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594B1 -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594B1
KR101497594B1 KR20140079543A KR20140079543A KR101497594B1 KR 101497594 B1 KR101497594 B1 KR 101497594B1 KR 20140079543 A KR20140079543 A KR 20140079543A KR 20140079543 A KR20140079543 A KR 20140079543A KR 101497594 B1 KR101497594 B1 KR 101497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der
rotary drum
housing
mask
re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9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수
Original Assignee
이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수 filed Critical 이남수
Priority to KR20140079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5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52Solder m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솔더 공급통과, 회전드럼와, 회전구동부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하측이 개방되어 있다. 솔더 공급통은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솔더가 수용된다. 회전드럼은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 수용부와, 배출구와, 함몰 수용부와, 한 쌍의 스퀴지를 구비한다. 내부 수용부는 솔더 공급통으로부터 공급받은 솔더가 채워지고, 배출구는 내부 수용부의 솔더가 배출되며, 함몰 수용부는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회전면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되어 마스크와의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에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솔더가 일시적으로 수용되고, 한 쌍의 스퀴지는 함몰 수용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회전축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회전구동부는 회전드럼의 직선이동 방향에 따라 한 쌍의 스퀴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마스크에 접촉되도록, 회전드럼을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마스크에 접촉된 스퀴지는 함몰 수용부에 수용된 솔더를 마스크 측으로 가압한다.

Description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SOLDER AUTOMATICALLY INCLUDING ENCLOSED SQUEEZE}
본 발명은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에 솔더를 인쇄하기 위하여 마스크의 개구부를 통해 기판에 솔더를 공급하는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나 가전제품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주요 부품으로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urcuit Board)에는 반도체칩이나 저항칩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소형 전자부품이 실장될 수 있도록 용융상태의 솔더가 일정한 패턴으로 도포된다. 이와 같은 솔더의 도포과정은 스크린 프린터(screen printer)라고 하는 솔더 도포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특정 패턴의 개구부가 형성된 마스크 상에 공급된 솔더를 스퀴지로 압착하여 인쇄회로기판의 부품장착부에 도포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솔더 공급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솔더 공급장치(10)는 기판(4)의 상측에 배치된 마스크(2)를 따라 이동하며, 마스크(2)에 일정량의 솔더(1)를 공급하는 솔더 공급부(11)와, 마스크(2)에 놓인 일정량의 솔더(1)를 마스크(2)의 개구부(3) 측으로 가압하는 스퀴지(12)로 구성된다.
종래의 솔더 공급장치의 경우, 솔더 공급부(11)로부터 공급된 솔더(1)가 마스크(2)에 놓이게 되는데, 스퀴지(12)에 의해 가압되기 전에는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솔더(1)가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로 마스크(2) 상에서 왕복이동되다 보면,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해 산화 현상이 발생하고, 공기 중의 불순물이 솔더(1) 내부에 침투하며, 솔더(1) 내의 용매의 증발로 인하여 솔더(1)의 점도의 변화가 생기게 되어 솔더(1)의 품질이 저하되는 위험이 발생한다. 솔더(1)의 품질 저하는 향후 인쇄회로기판에서 솔더가 떨어져 나가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품질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인쇄 공정을 진행하는 동안, 솔더(1)가 마스크(2)의 개구부(3)를 통과하여 기판(4)에 인쇄되면서, 솔더(1)의 양이 점점 줄어들게 된다. 스퀴지(12)에 의해 마스크(2)가 가압되는 압력은 동일한데, 솔더(1)의 양이 변경되면 마스크(2)의 개구부(3)를 통과하여 기판(4)에 인쇄되는 솔더의 양 또한 시간에 따라 변경된다. 기판(4)에 인쇄되는 솔더의 양이 균일하지 못할 경우에도, 인쇄회로기판의 품질 저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인쇄 공정을 반복하다 보면, 마스크(2)의 개구부(3)에 들어간 솔더(1) 외에 남게 되는 솔더(1)가 스퀴지(12)의 양측으로 계속해서 밀려 나가면서 마스크(2)의 가장자리부에 잔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스크(2)에 솔더(1)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쇄 공정 중간에 마스크(2)를 세정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는 생산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 공기로부터 솔더가 밀폐된 상태에서 마스크에 공급되고, 항상 일정한 양의 솔더가 일정한 압력으로 마스크에 공급되도록 솔더의 공급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인쇄 공정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는, 하측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솔더가 수용되는 솔더 공급통;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솔더 공급통으로부터 공급받은 솔더가 채워지는 내부 수용부와, 상기 내부 수용부의 솔더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회전면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되어 마스크와의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에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솔더가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함몰 수용부와, 상기 함몰 수용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스퀴지를 