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841B1 - 퀵 체인지 무빙 컨트롤 프레스 금형 - Google Patents

퀵 체인지 무빙 컨트롤 프레스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841B1
KR101490841B1 KR20130086679A KR20130086679A KR101490841B1 KR 101490841 B1 KR101490841 B1 KR 101490841B1 KR 20130086679 A KR20130086679 A KR 20130086679A KR 20130086679 A KR20130086679 A KR 20130086679A KR 101490841 B1 KR101490841 B1 KR 101490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vided
plates
punch
di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6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1572A (ko
Inventor
김보곤
Original Assignee
김보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곤 filed Critical 김보곤
Priority to KR20130086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841B1/ko
Publication of KR20150011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4Movable or exchangeable mountings f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2Die constructions enabling assembly of the die parts in different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프레스 금형이 개시된다. 프레스 금형은, 펀치가 설치되는 펀치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상부홀더 및 상기 펀치 플레이트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펀치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다이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하부홀더를 포함하는 프레스 금형으로서, 상기 펀치 플레이트 및 상기 다이 플레이트는 각각 경계면을 매개로 하여 서로 접하여 있는 두 플레이트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펀치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홀더에,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홀더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펀치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 및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에는 상기 경계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회전샤프트가 연결되고, 상기 회전샤프트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펀치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회전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두 플레이트들이 상호 이격되거나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퀵 체인지 무빙 컨트롤 프레스 금형{QUICK CHANGE MOVING CONTROLL PRESS MOLD}
본 발명은 프레스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규격의 가공대상물에 대응하여 금형의 사이즈 조정이 가능한 프레스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가공은 금속판 또는 알루미늄판 등을 소성변형시켜서 여러가지 가공대상물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프레스가공은 일반적으로 프레스 금형이라고 하는 프레스기계를 이용한다.
프레스금형은 보통 금속판 또는 알루미늄판 등을 지지하기 위한 다이를 포함하는 하부금형과, 원하는 형상의 펀치가 구비된 상부금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금형은 하부금형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된다.
이러한 프레스 금형은 가공하고자 하는 금속판 또는 알루미늄판 등을 하부금형 위에 올려놓고 상부금형을 합형시킴에 따라 펀치가 금속판 또는 알루미늄판 등을 타격하여 프레스가공대상물을 제작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프레스 금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펀치(커팅플레이트)를 공용화할 수 없었기 때문에, 가공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크기에 맞는 프레스 금형을 각각 제작하여야 했다.
둘째, 생산하고자 하는 가공대상물의 크기가 다른 경우 각각의 프레스 금형을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프레스제작에 필요한 비용의 증가로 인하여 생산단가가 높아지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끝에, 아래와 같은 구성을 도입하여, 다양한 규격의 가공대상물에 대응하는 금형 사이즈의 조정이 가능하므로 하나의 프레스 금형으로서 다양한 규격의 다품종 생산이 가능한, 프레스 금형을 제작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펀치가 설치되는 펀치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상부홀더 및 상기 펀치 플레이트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펀치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다이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하부홀더를 포함하는 프레스 금형으로서, 상기 펀치 플레이트 및 상기 다이 플레이트는 각각 경계면을 매개로 하여 서로 접하여 있는 두 플레이트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펀치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홀더에,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홀더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펀치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 및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에는 상기 경계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회전샤프트가 연결되고, 상기 회전샤프트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펀치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회전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두 플레이트들이 상호 이격되거나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펀치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 및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의 가변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펀치 플레이트 및 상기 