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421B1 - 윙아웃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윙아웃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421B1
KR101827421B1 KR1020160134803A KR20160134803A KR101827421B1 KR 101827421 B1 KR101827421 B1 KR 101827421B1 KR 1020160134803 A KR1020160134803 A KR 1020160134803A KR 20160134803 A KR20160134803 A KR 20160134803A KR 101827421 B1 KR101827421 B1 KR 101827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main body
curved surface
bracke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수
이재성
김민석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60134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4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5Head-rests provided with side-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사용자의 머리를 측면에서도 지지할 수 있는 날개부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날개부가 이동할 수 있는 구간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윙아웃 헤드레스트가 개시된다. 상기 윙아웃 헤드레스트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타단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날개부; 및 상기 본체부와 날개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날개부의 이동 구간을 제한하고 상기 이동 구간의 양단에서 상기 날개부를 고정하는 작동제한 구조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윙아웃 헤드레스트{WING-OUT HEADREST}
본 발명은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머리를 측면에서도 지지할 수 있는 날개부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날개부가 이동할 수 있는 구간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 시트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양 측을 소정 각도로 절곡시킬 수 있는 윙아웃 헤드레스트가 많은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윙아웃 헤드레스트는 헤드레스트의 양측을 전방으로 절곡시킴으로써 탑승자의 승차감을 개선하고 나아가 충돌 시 안전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적용 차종이 점차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윙아웃 헤드레스트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부분을 날개부라고 하는데, 종래의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날개부는 본체부와 토크 힌지를 이용하여 연결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윙아웃 헤드레스트는 토크 힌지가 갖는 한계로 인해 날개부에 대한 지지력이 부족하고 날개부가 이동할 수 있는 구간의 명확하게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JP 1994-245851 A KR 10-2003-0088586 A JP 2000-127826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의 머리를 측면에서도 지지할 수 있는 날개부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날개부가 이동할 수 있는 구간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윙아웃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타단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날개부; 및
상기 본체부와 날개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날개부의 이동 구간을 제한하고 상기 이동 구간의 양단에서 상기 날개부를 고정하는 작동제한 구조물;
을 포함하는 윙아웃 헤드레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의 양측에서 상기 본체부와 대면하도록 각각 한 쌍이 마련되고 상기 날개부의 타단은 상기 본체부의 수평방향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작동제한 구조물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갖는 후크부 및 상기 날개부의 후면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부의 전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후크부의 걸림턱에 의해 타단의 이동이 제약되는 브라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는 상기 브라켓부의 타단이 이동하는 구간에 대응하는 영역에 후방으로 오목한 캐비티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는 상기 캐비티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캐비티부의 내측벽에는 상기 브라켓부의 타단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후크부는 양단이 내측으로 절곡되고, 양측의 절곡된 영역 전방에 각각 상기 걸림턱이 하나씩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전후방의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작동제한 구조물은, 상기 후크부의 걸림턱이 관통되는 홀 및 상기 본체부의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의 걸림턱이 홀을 통해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후크부를 상기 본체부에 고정하는 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브라켓은 그 타단에 인접한 영역에 상기 후크부의 걸림턱이 관통하는 관통 홀을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날개부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경우, 상기 브라켓의 관통 홀에 상기 후크부의 걸림턱 중 제1 걸림턱이 관통되어 상기 날개부가 고정되며, 상기 날개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날개부가 전방으로 최대한 이동한 경우, 상기 브라켓의 타단은 상기 후크부의 걸림턱 중 나머지 하나인 제2 걸림턱과 상기 캡부의 돌출부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은 고정된 브라켓이 외력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걸림턱은 상기 본체부의 수평방향의 외측에 가깝게 형성된 제1 곡면과 상기 제1 곡면에 반대측에 형성된 제2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2 곡면의 곡률은 상기 제1 곡면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걸림턱은 상기 본체부의 수평방향의 내측에 가깝게 형성된 제1 곡면과 상기 제1 곡면에 반대측에 형성된 제2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2 곡면의 곡률은 상기 제1 곡면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전면의 일 영역에 후방으로 오목한 캐비티가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타단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날개부;