구비하는 회전드럼; 및 상기 회전드럼의 직선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스퀴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마스크에 접촉되도록, 상기 회전드럼을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한 쌍의 스퀴지의 외측에 상기 회전축이 배치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면에 설치되는 제1밀봉부재;를 포함하고, 마스크에 접촉된 스퀴지는 상기 함몰 수용부에 수용된 솔더를 마스크 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회전드럼이 회전되어 상기 함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 사이는 상기 제1밀봉부재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회전드럼에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된 부분을 푸싱하는 제1푸쉬부와, 상기 회전드럼에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타측으로 이격된 부분을 푸싱하는 제2푸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푸쉬부 및 상기 제2푸쉬부 각각은 상기 회전축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공압 실린더의 로드부재가 왕복이동되면서 상기 회전드럼을 푸싱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은, 상기 한 쌍의 스퀴지의 외측에 상기 회전축이 배치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면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밀봉부재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밀봉부재는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면으로부터 일정 부분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감싸는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드럼에서 상기 회전축과 교차하게 배치되는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드럼의 양측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 사이를 밀봉하는 제2밀봉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은, 상기 회전축을 감싸는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드럼의 양측면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밀봉부재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밀봉부재는 상기 제2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드럼의 양측면으로부터 일정 부분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솔더 공급통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솔더 공급통에 수용된 솔더는 외부의 압축공기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회전드럼의 내부 수용부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끼움홈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홈에 걸리는 돌출부와, 마스크와 상기 함몰 수용부 사이에 끼워져 상기 함몰 수용부에 수용된 솔더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에 따르면, 인쇄 공정 내내 솔더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솔더 공급장치 외부로 솔더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쇄 공정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에 따르면, 인쇄 공정 내내 마스크에 공급되는 솔더의 양이 변화하지 않고, 항상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솔더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에 따르면, 솔더의 품질 손상 및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에 따르면, 솔더 공급장치의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솔더가 쓸데없이 버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솔더 공급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의 회전드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의 회전드럼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의 회전드럼의 함몰 수용부가 하우징의 내면과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2의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의 하우징과 받침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2의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의 하우징과 받침부재가 결합되어 이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의 회전드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의 회전드럼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의 회전드럼의 함몰 수용부가 하우징의 내면과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2의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의 하우징과 받침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2의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의 하우징과 받침부재가 결합되어 이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100)는, 기판에 솔더를 인쇄하기 위하여 마스크의 개구부를 통해 기판에 솔더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하우징(110)과, 솔더 공급통(120)과, 회전드럼(130)과, 회전구동부(140)와, 제1밀봉부재(151)와, 제2밀봉부재(152)와, 받침부재(16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하측이 개방되고, 측면과 상면은 밀폐되며,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후술할 회전드럼(130)이 설치되고, 하우징(110)의 측면에는 후술할 솔더 공급통(120)이 설치된다.
하우징(110)의 측면 외부에는 함몰되게 형성되는 끼움홈(111)이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측면에 끼움홈(11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후술할 받침부재(160)는 끼움홈(111)에 끼워지면서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솔더 공급통(120)은 내부에 솔더(1)가 수용되는 것으로서, 하우징(110)의 외부에 설치된다. 솔더 공급통(120)에 수용된 솔더(1)는 후술할 회전드럼의 내부 수용부(131)로 공급된다. 솔더 공급통(120)의 상면에 공압 호스가 연결되고, 공압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의 압축공기로 솔더 공급통(120)에 수용된 솔더(1)를 가압하여 회전드럼의 내부 수용부(131)로 전달한다.
