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767B1 - 버너 노즐 팁 - Google Patents

버너 노즐 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767B1
KR101494767B1 KR20140057313A KR20140057313A KR101494767B1 KR 101494767 B1 KR101494767 B1 KR 101494767B1 KR 20140057313 A KR20140057313 A KR 20140057313A KR 20140057313 A KR20140057313 A KR 20140057313A KR 101494767 B1 KR101494767 B1 KR 101494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tip
partition plate
burner nozzle
abrasion
resista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7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운
정재우
Original Assignee
정정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운 filed Critical 정정운
Priority to KR20140057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767B1/ko
Priority to CN201580015068.XA priority patent/CN106104155B/zh
Priority to JP2016557959A priority patent/JP6284653B2/ja
Priority to PCT/KR2015/002529 priority patent/WO201517462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ating By Spraying Or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 노즐 팁은, 연료재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내측통로가 전후방으로 형성되어, 전방을 향해 상기 연료재를 배출하는 내측관체; 및 상기 내측관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분할판을 포함하되, 상기 분할판은, 상기 내측통로를 구획하게 설치되는 분할플레이트; 및 상기 분할플레이트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내마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통로가 형성된 상기 내측관체의 내측 표면 및 상기 분할플레이트의 표면에 자용성 합금 피복층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버너 노즐 팁{Nozzle tip for burner}
본 발명은 버너 노즐 팁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내마모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며, 슬래그 부착을 최소화 하는 버너 노즐 팁에 관한 것이다.
석탄화력발전소에서는, 석탄미분쇄기(pulverizer)에서 미세하게 분말화된 미분탄(pulverized coal)을 도관을 통해 공급하고, 공급된 미분탄을 댐퍼에서 공기와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보일러의 로(furnace) 내로 투입하여 연소시킨다. 미분탄의 연소에 따라 수관 속의 물이 증기화 되고, 증기화된 수증기로 터빈을 회전시켜 전력을 생산한다.
버너 노즐 팁은 미분탄과 공기를 로 내로 공급하는 이송장치의 끝 부분으로, 로 내부에서 버너 노즐 팁은 화염에 직접적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벽체가 이중으로 구성되며, 중앙에 석탄이 공급되고, 그 바깥쪽에서는 연소용 공기의 일부가 공급된다. 일반적으로 버너 노즐 팁은 미분탄 및 공기의 혼합물이 배출되는 내측통로가 형성된 내측관체 및 내측관체의 외부에 이격배치되어 로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외측통로가 형성된 외측관체의 이중 벽체로 구성된다. 내측관체의 내부통로에는 한 개 이상의 분할플레이트가 설치되어 내측관체를 통해 방출되는 미분탄 및 공기의 혼합물의 유동 흐름을 제어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1186호(2012.01.04)
본 발명의 목적은 내마모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며, 슬래그 부착을 최소화하는 버너 노즐 팁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 노즐은, 연료재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내측통로가 전후방으로 형성되어, 전방을 향해 상기 연료재를 배출하는 내측관체; 및 상기 내측관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분할판을 포함하되, 상기 분할판은, 상기 내측통로를 구획하게 설치되는 분할플레이트; 및 상기 분할플레이트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내마모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내마모부재는, 상기 연료재가 유입되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충돌면을 포함하고, 상기 내마모부재의 일단은, 상기 분할판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충돌면은, 상기 내측통로의 후방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내마모부재는, 상기 분할플레이트에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상기 분할플레이트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제1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플레이트는, 상기 내마모부재에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1 돌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 돌기부가 삽입되는 제1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플레이트는, 상기 내마모부재에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상기 내마모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제2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마모부재는, 상기 분할플레이트에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2 돌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2 돌기부가 삽입되는 제2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마모부재의 소재는, 세라믹재료 또는 초경합금일 수 있다.
