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313B1 -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313B1
KR101491313B1 KR20130108138A KR20130108138A KR101491313B1 KR 101491313 B1 KR101491313 B1 KR 101491313B1 KR 20130108138 A KR20130108138 A KR 20130108138A KR 20130108138 A KR20130108138 A KR 20130108138A KR 101491313 B1 KR101491313 B1 KR 101491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rotrusion
sliding member
sun visor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8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한
이성모
장상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8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34Mounted slida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52Structure of the support arm
    • B60J3/0256Structure of the support arm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충돌시 리테이너가 충돌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에 충돌 발생시 탑승자가 선바이저에 충돌될 경우 선바이저가 연결된 리테이너의 회전을 통해 충격 시간을 지연시켜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립 및 설치공정이 간단하여 제작 시간을 감소킬 수 있으며, 부품수를 최적화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 {DEVICE FOR SUNVISOR RETAINE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충돌시 탑승자가 선바이저에 충돌하여 상해치가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주간 주행시 전면 도어 글라스를 통해 태양의 강한 빛이 운전자의 눈에 조사되면 전면 시야 확보에 방해되어 안전운전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운전석 및 조수석의 해드라이닝에는 전면에서 조사되는 태양빛을 차단하기 위한 선바이저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선바이저는 해드라이닝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선바이저를 회전 동작하여 전면에 조사되는 강한 빛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차량 충돌의 발생시 탑승자의 상체가 앞으로 쏠리면서 머리 부분이 선바이저에 충돌하여 탑승자의 목 꺽임이 유발되어 상해치가 증대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충돌력이 선바이저 자체에 그대로 전달되어 단품 파손의 문제도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선바이저의 재질을 변경하거나 강성을 보강하는 대책 방안을 수립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미비하였다.
다른 방법으로, 선바이저 후면부에 비교적 강성이 적은 브라켓을 적용하고 충격 발생시 브라켓이 변형을 일으켜 충격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충격력을 저감시키는 구조도 제시되었지만, 브라켓의 강성에 의해 반력이 작용함으로써 선바이저 자체 충격력을 흡수하는 효과가 크지 않았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0-0035586 A JP 2010-111364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이 충돌되어 탑승자가 선바이저와 충돌시 충격 시간을 지연시켜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립 및 설치공정이 간단하여 제작 시간을 감소킬 수 있으며, 부품수를 최적화하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는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설치 고정되고, 양측단에는 일정 곡률로 굴곡되게 연장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가이드 브라켓;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하단에 위치되고, 상방으로 가이드 슬롯과 동일 곡률로 굴곡되게 연장된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가이드부의 양측단에는 가이드 슬롯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가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하단에 조립되고 선바이저가 연결되며, 선바이저에 충돌 발생시 슬라이딩 부재의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회전되도록 구성된 리테이너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헤드라이닝에 설치 고정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단에서 연장되고 양측단으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연장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몸체부는 하단이 개통되도록 형성되고, 슬라이딩 부재의 가이드부가 하측에서 연장부까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헤드라이닝에 설치할 수 있도록 몸체부의 양측단에 조립돌기가 하향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가이드 슬롯에는 상측 끝단부에 스토퍼 돌기가 형성되어 가이드 돌기의 슬라이딩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스토퍼 돌기는 탄성적 재질로 이루어져 선바이저의 충돌 발생시 가이드 돌기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가이드 돌기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가이드 슬롯에는 하측 끝단부에 슬라이딩된 가이드 돌기의 자체 회전을 제한하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가이드 돌기는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고정부는 반원형의 평면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응되도록 동일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하단에는 조립 돌기가 형성되고, 리테이너부의 상단에는 조립 돌기에 대응되는 조립홈이 형성되어 조립 돌기를 조립홈에 끼움으로써 슬라이딩 부재와 리테이너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가이드부는 양측단이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각 연장된 부분의 끝단에 측방을 향하여 가이드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부는 하단에 선바이저가 연결되는 걸이부가 형성되고, 내부에서 판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서포터가 걸이부 측으로 돌출되어 걸이부에 연결되는 선바이저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는 차량이 충돌됨에 따라 탑승자가 선바이저와 충돌시 선바이저가 연결된 리테이너의 회전을 통해 충격 시간을 지연시켜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립 및 설치공정이 간단하여 제작 시간을 감소킬 수 있으며, 부품수를 최적화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의 설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의 조립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의 설치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의 조립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살펴보면,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설치 고정되고, 양측단에는 일정 곡률로 굴곡되게 연장되는 가이드 슬롯(142)이 형성된 가이드 브라켓(100);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의 하단에 위치되고, 상방으로 가이드 슬롯(142)과 동일 곡률로 굴곡되게 연장된 가이드부(220)가 형성되며, 가이드부의 양측단에는 가이드 슬롯(142)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222)가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200);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의 하단에 조립되고 선바이저(10)가 연결되며, 선바이저(10)에 충돌 발생시 슬라이딩 부재(200)의 가이드 돌기(222)가 가이드 슬롯(142)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회전되도록 구성된 리테이너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이드 브라켓(100)은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삽입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함으로써 외관미가 저하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 브라켓(100)에는 양측단으로 가이드 슬롯(142)이 형성되는데, 가이드 슬롯(142)은 일정 곡률로 굴곡되게 연장 형성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가이드 슬롯(142)은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굴곡되게 연장 형성한다. 통상적으로, 선바이저(10)는 운전석 또는 조수석의 상측 전방에 설치되고, 차량 충돌의 발생시 운전자의 상체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선바이저(10)와 충돌하게 된다.