유니언 커넥터를 이용하여 하우징(110)과 솔더 공급통(120)을 연결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솔더 공급통(120)은 하우징(110)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100)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다른 부품과 간섭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데, 간섭 문제의 발생 시 솔더 공급통(120)을 일정 각도 회전시켜 간섭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100)를 다양한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드럼(130)은 하우징(110) 내부에서 회전축(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 수용부(131)와, 배출구(132)와, 함몰 수용부(133)와, 한 쌍의 스퀴지(134)를 구비한다.
내부 수용부(131)는 솔더 공급통(120)과 연통되어 솔더 공급통(120)으로부터 공급받은 솔더(1)가 채워진다. 인쇄 공정 중 내부 수용부(131)에 채워진 솔더(1)의 일부가 배출구(132)를 통해 함몰 수용부(133) 측으로 전달되면, 외부의 압축공기에 의해 가압되는 솔더 공급통(120)으로부터 다시 내부 수용부(131)로 솔더(1)가 공급되어 내부 수용부(131)가 가득 채워진다. 즉, 솔더(1)의 배출로 인해 생기는 내부 수용부(131) 및 함몰 수용부(133) 내의 빈 공간에 곧바로 솔더(1)가 보충되므로, 마스크(2)로 공급되는 솔더의 양은 변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항상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솔더(1)가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132)는 내부 수용부(131)의 솔더(1)가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C)이 배치되는 방향(A1)을 따라 다수의 배출구(132)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함몰 수용부(133)는 회전축(C)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회전드럼의 회전면(130a)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되어, 배출구(132)로부터 배출된 솔더(1)가 일시적으로 수용된다. 인쇄 공정 중 함몰 수용부(133)는 하우징(110)의 개방된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함몰 수용부(133)와 마스크(2)에 의해 마련되는 공간에 인쇄 공정에 사용되는 솔더(1)가 일시적으로 수용된다. 함몰 수용부(133)에 수용된 솔더(1)는 인쇄 공정 동안 마스크(2)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기판에 인쇄된다.
한 쌍의 스퀴지(134)는 함몰 수용부(133)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회전축(C)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인쇄 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100)는 좌우 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하는데, 예를 들어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100)가 좌측으로 이동할 경우 한 쌍의 스퀴지(134) 중 어느 하나가 스퀴징 작업을 하고,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100)가 우측으로 이동할 경우 한 쌍의 스퀴지(134) 중 다른 하나가 스퀴징 작업을 할 수 있다. 마스크(2) 상에 놓여진 솔더(1)는 스퀴지(134)에 의해 눌려져 개구부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140)는 회전드럼(130)을 회전축(C)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드럼(130)의 직선이동 방향에 따라 한 쌍의 스퀴지(134)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마스크(2)에 접촉되도록, 회전구동부(140)를 이용하여 회전드럼(130)을 회전축(C)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의 회전구동부(140)는 제1푸쉬부(141)와, 제2푸쉬부(142)로 구성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드럼(130)이 우측으로 직선이동하면서 인쇄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회전드럼(130)에서 회전축(C)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된 부분(130c)을 제1푸쉬부(141)를 이용하여 푸싱하면, 회전드럼(13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한 쌍의 스퀴지(134) 중 좌측에 배치된 스퀴지(134a)가 마스크(2)에 접촉되고, 접촉된 스퀴지(134a)에 의해 함몰 