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874B1 -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용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용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874B1
KR101718874B1 KR1020150156449A KR20150156449A KR101718874B1 KR 101718874 B1 KR101718874 B1 KR 101718874B1 KR 1020150156449 A KR1020150156449 A KR 1020150156449A KR 20150156449 A KR20150156449 A KR 20150156449A KR 101718874 B1 KR101718874 B1 KR 101718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module
emitting modul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순
권성일
Original Assignee
신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6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8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certain areas located on the lighting device, e.g. a touch sens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02S50/10Testing of PV devices, e.g. of PV modules or single PV cells
    • H05B37/022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내부공간(12)이 형성되는 장치몸체(10)와, 상기 장치몸체(10)의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장착통공에 장착되되 상기 장치몸체(10)의 장착통공의 외측으로 태양광집광판(70)이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집광모듈(30)과, 상기 장치몸체(10)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집광모듈(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집광모듈(30)로부터 전달된 전기에너지를 통해 상기 장치몸체(10) 외측으로 발광하는 발광모듈(20) 및 센서모듈(100,200)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모듈(100,200)은 상기 장치몸체(10)에 구비되고 광량, 외부물체의 상기 장치몸체(10)에 대한 접근 또는 상기 장치몸체(10)에 가해지는 충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상기 발광모듈(2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물체가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거나 또는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발광모듈(20)의 발광부(90)가 설정된 발광패턴에 따라 활성화됨으로써, 운전자에게 보다 능동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거나 가이드장치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전용 가이드장치의 성능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용 가이드장치{Guide apparatus for safety using solar energy}
본 발명은 안전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사장이나 도로 등을 구획하여 차량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으로 특히 태양광을 이용하여 야간의 시인성을 개선한 안전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상이나 공사장에는 차량의 통행금지나 운행제한 및 운행안내 등을 표시해주는 각종의 교통안내부재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교통안내부재는 크게 2가지로 나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종 교통안내부재는 차량의 통행금지나 운행제한 및 운행안내와 같은 단순한 교통안내수단으로서의 역할만을 수행하는 교통안내부재와, 이에 더하여 차량이 각종 시설물이나 각종 분리대 등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호해주면서도 차량이 충돌할 경우에 충돌하는 차량의 충격력을 다소간 흡수하여 차량내 탑승자를 보호해주는 충격흡수수단으로서의 역할까지 겸하는 교통안내부재가 있다.
상기한 교통안내수단과 충격흡수수단의 역할까지 겸하는 교통안내부재로는 교통안전용 충격흡수탱크가 있는데, 상기한 충격흡수탱크는 도로상에 있는 장애물 주변을 둘러 설치하거나, 도로가 분기되는 분기 시작점에 설치하여 도로시설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차량과 운전자를 보호하도록 한다.
종래의 충격흡수탱크 등과 같은 안전용 가이드장치의 경우 야간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전기를 공급받아 광을 제공하는 윙카호스를 충격흡수탱크와 시선유도콘에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즉, 다수개의 충격흡수탱크이나 시선유도콘을 소정 거리 떨어지게 열을 지어 설치하고 이들에 윙카호스를 연결하여 발광하여 야간에 시인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이 윙카호스를 사용하게 되면 발광을 위해 항상 전원을 공급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특히 전원을 공급하기가 어려운 곳에서는 윙카호스를 사용할 수 없어 야간에 시인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윙카호스 등 기존의 안전용 가이드장치에 사용되는 발광원은 주변상황에 관계없이 온(on) 상태이거나 오프(off) 상태로 유지되므로 가이드장치 자체의 존재를 주변에 인지시키는데 그친다. 따라서, 변화하는 주변 상황을 반영하여 장애물(가이드장치)에 대한 시인성을 보다 높일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454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공급 없이도 야간 및 어두운 환경에서 시인성을 높인 안전용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용 가이드장치가 사용되는 환경에 보다 능동적으로 반응하도록 하여 시인성을 보다 높이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장치몸체와, 상기 장치몸체의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장착통공에 장착되되 상기 장치몸체의 장착통공의 외측으로 태양광집광판이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집광모듈과, 상기 장치몸체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집광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집광모듈로부터 전달된 전기에너지를 통해 상기 장치몸체 외측으로 발광하는 발광모듈과, 상기 장치몸체에 구비되고 광량 및 외부물체의 상기 장치몸체에 대한 접근 을 감지하여 상기 발광모듈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모듈에는 광량을 측정하는 광센서가 포함되어 상기 장치몸체에 전달되는 외부 광량을 측정하고, 상기 광센서에 의해 측정된 광량에 따라 상기 발광모듈이 활성화되고, 상기 센서모듈에는 충격감지센서가 포함되고, 상기 충격감지센서는 상기 장치몸체에 충격이 가해지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발광모듈의 비상기능을 활성화하되, 상기 비상기능은 발광모듈의 점등방식을 변경하는 방식, 발광모듈이 점등되는 시간간격을 줄이는 방식, 또는 발광모듈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색상을 변경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모듈에는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장치몸체의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다수개의 발광부가 포함된다.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장치몸체에 대한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센서에 의해 외부물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상기 다수개의 발광부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점등되도록 활성화한다.