상기 날개부의 후면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부의 캐비티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그 타단에 인접한 영역에 관통 홀을 포함하는 브라켓부;
상기 캐비티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전후방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고 수평 방향으로 각각 이격된 제1 및 제2 걸림턱을 갖는 후크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걸림턱이 관통되는 홀 및 상기 본체부의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걸림턱이 상기 홀을 통해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후크부를 상기 본체부에 고정하는 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날개부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경우, 상기 브라켓의 관통 홀에 상기 제1 걸림턱이 관통되어 상기 날개부가 고정되며,
상기 날개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날개부가 전방으로 최대한 이동한 경우, 상기 브라켓의 타단은 상기 제2 걸림턱과 상기 캡부의 돌출부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아웃 헤드레스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걸림턱은 상기 본체부의 수평방향의 외측에 가깝게 형성된 제1 곡면과 상기 제1 곡면에 반대측에 형성된 제2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2 곡면의 곡률은 상기 제1 곡면의 곡률보다 크고, 상기 제2 걸림턱은 상기 본체부의 수평방향의 내측에 가깝게 형성된 제3 곡면과 상기 제3 곡면에 반대측에 형성된 제4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4 곡면의 곡률은 상기 제3 곡면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따르면, 날개부가 최전방 또는 최후방으로 위치하였을 때 해당 위치에서의 고정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걸림턱에 의해 고정 위치를 명확하게 결정할 수 있으므로 날개부가 이동할 수 있는 구간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고 상품성을 증대 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윙아웃 헤드레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적용되는 작동제한 구조물의 배치구조를 다양한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적용되는 작동제한 구조물에 포함된 후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적용되는 작동제한 구조물에 포함된 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적용되는 작동제한 구조물에 포함된 브라켓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윙아웃 헤드레스트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윙아웃 헤드레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윙아웃 헤드레스트는, 본체부(20)와 본체부(20)의 전면에 배치되는 패널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부(10)는 본체부(20)에 고정되는 중앙부(11)와 중앙부(11)의 양측으로 배치되고 중앙부(11)에 일단이 힌지 구조물(13)을 통해 연결되어 힌지 구조물(13)에 의한 회동에 의해 타단이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날개부(12a, 12b)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후술하는 다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되는 작동제한 구조물이 날개부(12a, 12b)와 본체부(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작동제한 구조물은 날개부(12a, 12b) 최후방으로 이동한 경우, 즉 날개부(12a, 12b)의 후면과 본체부(20)의 전면이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경우 날개부(12a, 12b)가 이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작동제한 구조물은 날개부(12a, 12b)가 최전방으로 이동한 경우 이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작동제한 구조물은 날개부(12a, 12b)가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에 의해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제한 구조물은 날개부(12a, 12b)부가 이동 가능한 구간의 양단에서 날개부(12a, 12b)의 이동에 제약을 가해 움직임을 고정하고,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날개부(12a, 12b)의 이동을 가능하게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본체부(20)의 전면에 패널부(10)을 마련하고 패널부(10)의 중심부(11)가 본체부(20)에 부착된 구조를 갖는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나, 이는 여러 다양한 헤드레스트 구조의 일례에 불과하며, 다른 헤드레스트는 별도의 중심부(11)가 마련되지 않고 날개부(12a, 12b)가 직접 본체부(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도 패널부(10)의 중심부(11)가 본체부(20)에 고정된 형태이므로 결국 날개부(12a, 12b)는 본체부(20)에 힌지 결합을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과 동일한 구조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패널부(10)나 그 중심부(11)의 구조물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고, 날개부(12a, 12b)와 본체부(20)의 구조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또한,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각 구성요소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려하여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본적으로 날개부(12a, 12b)가 본체부(20)의 전방에 마련되는 것을 기준으로 방향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지며, 다른 방향에 대한 설명이나 표현은 이 기준을 참고하여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적용되는 작동제한 구조물의 배치구조를 다양한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적용되는 작동제한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적용되는 작동제한 구조물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후크부(110), 도 4에 도시된 캡부(120), 도 5에 도시된 