다이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 및 상기 홀더들에 결합되는 고정 클램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펀치 플레이트 및 상기 다이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 및 상기 홀더들은 상기 고정 클램프가 결합되기 위한 개구들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고정 클램프는, 상기 개구들에 결합되는 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고정 클램프는, 상기 홀더들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클램프는 상기 개구들에 결합되는 고정핀 및 상기 핀을 축방향으로 가압하거나 상기 핀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고정핀을 상기 개구의 내측 및 상기 개구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핀 조작부를 포함하는 원터치 방식 클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펀치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는 상기 경계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샤프트의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펀치 플레이트의 다른 하나의 분할된 플레이트 및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다른 하나의 분할된 플레이트는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경계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샤프트의 축방향으로 만입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홈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홈부는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는 경계면 및 상기 홈부를 형성하는 경계면이 밀착될 때 상호 체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은, 펀치가 설치되는 펀치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상부홀더 및 상기 펀치 플레이트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펀치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다이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하부홀더를 포함하는 프레스 금형으로서, 상기 펀치 플레이트 및 상기 다이 플레이트는 각각 경계면을 매개로 하여 서로 접하여 있는 두 플레이트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펀치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홀더에,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홀더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펀치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 또는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에는 상기 경계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회전샤프트가 연결되고, 상기 펀치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는 하강되어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와 접하도록 위치하고, 상하로 접하여 있는 분할된 플레이트들은 상기 회전샤프트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같은 방향으로 함께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펀치 플레이트 및 다이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의 고정 클램프의 일 예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의 고정 클램프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펀치 플레이트 및 다이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은, 상부홀더(110) 및 하부홀더(120)를 포함한다. 상부홀더(110)의 아래에는 펀치 플레이트(130)가 장착되고, 하부홀더(120)의 위로는 펀치 플레이트(130)와 대향하는 다이 플레이트(140)가 장착된다.
상부홀더(110) 및 펀치 플레이트(130), 하부홀더(120) 및 다이 플레이트(140)의 사이에는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부재(150)가 설치된다. 가이드부재는 선형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이며, 예를 들면, 가이드레일(151) 및 슬라이더(152)를 포함하는 리니어 가이드일 수 있다.
또한 상부홀더(110) 및 하부홀더(120)의 사이에는 상부홀더(110)가 하부홀더(120)를 향해 하강될 때 상부홀더(110)를 가이드하는 볼 포스트 및 가이드 핀(171)이 설치되며, 펀치 플레이트(130)에는 펀치(미도시)가, 다이 플레이트(140)에는 다이(미도시) 및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삽입구멍(172)이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는 각각 경계면(131a, 132a, 141a, 142a)을 매개로 하여 서로 접하여 있는 두 플레이트(131, 132, 141, 142)로 분할된다. 예를 들면, 펀치 플레이트(130)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는, 제1 분할 펀치 플레이트(131) 및 제2 분할 펀치 플레이트(132)일 수 있고, 다이 플레이트(140)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는, 제1 분할 다이 플레이트(141) 및 제2 분할 다이 플레이트(142)일 수 있다.
제1 분할 펀치 플레이트(131) 및 제2 분할 펀치 플레이트(132), 제1 분할 다이 플레이트(141) 및 제2 분할 다이 플레이트(142)는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분할 펀치 플레이트(132) 및 제2 분할 다이 플레이트(142)의 폭은 제1 분할 펀치 플레이트(131) 및 제1 분할 다이 플레이트(141)의 폭과 동일하고, 제2 분할 펀치 플레이트(132) 및 제2 분할 다이 플레이트(142)의 길이는 제1 분할 펀치 플레이트(131) 및 제1 분할 다이 플레이트(14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펀치는 제1 분할 펀치 플레이트(131)에 설치될 수 있고, 다이는 제1 분할 다이 플레이트(14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는 가공대상물의 규격에 따라 각각의 분할된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의 간격을 조정하여, 하나의 프레스 금형 내에서 서로 다른 규격의 가공대상물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펀치 플레이트(130)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131, 132) 및 다이 플레이트(140)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141, 142) 중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에는 경계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회전샤프트(180)가 연결된다.