상기 광센서에 의해 측정된 광량이 일정크기 이상일 경우에 상기 집광모듈의 집광기능이 활성화된다.
상기 광센서에 의해 측정된 광량이 일정크기 이하인 경우에 상기 발광모듈이 활성화되되, 상기 광센서에 의해 측정된 광량의 크기에 따라 상기 발광부에 의해 조사되는 광량이 달라지거나 발광되는 발광부의 개수가 달라진다.
상기 집광모듈은 내부가 관통된 집광케이스와, 상기 집광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고 안착단이 요입된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안착단에 안착되어 집광기능을 수행하는 집광판과, 상기 집광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집광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다수개의 발광부와 각각 와이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집광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집광판으로부터 전달된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가 구비되고, 상기 집광케이스와 상기 장치몸체 사이에는 보강브라켓이 구비된다.
상기 집광케이스와 상기 보강브라켓에는 서로 대응되는 결합가이드와 가이드홈이 각각 구비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용 가이드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엘이디가 발광하며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므로 주간에는 집광판이 집광하여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배터리에 충전하고 야간에는 배터리에 있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발광부가 발광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전원공급부가 필요 없으므로 안전용 가이드장치의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비용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외부물체가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거나 또는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발광모듈의 발광부가 설정된 발광패턴에 따라 활성화됨으로써, 운전자에게 보다 능동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거나 가이드장치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전용 가이드장치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태양에너지를 집광하는 집광모듈과 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모듈이 서로 이격되어 전선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발광모듈 또는 집광모듈 중 어느 하나의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부분만 분리하여 수리하거나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보수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유지비용이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용 가이드장치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용 가이드장치의 발광부로부터 빛이 조사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용 가이드장치의 일실시례로부터 집광모듈이 분리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집광모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용 가이드장치의 일실시례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실시례에 의한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용 가이드장치(이하 '가이드장치'라 한다)는 충격흡수탱크이다. 충격흡수탱크는 도로상에 있는 장애물 주변을 둘러 설치하거나, 도로가 분기되는 분기 시작점에 설치하여 도로시설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차량과 운전자를 보호하도록 하는 것으로, 그 외관 및 골격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장치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장치몸체(10)는 내부에 내부공간(12)이 형성된 입체형상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장치몸체(10)는 전체적으로 대략 육면체 형상이나, 전면이 곡면으로 된다. 상기 장치몸체(10)의 횡단면을 볼 때, 선단 부분은 반원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물론, 상기 장치몸체(10)의 형상이 반드시 도시된 것과 같을 필요는 없고, 선단이 다른 부분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참고로 도면에는 상기 내부공간(12)이 상부로 개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내부공간(12)은 별도의 커버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장치몸체(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단펜스(13)가 형성된다. 상기 상단펜스(13)는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치몸체(10)의 선단에서는 다른 부분에 비해 폭이 두껍게 만들어진다. 상기 상단펜스(13)의 높이와 폭은 각각의 장치몸체(10)의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상단펜스(13) 중에서 상기 장치몸체(10)의 후단에 대응되는 부분 일측에는 절단채널(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단채널은 상기 상단펜스(13)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장치몸체(10)의 상면에서 상기 상단펜스(13)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외부와 연통되게 한다.