브라켓부(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후크부(110)의 전체 구조는 캡부(120)에 의해 차단되어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으나, 도 3을 참조하면, 후크부(110)는 날개부(12a, 12b)와 본체부(20)의 사이에서 본체부(20)의 전면에 배치되고 본체부(20)의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턱(111, 112)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후크부(110)는 양단에 전방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가지며 이 절곡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걸림턱(111, 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절곡부의 구조에 의해 걸림턱(111, 112)은 전후방 방향으로 탄성을 갖게 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후크부(110)의 일부분은 걸림턱(111, 112)에 해당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캡부(120)은 후크부(110)의 걸림턱(111, 112)이 관통되는 홀(121, 122) 및 본체부의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23)를 포함한다. 돌출부(123)는 홀(121, 122)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110)와 캡부(120)가 본체부(20)의 전면에 설치될 때, 후크부(110)의 걸림턱(111, 112)은 홀(121, 122)을 통해 돌출된 상태가 되고, 캡부(120)는 후크부(110)의 전방에 배치되어 본체부(20)에 고정됨으로써 후크부(110)를 본체부(110)의 위치를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후크부(110)의 걸림턱(111, 112)은 홀(121, 122)을 통해 노출되어 외력에 의해 전후방으로 탄성이 작용하여 일정 구간 움직임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부(130)는 일단이 날개부(12a, 12b)에 힌지 결합되어 일단을 축으로 타단이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브라켓부(130)의 일단에는, 날개부(12a, 12b)의 후면에 배치된 고정부(14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힌지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양측으로 원통형상의 돌출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부(130)의 타단은 본체부(20)의 전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후크부(110)의 걸림턱(111, 112)에 의해 이동이 제약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부(13)의 타단에 인접한 부분에는 관통홀(1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관통홀(131) 역시 걸림턱(111, 112)이 관통함에 의해 브라켓부(130)의 이동을 제약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체부(20)의 전면에는 브라켓부(110)의 타단이 이동하는 구간에 대응하는 영역에 후방으로 오목한 캐비티부(H)가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부(110)의 타단은 주로 수평방향을 따라 본체부(20)의 전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캐비티부(H) 역시 수평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캐비티부(H)에는 후크부(110)와 캡부(120)가 설치됨으로써, 날개부(12a, 12b)의 후면이 본체부(20)의 전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캐비티부(H) 내에 작동제한 구조물들이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날개부(12a, 12b)의 후면이 본체부(20)의 전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한 상태가 될 때 날개부(12a, 12b)와 본체부(20) 사이에 들뜨는 공간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캐비티부(H)의 내측벽에는 가이드부(150)가 마련되어 브라켓부(130)의 타단의 움직임을 가이드하여 브라켓부(130)의 타단이 본체부(20)의 전면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가이드부(15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브라켓부(130)의 타단에는 양측으로 추가의 돌출부(13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의 (a) 및 (b)에 도시한 것과 같이 날개부(12a, 12b)가 본체부(20)의 전면과 접촉하는 상태, 즉 날개부(12a, 12b)가 최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브라켓부(130)의 관통홀(131)에 후크부(110)의 제1 걸림턱(111)이 관통된 상태가 되어 일정 수준 미만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날개부(12a, 12b)의 움직임이 발생할 수 없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날개부(12a, 12b)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외부에서 발생하면, 날개부(12a, 12b)의 후면에 힌지 결합된 브라켓부(130)의 일단에 의해 브라켓부(130)의 타단을 헤드레스트의 중심부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제1 걸림턱(111)의 수평방향측 일면(r1)을 곡면으로 형성함에 따라 브라켓부(130)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전후방의 탄성을 갖는 제1 걸림턱(111)에는 후방으로의 힘이 작용한다. 제1 걸림턱(111)에 작용하는 힘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브라켓부(130)가 이탈할 수 있을 정도로 제1 걸림턱(111)이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브라켓부(130)의 타단은 제1 걸림턱(111)에 의한 고정상태를 벗어나 도 6의 (c)와 같이 헤드레스트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제1 걸림턱(111)은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브라켓부(130)의 타단이 계속 이동하여 헤드레스트의 중심부 측, 즉 본체부의 수평방향의 내측에 상대적으로 더 가깝게 배치된 제2 걸림턱(112)과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날개부(12a, 12b)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일정 수준 이상 발생하면, 제2 걸림턱(112)의 수평방향측 일면에 형성된 곡면(r4)에 의해 브라켓부(130)의 타단에 헤드레스트의 중심부 측으로 작용하는 힘이 제2 걸림턱(112)을 하부로 밀어내면서 도 8과 같이 브라켓부(130)의 타단이 제2 걸림턱(112)을 지나 캡부(120)의 돌출부(123)까지 도달하게 된다. 제2 걸림턱(112)은 탄성력에 의해 다시 전방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브라켓부(130)의 타단은 캡부(120)의 돌출부(123)와 제2 걸림턱(112) 사이에 고정되고 이에 의해 날개부(12a, 12b)도 그 일단이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된다. 이 때의 날개부(12a, 12b)의 위치가 전방으로 최대 이동한 위치가 될 수 있다.