회전샤프트(180)는 회전되며, 회전에 의해 회전샤프트(180)에 연결된 펀치 플레이트(130)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131, 132) 및 다이 플레이트(140)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141, 142)의 간격이 조정된다. 이를 위해, 회전샤프트(18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 형태이고, 펀치 플레이트(130)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131, 132) 및 다이 플레이트(140)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141, 142)는 회전샤프트(180)와 나사결합되는 형태로 회전샤프트(180)와 연결된다. 예를 들면, 회전샤프트(180)는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 모두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샤프트(180)는 말단에 핸들을 결합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샤프트(180)는 복수이고, 펀치 플레이트(130)에 연결되는 회전샤프트(180)는 상부홀더(110)에 고정된다. 이때, 펀치 플레이트(130)와 대향하는 상부홀더(110)의 일면에는 회전샤프트(180)의 설치를 위한 두 개의 샤프트설치블록(191)이 위치할 수 있고, 샤프트설치블록(191)에는 회전샤프트(180)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를 갖는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샤프트(180)를 베어링의 개구에 삽입하여 샤프트설치블록(191)을 통해 상부홀더(110)에 고정할 수 있고, 회전샤프트(180)는 베어링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홀더(110)에 설치된 회전샤프트(180)와 펀치 플레이트(130)와의 연결을 위해, 예를 들면, 제1 분할 펀치 플레이트(131) 및 제2 분할 펀치 플레이트(132)의 상부홀더(110)와 대향하는 면에는 연결구(192)가 설치될 수 있다. 연결구(192)는 개구를 갖고, 개구의 내경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구(192)가 회전샤프트(180)와 나사결합하여 회전샤프트(180)가 회전됨에 따라 제1 분할 펀치 플레이트(131) 및 제2 분할 펀치 플레이트(132)는 회전샤프트(180)의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분할 펀치 플레이트(131) 및 제2 분할 펀치 플레이트(132)는, 예를 들면, 회전샤프트(180)의 축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회전샤프트(18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에 의해 설정된다. 즉, 회전샤프트(180)의 길이 방향의 가운데를 기점으로 하여, 일측은 왼나사(시계반대방향)로 형성하고 다른 일측은 오른나사(시계방향)로 형성하면, 회전샤프트(180)가 회전할 때 제1 분할 펀치 플레이트(131) 및 제2 분할 펀치 플레이트(132)는 서로 근접해지는 방향 및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다이 플레이트(140)에 연결되는 회전샤프트(180)는 하부홀더(120)에 고정된다. 이때, 다이 플레이트(140)와 대향하는 하부홀더(120)의 일면에는 샤프트설치블록(191)이 위치할 수 있다. 샤프트설치블록(191) 및 회전샤프트(180)가 연결되는 구조는 앞서 설명한 펀치 플레이트(130) 및 샤프트설치블록(191)과의 연결구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부홀더(120)에 설치된 회전샤프트(180)와 다이 플레이트(140)와의 연결을 위해, 예를 들면, 제1 분할 다이 플레이트(141) 및 제2 분할 다이 플레이트(142)의 하부홀더(120)와 대향하는 면에는 연결구(192)가 설치될 수 있다. 연결구(192)의 구조 및 연결구(192)가 회전샤프트(180)와 결합되는 구조는 앞서 설명한 연결구(192)의 구조 및 연결구(192)와 회전샤프트(180)가 결합되는 구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분할 펀치 플레이트(131) 및 제2 분할 펀치 플레이트(132)는, 예를 들면, 회전샤프트(180)의 축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조는 앞서 설명한 회전샤프트(180)의 나사산의 방향에 의한 설정 방식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회전샤프트(180)가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와 연결된 경우, 회전샤프트(18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샤프트(18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의해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은 서로 이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의 사이에 규격이 큰 가공대상물을 위치시킬 수 있다.