수용부(133)에 수용된 솔더(1)는 마스크(2) 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드럼(130)이 좌측으로 직선이동하면서 인쇄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회전드럼(130)에서 회전축(C)으로부터 타측으로 이격된 부분(130d)을 제2푸쉬부(142)를 이용하여 푸싱하면, 회전드럼(13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한 쌍의 스퀴지(134) 중 우측에 배치된 스퀴지(134b)가 마스크(2)에 접촉되고, 접촉된 스퀴지(134b)에 의해 함몰 수용부(133)에 수용된 솔더(1)는 마스크(2) 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몰 수용부(133)와 마스크(2)에 의해 외부의 공기로부터 솔더(1)가 밀폐된 상태에서 마스크(2)에 솔더(1)가 공급되므로, 외부의 공기에 의해 솔더(1)가 산화 또는 응고될 염려가 없고, 외부의 오염원에 의해 솔더(1)가 오염될 위험 또한 없게 되어, 인쇄 공정 내내 솔더(1)는 일정한 품질이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1푸쉬부(141) 및 제2푸쉬부(142) 각각은 한 쌍의 단동형 공압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다. 제1푸쉬부(141)의 한 쌍의 공압 실린더 및 제2푸쉬부(142)의 한 쌍의 공압 실린더는 회전축(C)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공압 실린더의 로드부재가 왕복이동되면서 회전드럼(130)을 푸싱할 수 있다. 제1푸쉬부 및 제2푸쉬부로 공압 실린더 외에 일반적인 직선구동유닛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제1밀봉부재(151)는 회전드럼의 회전면(130a)과 하우징의 내면(112) 사이를 밀봉하며, 한 쌍의 스퀴지(134)의 외측에 회전축이 배치되는 방향(A1)을 따라 회전드럼의 회전면(130a)에 설치된다.
솔더 자동공급장치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솔더 공급장치에 수용된 솔더(1)를 빼낸 후 별도의 저장통에 밀봉된 상태로 보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솔더 공급장치에 수용된 솔더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 공기와 접촉하여 응고되거나 산화되어 품질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향후 솔더를 재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100)는, 솔더 공급장치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내부에 수용된 솔더(1)를 빼내어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다. 도 6을 참조하면, 인쇄 공정을 수행하는 동안은 회전드럼의 함몰 수용부(133)가 하우징(110)의 개방된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지만, 솔더 공급장치(100)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회전드럼(130)을 회전시켜 함몰 수용부(133)가 하우징의 내면(112)과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회전축(C)이 배치되는 방향(A1)을 따라 회전드럼의 회전면(130a)에 설치된 제1밀봉부재(151)는 회전드럼의 회전면(130a)과 하우징의 내면(112) 사이를 밀봉하므로, 함몰 수용부(133)에 수용된 솔더(1)는 외부의 공기와 전혀 접촉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솔더(1)의 품질 손상 없이 장시간 솔더(1)를 보관할 수 있으며, 재사용 시에는 다시 회전드럼의 함몰 수용부(133)가 하우징(110)의 개방된 하측을 향하도록 회전드럼(130)을 회전시켜 동일한 품질의 솔더(1)를 인쇄 공정에 사용할 수 있다.
회전드럼(130)은 한 쌍의 스퀴지(134)의 외측에 회전축(C)이 배치되는 방향(A1)을 따라 회전드럼의 회전면(130a)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되고, 제1밀봉부재(151)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밀봉부재(151)는 제1삽입홈(135)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드럼의 회전면(130a)으로부터 일정 부분, 예를 들어 약 0.3 mm ~ 0.5 mm 정도 돌출될 수 있다. 제1삽입홈(135)을 형성하지 않고 제1밀봉부재(151)를 회전드럼의 회전면(130a)에 바로 부착할 경우에는, 회전이 반복되다 보면 제1밀봉부재(151)가 회전면(130a)에서 떨어져 나가거나 다른 위치로 밀릴 수 있기 때문에, 제1삽입홈(135)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제1밀봉부재(151)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밀봉부재(152)는 회전드럼(130)에서 회전축과 교차하게 배치되는 양측면(130b)과 하우징의 내면(112) 사이를 밀봉하며, 회전축(C)을 감싸는 방향(A2)을 따라 회전드럼의 양측면(130b)에 설치된다.
