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318B1 - 광소자 정렬방법 - Google Patents

광소자 정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318B1
KR101502318B1 KR20130146596A KR20130146596A KR101502318B1 KR 101502318 B1 KR101502318 B1 KR 101502318B1 KR 20130146596 A KR20130146596 A KR 20130146596A KR 20130146596 A KR20130146596 A KR 20130146596A KR 101502318 B1 KR101502318 B1 KR 101502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hole
post
optical fiber
optical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6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성
김봉철
이상신
이학순
Original Assignee
(주)옵토마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옵토마인드 filed Critical (주)옵토마인드
Priority to KR20130146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318B1/ko
Priority to PCT/KR2014/011589 priority patent/WO2015080529A1/ko
Priority to EP14865985.7A priority patent/EP3076216B1/en
Priority to CN201480073703.5A priority patent/CN106104339B/zh
Priority to JP2015550351A priority patent/JP6106284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318B1/ko
Priority to US14/750,211 priority patent/US942356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16Holders, macro size fixtures for mechanically holding or positioning fibres, e.g. on an optical benc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element having redirecting reflective means, e.g. mirrors, prisms for deflecting the radiation from horizontal to down- or upward direction toward a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G02B6/422Active alignment, i.e. moving the elements in response to the detected degree of coupling or position of the elements
    • G02B6/4221Active alignment, i.e. moving the elements in response to the detected degree of coupling or position of the elements involving a visual detection of the position of the elements, e.g. by using a microscope or a camera
    • G02B6/4224Active alignment, i.e. moving the elements in response to the detected degree of coupling or position of the elements involving a visual detection of the position of the elements, e.g. by using a microscope or a camera using visual alignment markings, e.g. index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G02B6/422Active alignment, i.e. moving the elements in response to the detected degree of coupling or position of the elements
    • G02B6/4227Active alignment methods, e.g. procedures and algorith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G02B6/4228Passive alignment, i.e. without a detection of the degree of coupling or the position of the elements
    • G02B6/423Passive alignment, i.e. without a detection of the degree of coupling or the position of the elements using guiding surfaces for the align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49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comprising arrays of active devices and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48Supporting carriers of a microbench type, i.e. with micromachined additional mechanical structures
    • G02B6/3652Supporting carriers of a microbench type, i.e. with micromachined additional mechanical structures the additional structures being prepositioning mounting areas, allowing only movement in one dimension, e.g. grooves, trenches or vias in the microbench surface, i.e. self aligning supporting carr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소자의 정렬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허용 오차범위 내에서 광소자와 광섬유를 정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소자 정렬방법에 따르면, 광소자와 광섬유의 광정렬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고, 그러면서도 정렬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소자 정렬방법{Optical Element Alignmen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소자의 정렬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허용 오차범위 내에서 광소자와 광섬유를 정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장거리 통신에 널리 사용 중인 광섬유(optical fiber) 기반 신호 전송방법은 광대역 및 전자기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에 무관한 동작 등의 장점으로 인해 고속, 고밀도의 데이터 전송이 요구되는 고화질 디지털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를 비롯한 대용량 디지털 미디어 전송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섬유 기반 신호 전송 방법은 광섬유와 광소자 사이에 렌즈와 반사수단을 개재시키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실현하기 위하여 광섬유와 반사수단 및 렌즈가 고정설치된 구조물을 광소자가 실장된 기판에 설치하여 광정렬을 수행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광정렬 방법으로 제조되는 광 송수신 장치는 광소자, 렌즈, 반사수단 및 광섬유를 어떠한 방식으로 정렬하는가에 따라서 구조의 단순화, 제품생산비용의 절감, 내구성과 정밀도의 향상 등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광정렬의 문제는 매우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으로 광정렬을 수행하여 제조되는 광 송수신 