반대로 회전샤프트(18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은 서로 근접해지는 방향으로 회전샤프트(18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의해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은 서로 밀착한다. 이때, 각각의 분할된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의 서로 대향하는 경계면(131a, 132a, 141a, 142a)이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의 사이에 규격이 작은 가공대상물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회전샤프트(180)가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의 가변을 위하여 회전샤프트(180)가 복수이고, 복수의 회전샤프트(180) 각각은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펀치 플레이트(130) 또는 다이 플레이트(140)에만 회전샤프트(180)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펀치 플레이트(130) 또는 다이 플레이트(140)에만 회전샤프트(180)가 연결되는 경우, 펀치 플레이트(130)가 하강하여 앞서 언급된 가이드 핀(171)이 삽입구멍(172)에 삽입된 상태로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 후 회전샤프트(180)를 회전시켜서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가 회전샤프트(180)의 축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회전샤프트(180)의 회전시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이 모두 회전샤프트(18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제1 분할 펀치 플레이트(131) 및 제1 분할 다이 플레이트(141)는 각각 상부홀더(110) 및 하부홀더(120)에 고정하여 이동되지 않도록 하고, 제2 분할 펀치 플레이트(132) 및 제2 분할 다이 플레이트(142)는 회전샤프트(180)와 연결되도록 하여 회전샤프트(180)의 회전시 제2 분할 펀치 플레이트(132) 및 제2 분할 다이 플레이트(142)만이 회전샤프트(18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펀치 플레이트(130)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131, 132) 및 다이 플레이트(140)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141, 142)를 가변시키는 과정에서는,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의 경계면(131a, 132a, 141a, 142a)이 밀착할 때 흔들림이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펀치 플레이트(130)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131, 132) 및 다이 플레이트(140)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141, 142)에 돌출부(132b, 142b) 및 홈부(131b, 141b)가 설치된다.
돌출부(132b, 142b)는 펀치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 및 다이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돌출부(132b, 142b)는 제2 분할 펀치 플레이트(132)의 경계면(132a) 및 제2 분할 다이 플레이트(142)의 경계면(142a)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32b, 142b)는 상기 각각의 경계면(132a, 142a)으로부터 회전샤프트(180)의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홈부(131b, 141b)는 펀치 플레이트(130)의 다른 하나의 분할된 플레이트 및 다이 플레이트(140)의 다른 하나의 분할된 플레이트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홈부(131b, 141b)는 제1 분할 펀치 플레이트(131)의 경계면(131a) 및 제1 분할 다이 플레이트(141)의 경계면(141a)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부(131b, 141b)는 돌출부(132b, 142b)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만입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132b, 142b) 및 홈부(131b, 141b)는 펀치 플레이트(130)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131, 132)가 서로 밀착할 때, 다이 플레이트(140)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141, 142)가 서로 밀착할 때 각각의 밀착되는 두 플레이트(131, 132, 141, 142) 간에 발생될 수 있는 슬립(slip)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돌출부(132b, 142b) 및 홈부(131b, 141b)가 생략되는 경우라면,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의 경계면들(131a, 132a, 141a, 142a)은 서로 평행하여 면접하게 되는데,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소정의 가속력이 발생하게 되고, 가속력에 의해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의 경계면(131a, 132a, 141a, 142a)이 서로 밀착할 때 소정의 충격이 발생한다. 이때, 경계면들(131a, 132a, 141a, 142a)은 서로의 면에 대해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의해 흔들림 및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슬립 현상은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의 경계면들(131a, 132a, 141a, 142a)이 서로 평행함에 따라 면접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것으로서, 단순히 경계면들(131a, 132a, 141a, 142a)이 평행하게 면접하는 현상을 개선하면 슬립 현상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의 경계면들(131a, 132a, 141a, 142a)에 돌출부(132b, 142b) 및 홈부(131b, 141b)를 설치하고, 상기 경계면들(131a, 132a, 141a, 142a)이 밀착될 때 돌출부(132b, 142b) 및 홈부(131b, 141b)가 맞물리도록 개선하면, 결국 슬립 현상의 방지를 위한 걸림부가 형성되므로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은 서로의 폭에 대해 어긋나는 등의 흔들림 및 변형 없이 정확히 위치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의 위치가 가변되면, 가공대상물을 위치시키고 가공대상물의 가공을 위한 작업을 위하여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의 가변된 위치는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고정 클램프(210, 220)가 이용되고,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 및 상부홀더(110), 하부홀더(120)에는 고정 클램프(210, 220)의 결합을 위한 개구들(110a, 120a, 130a, 140a)이 형성된다.
