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206B1 - 중앙 분리봉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중앙 분리봉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206B1
KR101487206B1 KR20130018485A KR20130018485A KR101487206B1 KR 101487206 B1 KR101487206 B1 KR 101487206B1 KR 20130018485 A KR20130018485 A KR 20130018485A KR 20130018485 A KR20130018485 A KR 20130018485A KR 101487206 B1 KR101487206 B1 KR 101487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thylene
post
elastic member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18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4694A (ko
Inventor
노승일
Original Assignee
노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승일 filed Critical 노승일
Priority to KR20130018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206B1/ko
Publication of KR20140104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01F9/629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8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compensation of environmental or other condition, e.g. snow, vehicle stopped at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 분리봉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쉽게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제조 및 설치 비용이 경제적이며, 운전자로 하여금 효율적으로 교통사고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연속적인 사고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충격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외측면에 반사지와 교통안전 표시로고가 부착되며, 하단부에 제1 결합봉이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포스트; 하단부가 바닥에 고정되도록 설계되고, 상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 결합봉이 형성되는 받침대; 및 상기 포스트와 받침대 사이에 결합 고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그 일측이 상기 제1 결합봉에 끼워지고, 상기 일측의 반대인 타측은 상기 제2 결합봉에 끼움 고정되어 상호 인장력을 가지는 중앙 분리봉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중앙 분리봉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관리시스템{MEDIAN STRIP AND TRAFFIC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중앙 분리봉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도로의 중앙에는 차선을 규제하기 위한 차선 규제봉이 설치되는 바, 이러한 차선 규제봉은 주로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중앙선이나 안전지대, 또는 작업지대 등의 위험한 지역에 설치하여 주간에는 색상으로 식별하고, 야간에는 포스트에 부착된 형광물질 등의 반사지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여 안전운행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교통시설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근자에 주로 설치되고 있는 이러한 차선 규제봉은 포스트와 베이스가 단일물로 성형되어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주로 콘크리트나 에폭시 등과 같은 매설수단이나, 앵커볼트 등과 같은 설치수단을 이용하여 도로에 반영구적으로 고정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식으로 된 차선 규제봉은 포스트와 베이스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량과의 추돌시 완전히 파손되거나 차량에도 치명적인 충격이 발생하여 손상을 가져오게 되고, 이로 인한 복구비용으로 막대한 예산을 낭비하게 되는 실정이다.
특히 이와 같은 추돌로 인해 파손된 규제봉의 파손조각과 앵커볼트는 도로변에 비산되어 또 다른 대형 교통사고의 요인이 되었으며, 또한 반영구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한번 파손되고 나면 교체나 수리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많은 인력의 소요는 물론이고, 한번 교체한 규제봉은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많은 낭비를 초래케 된다.
근래에 들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선 규제봉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차량과의 추돌시 쉽게 파손되지 않고, 차량이 지나가고 나면 원래의 자세로 복귀할 수 있는 차선 규제봉이 안출되고 있다.
그러나 근래에 개발된 차선 규제봉은 주로 고탄성의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는 방법과 탄력 스프링을 이용하여 구조적으로 유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큰 충격이나 반복된 충격에 매우 취약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쉽게 찢어지거나 우천시나 악천후시 등과 같이 바람이 많이 불게 되면 쉽게 흔들리게 되어 오히려 운전자의 시야를 흐리게 하고, 자칫 차선을 위반하고 주행을 함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외부에 닿아 손상을 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따랐다.