이때, 선바이저(10)가 충돌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충돌 시간을 증대시켜 충돌력을 감소시켜야 하는바, 가이드 슬롯(142)이 전방을 향하여 굴곡되도록 형성하여 선바이저(10)가 충돌 방향과 동일한 전방을 향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의 하단에 위치되는 슬라이딩 부재(200)는 상방을 향해 가이드 슬롯(142)과 동일 곡률로 굴곡되게 연장된 가이드부(220)가 형성되고, 가이드부(220)의 양측단에는 가이드 슬롯(142)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222)를 형성하도록 한다. 즉, 가이드 돌기(222)가 가이드 슬롯(142)에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200) 가이드 슬롯(142)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이드 브라켓(100)에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의 슬라이딩 부재(200)의 하단에는 리테이너부(300)가 조립되고, 리테이너부에는 선바이저(10)가 연결된다. 이러한 리테이너부(300)는 차량 충돌에 의해 운전자가 선바이저(10)와 충돌시 충돌력을 슬라이딩 부재(200)에 전달하고, 충돌력을 전달받은 슬라이딩 부재(200)의 가이드 돌기(222)가 가이드 슬롯(142)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회전된다. 이로 인해, 최종적으로 선바이저(10)가 충돌 방향으로 이동되어 충돌력이 저하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은 헤드라이닝에 설치 고정되는 몸체부(120)와 몸체부(120)의 상단에서 연장되고 양측단으로 가이드 슬롯(142)이 형성된 연장부(14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의 몸체부(120)는 하단이 개통되도록 형성되고, 슬라이딩 부재(200)의 가이드부(220)가 하측에서 연장부(140)까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슬라이딩 부재(200)를 가이드 브라켓(100)의 하측에서 상방으로 밀어 간단히 조립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부재(200)의 가이드부(220)가 가이드 브라켓(100)의 연장부(140)까지 완전히 삽입됨으로써 조립이 완료되면 가이드 브라켓(100)의 하단에 리테이너(300)가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은 헤드라이닝에 설치할 수 있도록 몸체부(120)의 양측단에 조립돌기(122)가 하향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선바이저를 헤드라이닝에 설치하기 위해 별도의 브라켓이 구비되었고, 선바이저 리테이너를 볼팅 작업을 통해 헤드라이닝에 설치하였다. 이처럼, 볼팅 작업을 통해 설치된 리테이너는 별도의 충격흡수 구조가 적용되지 않아 충돌 발생시 강한 반력이 발생되어 운전자 및 구조물에 손상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헤드 라이닝에 선바이저 리테이너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 브라켓(100)에 조립돌기(122)를 형성한다. 즉, 가이드 브라켓(100)의 몸체부(120)에 조립돌기(122)를 형성하고, 헤드라이닝에 조립돌기(122)가 끼워질 수 있는 조립홈(미도시)을 형성하여 가이드 브라켓(100)을 헤드라이닝에 밀어 삽입하는 작업만으로 가이드 브라켓(100)을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브라켓(100)의 조립돌기(122)는 하향경사지도록 돌출형성함으로써 헤드라이닝에 가이드 브라켓(100)을 설치시 조립돌기(122)의 경사면을 타고 쉽게 삽입되며, 조립 완료 후에는 헤드라이닝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가이드 브라켓(100)의 몸체부(120)에 형성된 조립돌기(122)를 통해 헤드라이닝에 간단히 설치가 가능하고, 별도 공구를 이용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공정 시간이 단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의 가이드 슬롯(142)에는 상측 끝단부에 스토퍼 돌기(144)가 형성되어 가이드 돌기(222)의 슬라이딩을 제한할 수 있다.