이어,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시 날개부(12a, 12b)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힘이 인가되면 브라켓부(13)의 타단에 헤드레스트의 수평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고, 이 힘이 곡면(r3)에 전달됨으로써 제2 걸림턱(112)이 하부로 이동하여 브라켓부(13)의 타단은 고정상태를 벗어나게 된다.
전술한 것과 같은 날개부(12a, 12b)의 전방 이동 시와 유사한 작용에 의해 후방 이동시에도 브라켓부(130)의 타단이 제1 걸림턱(111)을 넘어 브라켓부(130)의 관통홀(131)에 제1 걸림턱(111)이 관통한 상태(도 6의 (a))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걸림턱(111)과 제2 걸림턱(112)에 형성된 곡면은 서로 다른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브라켓부(130)의 타단의 고정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키고, 고정 상태에서 이동 상태로 전환될 때보다 이동 상태에서 고정 상태로 전환될 때 상대적으로 더 적은 힘이 소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1 걸림턱(111)은 본체부(20)의 수평방향의 외측에 가깝게 형성된 제1 곡면(r1)의 제1 곡면(r1)에 반대측에 형성된 제2 곡면(r2)을 갖도록 마련되며, 제2 곡면(r2)의 곡률은 제1 곡면(r1)의 곡률보다 크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2 걸림턱(112)은 본체부(20)의 수평방향의 내측에 가깝게 형성된 제3 곡면(r3)과 제3 곡면(r3)에 반대측에 형성된 제4 곡면(r4)을 갖도록 마련되며, 제4 곡면(r4)의 곡률이 제3 곡면(r3)의 곡률보다 크게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는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날개부(12a, 12b)가 최전방 또는 최후방으로 위치하였을 때 해당 위치에서의 고정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걸림턱에 의해 고정 위치를 명확하게 결정할 수 있으므로 날개부(12a, 12b)가 이동할 수 있는 구간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고 상품성을 증대 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2a, 12b: 날개부 110: 후크부
111: 제1 걸림턱 112: 제2 걸림턱
120: 캡부 123: 돌출부
130: 브라켓부 131: 관통홀
150: 가이드부

Claims (13)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타단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날개부; 및
    상기 본체부와 날개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날개부의 이동 구간을 제한하고 상기 이동 구간의 양단에서 상기 날개부를 고정하는 작동제한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제한 구조물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갖는 후크부 및 상기 날개부의 후면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부의 전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후크부의 걸림턱에 의해 타단의 이동이 제약되는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아웃 헤드레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의 양측에서 상기 본체부와 대면하도록 각각 한 쌍이 마련되고 상기 날개부의 타단은 상기 본체부의 수평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아웃 헤드레스트.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는 상기 브라켓부의 타단이 이동하는 구간에 대응하는 영역에 후방으로 오목한 캐비티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는 상기 캐비티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아웃 헤드레스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부의 내측벽에는 상기 브라켓부의 타단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아웃 헤드레스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양단이 내측으로 절곡되고, 양측의 절곡된 영역 전방에 각각 상기 걸림턱이 하나씩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전후방의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아웃 헤드레스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동제한 구조물은,
    상기 후크부의 걸림턱이 관통되는 홀 및 상기 본체부의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의 걸림턱이 홀을 통해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후크부를 상기 본체부에 고정하는 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아웃 헤드레스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그 타단에 인접한 영역에 상기 후크부의 걸림턱이 관통하는 관통 홀을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날개부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경우, 상기 브라켓의 관통 홀에 상기 후크부의 걸림턱 중 제1 걸림턱이 관통되어 상기 날개부가 고정되며,
    상기 날개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날개부가 전방으로 최대한 이동한 경우, 상기 브라켓의 타단은 상기 후크부의 걸림턱 중 나머지 하나인 제2 걸림턱과 상기 캡부의 돌출부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아웃 헤드레스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은 고정된 브라켓이 외력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아웃 헤드레스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턱은 상기 본체부의 수평방향의 외측에 가깝게 형성된 제1 곡면과 상기 제1 곡면에 반대측에 형성된 제2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2 곡면의 곡률은 상기 제1 곡면의 곡률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아웃 헤드레스트.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턱은 상기 본체부의 수평방향의 내측에 가깝게 형성된 제1 곡면과 상기 제1 곡면에 반대측에 형성된 제2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2 곡면의 곡률은 상기 제1 곡면의 곡률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아웃 헤드레스트.