상기 버너 노즐 팁은, 상기 내측통로가 형성된 상기 내측관체의 내측 표면에 자용성 합금 피복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너 노즐 팁은, 상기 분할플레이트의 표면에 자용성 합금 피복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용성 합금 피복층은, Ni을 포함하는 자용성 합금으로, 두께가 0.1 내지 5mm 이고, 경도값은 HRC4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자용성 합금 피복층은, 용사피복 장치로 상기 자용성 합금을 용사피복 한 후에 용융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너 노즐 팁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분탄이 충돌하는 분할플레이트의 일측에 내마모부재를 설치하여, 미분탄 충돌에 따른 분할플레이트의 마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내마모부재는 교체 용이한 형상으로, 버너 노즐 팁 유지 보수의 용이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내마모부재의 설치에 따라 분할플레이트의 수명이 연장되는바, 버너 노즐 팁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내측관체의 내측 표면, 분할플레이트의 표면에 자용성 합금 피복층이 형성되는바, 슬래그 부착이 최소화되어 내측통로의 유동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내측통로의 유동성 확보에 따라, 연료재 공급의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내측통로 주변의 슬래그 부착이 최소화되고, 내측관체의 내측 표면 및 분할플레이트 표면의 마모를 억제하여, 버너 노즐 팁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버너 노즐 팁의 수명 연장 및 연료재 공급의 안정성 확보에 따라, 석탄화력발전소의 유지 비용이 감소하고, 조업 안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버너 노즐 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a) 사시도 및 (b)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마모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플레이트에 내마모부재가 설치된 분할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홈부 및 제1 돌기부, 제2 홈부 및 제2 돌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마모부재가 포함된 분할판을 포함하는 버너 노즐 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용성 합금 피복층이 형성된 버너 노즐 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용성 피복층의 현미경조직으로 (a)는 화염 용사한 피복층의 현미경 조직, (b)는 화염용사한 피복층을 용융처리한 현미경 조직이다.
본 버너 노즐 팁에 관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석탄화력발전소에서는 미분탄을 연소하여 발생한 열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석탄 미분쇄기에서 석탄을 미립자로 분쇄하여 미분탄을 생산하고, 도관을 통해 미분탄이 댐퍼로 공급된다. 댐퍼에서 미분탄과 공기가 일정비율로 혼합되며, 혼합된 미분탄과 공기가 로 내로 공급된다. 로 내로 공급된 미분탄의 연소에 따라 수관 속의 물이 증기화 되고, 증기화된 수증기로 터빈을 회전시켜 전력을 생산한다. 석탄화력발전소에서의 버너 노즐 팁은 혼합된 미분탄과 공기를 로 내로 공급하는 이송장치의 끝 부분에 해당하며, 일반적으로 로 내부에는 복수의 버너 노즐 팁이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버너 노즐 팁이 석탄화력발전소의 로 내부에서 사용되는 경우를 실시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버너 노즐 팁은 석탄화력발전소의 로 내부의 버너 노즐 팁 뿐만 아니라 연료재를 공급하는 모든 종류의 버너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버너 노즐 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a) 사시도 및 (b)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 노즐 팁(1)은 연료재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내측통로(15)가 전후방으로 형성된 내측관체(10), 내측관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할플레이트(30) 및 공기가 공급되는 외측통로(55)가 전후방으로 형성된 외측관체(5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내측관체(10)는 박스 형상의 관체이지만, 본 발명의 내측관체(10)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모든 관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관체(10)의 내부에 형성된 내측통로(15)를 통해 미분탄 및 공기가 로 내부를 향해 배출된다. 또한 로 내에서 미분탄이 원활하게 연소되는 것을 돕도록 하기 위해, 외측관체(50)에 형성된 외측통로(55)에서 화염 방향으로 공기가 공급된다.
미분탄은 내측통로(15)를 통해 로 내부로 배출되는바, 버너 노즐 팁(1)의 내측통로(15) 전방에 근접하여 화염이 형성된다. 버너 노즐 팁(1)은 굴절 축(도시 안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로 내의 온도 상황에 따라 미분탄 배출 방향이 상하로 전환되도록 하여 로 내의 화염을 조절한다.