후자의 경우는 원위치로 복귀할 시 스프링의 탄력에 의한 심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어 다른 차량의 주행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이 역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차량의 외부에 손상을 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결국 신속한 복귀를 요할 경우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높여야 하지만 탄성을 높이게 되면 규제봉의 유연성이 크게 저하되어 결국 충격흡수의 목적을 달성하기가 어려우며, 스프링의 탄성력을 낮추면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심한 진동에 의해 차량의 외부에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기존에 사용되는 차선 규제봉의 경우는 자체적인 반사의 기능이 부재하여 주로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포스트의 상부에 부착된 반사지에서 반사되는 빛에 의해 주위를 식별하게 되므로 연속적인 차선 규제봉의 설치가 어려운 여건에서는 별도의 반사체를 매설 고정하여야 하므로 경제적인 면에서 매우 비합리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쉽게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제조 및 설치 비용이 경제적이며, 운전자로 하여금 효율적으로 교통사고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연속적인 사고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중앙 분리봉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앙 분리봉은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충격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외측면에 반사지와 교통안전 표시로고가 부착되며, 하단부에 제1 결합봉이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포스트; 하단부가 바닥에 고정되도록 설계되고, 상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 결합봉이 형성되는 받침대; 및 상기 포스트와 받침대 사이에 결합 고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그 일측이 상기 제1 결합봉에 끼워지고, 상기 일측의 반대인 타측은 상기 제2 결합봉에 끼움 고정되어 상호 인장력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는 폴리우레탄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 분리봉을 이용한 교통안전 관리시스템은 상기 중앙 분리봉이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중앙 분리봉의 포스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경고등이 구비된 교통안전관리시스템이고, 상기 중앙 분리봉에 구비된 충격감지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감지센서에 의하여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충격이 감지된 중앙 분리봉을 기준으로 소정 거리 내에 배치된 중앙 분리봉의 경고등의 점멸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분리봉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관리시스템은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쉽게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제조 및 설치 비용이 경제적이며, 운전자로 하여금 효율적으로 교통사고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연속적인 사고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분리봉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 분리봉을 이용한 교통안전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분리봉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분리봉은, 포스트(10), 받침대(30) 및 탄성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포스트(10)는 중공형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충격감지센서(11)가 구비되고, 외측면에 반사지(12)와 교통안전 표시로고(13)가 부착되며, 하단부에 제1 결합봉(14)이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포스트(10)의 상단부는 밀폐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봉(14)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기둥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봉(14)은 포스트(10)의 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접착수단 또는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접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포스트(10)는 폴리우레탄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포스트(10)는 PET 재질의 페트병을 적용할 수 있고, 페트병 외측면에 띄 모양의 반사지(12)를 부착하고, 반사지(12)에 인접되도록 "안전" 등과 같은 교통안전을 유도하는 교통안전 표시로고(13)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포스트(10)를 폴리우레탄 재질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하여 운전 중인 차량과 충돌시 차량 및 운전자에게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30)는 플레이트 형상의 하단부(31)가 바닥에 고정되도록 설계되고, 상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 결합봉(33)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30)는 하단부(31)(즉, 베이스)의 상부 중앙에 제2 결합봉(33)이 결합고정되고, 하단부(31)는 지면부에 앵커볼트(32) 등으로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2 결합봉(33)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기둥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봉(33)은 하단부(3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접착수단 또는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접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받침대(30)를 