  12. 전면의 일 영역에 후방으로 오목한 캐비티가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타단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날개부;
    상기 날개부의 후면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부의 캐비티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그 타단에 인접한 영역에 관통 홀을 포함하는 브라켓부;
    상기 캐비티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전후방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고 수평 방향으로 각각 이격된 제1 및 제2 걸림턱을 갖는 후크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걸림턱이 관통되는 홀 및 상기 본체부의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걸림턱이 상기 홀을 통해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후크부를 상기 본체부에 고정하는 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날개부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경우, 상기 브라켓의 관통 홀에 상기 제1 걸림턱이 관통되어 상기 날개부가 고정되며,
    상기 날개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날개부가 전방으로 최대한 이동한 경우, 상기 브라켓의 타단은 상기 제2 걸림턱과 상기 캡부의 돌출부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아웃 헤드레스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턱은 상기 날개부의 일단과 가깝게 형성된 제1 곡면과 상기 제1 곡면에 반대측에 형성된 제2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1 곡면의 곡률은 상기 제2 곡면의 곡률보다 크고,
    상기 제2 걸림턱은 상기 날개부의 일단과 가깝게 형성된 제3 곡면과 상기 제3 곡면에 반대측에 형성된 제4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4 곡면의 곡률은 상기 제3 곡면의 곡률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아웃 헤드레스트.
KR1020160134803A 2016-10-18 2016-10-18 윙아웃 헤드레스트 KR101827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803A KR101827421B1 (ko) 2016-10-18 2016-10-18 윙아웃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803A KR101827421B1 (ko) 2016-10-18 2016-10-18 윙아웃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7421B1 true KR101827421B1 (ko) 2018-03-23

Family

ID=61911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803A KR101827421B1 (ko) 2016-10-18 2016-10-18 윙아웃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4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72327A1 (en) * 2015-03-20 2016-09-22 B/E Aerospace, Inc. Passenger seat headres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72327A1 (en) * 2015-03-20 2016-09-22 B/E Aerospace, Inc. Passenger seat headres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9881B2 (en) Head rest
US9340128B2 (en) Vehicle seat
US9187937B2 (en) Collapsible door trim pull handle
JP5276808B2 (ja)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及び車両用シート
US7393111B2 (en) Pivoting outside mirror for a motor vehicle
KR101895066B1 (ko) 머리 받침대 접이 기구
JP2013528139A (ja) 特に自動車用のヘッドレスト
KR101827421B1 (ko) 윙아웃 헤드레스트
KR101491313B1 (ko)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장치
JP5496617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683428B1 (ko) 시트의 헤드레스트 가이드 조립체
JP5325455B2 (ja) アクティブヘッドレストのヘッドレスト傾動装置
JP4451549B2 (ja) 座席用テーブル
JP2005254914A (ja) ベルトモールの取付構造
JP6440523B2 (ja) 車両用ルームミラー
JP6598942B1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
KR101534529B1 (ko)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
CN107985144B (zh) 用于车座的尾部和横向构件
US10471861B2 (en) Conveyance seat
JP6430884B2 (ja) 支持ユニットおよびその支持ユニットを備える車両用サンバイザ
WO2018135042A1 (ja) アームレスト
JP4000557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を取り付け可能な車両用シート
JP5584420B2 (ja) 乗物用シート
JP5184906B2 (ja) ヘッドレスト
KR20090118219A (ko)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 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