내측관체(10)의 내부에서 내측통로(15)를 분할하는 분할플레이트(30)가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분할플레이트(30)는 내측관체(10)을 통해 배출되는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의 유동 흐름을 고르게 한다. 또한 버너 노즐 팁(1)의 미분탄 배출 방향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전환하는 경우,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이 내측통로(15)의 하측 또는 상측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내측관체(10)의 내측통로(15)에서 공기와 혼합된 미분탄이 고속으로 이동한다. 미분탄 입자는 분할플레이트(30)에 충돌하며 분할플레이트(30)의 조기 파손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버너 노즐 팁(1)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이에 따라 버너 노즐 팁(1)의 교체 및 수리를 위해 조업이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마모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플레이트에 내마모부재가 설치된 분할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마모부재(100)는 충돌면(110)을 포함하는 보호부재(120)와 지지부재(130)를 포함한다. 충돌면(110)은 공기 및 미분탄이 유입되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지지부재(130)는 보호부재(12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분할플레이트(30)에 지지된다. 지지부재(130)의 형상은, 분할플레이트(30)의 형상, 내마모부재(100)의 탈착 용이성 및 분할플레이트(30)의 효과적인 보호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내마모부재(100)는 분할플레이트(30)의 일단에 설치되어 미분탄이 분할플레이트(30)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내마모부재(100)에는 직접적으로 미분탄이 충돌하는바, 마모 파손에 대해 내구성이 강한 소재로 제작한다. 내마모부재(100)의 소재는 세라믹 재료 또는 초경합금 등의 고경도 소재가 바람직하다. 세라믹 소재의 예로는 탄화규소, 알루미나, 알루미나와 지르코니아 등의 혼합물이 있으며, 초경합금의 예로는 WC(텅스텐 카바이드) 등이 있으나, 내마모부재(100)의 소재는 이들 예에 반드시 국한될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마모부재(100)의 충돌면(110)은 볼록한 곡면 형상일 수 있다. 충돌면(110)이 볼록한 곡면 형상인바, 미분탄의 충돌로부터 내마모부재(100) 및 분할플레이트(30)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마모부재(100)는 분할플레이트(30)의 일측에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마모부재(100)는 분할플레이트(30)의 일측에 밀착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반드시 내마모부재와(100)와 분할플레이트(30)가 밀착하여 설치되는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바디플레이트(32)와 윙플레이트(34)를 포함하는 T자 형상의 분할플레이트(30)를 도시하고 있으나, 분할플레이트(30)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국한될 것은 아니다.
분할플레이트(30)에는 하나의 내마모부재(100)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복수로 분할된 내마모부재(10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바디플레이트(32)와 윙플레이트(34)의 후방에 각각 복수로 분할된 내마모부재(100)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로 분할된 내마모부재(100)의 경우, 분할플레이트(30)에 내마모부재(100)의 탈착이 용이하고, 마모가 집중된 내마모부재(100)만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홈부 및 제1 돌기부, 제2 홈부 및 제2 돌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마모부재(100)와 분할플레이트(30)의 결합부위에는 홈부와 돌기부가 형성되어 홈부에 돌기부를 삽입하여 내마모부재(100)를 분할플레이트(30)의 일측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지지부재(130)의 일면에는 제1 돌기부(152)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분할플레이트(30)의 일면에는 제1 돌기부(15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1 홈부(150)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부(152)가 제1 홈부(150)에 삽입되어, 분할플레이트(30)에 내마모부재(100)가 거치된다. 도 4에는 지지부재(130)의 일면에 제1 돌기부(152)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보호부재(120)의 일면에 제1 돌기부(152)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분할플레이트(30)의 일면에는 제2 돌기부(162)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지지부재(130)의 일면에는, 제2 돌기부(16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2 홈부(160)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기부(162)가 제 2 홈부(160)에 삽입되어, 분할플레이트(30)에 내마모부재(100)가 거치된다. 도 4에는 지지부재(130)의 일면에 제2 홈부(160)가 함몰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보호부재(120)의 일면에 제2 홈부가(160)가 함몰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플레이트(30)의 일면에만 제1 홈부(150)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지지부재(130)의 일면에만 제1 돌출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지지부재(130)의 일면에만 제2 홈부(160)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분할플레이트(30)의 일면에만 제2 홈부(160)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내마모부재(100)의 복수의 면에 제1 돌출부(152)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분할플레이트(30)의 복수의 면에 제1 홈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분할플레이트(30)의 복수의 면에 제2 돌출부(162)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지지부재(130)의 각각의 일면에 제2 홈부(160)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홈부(150) 또는 제2 홈부(160)를 포함하는 홈부 및 제1 돌출부(152) 및 제2 돌출부(162)를 포함하는 돌출부는, 공기 및 미분탄의 이동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분할플레이트(30) 또는 지지부재(120)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및 미분탄의 이동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분할플레이트(30) 또는 지지부재(120)에 홈부 및 돌출부가 형성되어 결합되는바, 내측통로(15)에 고속의 공기 및 미분탄의 이동 흐름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지지부재(120)가 분할플레이트(3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마모부재가 포함된 분할판을 포함하는 버너 노즐 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 노즐 팁(1)은, 분할플레이트(30) 및 내마모부재(100)를 포함하는 분할판(40)이 내측관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내마모부재(100)의 설치에 따라, 미분탄의 충돌로부터 분할플레이트(30)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분할플레이트(30)의 손상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버너 노즐 팁(1)의 수명을 연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용성 합금 피복층을 포함하는 버너 노즐 팁은 다음과 같다.