고정 클램프(210, 220) 및 개구들(110a, 120a, 130a, 140a)은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이 이동하는 거리 내에서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의 이동 방향을 따라 다수 설치되며, 그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고정 클램프(210, 220)는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의 가변된 위치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 클램프(210)는 상기 개구들(110a, 120a, 130a, 140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부(211) 및 상기 헤드부(211)의 저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개구들(110a, 120a, 130a, 140a)에 삽입 가능한 직경을 갖는 핀부(212)를 포함하는 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클램프(210)가 이용되는 경우,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의 가변된 위치에서 서로 동축상에 위치한 분할된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의 개구(130a, 140a) 및 홀더들(110, 120)의 개구(110a, 120a)에 상기 핀부(212)를 삽입하여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을 상부홀더(110) 및 하부홀더(120)에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 클램프(21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다른 예로, 고정 클램프(220, 220')는, 상기 개구들(110a, 120a, 130a, 140a)에 결합되는 고정핀(221, 221') 및 고정핀(221, 221')을 축방향으로 가압하거나 고정핀(221, 221')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핀(221, 221')을 개구들(110a, 120a, 130a, 140a)의 내측 및 개구들(110a, 120a, 130a, 140a)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핀 조작부(222, 222')를 포함하는 원터치 방식 클램프가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핀 조작부(222, 222')는 수동식 레버일 수도 있고, 공압 또는 유압식 레버일 수도 있다. 이러한 원터치 방식 클램프가 이용되는 경우,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의 가변되면, 그 가변된 위치에 위치하는 고정 클램프(220, 220')의 레버(핀 조작부(222, 222'))를 가동하여 고정핀(221, 221')이 서로 동축상에 위치한 분할된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의 개구(130a, 140a)에 삽입되도록 하여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을 상부홀더(110) 및 하부홀더(120)에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 클램프(220, 22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고정 클램프(220)는 공압식 레버를 갖는 원터치 방식 클램프이고, 도 4에 도시된 고정 클램프(220')는 수동식 레버를 갖는 원터치 방식 클램프이다.
한편, 다시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의 위치를 가변시키고자 하는 경우, 고정 클램프(110, 210, 220)를 상기 개구들(110a, 120a, 130a, 140a)로부터 분리하여 펀치 플레이트(130) 및 다이 플레이트(140)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131, 132, 141, 142)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면, 가공대상물의 규격에 맞는 각각의 프레스 금형을 제작할 필요 없이 펀치 플레이트 및 다이 플레이트의 길이 또는 폭을 조정하여 다양한 규격의 가공대상물에 대응하는 금형 사이즈의 조정이 가능하므로 하나의 프레스 금형으로서 다양한 규격의 다품종 부품 생산이 가능하며, 가공대상물의 규격에 맞는 각각의 프레스 금형을 제작하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laims (6)

  1. 삭제
  2. 펀치가 설치되는 펀치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상부홀더 및 상기 펀치 플레이트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펀치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다이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하부홀더를 포함하는 프레스 금형으로서,
    상기 펀치 플레이트 및 상기 다이 플레이트는 각각 경계면을 매개로 하여 서로 접하여 있는 두 플레이트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펀치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홀더에,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홀더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펀치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 또는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에는 상기 경계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회전샤프트가 연결되고,
