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019Y1 - 도로 경계봉 - Google Patents

도로 경계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019Y1
KR200335019Y1 KR20-2003-0027876U KR20030027876U KR200335019Y1 KR 200335019 Y1 KR200335019 Y1 KR 200335019Y1 KR 20030027876 U KR20030027876 U KR 20030027876U KR 200335019 Y1 KR200335019 Y1 KR 2003350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tension spring
boundary bar
road boundary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규
노재수
Original Assignee
조은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조은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20-2003-0027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0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0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01F9/629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 경계봉에 관한 것이다.
특히, 내측으로 인장스프링이 구비되고 외주면으로 반사띠가 설치되는 몸체와, 도로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인장스프링을 통해 탄성연결되는 받침대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대의 상부로 동일한 다수개의 몸체가 상호 탄성 연결되어 소정각도 유동토록 적층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에따라, 차량의 충돌시 경계봉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로 경계봉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주행 시야를 확보하여 먼 거리에서도 도로의 중앙선이나 경계선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로 경계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 경계봉{A ROAD BOUNDARY BAR}
본 고안은 도로 경계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상부에 형성된 인입홈으로 걸림편이 형성되고 개방되는 저부 소정공간에 설치된 연결고리에 인장스프링이 고정 구비되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소정공간 내측에 장착된 인장스프링가 걸려 고정토록 상부에 걸림고리가 설치되는 받침대로서 이루어져,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차량의 충돌시 그 충격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시키고, 경계봉이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도로의 차량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도로 경계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나 일반도로에는 중앙분리대와 같이 중앙선을 분리시키거나 차선의 침입을 방지하는데 사용하거나, 공사현장에서 차선을 구획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을 표시하기 위하여 도로 경계봉이 설치되어 차량의 소통을 원활하게 진행토록 하고 있다.
종래의 경계봉은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받침판으로 이루어지는데, 운전자가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색깔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판은 상기 몸체의 저면에 장착되어 도로 경계봉이 도로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됨으로서, 차선을 구획하고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로 경계봉은 차량의 추돌시에 작용하는 추돌력으로 차량과 경계봉 양측에 파손이 발생되고, 파손된 도로 경계봉의 경우 그에 대한 교체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구부러지거나 파손된 경계봉에 의해 야간 운전시 자동차의 통행이 방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언덕에서 평지로 이어지는 굴곡이 심한 도로나 안개가 많이 발생되는 산간 도로에서는 도로 경계봉의 길이가 짧아 도로의 중앙선이나 경계선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여 주행하던 차량이 중앙선을 침범하거나 경계선을 넘는 경우 자칫 대형사고로 까지 이어질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충돌시 경계봉의 탄성력에 의해 소정각도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도로의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굴곡이 심한 도로나 안개 낀 도로에서와 같이 도로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지역에는 몸체를 장길이로 적층 조절함으로서 먼 거리에서도 도로의 중앙선이나 경계선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 경계봉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 경계봉의 몸체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 경계봉을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 경계봉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봉의 설치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몸체 110...인입홈
120...걸림편 130...인장스프링
140...연결고리 150...반사띠
200...받침대 210...걸림고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부에 형성된 인입홈으로 걸림편이 형성되고, 개방되는 저부의 소정공간으로 인장스프링의 일단이 고정 장착토록 연결고리가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반사띠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소정공간 내측에 장착된 인장스프링의 단부가 걸려 고정토록 상부에 걸림고리가 설치되는 받침대로서 이루어져 다수개의 몸체가 상기 걸림편과 연결고리에 탄성 연결되는 인장스프링을 통해 상호 적층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데,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몸체는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다수개 적층시 소정각도 용이하게 유동토록 그 상부가 반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내측의 소정공간으로 인장스프링(130)이 구비되는 다수개의 몸체(100)와, 도로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로 상기 몸체(100)에 탄성 연결되는 받침대(200)로 크게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0)는 상부에 형성된 인입홈(110)으로 걸림편(120)이 형성되고, 개방되는 저부의 소정공간으로 인장스프링(130)의 일단이 고정 장착토록 연결고리(140)가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반사띠(15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0)는 내측에 구비된 인장스프링(130)에 의해 서로 다른 몸체(100)가 탄성 연결토록 제1몸체(100)와 제2몸체(100) 및 제3몸체(100)가 적층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몸체(100)의 갯수에 따라 전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몸체(100)의 연결고리(140)에 일단이 연결되는인장스프링(130)은, 타단으로 상기 제2몸체(100)의 걸림편(120)에 결속 고정하고 상기 인장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다수개의 몸체(100)가 적층 연결되도록 하며, 그 적층 길이는 30cm ~ 50cm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다수개 적층시 원활한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몸체(100)의 상부는 반구형으로 형성하고, 저부의 소정공간은 상부의 반구형과 대응되는 오목한 타원 곡면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적층시 최하단부에 설치되는 몸체(100)에는, 도로에 고정되는 받침대(200)가 연결되는데, 상기 받침대(200)는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면(220)을 갖고, 상기 돌출면(220)의 중앙으로 인장스프링(130)과 연결되는 걸림고리(210)가 설치되며, 도로면과는 볼트와 너트를 통해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차량이 충돌후 받침대(200)의 고정점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유동 후 복원토록 도로면에 고정 설치된 받침대(200)의 상부에 다수개의 몸체(100)가 인장스프링(130)을 통해 탄성 적층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너트와 볼트를 통해 상기 받침대를 지면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의 상부 돌출면에 설치된 걸림고리에 인장스프링의 일단부를 걸어 고정하며, 상기 인장스프링의 타단부는 상기 받침대의 걸림편에 걸어 상기 몸체와 받침대가 상호 탄성 연결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받침대에 연결된 몸체를 제1몸체로 하여 최하단에 위치시키고, 다른 하나의 제2몸체를 상기 제1몸체의 상부에 상기 인장스프링을 통해 탄성 연결하며, 또 다른 하나의 제3몸체를 상기 제2몸체의 상부에 탄성 연결하여 필요한 길이 만큼의 몸체 길이가 형성되도록 적층시킨다.
물론,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제3몸체를 상기 인장스프링을 통해 상호 적층시킨 후, 최저단부에 설치된 제1몸체에 받침대를 연결하여 도로면에 고정 설치하여도 좋다.
한편,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의 적층되는 수는 설치되는 장소나 환경에 따라 자유로이 조절하여 도로 경계봉 전체의 길이를 적정 높이로 조정할 수 있다. 예컨데, 외주면을 따라 반사띠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를 통상의 도로에서는 몸체 3개를 사용하여 30cm ~ 50cm의 적층 길이를 갖도록 하고, 골곡이 심한 언덕이나 비탈길에서와 같이 경계봉을 인지하기 어려운 지형에서는 상기 몸체를 다수개 더 적층시켜 경계봉의 길이를 연장하여 용이하게 경계봉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로의 경계선이나 중앙선에 소정각도 유동가능한 탄성력을 갖도록 설치함으로서 차량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력으로 경계봉에 손상이 발생되고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고 후에도 원활한 차량의 통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로의 지형에 따라 도로 경계봉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서 주행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도로의 중앙선이나 경계선을 바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 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혀 두고자 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차선을 구획하는 경계봉이 지면에서 탄성에 의해 소정각도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에 의해 충돌되거나 접촉되어 경계봉이 구부러지거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로에서 안전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언덕에서 평지로 접어드는 굴곡도로 혹은 안개 낀 도로 등, 주행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도로에 다수개의 몸체를 소정높이까지 적층 설치함으로서 먼 거리에서도 도로의 중앙선이나 경계선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도로의 차선을 구획하는 도로 경계봉에 있어서,
    상부에 형성된 인입홈(110)으로 걸림편(120)이 형성되고, 개방되는 저부 소정공간으로 인장스프링(130)의 일단이 고정 장착토록 연결고리(140)가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반사띠(150)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100)와,
    도로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몸체(100)의 소정공간 내측에 장착된 인장스프링(130)의 단부가 걸려 고정토록 상부에 걸림고리(210)가 설치되는 받침대(200)로서 이루어져, 다수개의 몸체(100)가 상기 걸림편(120)과 연결고리(140)에 탄성 연결되는 인장스프링(130)을 통해 상호 적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기 받침대(200)의 상부에 다수개 적층시 소정각도 용이하게 유동토록 그 상부가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봉.
KR20-2003-0027876U 2003-08-29 2003-08-29 도로 경계봉 KR2003350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876U KR200335019Y1 (ko) 2003-08-29 2003-08-29 도로 경계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876U KR200335019Y1 (ko) 2003-08-29 2003-08-29 도로 경계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019Y1 true KR200335019Y1 (ko) 2003-12-01