버너 노즐 팁(1)은 로 내부에 설치되어, 로 내부로 연료재를 공급한다. 버너 노즐 팁(1)의 내측통로(15)를 따라 배출된 연료재가 연소됨에 따라, 버너 노즐 팁(1)의 인근 전방에 화염이 형성된다. 따라서 버너 노즐 팁(1)은 장기간 고온의 환경에 노출되게 된다. 내측통로(15)를 따라 이동하는 연료재에 포함된 미분탄의 각종 성분들이 고온의 영향을 받아, 내측통로(15)가 형성된 내측관체(10)의 내측면 및 분할플레이트(30)에 부착되는 슬래깅(slagging) 현상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버너 노즐팁은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되며, 스테인리스 강은 슬래그 부착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슬래깅 현상에 의해 내측통로(15) 및 분할플레이트(30)에 미분탄 입자가 누적 부착된다. 내측통로(15) 및 분할플레이트(30)에 미분탄 입자가 누적 부착됨에 따라, 내측 통로(15)를 통과하는 공기 및 미분탄을 포함한 연료재의 유동 흐름이 약해진다. 연료재의 유동 흐름 감소에 의해 버너 노즐 팁(1)의 기능 상실이 초래되는바, 로의 정상적인 조업이 불가능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용성 합금 피복층이 형성된 버너 노즐 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 노즐 팁(1)의 슬래깅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통로(15)가 형성된 내측관체(10)의 내측 표면, 분할플레이트(30)의 표면에 자용성 합금 피복층(200)을 형성한다. 자용성 합금은 Ni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Ni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은 석탄의 부착을 감소시키는 특성이 있으며, 내마모성이 우수한 소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용성 합금 피복층(200)은, HNF AC61합금(중량%로, Cr: 15%, B: 3.0%, Si: 4.0%, Fe: 3.5%, W: 35%, C: 0.6%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 및 나머지 Ni 포함)으로 형성된 피복층이다. 자용성 합금의 피복 방법으로는 모재와의 접착성능이 우수하고 피복층 내에 기공을 최소화하는 클래딩 방법이 바람직하다. 클래딩 방법은 화염용사 방법 등을 이용하여 자용성 합금을 모재에 용사피복한 후 용융처리하는 방법이다.
다만, 본 발명의 자용성 합금 피복층(200)은 반드시 HNF AC61합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Ni를 주성분으로 하는 모든 자용성 합금을 포함한다. 피복 방법 역시 화염용사 방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아크용사, 플라즈마용사 등 모든 용사피복 방법을 포함한다. 자용성 합금 피복층(200)의 두께는 0.1 내지 5mm 이고, 경도값은 HRC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통로(15)가 형성된 내측관체(10)의 내측 표면, 분할플레이트(30)의 표면에 자용성 합금 피복층(200)이 형성되어, 버너 노즐 팁(1)의 슬래깅 현상을 최소화한다. 또한, 자용성 합금 피복층(200)은 내마모성이 우수하므로, 고속으로 이동하는 미분탄에 의해 내측관체(10)의 내측 표면, 분할플레이트(30)의 표면의 마모 손상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버너 노즐 팁(1)의 수명이 연장되고, 유지 보수 비용이 감소하며, 조업 안정성이 확보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용성 피복층의 현미경조직으로 (a)는 화염 용사한 피복층의 현미경 조직, (b)는 화염용사한 피복층을 용융처리한 현미경 조직이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HNF AC61합금을 내측통로(15)가 형성된 내측관체(10)의 내측 표면, 분할플레이트(30)의 표면에 화염용사 피복한 후, 진공로에서 1050℃에서 20분간 용융처리하여 자용성 합금 피복층(200)을 형성하였다.