장치는 고가(high cost)일 뿐 아니라, 부피가 커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기기에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복잡한 구조를 가지므로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기준홀, 제2기준홀, 제1기준선 및 제2기준선에 기초하여 광소자와 광섬유를 광정렬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광소자 정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소자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광소자가 설정위치에 배치되고, 제1기준홀과 상기 제1기준홀과 제1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기준홀을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를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설정위치는 상기 제1기준홀과 상기 제2기준홀을 통과하는 제1기준선과 상기 제1기준선과 교차하고, 제1기준홀로부터 제2간격을 둔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1기준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기준홀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제2기준선에 의하여 결정되되, 상기 제2간격은 상기 제1간격보다 더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소자 정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광소자를 마련하는 단계; 제1기준홀과 제2기준홀을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상의 상기 제1기준홀과 상기 제2기준홀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된 위치에 상기 광소자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광소자와 광통신하는 광섬유가 고정설치되고, 제1포스트와 제2포스트가 형성된 광섬유고정블럭을 설치하여 상기 광섬유와 상기 광소자를 광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정렬은 상기 제1기준홀에 상기 제1포스트가 삽입되고, 상기 제2기준홀에 상기 제2포스트가 삽입되되, 제2포스트는 제1포스트보다 더 헐겁게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소자 정렬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소자 정렬방법에 따르면, 광소자와 광섬유의 광정렬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고, 그러면서도 정렬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정렬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광 송수신 장치는 소형화가 가능하며 저렴한 부품의 단순결합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소자 정렬방법을 나타낸다.
도 2는 제1기준홀과 제2기준홀이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광소자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제1기준홀과 제2기준홀이 형성된 정렬플레이트가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광소자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복수 개의 광소자가 제2기준선에 배치된 베이스플레이트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3의 정렬플레이트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고정블럭을 나타낸다.
도 7은 광소자, 렌즈, 반사수단 및 광섬유가 광정렬을 이루면서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광소자와 렌즈가 정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소자 정렬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소자(15) 정렬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소자 정렬방법을 나타낸다. 도 2는 제1기준홀과 제2기준홀이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광소자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제1기준홀과 제2기준홀이 형성된 정렬플레이트가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광소자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복수 개의 광소자가 제2기준선에 배치된 베이스플레이트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소자(15) 정렬방법은 광소자(15)를 마련하는 단계(S10); 및 상기 광소자(15)가 설정위치에 배치되고, 제1기준홀(A)과 상기 제1기준홀(A)과 제1간격(12)을 두고 형성되는 제2기준홀(B)을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10)를 마련하는 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위치는 상기 제1기준홀(A)과 상기 제2기준홀(B)을 통과하는 제1기준선(11)과 상기 제1기준선(11)과 교차하고, 제1기준홀(A)로부터 제2간격(13)을 둔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1기준홀(A)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기준홀(B)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제2기준선(14)에 의하여 결정되되, 상기 제2간격(13)은 상기 제1간격(12)보다 더 좁을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는 예컨대 PCB기판일 수 있다.
제1기준홀(A)과 제2기준홀(B)은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후술할 정렬플레이트(2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설정위치는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 위치하며,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서 광소자(15) 배치되는 부분이다. 광소자(15)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복수 개의 광소자(15)가 설정위치에 배치된다.
제1기준선(11)과 제2기준선(14)은 가상의 선일 수 있으며,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서 광소자(15)가 배치되는 설정위치를 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설정위치는 제2기준선(14)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광소자(15)는 베이스플레이트(10) 상의 제2기준선(14)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광소자(15)는 제2기준선(14)에서 제1기준선(11)과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광소자(15)가 복수 개인 경우는 제2기준선(14) 상에 배열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기준선(11)은 제1기준홀(A)과 제2기준홀(B)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기준홀(A)과 제2기준홀(B)을 통과하는 선이 제1기준선(11)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기준홀(A)의 중심과 제2기준홀(B)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이 제1기준선(11)일 수 있으며, 제1기준홀(A)의 중심과 제2기준홀(B)의 중심 사이의 간격이 제1간격(12)일 수 있다.