    상기 펀치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는 하강되어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와 접하도록 위치하고, 상하로 접하여 있는 분할된 플레이트들은 상기 회전샤프트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같은 방향으로 함께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 및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의 가변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펀치 플레이트 및 상기 다이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 및 상기 홀더들에 결합되는 고정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 플레이트 및 상기 다이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 및 상기 홀더들은 상기 고정 클램프가 결합되기 위한 개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클램프는 상기 개구들에 결합되는 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 플레이트 및 상기 다이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은 상기 고정 클램프가 결합되기 위한 개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클램프는 상기 홀더들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클램프는 상기 개구들에 결합되는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을 축방향으로 가압하거나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고정핀을 상기 개구의 내측 및 상기 개구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핀 조작부를 포함하는 원터치 방식 클램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분할된 두 플레이트들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는 상기 경계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샤프트의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펀치 플레이트의 다른 하나의 분할된 플레이트 및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다른 하나의 분할된 플레이트는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경계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샤프트의 축방향으로 만입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홈부는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는 경계면 및 상기 홈부를형성하는 경계면이 밀착될 때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
KR20130086679A 2013-07-23 2013-07-23 퀵 체인지 무빙 컨트롤 프레스 금형 KR101490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6679A KR101490841B1 (ko) 2013-07-23 2013-07-23 퀵 체인지 무빙 컨트롤 프레스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6679A KR101490841B1 (ko) 2013-07-23 2013-07-23 퀵 체인지 무빙 컨트롤 프레스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572A KR20150011572A (ko) 2015-02-02
KR101490841B1 true KR101490841B1 (ko) 2015-02-06

Family

ID=52487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6679A KR101490841B1 (ko) 2013-07-23 2013-07-23 퀵 체인지 무빙 컨트롤 프레스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8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2149A (zh) * 2019-11-10 2020-02-18 衡阳和富铜业有限公司 一种青铜加工用的冲压模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2620B (zh) * 2021-09-29 2024-04-05 苏州威达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上模快速换模结构及相关设备和方法
KR102609705B1 (ko) * 2023-03-08 2023-12-05 주식회사 에이치와이티씨 전극필름의 노칭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8921U (ko) * 1988-02-22 1989-09-01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8921U (ko) * 1988-02-22 1989-09-0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2149A (zh) * 2019-11-10 2020-02-18 衡阳和富铜业有限公司 一种青铜加工用的冲压模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572A (ko) 201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841B1 (ko) 퀵 체인지 무빙 컨트롤 프레스 금형
DE102013000402B4 (de) Spritzgussmaschine mit einem Forminstallationspositions-Einstellmechanismus
US20120255410A1 (en) Cutting apparatus
KR101013129B1 (ko) 초소형 렌즈의 비구면 형상부를 성형하기 위한 핀 가공용 고정지그
CN109396266B (zh) 一种预锻深折弯模具
CN202922297U (zh) 附件头传动轴夹紧机构及机床
WO2007080137A1 (de) Formwerkzeug mit rahmenartiger führungseinrichtung
EP1787784B1 (de) Werkzeug zur Herstellung von Bauteilen durch Spritzguß, Druckguß oder Ablegeverfahren
JP5858437B2 (ja)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
CN101913265B (zh) 大型液压机快速换模精确定位装置
JP2014046602A (ja) スライドコアガイドユニット
KR20090092921A (ko) 개선된 인서트 전조 다이와 이를 통한 인서트의 생산방법
CN209887570U (zh) 一种钻模划线样板
CN219766563U (zh) 一种多向冲压模具
CN2900137Y (zh) 高精度肘杆式锁模装置
CN217451969U (zh) 一种便于更换镶件的锻压模具
CN220497488U (zh) 一种泛用性快速换模多孔布局的冲孔模具
CN216781141U (zh) 倒角机用偏角切除滑移机构
CN210877145U (zh) 方便更换模头的开口扳手冲压模具
JP5265901B2 (ja) 金型
JP5461771B2 (ja) 成形金型の位置決め構造
KR101496115B1 (ko) 프레스 장치
JP2004167747A (ja) スライドコアの斜めスライド機構
CN106560258A (zh) 四向侧向加工模具总成
CN219925683U (zh) 一种薄壁套的磨床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