앵커볼트(32) 등으로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특히 포스트(10)의 외측면에 수개(대략 2개)의 반사지(12)와 교통안전 표시로고(13)를 부착하여 주로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자동차의 전조등 불빛의 반사에 의해 주위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0)는 포스트(10)와 받침대(30) 사이에서, 일측이 포스트(10)의 제1 결합봉(14)에 끼워지고, 일측의 반대인 타측은 받침대(30)의 제2 결합봉(33)에 끼움 고정되어 상호 인장력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탄성부재(20)는 고탄성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탄성부재(20)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고탄력성 고무 등의 재질이나 스펀지류, 발포성 우레탄 및 기타 양호한 탄력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포스트(10)와 받침대(30) 사이에 탄성부재(20)를 결합고정하여 포스트(10)의 충격발생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20)가 초기에 지니고 있는 약간의 압축력에 의해 탄성부재(20)의 상측에 결합고정된 포스트(10)가 항상 정확하게 서 있고, 일단 충격이 발생하게 되면 탄성부재(20)에 적정의 압력을 받으면서 탄성력이 발생하여 원래의 자세로 복귀할 수 있게 되며, 나아가 바람 등에 의한 외력의 작용시 흔들리거나 휨 현상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로 도로의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 분리봉을 구성할 시 포스트(10)와 받침대(30) 사이에 복원 수단인 탄성부재(20)를 구성하여 차량과의 추돌시 포스트(10)에 가해지는 충격과 받침대(30)에 걸리는 하중을 최소화시켜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귀하여 여러 번의 추돌에 견디면서도 반복 사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소방차, 경찰차, 구급차 등 긴급차량 진입시 기존에는 갈 수 없던 길도 차량과 분리봉에 충격을 적게 주면서 강제로 밀고 지나가게 할 수 있으므로, 긴급한 일이 있을 때 유용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포스트(10)와 받침대(30) 사이의 탄성부재(20)의 작동에 의해 추돌 시에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함과 동시에 전도된 포스트(10)를 신속하게 복귀하여 진동을 최소화하게 되고, 포스트(10)의 외측면에는 반사지(12)와 교통안전 표시로고(13) 등을 부착하여 주로 야간이나 우천시 등 악천후시 시계확보를 용이하게 하며, 사고의 발생방지와 함께 추돌이 신속하게 복귀할 수 있게 되어 잦은 교체나 수리 및 보수로 인한 경비의 절감효과와 사용수명이 일층 연장되는 등의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효과에도 불구하고 만일 부분적으로 파손이 발생하게 될 경우는 종전과 같이 전체를 교체 수리하지 않고 파손된 부분(예를 들면, 포스트(10), 탄성부재(20), 받침대(30))만 교체 시공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면에서도 매우 합리적인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대(30)는 내충격성을 강화하기 위한 폴리프로필렌 강화수지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강화수지 조성물은 알파 올레핀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와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가 반응기 내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된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함량이 0.5~7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또는 부텐 함량이 1~15중량%인 부텐-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중 선택된 하나의 랜덤 공중합체(a) 75~95 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5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b) 5~25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수지(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또는 부텐-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중 선택된 하나의 랜덤 공중합체(a)에 대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b)의 고유 점도비가 0.3~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파 올레핀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또는 부텐-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중 선택된 하나의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다. 알파 올레핀이 탄소결합을 5개 이상 갖는 경우에는 코모노머의 반응성이 낮아 중합 반응장치에서 공중합 제조가 용이하지 않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또는 부텐-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a)는 중합 반응장치에서 에틸렌 또는 부텐과 프로필렌을 동시에 투입하여 제조한 랜덤 공중합체로써 공중합체 중의 에틸렌 성분의 함량은 0.5~7중량%가 바람직하며 부텐 성분의 함량은 1~15중량%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또는 부텐-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의 역할은, 제조물의 기계적 강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적절한 정도의 내열성을 부여하며, 성분 (b) 와의 적절한 광학적, 열역학적 상용성을 가져 투명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랜덤 공중합체 내의 에틸렌 성분의 함량이 0.5 중랑% 또는 부텐 성분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공중합체의 결정화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져 생성된 조성물의 투명성을 저하시키게 되며, 랜덤 공중합체 내의 에틸렌 성분의 함량이 7중량% 또는 부텐 성분의 함량이 15중량%를 넘게 되면 결정화도가 급격히 저하되어, 강성이 저하되어 내열성이 떨어져서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용기의 재질로는 부적합하게 된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또는 부텐-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a)는 폴리프로필렌 수지(c)에 대해 