제2기준선(14)은 제1기준선(11)과 제1기준홀(A) 및 제2간격(13)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2기준선(14)은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서 제1기준선(11)과 교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기준선(14)은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서 제1기준선(11)과 수직하게 교차할 수 있다. 제2기준선(14)은 제1기준홀(A)을 사이에 두고 제2기준홀(B)의 맞은편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기준홀(A)과 제2간격(13)을 둔 위치에서 제1기준선(11)과 교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간격(13)은 제1간격(12)보다 더 좁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기준홀(A)과 제2기준홀(B)은 정렬플레이트(20) 상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가 PCB 기판인 경우 제1기준홀(A)과 제2기준홀(B)의 위치나 크기를 정밀하게 형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제1기준홀(A)과 제2기준홀(B)을 정밀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재질과 구조를 가지는 정렬플레이트(20)를 제작하여, 이 정렬플레이트(20)를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 설치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가 제1기준홀(A)과 제2기준홀(B)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정렬플레이트(20) 상에 형성된 제1기준홀(A)과 제2기준홀(B)을 베이스플레이트(10) 상의 설치위치를 정하는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정렬플레이트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a)는 정렬플레이트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5(b)는 정렬플레이트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정렬플레이트(20)의 밑면에는 2개 이상의 고정포스트들(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윗면에는 고정포스트들(21)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정렬플레이트(20)는 고정포스트들(21)이 고정홀들에 삽입되는 형식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포스트들(21)과 고정홀들은 상기 제1기준선(11) 상에 일직선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정렬방법에 의하여 제작되는 광송수신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정렬플레이트(20)는 플라스틱 사출성형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고정블럭을 나타낸다. 도 6(a)는 광섬유고정블럭의 평면도를 도 6(b)는 광섬유고정블럭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광소자, 렌즈, 반사수단 및 광섬유가 광정렬을 이루면서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소자(15) 정렬방법은 광소자(15)와 광통신하는 광섬유(34)가 고정설치되고, 제1기준홀(A)에 삽입되는 제1포스트(C)와 제2기준홀(B)에 삽입되는 제2포스트(D)를 가지는 광섬유고정블럭(30)을 마련하여 설치하는 단계(S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포스트(D)는 제1포스트(C)가 제1기준홀(A)에 삽입되는 경우보다 더 헐겁게 제2기준홀(B)에 삽입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포스트(D)의 직경은 제1포스트(C)의 직경보다 더 작을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제2포스트(D)는 제1포스트(C)보다 더 헐겁게 제2기준홀(B)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기준홀(A)과 상기 제2기준홀(B)은 상기 광섬유(34)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포스트(C)와 상기 제2포스트(D)는 상기 광섬유(34)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섬유(34)의 길이방향은 상기 광섬유고정블럭(30)에 고정설치된 광섬유(34) 부분의 길이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광정렬에 있어서 불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다.
광섬유고정블럭(30)을 마련하여 설치하는 단계(S30)를 설명한다.
광섬유고정블럭(30)은 그 내부에 광섬유(34)가 고정설치될 수 있다. 광섬유고정블럭(30)은 내측으로 광섬유(34)를 가이드하는 광섬유가이드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광섬유가이드부(31)는 내측으로부터 바깥쪽에 위치한 개구로 갈수록 점차로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광섬유(34)의 끝단을 설정된 위치까지 가이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광섬유가이드부(31)에 의하여 광섬유(34)는 광섬유고정블럭(30)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길이(L)만큼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광섬유(34)는 일정한 길이만큼은 광섬유고정블럭(30)에 안착되는 안착길이(L)를 확보해 주어야 한다. 그래야 광 송수신 장치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보장될 수 있다. 광섬유가이드부(31)는 광섬유(34)가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길이(L)를 확보하면서 배치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광섬유고정블럭(30)의 일면은 실시예에 따라서 광섬유(34)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이 돌출부(36)의 밑면에는 렌즈(32)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고정설치될 수 있다. 즉 렌즈(32)는 광섬유(34)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광섬유고정블럭(30)이 베이스플레이트(10)에 설치된 경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설정위치에 배치된 광소자(15)와 렌즈(32)가 서로 마주보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광섬유고정블럭(30)에는 렌즈(32), 반사수단(33) 및 광섬유(34)가 광정렬을 이룰 수 있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반사수단(33)은 예컨대 반사경 또는 프리즘일 수 있다.