Family

ID=4942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876U KR200335019Y1 (ko) 2003-08-29 2003-08-29 도로 경계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0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269B1 (ko) * 2020-03-18 2020-10-21 이수철 다목적 시선 유도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269B1 (ko) * 2020-03-18 2020-10-21 이수철 다목적 시선 유도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9605B2 (en) Delineator mounting system
US8282082B2 (en) Impact absorbing barrier assembly
US5769563A (en) Highway warning device
US6267529B1 (en) Flexible traffic post
US4486117A (en) Flexible traffic standard
US7423552B2 (en) “Warning Bump” traffic safety device
JP3823179B2 (ja) 歩行者横断防止柵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KR200335019Y1 (ko) 도로 경계봉
KR102071829B1 (ko) 가드레일 지주용 델리네이터
JP2017096028A (ja) 逆走防止装置
WO2001011146A1 (en) A barrier
KR102168269B1 (ko) 다목적 시선 유도봉
KR200400223Y1 (ko) 노면 부착식 차선 표지구
JP2007031950A (ja) 道路標識柱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68967B1 (ko)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사고 알림 스마트 가드레일
KR0131498Y1 (ko) 도로 표지병
KR200331575Y1 (ko) 도로분리 표시대
CN210458841U (zh) 一种侧石
KR200184682Y1 (ko) 차량 통행 규제기구
KR100910966B1 (ko) 교통안전표시판 부착구를 겸하는 교통안전표시용 반사체
KR100472091B1 (ko) 도로용 고탄력 중앙/차선 분리대
JP3223345U (ja) 光反射具
KR200311383Y1 (ko) 곡선도로 표시기능이 부가된 델리네이터
KR200311387Y1 (ko) 가드레일 및 중앙분리대 결합용 안전표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