75~9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또는 부텐-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a)의 함량이 75 중량%미만이면 최종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강성이 저하되어 최종 제품의 요구특성을 만족시킬 수 없으며, 95 중량%를 초과하면 중합되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이 낮아 내충격 특성이 발현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b)는 랜덤공중합체(a)를 제조한 후 이어지는 일련의 반응장치에서 연속적으로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역할은, 조성물에 내충격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또한 성분 (a) 와의 적절한 정도의 광학적, 열역학적 상용성을 가지고 있어 조성물 제조시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미세 분산이 가능하여 투명성과 내백화 특성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서 에틸렌 함량은 20~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 내에서 에틸렌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중합되는 블록 공중합체에서 충격을 향상시키는 무정형 부분이 감소해 내충격 특성이 감소하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결정성 폴리에틸렌 성분이 많이 중합되어 연속상과의 상용성이 감소하여 내충격시 계면 박리로 인해 내충격 특성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b)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c)에 대해 5~2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 특성이 발현되지 않고, 25 중량%를 초과하면 강성 및 투명성이 저하되어 제품의 최종 요구특성을 만족시킬 수 없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c)에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b)의 고유 점도(dl/g)÷에틸렌-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또는 부텐-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중 선택된 하나의 랜덤 폴리프로필렌(a)의 고유 점도(dl/g)로 산출되는 고유 점도비(intrinsic viscosity ratio)는 0.3~1.0일 수 있다. 상기 고유 점도비가 0.3 미만이면 중합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이 연속상인 랜덤 공중합체보다 상대적으로 낮아 충격 흡수에 어려움이 있으며, 1.0을 초과하면 성형 후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분산상 크기가 증가해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강화수지 조성물은, 중합 반응 장치에 에틸렌 또는 부텐 중 선택된 하나의 코모노머와 프로필렌을 동시에 투입함으로써 에틸렌 함량이 0.5~7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 부분 또는 부텐 함량이 1~15중량%인 부텐-프로필렌 랜덤 공중합 부분을 75~95중량% 먼저 형성시키고, 이어지는 일련의 반응에서, 상기 형성된 랜덤 공중합체 부분에 에틸렌 함량이 20~5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부분을 5~25중량% 추가적으로 더 형성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 강화수지 조성물이 제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 분리봉을 이용한 교통안전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 분리봉을 이용한 교통안전관리시스템은, 포스트(10)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경고등(15)과 충격감지센서(11)가 구비된 복수 개의 중앙 분리봉(100a~100h)을 포함하고, 상기 층격감지센서(110)와 경고등(15)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충격감지센서(11)에 의하여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충격이 감지된 중앙 분리봉(100a)을 기준으로 소정 거리 내에 배치된 중앙 분리봉(100b~100h)의 경고등의 점멸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제어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부(300)는, 복수 개의 중앙 분리봉(100a~100h)의 상태 파악 및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에 대한 정확한 상태 파악 및 관리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원격제어부(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PC 또는 스마트 폰 등의 통신 단말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PC 또는 통신 단말기 내부의 관리 프로그램 또는 관리용 앱을 통하여 제어부(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200)에 접속하여 중앙분리봉(100a~100h)의 관리 프로그램 또는 관리용 앱을 업로드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00) 또는 원격제어부(300)를 통하여 중앙 분리봉(100a~100h)의 포스트(10) 내부에 설치된 충격감지센서(11)를 이용하여 중앙 분리봉(100a)에 차량이 충돌시 충돌된 중앙 분리봉(100a)을 기준으로 전후 소정 거리(예를 들어, 충돌된 중앙 분리봉 기준 전후 100m)내에 위치된 모든 중앙 분리봉(100b~100h)의 경고등을 점멸시키도록 관리함으로써, 사고가 발생된 차량에 이어 연속적인 추가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중앙 분리봉(100a~100h)의 현재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포스트(10)의 외표면에는 살균, 소독 기능 등을 가진 방향제 물질이 코팅됨에 따라, 살균, 살충 등의 작용을 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비율은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독활 30중량%, 으름덩굴 25중량%, 황금 25중량%, 시트로넬라 2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기능성 오일 중 독활(Udo)은 두릅나무과에 속하고, 화학적 구성요소로는 Humulene, Limonen 등을 들 수 있으며 세균 독성효과가 우수하고 항균작용 등에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으름덩굴(Five-leaf akebia, Chocolate vine)은 화학적 구성요소로는 Betulin, Oumarin 등을 들 수 있으며 항균, 살균효과 등이 우수하다.