광정렬을 통하여 광섬유(34)의 끝단으로부터 방사된 빛(Light)이 반사수단(33)을 통하여 경로를 변경하고 렌즈(32)를 통하여 집광되어 광소자(15)에 도달할 수 있게 하거나, 광소자(15)로부터 방사된 빛이 렌즈(32)를 통하여 집광되고, 반사수단(33)을 통하여 경로를 변경하여 광섬유(34)의 끝단에 도달할 수 있게도 한다.
도 8은 광소자와 렌즈가 정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베이스플레이트(10)에 광소자(15) 하나가 배치된 경우에 있어서 광소자(15)와 렌즈(32)의 정렬과정을 설명한다.
광소자(15)는 제1기준홀(A)을 기준으로 제2간격(13) 만큼의 거리를 둔 제1기준선(11) 상의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광섬유고정블럭(30)의 밑면에 형성된 제1포스트(C)와 제2포스트(D)를 통과하는 선이 제3기준선(35)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포스트(C)의 중심과 제2포스트(D)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이 제3기준선(35)일 수 있으며, 제1포스트(C)의 중심과 제2포스트(D)의 중심 사이의 간격이 제1간격(12)일 수 있다. 즉 제1포스트(C)의 중심과 제2포스트(D)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제1기준홀(A)의 중심과 제2기준홀(B)의 중심 사이의 거리와 같다.
렌즈(32)는 제3기준선(35)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렌즈(32)는 제3기준선(35)을 기준으로 제2간격(13) 만큼의 거리를 둔 제3기준선(35) 상의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광섬유고정블럭(30)이 베이스플레이트(10) 또는 정렬플레이트(20) 상에 설치될 때, 제1포스트(C)는 제1기준홀(A)에 타이트(Tight)하게 삽입된다. 그러나 제2포스트(D)는 제2기준홀(B)에 제1포스트(C)가 제1기준홀(A)에 삽입되는 경우보다 더 헐겁게 삽입된다. 따라서 제2포스트(D)는 제2기준홀(B) 내에서 움직임이 있다.
그 결과, 제3기준선(35)은 제1기준홀(A)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미세하게 움직임이 가능하므로 제1기준선(11)과 제3기준선(35)은 일치할 수도 있고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기준선(11) 및 제2기준선(14)과 수직하고 제2기준선(14)과 교차하는 가상의 선을 제4기준선으로 보면, 제1기준선(11)과 제3기준선(35)이 일치하는 경우는 광소자(15)와 렌즈(32)는 제4기준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광소자(15)와 렌즈(32)가 동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2간격(13)은 제1간격(12)보다 더 좁다. 즉, 제1포스트(C)를 중심으로 볼 때 제2포스트(D)의 위치는 멀고, 렌즈(32)의 위치는 상대적으로 가깝기 때문에 제2포스트(D)가 제2기준홀(B) 내에서 많이 움직이더라도 렌즈(32)는 작게 움직인다. 따라서 제1기준선(11)과 제3기준선(35)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라도 광소자(15)와 렌즈(32)의 어긋남은 크지 않다.
제1간격(12)에 대한 제2간격(13)의 비는 광섬유(34)가 광소자(15)와 허용 오차범위 내에서 광정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1간격(12)과 제2간격(13)의 차이가 클수록 제2포스트(D)의 움직임(P)에 대한 렌즈(32)의 움직임(Q)의 비는 더욱 작아진다. 따라서 제1간격(12)과 제2간격(13)의 차이를 크게 함으로써 더욱 정밀한 정렬이 가능하다.
