-07-04
KR20130137649A (ko) 2013-12-17
US20140027557A1 (en) 201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902B1 (ko) 회전 커넥터 장치
US10982741B2 (en) Step actuator
JP5117528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CN102142730B (zh) 电动发电机
US20110132115A1 (en) Step actuator
US9070496B2 (en) Rotatable connector device
KR100732221B1 (ko) 회전커넥터
US8382500B2 (en) Rotating connector device
US9227813B2 (en) Flat harness winding device
JP6025205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巻取装置
US8911239B2 (en) Rotatable connector device
JP2015182838A (ja) 充電ケーブル収納装置
CN102823082B (zh) 旋转连接器装置
JP5624972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CN109896361A (zh) 自动绕线装置
US8740626B2 (en) Rotational connector device including a spacer disposed in an annular space formed between a rotor and a stator
JP6640022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JP6285712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巻取装置
JP5634806B2 (ja) 給電装置
JP2710570B2 (ja) ケーブル用リール装置
JPH08185949A (ja) ケーブル用リ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