황금(Skullcap)은 꿀풀과에 속하고, 화학적 구성요소로는 Baicalein, Scutellarein 등을 들 수 있으며 항균, 살균작용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시트로넬라(Citronella)는 주된 화학성분으로는 citronellal, geraniol 등을 들 수 있고, 살균, 살충효과 등이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포스트(10)의 외표면에 코팅됨에 따라 살균, 살충 등의 작용을 하여 포스트(10)의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20)의 재질은, 구상흑연주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상흑연주철은, 이반 회주철의 용탕에 마그네슘 등을 첨가하여 응고과정에서 흑연이 구상으로 정출된 주철이므로 회주철에 비하여 흑연의 형태가 구상이다. 이러한 구상흑연주철은 노치효과가 적기 때문에 응력 집중 현상이 감소되어 강도와 인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탄성부재(20)는 구상흑연주철을 1520∼1580℃로 가열시켜서 용탕으로 만든 다음 탈황처리를 하며, 마그네슘이 0.3∼0.7%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고 1455∼1495℃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구상흑연주철을 1520℃ 미만으로 가열하면 전체 조직이 충분히 용융되지 못하며, 1580℃를 초과하여 가열시키면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낭비된다. 그러므로 구상흑연주철을 1520∼158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된 구상흑연주철에는 마그네슘이 0.3∼0.7%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는 바, 마그네슘이 0.3% 미만이면 구상화 처리제를 투입효과가 극히 미미해 지며, 0.7%를 초과하면 구상화 처리제의 투입효과가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고가의 재료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구상화 처리제의 마그네슘 혼합비율은 0.3∼0.7% 정도가 적합하다.
용융된 구상흑연주철에 구상화 처리제가 투입되면 이를 1455∼1495℃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다. 구상화 처리 온도가 1455℃ 미만이면 구상화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1495℃를 초과하면 구상화 처리 효과가 크게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낭비된다. 그러므로 구상화 처리 온도는 1455∼1495℃가 적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중앙 분리봉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관리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포스트 11: 충격감지센서
12: 반사지 13: 교통안전 표시로고
14: 제1 결합봉 15: 경고등
20: 탄성부재 30: 받침대
31: 하단부 32: 앵커볼트
33: 제2 결합봉 200: 제어부
300: 원격제어부

Claims (3)

  1.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충격감지센서(11)가 구비되고, 외측면에 반사지(12)와 교통안전 표시로고(13)가 부착되며, 하단부(31)에 제1 결합봉(14)이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포스트(10);
    하단부(31)가 바닥에 고정되도록 설계되고, 상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 결합봉(33)이 형성되는 받침대(30); 및
    상기 포스트(10)와 받침대(30) 사이에 결합 고정되는 탄성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20)는 그 일측이 상기 제1 결합봉(14)에 끼워지고, 상기 일측의 반대인 타측은 상기 제2 결합봉(33)에 끼움 고정되어 상호 인장력을 가지며,
    상기 포스트(10)의 외표면에는 방향제 물질이 코팅되고, 상기 방향제 물질은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상기 기능성 오일은 독활 30중량%, 으름덩굴 25중량%, 황금 25중량%, 시트로넬라 20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대(30)는 내충격성을 강화하기 위한 폴리프로필렌 강화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되, 상기 폴리프로필렌 강화수지 조성물은 알파 올레핀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와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가 반응기 내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된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함량이 0.5~7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또는 부텐 함량이 1~15중량%인 부텐-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중 선택된 하나의 랜덤 공중합체(a) 75~95 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5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b) 5~25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수지(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분리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0)는 폴리우레탄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분리봉.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앙 분리봉(100a~100h)이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중앙 분리봉(100a~100h)의 포스트(10)에는 적어도 하나의 경고등(15)이 구비된 교통안전관리시스템이고,
    상기 중앙 분리봉(100a~100h)에 구비된 충격감지센서(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200)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충격감지센서(11)에 의하여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충격이 감지된 중앙 분리봉(100a)을 기준으로 소정 거리 내에 배치된 중앙 분리봉(100b~100h)의 경고등(15)의 점멸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분리봉을 이용한 교통안전관리시스템.