제1간격(12)과 제2간격(13)은 미리 확정되는 것이 아니다. 설계자는 요구되는 스팩(Spec)에 맞추어 허용 오차범위 내에서 광소자(15)와 광섬유(34)가 광정렬할 수 있도록 적절한 제1간격(12)과 제2간격(13)을 설정할 수 있으며, 제1간격(12)에 대한 제2간격(13)의 적절한 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포스트(D)가 제1포스트(C)가 제1기준홀(A)에 삽입되는 경우보다 더 헐겁게 제2기준홀(B)에 삽입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광섬유고정블럭(30)이 정렬플레이트(20) 또는 베이스플레이트(10)에 억지 끼워 맞춤으로 설치될 때 발생하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밀한 광정렬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향상된다.
광섬유고정블럭(30)에 안착되어 고정설치되는 광섬유(34)의 안착된 길이방향은 제1기준선(11) 또는 제3기준선(35)의 방향과 같은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섬유(34)는 일정 길이만큼은 안착길이(L)를 확보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그 길이방향으로 제1포스트(C), 제2포스트(D), 제1기준홀(A) 및 제2기준홀(B)이 배치되면 광섬유(34)가 필요로 하는 필수적 공간을 제1포스트(C), 제2포스트(D), 제1기준홀(A) 및 제2기준홀(B)이 함께 사용하므로 광 송수신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제1기준선(11)과 제3기준선(35)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광소자(15)와 렌즈(32)는 제4기준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광소자(15)와 렌즈(32)는 제3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될 수 있다. 설계자는 이 제3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3간격은 정렬플레이트(20)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광섬유고정블럭(30) 중에서 렌즈(32)가 위치한 지점까지의 높이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3간격은 정렬플레이트(2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렬플레이트(20) 높이와 광섬유고정블럭(30) 중에서 렌즈(32)가 위치한 지점까지의 높이를 합한 길이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작업자는 단지 이미 높이가 결정된 광섬유고정블럭(30) 또는 광섬유고정블럭(30)과 정렬플레이트(20)의 결합체를 베이스플레이트(10)에 끼움으로써 광소자(15)와 렌즈(32)가 제3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소자 정렬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소자(15)의 정렬방법은 광소자(15)를 마련하는 단계(S100); 제1기준홀(A)과 제2기준홀(B)을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10)를 마련하는 단계(S2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상의 상기 제1기준홀(A)과 상기 제2기준홀(B)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된 위치에 상기 광소자(15)를 배치하는 단계(S300); 및 상기 광소자(15)와 광통신하는 광섬유(34)가 고정설치되고, 제1포스트(C)와 제2포스트(D)가 형성된 광섬유고정블럭(30)을 설치하여 상기 광섬유(34)와 상기 광소자(15)를 광정렬시키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정렬은 상기 제1기준홀(A)에 상기 제1포스트(C)가 삽입되고, 상기 제2기준홀(B)에 상기 제2포스트(D)가 삽입되되, 제2포스트(D)는 제1포스트(C)보다 더 헐겁게 삽입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는 상기 제1기준홀(A)과 상기 제2기준홀(B)을 통과하는 제1기준선(11)과 상기 제1기준선(11)과 교차하고, 제1기준홀(A)로부터 제2간격(13)을 둔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1기준홀(A)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기준홀(B)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제2기준선(14)에 의하여 결정되되, 상기 제2간격(13)은 상기 제1간격(12)보다 더 좁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2포스트(D)의 직경은 상기 제1포스트(C)의 직경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2기준홀(B)의 직경은 상기 제1기준홀(A)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제1기준홀 B: 제2기준홀
C: 제1포스트 D: 제2포스트
10: 베이스플레이트 11: 제1기준선
12: 제1간격 13: 제2간격
14: 제2기준선 15: 광소자
20: 정렬플레이트 21: 고정포스트들
30: 광섬유고정블럭 31: 광섬유가이드부
32: 렌즈 33: 반사수단
34: 광섬유 35: 제3기준선
36: 돌출부

Claims (13)

  1. 광소자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광소자가 설정위치에 배치되고, 제1기준홀과 상기 제1기준홀과 제1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기준홀을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를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위치는 상기 제1기준홀과 상기 제2기준홀을 통과하는 제1기준선과,
    상기 제1기준선과 교차하고 제1기준홀로부터 제2간격을 둔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1기준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기준홀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제2기준선
    에 의하여 결정되며, 상기 제2간격은 상기 제1간격보다 더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소자 정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홀과 상기 제2기준홀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정렬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소자 정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플레이트는 2개 이상의 고정포스트들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고정포스트들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정렬플레이트는 상기 고정포스트들이 상기 고정홀들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소자 정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포스트들과 상기 고정홀들은 상기 제1기준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소자 정렬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플레이트는 플라스틱 사출성형방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소자 정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소자와 광통신하는 광섬유가 안착되어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1기준홀에 삽입되는 제1포스트와 상기 제2기준홀에 삽입되는 제2포스트를 가지되, 상기 제2포스트는 상기 제1포스트의 삽입보다 더 헐겁게 상기 제2기준홀에 삽입되는 광섬유고정블럭을 마련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소자 정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포스트의 직경은 상기 제1포스트의 직경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소자 정렬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가 안착된 길이방향은 상기 제1기준선의 방향과 같은 방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소자 정렬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격에 대한 상기 제2간격의 비는 상기 광섬유가 상기 광소자와 허용 오차범위 내에서 광정렬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소자 정렬방법.