상기 장치몸체(10)의 외측면을 둘러서는 표시부(11)가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11)는, 예를 들면 반사지가 부착되어 운전자들에게 충격흡수탱크에 대한 시각적 인식이 잘 되도록 한다.
상기 장치몸체(10)의 전면에는 발광모듈설치홈(15)이 요입된다. 상기 발광모듈설치홈(15)은 상기 장치몸체(10)로부터 소정의 깊이만큼 요입되어 형성되는데, 여기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발광모듈(20)의 발광부(90)가 설치된다. 상기 발광모듈설치홈(15)에 의해 발광부(90)는 장치몸체(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발광모듈설치홈(15)은 총 3개가 구비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한편, 상기 장치몸체(10)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는 결합돌출부(1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상단펜스(13)에는 결합돌출부(18)가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장치몸체(10)의 후단에 해당되는 부분에 상기 결합돌출부(18)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출부(18)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출부(18)는 장치몸체(10) 저면에 요입된 결합홈부(미도시)와 대응되는 것으로, 다수의 충격흡수탱크를 적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장치몸체(10)의 상단펜스(13)에는 장착통공(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통공은 아래에서 설명될 집광모듈(30)이 설치되는 부분으로, 상기 장착통공은 상기 상단펜스(13)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참고로 도 3에는 상기 장착통공에 보강브라켓(40)이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몸체(10)의 발광모듈설치홈(15)에는 발광모듈(20)이 설치된다. 상기 발광모듈(20)은 장치몸체(10)의 외측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발광모듈(20)은 LED를 이용한 델리네이터(delineator)이다. 즉, 발광모듈(20)의 발광부(90)는 LED를 발광원으로 하는 델리네이터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발광모듈(20)은 야간 운행 시 운전자가 차선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또 운행 중인 자동차가 차선을 침범하지 않도록 유도하는 것인데, 본 실시례에서는 가이드장치가 주로 중앙분리대와 같이 차량의 통행이 빈번한 위치에 설치되므로 운전자가 가이드장치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경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광모듈(20)은 평판으로 형성된 전면 커버를 통해 LED로부터 발광된 빛을 외부로 발산시키게 된다. 여기서 발광모듈(20)은 전면 커버 및 반사경을 포함한 다수개의 평판부품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LED는 전면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여 집광모듈(30)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발광모듈(20)은 총 3개의 발광부(90)를 포함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발광부(90)의 개수는 충격흡수탱크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참고로 도 5에는 발광부(90)의 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보듯이 발광부(90)는 LED일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될 집광모듈(30)의 단자부(80)와 이격되되 그 사이는 와이어(W)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장치몸체(10)의 상단펜스(13)에는 집광모듈(30)이 설치된다. 상기 집광모듈(30)은 장착통공에 그 상면이 드러나도록 설치되어, 태양광이나 그 밖의 광을 받아 이를 전기에너지로 만들어 충전해 두고 주변에 광이 없을 때에는 상기 발광모듈(20)의 광원인 LED가 발광하도록 한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집광모듈(30)은 보강브라켓(4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단펜스(13)에 결합된다. 상기 보강브라켓(40)은 중앙에 설치통공(41)이 형성된 얇은 평판구조로, 상기 상단펜스(13)의 장착통공에 고정된다. 도면부호 44,45는 상기 보강브라켓(40)을 설치통공 주변에 설치하고, 후술할 집광케이스(50)와 결합되기 위해 체결구가 삽입되는 조립홀을 나타낸다.
상기 보강브라켓(40)의 설치통공(41) 가장자리에는 가이드홈(4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42)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집광케이스(50)가 보강브라켓(40)의 설치통공(4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홈(42)을 통해 후술할 집광케이스(50)의 결합가이드(55)가 삽입된다. 즉, 상기 가이드홈(42)은 결합가이드(55)와 협력하여 집광케이스(50)의 결합방향을 일정하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집광모듈(30)의 골격은 내부가 관통된 집광케이스(50)가 형성한다. 상기 집광케이스(5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스몸체(51)와, 상기 케이스몸체(51)의 상단에 구비되는 브라켓부(52)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몸체(51)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그 내부에 배터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단에는 안착플레이트(60)가 결합되고 하단에는 단자부(80)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집광케이스(50)에는 상항방향으로 개구된 수납공간(53)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53)에는 상기 배터리가 내장되며, 회로기판(미도시)이 수납될 수도 있다. 상기 회로기판은 집광판(70) 및 단자부(80)가 연결되어 각종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반드시 수납공간(53)에 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집광판(70)에 직접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발광모듈(20) 측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회로기판이 제어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몸체(51)에는 결합가이드(55)가 돌출되는데, 상기 결합가이드(55)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 상기 보강브라켓(40)의 가이드홈(42)을 통과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결합가이드(55)는 곡면형상의 외면을 갖는다. 물론 결합가이드(55)의 외면형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면부호 54는 집광케이스(50)와 보강브라켓(40) 사이의 결합을 위한 조립홀이다.