상술한 제1밀봉부재(151)는 회전드럼의 회전면(130a)과 하우징의 내면(112) 사이를, 제2밀봉부재(152)는 회전드럼의 양측면(130b)과 하우징의 내면(112) 사이를 밀봉함으로써, 함몰 수용부(133)에 수용되고 장시간 사용되지 않는 솔더(1)는 외부의 공기로부터 완벽하게 밀폐될 수 있다.
회전드럼(130)은 회전축(C)을 감싸는 방향(A2)을 따라 회전드럼의 양측면(130b)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되고, 제2밀봉부재(152)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1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밀봉부재(152)는 제2삽입홈(136)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드럼의 양측면(130b)으로부터 일정 부분, 예를 들어 약 0.3 mm ~ 0.5 mm 정도 돌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삽입홈(136)을 형성하지 않고 제2밀봉부재(152)를 회전드럼의 양측면(130b)에 바로 부착할 경우에는, 회전이 반복되다 보면 제2밀봉부재(152)가 양측면(130b)에서 떨어져 나가거나 다른 위치로 밀릴 수 있기 때문에, 제2삽입홈(136)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제2밀봉부재(152)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재(160)는 하우징의 끼움홈(111)에 걸리는 돌출부(161)와, 마스크(2)와 함몰 수용부(133) 사이에 끼워져 함몰 수용부(133)에 수용된 솔더(1)를 지지하는 지지부(162)를 구비한다.
솔더 자동공급장치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거나 다른 솔더 공급장치로 교체해야 하는 경우, 마스크 상에 놓여진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를 들어올려야 한다. 이때, 함몰 수용부(133)에 수용된 솔더(1)가 마스크(2)에 쏟아지면서 마스크(2)가 더러워질 수 있고, 또한 사용 가능한 솔더(1)가 버려져 솔더(1)의 낭비를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마스크(2) 상에 놓여진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100)를 들어올려야 할 경우, 우선 받침부재의 돌출부(161)가 하우징의 끼움홈(111)에 걸리도록 위치를 선정한 상태에서 받침부재의 지지부(162)를 마스크(2)와 함몰 수용부(133) 사이에 끼워 넣는다. 돌출부(161)가 하우징의 끼움홈(111)에 걸리고 마스크(2)와 함몰 수용부(133) 사이에 끼워진 지지부(162)는 함몰 수용부(133)에 수용된 솔더(1)가 하측으로 쏟아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마스크(2) 상에 놓여진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100)를 들어올리면, 함몰 수용부(133)에 수용된 솔더(1)가 마스크(2)에 쏟아지지 않으므로, 마스크(2)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고, 솔더(1)의 낭비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솔더(1)를 장시간 보관하고자 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드럼(130)을 회전시켜 함몰 수용부(133)가 하우징의 내면(112)과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한 상태로 장시간 보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는, 외부의 공기로부터 솔더가 밀폐된 상태에서 마스크에 공급되도록 회전드럼에 함몰 수용부를 형성함으로써, 인쇄 공정 내내 솔더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솔더 공급장치 외부로 솔더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쇄 공정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는, 회전드럼의 내부 수용부에 일정한 양의 솔더가 채워진 상태에서 마스크로 공급됨으로써, 인쇄 공정 내내 마스크에 공급되는 솔더의 양이 변화하지 않고, 항상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솔더가 배출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는, 회전드럼을 회전시켜 함몰 수용부가 하우징의 내면과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에서 솔더를 장시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솔더의 품질 손상 및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는, 받침부재를 이용하여 마스크로 솔더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솔더 공급장치의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솔더가 쓸데없이 버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2 : 마스크
100 :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
110 : 하우징
120 : 솔더 공급통
130 : 회전드럼
133 : 함몰 수용부
140 : 회전구동부

Claims (10)

  1. 하측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솔더가 수용되는 솔더 공급통;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솔더 공급통으로부터 공급받은 솔더가 채워지는 내부 수용부와, 상기 내부 수용부의 솔더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회전면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되어 마스크와의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에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솔더가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함몰 수용부와, 상기 함몰 수용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스퀴지를 구비하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의 직선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스퀴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마스크에 접촉되도록, 상기 회전드럼을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한 쌍의 스퀴지의 외측에 상기 회전축이 배치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면에 설치되는 제1밀봉부재;를 포함하고,