  10. 광소자를 마련하는 단계;
    제1기준홀과 상기 제1기준홀과 제1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기준홀을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상의 상기 제1기준홀과 상기 제2기준홀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된 위치에 상기 광소자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광소자와 광통신하는 광섬유가 고정설치되고, 제1포스트와 제2포스트가 형성된 광섬유고정블럭을 설치하여 상기 광섬유와 상기 광소자를 광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정렬은 상기 제1기준홀에 상기 제1포스트가 삽입되고, 상기 제2기준홀에 상기 제2포스트가 삽입되며, 제2포스트는 제1포스트보다 더 헐겁게 삽입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위치는 상기 제1기준홀과 상기 제2기준홀을 통과하는 제1기준선과,
    상기 제1기준선과 교차하고, 제1기준홀로부터 제2간격을 둔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1기준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기준홀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제2기준선
    에 의하여 결정되며, 상기 제2간격은 상기 제1간격보다 더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소자 정렬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포스트의 직경은 상기 제1포스트의 직경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소자 정렬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준홀의 직경은 상기 제1기준홀의 직경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소자 정렬방법.
KR20130146596A 2013-11-28 2013-11-28 광소자 정렬방법 KR101502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6596A KR101502318B1 (ko) 2013-11-28 2013-11-28 광소자 정렬방법
PCT/KR2014/011589 WO2015080529A1 (ko) 2013-11-28 2014-11-28 광소자 정렬방법
EP14865985.7A EP3076216B1 (en) 2013-11-28 2014-11-28 Optical element alignment method
CN201480073703.5A CN106104339B (zh) 2013-11-28 2014-11-28 光元件对齐装置及方法
JP2015550351A JP6106284B2 (ja) 2013-11-28 2014-11-28 光素子のアライメント装置及び方法
US14/750,211 US9423569B2 (en) 2013-11-28 2015-06-25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optical el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6596A KR101502318B1 (ko) 2013-11-28 2013-11-28 광소자 정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2318B1 true KR101502318B1 (ko) 2015-03-13

Family

ID=53027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6596A KR101502318B1 (ko) 2013-11-28 2013-11-28 광소자 정렬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23569B2 (ko)
EP (1) EP3076216B1 (ko)
JP (1) JP6106284B2 (ko)
KR (1) KR101502318B1 (ko)
CN (1) CN106104339B (ko)
WO (1) WO2015080529A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540A (ko) * 2014-11-28 2016-06-08 (주)옵토마인드 광 송수신 장치
US9645331B1 (en) 2016-09-12 2017-05-09 Yottahn, Inc. Optical modul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7105110A1 (ko) * 2015-12-15 2017-06-22 (주)옵토마인드 광 케이블용 송수신 장치 및 그 정렬 방법
US9715071B1 (en) 2016-09-12 2017-07-25 Yottahn, Inc. Bending type optical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766416B1 (en) 2016-09-12 2017-09-19 Yottahn, Inc. Optical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772458B1 (en) 2016-09-12 2017-09-26 Yottahn, Inc. Optical module for optical fib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97549B1 (ko) * 2015-12-15 2017-12-13 (주)옵토마인드 광 케이블용 송신 장치 및 그 정렬 방법
KR101821138B1 (ko) * 2015-12-15 2018-03-09 (주)옵토마인드 광 케이블용 수신 장치 및 그 정렬 방법