이렇게, 가이드 슬롯(222)에 스토퍼 돌기(144)를 형성함으로써 충돌이 발생하기 전인 초기 상태에는 가이드 돌기(222)가 가이드 슬롯(142) 내에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 부재(200)는 가이드 브라켓(10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어야 하는바, 가이드 슬롯(142)의 상측 끝단부에 스토퍼 돌기(144)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의 스토퍼 돌기(144)는 탄성적 재질로 이루어져 선바이저(10)의 충돌 발생시 가이드 돌기(222)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가이드 돌기(222)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선바이저(10)에 충돌이 발생되면 선바이저(10)의 충돌력이 슬라이딩 부재(200)에 전달되고, 전달된 충돌력으로 슬라이딩 부재(200)가 회전되기 위해서는 가이드 돌기(222)가 스토퍼 돌기(144)에서 이탈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 브라켓(100)에 형성된 스토퍼 돌기(144)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충돌이 발생하기 전에는 슬라이딩 부재(200)의 가이드 돌기(222)가 슬라이딩되는 것을 제한하되 충돌이 발생되면 충돌력에 의해 이동되는 가이드 돌기(222)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가이드 돌기(222)의 슬라이딩이 허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의 가이드 슬롯(142)에는 하측 끝단부에 슬라이딩된 가이드 돌기(222)의 자체 회전을 제한하는 고정부(14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의 가이드 돌기(222)는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의 고정부(146)는 반원형의 평면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응되도록 동일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가이드 브라켓(100)의 가이드 슬롯(142)에는 고정부(146)를 형성함으로써 가이드 슬롯(142)을 따라 슬라이딩된 가이드 돌기(222)가 가이드 슬롯(142)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슬라이딩 부재(200)가 충돌에 의해 회전되더라도 가이드 브라켓(100)에서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탈된 슬라이딩 부재(200)와 연결된 리테이너(300) 및 선바이저(10)에 의한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의 가이드 돌기(222)는 반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의 고정부(146)는 반원형의 평면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응되도록 동일 평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슬라이딩이 완료된 가이드 돌기(222)가 가이드 슬롯(142)의 하측 끝단부에 도달하였을 때, 반원형으로 형성된 가이드 돌기(222)와 반원형의 평면에 대응되도록 동일 평면으로 형성된 고정부(146)가 서로 면접촉 함으로써 가이드 돌기(222)의 추가적인 회전 및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가 선바이저(10)에 충돌함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200)와 리테이너(300)가 함께 회전되어 충격을 충분히 흡수한 후 운전자의 목 부분을 지지하여 상해치를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의 하단에는 조립 돌기(240)가 형성되고, 리테이너부(300)의 상단에는 조립 돌기(240)에 대응되는 조립홈(320)이 형성되어 조립 돌기(240)를 조립홈(320)에 끼움으로써 슬라이딩 부재(200)와 리테이너(30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리테이너부(300)와 슬라이딩 부재(200)를 쉽게 조립할 수 있다. 여기서, 리테이너부(300)와 슬라이딩 부재(200)의 조립력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경우 슬라이딩 부재(200)의 조립돌기(240)와 이에 대응되는 리테이너부(300)의 조립홈(320)의 개수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리테이너부(300)와 슬라이딩 부재(200)를 조립 돌기(240)와 조립홈(320)을 통해 간단하게 조립이 가능함으로써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공구 없이 쉽게 조립하여 작업자의 편의성도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 부재(200)의 가이드부(220)는 양측단이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각 연장된 부분의 끝단에 측방을 향하여 가이드 돌기(2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슬라이딩 부재(200)의 가이드부(220)를 양측단으로 각각 분할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양측단의 가이드부(220) 사이에 공간(224)이 형성되어 양측의 가이드부(220)에 장력이 작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슬라이딩 부재(200)의 가이드부(220)에 장력이 부여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200)의 양측단에 형성된 가이드부(220)를 내측 공간으로 오므라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을 통해 슬라이딩 부재(200)를 가이드 브라켓(100)에 쉽게 탈장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테이너부(300)는 하단에 선바이저(10)가 연결되는 걸이부(340)가 형성되고, 내부에서 판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서포터(360)가 걸이부(340) 측으로 돌출되어 걸이부(340)에 연결되는 선바이저(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레테이너부(340)에서 선바이저(1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 레테이너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차량 충돌이 발생하기 전에는 리테이너부(300)에 연결된 슬라이딩 부재(200)의 가이드부(220)가 가이드 브라켓(100)의 연장부(140)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142)의 상측 끝단까지 삽입되어 연결된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 부재(200)의 가이드 돌기(222)는 가이드 슬롯(142)의 상측 끝단부에 형성된 스토퍼 돌기(144)에 걸리어 슬라이딩이 제한되고, 가이드 돌기(222)가 스토퍼 돌기(144)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리테이너부(300)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렇게, 차량의 충돌이 발생되기 전에는 리테이너부(300)가 헤드라이닝에 설치 고정되고, 리테이너부(300)의 걸이부(340)에서 선바이저(10)가 회전동작만을 수행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에 충돌이 발생되어 운전자가 선바이저(10)에 충돌하게 되면, 선바이저(10)에 발생된 충돌력이 슬라이딩 부재(200)에 전달되고, 슬라이딩 부재(200)가 선바이저(10)의 충돌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에 의해 가이드 돌기(222)가 가이드 슬롯(142)의 스토퍼 돌기(144)를 탄성 변형시킨다.