    마스크에 접촉된 스퀴지는 상기 함몰 수용부에 수용된 솔더를 마스크 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회전드럼이 회전되어 상기 함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 사이는 상기 제1밀봉부재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회전드럼에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된 부분을 푸싱하는 제1푸쉬부와, 상기 회전드럼에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타측으로 이격된 부분을 푸싱하는 제2푸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푸쉬부 및 상기 제2푸쉬부 각각은 상기 회전축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공압 실린더의 로드부재가 왕복이동되면서 상기 회전드럼을 푸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은, 상기 스퀴지의 외측에 상기 회전축이 배치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면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밀봉부재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밀봉부재는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면으로부터 일정 부분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감싸는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드럼에서 상기 회전축과 교차하게 배치되는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드럼의 양측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 사이를 밀봉하는 제2밀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은, 상기 회전축을 감싸는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드럼의 양측면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밀봉부재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밀봉부재는 상기 제2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드럼의 양측면으로부터 일정 부분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더 공급통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더 공급통에 수용된 솔더는 외부의 압축공기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회전드럼의 내부 수용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끼움홈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홈에 걸리는 돌출부와, 마스크와 상기 함몰 수용부 사이에 끼워져 상기 함몰 수용부에 수용된 솔더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
KR20140079543A 2014-06-27 2014-06-27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 KR101497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9543A KR101497594B1 (ko) 2014-06-27 2014-06-27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9543A KR101497594B1 (ko) 2014-06-27 2014-06-27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594B1 true KR101497594B1 (ko) 2015-03-03

Family

ID=53025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9543A KR101497594B1 (ko) 2014-06-27 2014-06-27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5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2942B2 (ja) * 1994-06-27 1999-05-17 谷電機工業株式会社 ハウジング型スキージ装置
JPH11198348A (ja) * 1998-01-19 1999-07-2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クリーム半田のスクリーン印刷機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2011201052A (ja) * 2010-03-24 2011-10-13 Panasonic Corp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KR20130117028A (ko) * 2012-04-17 2013-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솔더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2942B2 (ja) * 1994-06-27 1999-05-17 谷電機工業株式会社 ハウジング型スキージ装置
JPH11198348A (ja) * 1998-01-19 1999-07-2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クリーム半田のスクリーン印刷機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2011201052A (ja) * 2010-03-24 2011-10-13 Panasonic Corp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KR20130117028A (ko) * 2012-04-17 2013-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솔더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284B1 (ko)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KR102376418B1 (ko) 솔더 페이스트 프린터를 위한 자동 솔더 페이스트 도포 장치
WO2012120861A1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KR102445985B1 (ko) 솔더 페이스트 공급 조립체 및 솔더 페이스트 공급 방법
KR101497594B1 (ko) 밀폐형 스퀴지를 구비한 솔더 자동공급장치
KR101360021B1 (ko) 스크린 프린터용 솔더 크림 공급 장치
JP2006305851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KR101016342B1 (ko) 블레이드 일체형 잉킹 모듈
JP4841967B2 (ja) フラックス膜形成装置及びフラックス転写装置
KR102455167B1 (ko) 솔더 페이스트 적하 방지 장치
JP2012066408A (ja) インキング装置、インキング方法およびグラビア印刷機
JP3451856B2 (ja) クリーム半田のスクリーン印刷装置
KR102132343B1 (ko) 메탈마스크 세척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척방법
KR101118124B1 (ko) 그라비아 옵셋 롤러 자동 교환 장치
KR100887056B1 (ko) 스크린 인쇄장치
JPS63154350A (ja) スクリ−ン印刷機におけるスキ−ジブロツク
JP6114486B1 (ja) 印刷装置とその印刷方法
JP5185806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
JP2013199068A (ja) 印刷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US8601944B2 (en) Screen printing machine
JP4539393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2001347635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CN117506238A (zh) 助焊剂盛放装置及使用方法
JP4308409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
JP3622708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におけるペースト補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