도 7의 (a)와 (b)를 비교하면, 도 7의 (a)는 피복층 내에 기공(검은점)이 면적률 15% 내외로 존재하고, 모재와 피복층 사이에 접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떨어져있는 부위(검은선)가 관찰되나, 도 7의 (b)는 피복층 내의 기공은 1% 이하이고 모재와 피복층 사이에 불연속 부위가 없는 치밀한 조직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용융처리한 자용성 합금 피복층(200)이 용융처리하지 않은 자용성 합금 피복층(200)에 비하여 모재와 치밀한 조직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버너 노즐 팁 10: 내측관체
15: 내측통로 30: 분할플레이트
32: 바디플레이트 34: 윙플레이트
40: 분할판 50: 외측관체
55: 외측통로 100: 내마모부재
110: 충돌면 120: 보호부재
130: 지지부재 150: 제1 홈부
152: 제1 돌기부 160: 제2 홈부
162: 제2 돌기부 200: 자용성 합금 피복층

Claims (10)

  1. 연료재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내측통로가 전후방으로 형성되어, 전방을 향해 상기 연료재를 배출하는 내측관체;
    상기 내측관체의 내부에서 상기 내측통로를 구획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분할플레이트; 및
    상기 분할플레이트의 후방측 일단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내마모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내마모부재는,
    상기 분할플레이트에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상기 분할플레이트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제1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플레이트는,
    상기 내마모부재에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1 돌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 돌기부가 삽입되는 제1 홈부를 포함하는, 버너 노즐 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부재는,
    상기 연료재가 유입되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충돌면을 포함하고,
    상기 내마모부재의 일단은,
    상기 분할플레이트에 지지되는, 버너 노즐 팁.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면은,
    상기 내측통로의 후방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인, 버너 노즐 팁.
  4. 삭제
  5. 연료재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내측통로가 전후방으로 형성되어, 전방을 향해 상기 연료재를 배출하는 내측관체;
    상기 내측관체의 내부에서 상기 내측통로를 구획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분할플레이트; 및
    상기 분할플레이트의 후방측 일단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내마모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분할플레이트는,
    상기 내마모부재에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상기 내마모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제2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마모부재는,
    상기 분할플레이트에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2 돌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2 돌기부가 삽입되는 제2 홈부를 포함하는, 버너 노즐 팁.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부재의 소재는,
    세라믹재료 또는 초경합금인, 버너 노즐 팁.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노즐 팁은,
    상기 내측통로가 형성된 상기 내측관체의 내측 표면에 자용성 합금 피복층이 형성된, 버너 노즐 팁.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노즐 팁은,
    상기 분할플레이트의 표면에 자용성 합금 피복층이 형성된, 버너 노즐 팁.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용성 합금 피복층은,
    Ni를 포함하는 자용성 합금으로, 두께가 0.1 내지 5mm 이고, 경도값은 HRC40 이상인, 버너 노즐 팁.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용성 합금 피복층은,
    용사피복 장치로 상기 자용성 합금을 용사피복 한 후에 용융처리한, 버너 노즐 팁.