이처럼, 가이드 슬롯(142)의 스토퍼 돌기(144)가 가이드 돌기(222)에 의해 탄성 변형됨에 따라 가이드 돌기(222)의 슬라이딩이 허용되고, 가이드 돌기(222)가 가이드 슬롯(142)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200)와 리테이너부(300)가 충돌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최종적으로, 리테이너부(300)가 이동됨에 따라 선바이저(10)가 충돌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충돌 시간이 증대되어 충격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력이 감소되어 상해치를 저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선바이저(10)와 슬라이딩 부재(200)가 충돌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슬라이딩이 완료된 가이드 돌기(222)는 가이드 슬롯(142)의 하측 끝단부에 도달하여 고정부(146)에 걸림으로써 가이드 돌기(222)가 가이드 슬롯(142)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 돌기(222)와 고정부(146)는 동일 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슬라이딩이 완료된 가이드 돌기(222)와 고정부(146)가 면 접촉되어 자체 회전 및 유동이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충격을 충분히 흡수한 후 운전자의 목 부분을 지지하여 상해치를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는 차량이 충돌됨에 따라 탑승자가 선바이저와 충돌시 선바이저가 연결된 리테이너의 회전을 통해 충격 시간을 지연시켜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립 및 설치공정이 간단하여 제작 시간을 감소킬 수 있으며, 부품수를 최적화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가이드 브라켓 120:몸체부
122:조립돌기 140:연장부
142:가이드 슬롯 144:스토퍼 돌기
146:고정부 200:슬라이딩 부재
220:가이드부 222:가이드 돌기
240:조립돌기 300:리테이너부
320:조립홈

Claims (11)

  1.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설치 고정되고, 양측단에는 일정 곡률로 굴곡되게 연장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가이드 브라켓;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하단에 위치되고, 상방으로 가이드 슬롯과 동일 곡률로 굴곡되게 연장된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가이드부의 양측단에는 가이드 슬롯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가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하단에 조립되고 선바이저가 연결되며, 선바이저에 충돌 발생시 슬라이딩 부재의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회전되도록 구성된 리테이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가이드 슬롯에는 상측 끝단부에 스토퍼 돌기가 형성되어 가이드 돌기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며, 하측 끝단부에 슬라이딩된 가이드 돌기의 자체 회전을 제한하는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헤드라이닝에 설치 고정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단에서 연장되고 양측단으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연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몸체부는 하단이 개통되도록 형성되고, 슬라이딩 부재의 가이드부가 하측에서 연장부까지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헤드라이닝에 설치할 수 있도록 몸체부의 양측단에 조립돌기가 하향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스토퍼 돌기는 탄성적 재질로 이루어져 선바이저의 충돌 발생시 가이드 돌기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가이드 돌기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가이드 돌기는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고정부는 반원형의 평면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응되도록 동일 평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하단에는 조립 돌기가 형성되고, 리테이너부의 상단에는 조립 돌기에 대응되는 조립홈이 형성되어 조립 돌기를 조립홈에 끼움으로써 슬라이딩 부재와 리테이너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가이드부는 양측단이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각 연장된 부분의 끝단에 측방을 향하여 가이드 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부는 하단에 선바이저가 연결되는 걸이부가 형성되고, 내부에서 판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서포터가 걸이부 측으로 돌출되어 걸이부에 연결되는 선바이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