WO2018062675A1 (ko) * 2016-09-28 2018-04-05 이상식 광 모듈 장치를 포함한 광케이블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 모듈 장치를 포함한 광케이블의 제조방법
WO2019050190A1 (ko) * 2017-09-11 2019-03-14 이상식 광 송수신 장치
US10409015B1 (en) 2015-12-15 2019-09-10 Optomind Inc. Optical receiving device including focusing lens and reflector mounted to housing body and collimating lens mounted to housing cover
CN113465888A (zh) * 2021-06-30 2021-10-01 深圳中科飞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调节装置及其调节方法
CN113465888B (zh) * 2021-06-30 2024-06-04 深圳中科飞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调节装置及其调节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025B1 (ko) 2013-11-28 2015-01-07 (주)옵토마인드 전송경로 확장기
KR101858029B1 (ko) 2017-04-19 2018-05-16 (주)옵토마인드 광송수신용 광학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0416A (ko) * 2006-11-03 2008-05-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학 벤치를 구비하는 광통신 모듈
JP2008158473A (ja) * 2006-11-29 2008-07-10 Sumitomo Bakelite Co Ltd 光配線部品及び光素子実装部品
KR20120029673A (ko) * 2010-09-17 2012-03-27 주식회사 유나이브 부품의 수동 정렬을 구현하는 광 송수신 장치 및 부품의 수동 정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9614A (ja) * 1991-01-23 1992-08-27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05049721A (ja) * 2003-07-31 2005-02-24 Olympus Corp 光学素子の製造方法
US20060067630A1 (en) * 2004-09-30 2006-03-30 Kim Brian H Optical transceiver module
JP4690963B2 (ja) * 2006-08-09 2011-06-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多チャンネル光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09134262A (ja) * 2007-10-29 2009-06-18 Fujikura Ltd 光コネクタ
JP5314119B2 (ja) * 2011-12-26 2013-10-16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モジュール
WO2013099415A1 (ja) * 2011-12-26 2013-07-04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モジュール
US9782814B2 (en) * 2012-03-05 2017-10-10 Nanoprecision Products, Inc. Stamping to form a composite structure of dissimilar materials having structured features
JP5677355B2 (ja) * 2012-04-02 2015-02-25 株式会社フジクラ フェルール、光ファイバ付きフェルール
JP2013235243A (ja) * 2012-04-09 2013-11-21 Fujikura Ltd 光路変更部材
TWI578053B (zh) * 2013-05-08 2017-04-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光通訊模組
KR101480025B1 (ko) * 2013-11-28 2015-01-07 (주)옵토마인드 전송경로 확장기
US9335488B2 (en) * 2014-04-22 2016-05-10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Adapter for interfacing optical fiber connectors with one another, and a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0416A (ko) * 2006-11-03 2008-05-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학 벤치를 구비하는 광통신 모듈
JP2008158473A (ja) * 2006-11-29 2008-07-10 Sumitomo Bakelite Co Ltd 光配線部品及び光素子実装部品
KR20120029673A (ko) * 2010-09-17 2012-03-27 주식회사 유나이브 부품의 수동 정렬을 구현하는 광 송수신 장치 및 부품의 수동 정렬방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540A (ko) * 2014-11-28 2016-06-08 (주)옵토마인드 광 송수신 장치
KR101689398B1 (ko) 2014-11-28 2016-12-23 (주)옵토마인드 광 송수신 장치
US10268007B2 (en) 2015-12-15 2019-04-23 Optomind Inc. Optical transmitting device including first lens and reflector mounted to housing body and second lens mounted to housing cover