KR20140057313A 2014-05-13 2014-05-13 버너 노즐 팁 KR101494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7313A KR101494767B1 (ko) 2014-05-13 2014-05-13 버너 노즐 팁
CN201580015068.XA CN106104155B (zh) 2014-05-13 2015-03-16 燃烧器喷嘴
JP2016557959A JP6284653B2 (ja) 2014-05-13 2015-03-16 バーナーノズルチップ
PCT/KR2015/002529 WO2015174629A1 (ko) 2014-05-13 2015-03-16 버너 노즐 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7313A KR101494767B1 (ko) 2014-05-13 2014-05-13 버너 노즐 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4767B1 true KR101494767B1 (ko) 2015-03-02

Family

ID=53025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7313A KR101494767B1 (ko) 2014-05-13 2014-05-13 버너 노즐 팁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84653B2 (ko)
KR (1) KR101494767B1 (ko)
CN (1) CN106104155B (ko)
WO (1) WO20151746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39792B2 (ja) * 2017-12-21 2022-03-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燃焼バーナ、これを備えたボイラ及び燃焼バーナの組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683B1 (ko) * 1982-07-12 1987-09-22 컴버스천 엔지니어링 인코포레이티드 노즐팁
JPH04113103A (ja) * 1990-09-04 1992-04-14 Mitsubishi Heavy Ind Ltd 微粉炭焚きバーナノズル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50737A (en) * 1975-06-20 1976-12-24 Mitsubishi Heavy Ind Ltd A burner for slid and micro powd er fuel burning use
US4356975A (en) * 1980-03-07 1982-11-02 Combustion Engineering, Inc. Nozzle tip for pulverized coal burner
JPS6141813A (ja) * 1984-08-02 1986-02-28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ルバ−ナノズル
JPS6280308A (ja) * 1985-10-04 1987-04-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セラミツクスの取付け方法
JPS62242713A (ja) * 1986-04-16 1987-10-23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ルバ−ナノズル用整流板
US5215259A (en) * 1991-08-13 1993-06-01 Sure Alloy Steel Corporation Replaceable insert burner nozzle
JP2001295019A (ja) * 2000-04-11 2001-10-26 Babcock Hitachi Kk ノズル内面の溶射皮膜補修方法
JP5875063B2 (ja) * 2011-11-25 2016-03-02 第一高周波工業株式会社 金属管材用プロテクタの製造方法
KR20130004064U (ko) * 2011-12-26 2013-07-04 한국중부발전(주) 석탄화력 발전소용 보일러 버너에 사용되는 버너 노즐팁
CN203068502U (zh) * 2013-01-16 2013-07-17 江苏日升电力机械有限公司 一种使用寿命长的煤粉燃烧器喷嘴
CN203273882U (zh) * 2013-05-13 2013-11-06 杨占春 煤粉燃烧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683B1 (ko) * 1982-07-12 1987-09-22 컴버스천 엔지니어링 인코포레이티드 노즐팁
JPH04113103A (ja) * 1990-09-04 1992-04-14 Mitsubishi Heavy Ind Ltd 微粉炭焚きバーナノズ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84653B2 (ja) 2018-02-28
CN106104155A (zh) 2016-11-09
CN106104155B (zh) 2018-02-09
WO2015174629A1 (ko) 2015-11-19
JP2017509856A (ja)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86437C (en) Single cathode plasma gun with powder feed along central axis of exit barrel
AU713566B2 (en) Oxygen-fuel burner
CN102233306B (zh) 利用高速火焰喷涂涂覆基底的设备
US7582846B2 (en) Hybrid plasma-cold spray method and apparatus
CN101929802B (zh) 侧吹喷枪
KR101525140B1 (ko) 플라즈마 버너
WO2015136609A1 (ja) ボイラ用燃焼バーナ
KR101494767B1 (ko) 버너 노즐 팁
EP3249294B1 (en) Nozzle tip of pulverized coal burner
CN104245147A (zh) 包括耐磨电极支撑件的粉末喷枪
CN102322742B (zh) 喷枪
KR20180118349A (ko) 내마모 스플리터를 포함하는 버너 노즐 팁
EP2878381B1 (en) Nozzle insert for thermal spray gun apparatus
ES2868176T3 (es) Lanza de revestimiento de plasma para revestimientos interiores
JP5374327B2 (ja) 循環流動床ボイラ
KR102162584B1 (ko) 삽입형 연료노즐이 구비된 가열로용 버너
US20120145055A1 (en) Method of reducing coal ropes in a burner nozzle for pulverized coal
CN202267367U (zh) 喷枪
JP6624140B2 (ja) 助燃バーナーを備えた電気炉の操業方法
EP2693124A1 (en) Pilot burner, burner, combustor and gas turbine engine
JP6632776B1 (ja) サポートスリーブ保護部材およびこれを備えた固体燃料バーナ
AU2013200287B2 (en) Thermal spray combustion gun with a tolerance compensation spring
CN205021054U (zh) 一种焊枪易损件
JP2005185976A (ja) 高速フレーム溶射装置及び高速フレーム溶射方法
KR101494766B1 (ko) 유동상 보일러용 강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