KR20130108138A 2013-09-09 2013-09-09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 KR101491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138A KR101491313B1 (ko) 2013-09-09 2013-09-09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138A KR101491313B1 (ko) 2013-09-09 2013-09-09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313B1 true KR101491313B1 (ko) 2015-02-06

Family

ID=52591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8138A KR101491313B1 (ko) 2013-09-09 2013-09-09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3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44891B2 (en) 2015-04-03 2017-08-29 Dae Chang Seat Co., Ltd. Lumbar support assembly
CN111094068A (zh) * 2017-09-21 2020-05-01 大众汽车有限公司 用于将内后视镜固定在车辆处的组件以及具有这种固定组件的车辆
US10952535B2 (en) 2018-11-05 2021-03-23 La-Z-Boy Incorporated Furniture member having lumbar adjustment mechanism
US11324324B2 (en) 2018-11-05 2022-05-10 La-Z-Boy Incorporated Furniture member having lumbar adjustment mechanism
US11672348B2 (en) 2018-11-05 2023-06-13 La-Z-Boy Incorporated Furniture member having lumbar adjustment mechanis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5454A (ja) 1998-07-14 2000-01-25 Isuzu Motors Ltd 車両のサンバイザー取り付け構造
JP2001301461A (ja) * 2000-04-20 2001-10-31 Mitsubishi Motors Corp 自動車用サンバイザの保持具
KR100365566B1 (ko) 2000-10-31 2002-12-26 아주공업주식회사 자동차용 프론트 미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5454A (ja) 1998-07-14 2000-01-25 Isuzu Motors Ltd 車両のサンバイザー取り付け構造
JP2001301461A (ja) * 2000-04-20 2001-10-31 Mitsubishi Motors Corp 自動車用サンバイザの保持具
KR100365566B1 (ko) 2000-10-31 2002-12-26 아주공업주식회사 자동차용 프론트 미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44891B2 (en) 2015-04-03 2017-08-29 Dae Chang Seat Co., Ltd. Lumbar support assembly
CN111094068A (zh) * 2017-09-21 2020-05-01 大众汽车有限公司 用于将内后视镜固定在车辆处的组件以及具有这种固定组件的车辆
US10952535B2 (en) 2018-11-05 2021-03-23 La-Z-Boy Incorporated Furniture member having lumbar adjustment mechanism
US11284724B2 (en) 2018-11-05 2022-03-29 La-Z-Boy Incorporated Furniture member having lumbar adjustment mechanism
US11324324B2 (en) 2018-11-05 2022-05-10 La-Z-Boy Incorporated Furniture member having lumbar adjustment mechanism
US11672348B2 (en) 2018-11-05 2023-06-13 La-Z-Boy Incorporated Furniture member having lumbar adjustment mechanis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313B1 (ko)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
KR101014139B1 (ko) 자동차의 범퍼 스테이 구조
CN103386948B (zh) 用于车辆的座椅安全带连接装置
JP2013527079A (ja) 多機能キャリア付き車両ドア
JP5572835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
KR20170004231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49917Y1 (ko) 차량용 선바이저
KR102085978B1 (ko) 차량용 액티브 후드 장치
KR20120023464A (ko) 스티프너장치
JP4900926B2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構造
EP2543530A1 (en) Motor vehicle sun visor provided with an extractable appendix
KR100844943B1 (ko) 충격 흡수식 자동차의 스티어링칼럼
US20130076058A1 (en) Sun visor for shielding sunlight
KR101628518B1 (ko) 자동차의 선바이저 리테이너
KR101827421B1 (ko) 윙아웃 헤드레스트
KR20160080346A (ko) 선바이저 체결 구조
KR20070059376A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KR100542103B1 (ko) 차량의 범퍼 지지구조
JP2016203801A (ja) 支持ユニットおよびその支持ユニットを備える車両用サンバイザ
KR013905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측면 충격 흡수 구조
KR20120130483A (ko) 차량용 선바이저 결합구조
KR20210014920A (ko) 보행자 보호를 위해 충격이 완화되는 헤드램프 장착 구조 및 보행자 보호를 위해 헤드램프와의 충격을 완화하는 방법
KR0139590Y1 (ko) 차량용 차광판
KR101406442B1 (ko) 차량용 선바이저의 충격 흡수장치
KR0139612Y1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