CN108369322A (zh) * 2015-12-15 2018-08-03 光电思维株式会社 光缆用收发装置及其对齐方法
CN108369322B (zh) * 2015-12-15 2020-06-12 光电思维株式会社 光缆用收发装置及其对齐方法
US10409015B1 (en) 2015-12-15 2019-09-10 Optomind Inc. Optical receiving device including focusing lens and reflector mounted to housing body and collimating lens mounted to housing cover
WO2017105110A1 (ko) * 2015-12-15 2017-06-22 (주)옵토마인드 광 케이블용 송수신 장치 및 그 정렬 방법
KR101797549B1 (ko) * 2015-12-15 2017-12-13 (주)옵토마인드 광 케이블용 송신 장치 및 그 정렬 방법
KR101821138B1 (ko) * 2015-12-15 2018-03-09 (주)옵토마인드 광 케이블용 수신 장치 및 그 정렬 방법
US9645331B1 (en) 2016-09-12 2017-05-09 Yottahn, Inc. Optical modul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772458B1 (en) 2016-09-12 2017-09-26 Yottahn, Inc. Optical module for optical fib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766416B1 (en) 2016-09-12 2017-09-19 Yottahn, Inc. Optical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715071B1 (en) 2016-09-12 2017-07-25 Yottahn, Inc. Bending type optical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8062675A1 (ko) * 2016-09-28 2018-04-05 이상식 광 모듈 장치를 포함한 광케이블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 모듈 장치를 포함한 광케이블의 제조방법
WO2019050190A1 (ko) * 2017-09-11 2019-03-14 이상식 광 송수신 장치
CN113465888A (zh) * 2021-06-30 2021-10-01 深圳中科飞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调节装置及其调节方法
CN113465888B (zh) * 2021-06-30 2024-06-04 深圳中科飞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调节装置及其调节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76216B1 (en) 2020-06-03
EP3076216A1 (en) 2016-10-05
CN106104339A (zh) 2016-11-09
US20150293309A1 (en) 2015-10-15
CN106104339B (zh) 2018-02-02
JP6106284B2 (ja) 2017-03-29
WO2015080529A1 (ko) 2015-06-04
JP2016502152A (ja) 2016-01-21
US9423569B2 (en) 2016-08-23
EP3076216A4 (en) 201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318B1 (ko) 광소자 정렬방법
KR101480025B1 (ko) 전송경로 확장기
CN103282814B (zh) 光模块
JP5550221B2 (ja) 光結合素子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モジュール
US10209458B2 (en) Optical module with multiple lenses including dummy lens
US8905651B2 (en) Dismountable optical coupling device
JP6243568B1 (ja) 光送受信用光学アセンブリー
KR102067595B1 (ko) 부품 얼라인먼트
KR102521508B1 (ko) 광 커넥터 및 이것을 탑재하는 기기
CN108369322B (zh) 光缆用收发装置及其对齐方法
EP3467557B1 (en) Optical connector
KR20160064540A (ko) 광 송수신 장치
US20140086532A1 (en) Optical Coupling Device,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10251588A (ja) 光送信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30272647A1 (en) Optical coupling device, opticalsystem and methods of assembly
KR20160064532A (ko) 편차를 줄이기 위한 광소자 정렬방법
WO2019230638A1 (ja) 光レセプタクル本体の支持部材用金型、支持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光レセプタクル並びに光モジュール
KR20110127847A (ko) 렌즈 모듈 및 웨이퍼 레벨 렌즈 모듈 제조장치
KR20170071646A (ko) 광 케이블용 송신 장치 및 그 정렬 방법
KR101543392B1 (ko) 광 연결 모듈
JP5869287B2 (ja) 光コネクタ及び信号処理装置
JP2007019298A (ja) 光モジュールの作製方法
JP2023012345A (ja) 光コネクタシステム
JP2015114645A (ja) 光コネクタ保持具、光コネクタモジュール、光学基板モジュール及び光モジュール。
JP2015135390A (ja) 1芯双方向光通信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