KR20130018485A 2013-02-21 2013-02-21 중앙 분리봉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관리시스템 KR101487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8485A KR101487206B1 (ko) 2013-02-21 2013-02-21 중앙 분리봉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8485A KR101487206B1 (ko) 2013-02-21 2013-02-21 중앙 분리봉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694A KR20140104694A (ko) 2014-08-29
KR101487206B1 true KR101487206B1 (ko) 2015-01-29

Family

ID=51748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8485A KR101487206B1 (ko) 2013-02-21 2013-02-21 중앙 분리봉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2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5598A (ko) 2015-09-23 2017-03-31 정성길 모듈화된 스펀지형 차선 분리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874B1 (ko) * 2015-11-09 2017-03-22 신도산업 주식회사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용 가이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1253A (ja) * 1997-09-09 1999-03-26 Sanesu Kogyo:Kk サインポスト
KR200252836Y1 (ko) * 2001-07-21 2001-11-17 김진태 안전표시봉
KR100977609B1 (ko) * 2009-07-17 2010-08-23 엔플랜 주식회사 중앙분리대의 엘이디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1253A (ja) * 1997-09-09 1999-03-26 Sanesu Kogyo:Kk サインポスト
KR200252836Y1 (ko) * 2001-07-21 2001-11-17 김진태 안전표시봉
KR100977609B1 (ko) * 2009-07-17 2010-08-23 엔플랜 주식회사 중앙분리대의 엘이디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5598A (ko) 2015-09-23 2017-03-31 정성길 모듈화된 스펀지형 차선 분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694A (ko) 2014-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2082B2 (en) Impact absorbing barrier assembly
KR101487206B1 (ko) 중앙 분리봉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관리시스템
CN109898441A (zh) 市政工程用防撞护栏
CN204418053U (zh) 一种固定式路桩
CN210657985U (zh) 一种新型安全可靠的桥梁防护栏
AU2008229948B2 (en) An Impact Absorbing Pole
CN205329590U (zh) 一种公路防护栏
CN211773125U (zh) 一种智能交通安全护栏
KR102168269B1 (ko) 다목적 시선 유도봉
CN204510106U (zh) 公路桥梁防撞装置
CN206090403U (zh) 一种用于市政公路的机动车隔离栏
CN112176864A (zh) 一种桥梁分隔护栏结构
CN214363128U (zh) 一种道路桥梁的防撞保护栏
CN217325128U (zh) 一种可回弹防撞警示柱
CN201010872Y (zh) 自发光弹性防撞器
CN215925755U (zh) 一种市政道路工程用警示装置
CN207498820U (zh) 一种能自动报警的防撞桥梁护栏
KR102604831B1 (ko) 자외선 안정도를 향상시킨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친환경 바이오매스 tpu재질의 차선분리대
CN220057742U (zh) 一种具备公路城市感应智能化安全弹性护栏
KR200305612Y1 (ko) 콘크리트로 형성된 자동차 충돌방지대
CN213630313U (zh) 一种带绿化功能的道路灯柱树木景观撞击缓冲装置
KR101039495B1 (ko) 고 에너지 효율을 갖는 차선용 안전 규제봉
CN203755206U (zh) 一种高速公路护栏板和防撞护栏
CN114808789B (zh) 一种柱体受到撞击后可重复利用的智能限宽警示柱
KR200335019Y1 (ko) 도로 경계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