상기 케이스몸체(51)의 상단에는 안착플레이트(60)가 설치된다. 상기 안착플레이트(60)는 상기 케이스몸체(51)의 상단에 결합되고 그 중심에는 집광판(70)이 설치되는 안착단(62)이 요입된다. 상기 안착단(62)의 형상은 집광판(70)의 가장자리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단(62)은 사각형상으로 된다. 상기 안착플레이트(60)의 중심에는 통공(61)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집광판(70)과 회로기판 또는 배터리 등을 연결하는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다. 도며부호 64는 체결구가 삽입되는 체결홈을 나타낸다.
상기 안착단(62)에 안착되게 집광판(70)이 설치된다. 상기 집광판(70)은 광을 받아 전기에너지를 생산한다. 상기 집광판(70)은 상기 회로기판 및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집광판(70)의 상부에는 보호캡이 씌워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집광판(70)은 배터리와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는 단자부(80)를 통해 상기 발광부(9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치몸체(10)에는 센서모듈(100,200)이 구비된다. 상기 센서모듈(100,200)은 광량, 외부물체의 상기 장치몸체(10)에 대한 접근 또는 상기 장치몸체(10)에 가해지는 충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기 위한 것인데, 본 실시례에서는 광량을 측정하는 광센서(100)와 외부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센서(20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광센서(100)는 상기 집광모듈(30)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물론, 상기 집광모듈(30)이 광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광센서(100)는 상기 장치몸체(10)에 전달되는 외부의 광량을 측정하고, 상기 광센서(100)에 의해 측정된 광량이 일정크기 이상일 경우에 상기 집광모듈(30)의 집광기능이 활성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광센서(100)는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센싱한 내용을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광센서(100)에 의해 측정된 광량이 일정크기 이하인 경우에 이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상기 발광모듈(20)이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발광모듈(20)이 평소에는 점등된 상태로 유지되다가, 광량이 일정크기 이하가 되면 점멸동작을 수회 반복하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광량이 적은 야간이나 안개가 낀 상태 등의 경우에 광센서(100)가 이를 측정하여 발광모듈(20)을 활성화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센서(100)에 의해 측정된 광량의 크기에 따라 상기 발광모듈(20)의 활성화패턴이 다르게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센서(100)에 의해 측정된 광량의 크기에 따라 상기 발광모듈(2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발광부(90)에 의해 조사되는 광량이 달라지거나 발광되는 발광부(90)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광량이 더욱 줄어들 수록 발광부(90)에 의한 빛의 조사량이 증가할 수 있고, 또한 다수의 발광부(90)를 순차적으로 발광시켜 시인성을 더욱 높일 수도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는, 발광부(90)를 점등시키되, 상기 광센서(100)에 의해 측정된 광량의 크기가 줄어들수록 점등되는 시간간격을 줄이는 동작, 즉 점멸동작을 수행하여 시인성을 높일 수도 있다.
상기 센서모듈(100,200)은 상기 장치몸체(10)에 대한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센서(200)가 포함된다. 상기 접근센서(200)는 상기 장치몸체(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몸체(10)로 접근하는 물체를 인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접근센서(200)는 초음파센서, 레이저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일 수 있다.
상기 접근센서(200)는 가이드장치에 접근하는 외부물체, 예를 들어 자동차나 보행자를 감지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발광모듈(20)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접근센서(200)에 의해 외부물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상기 다수개의 발광부(90)가 순차적으로 점등되거나 또는 동시에 점등되도록 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접근센서(200)에 의해 감지된 외부물체가 상기 장치몸체(10)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짧아질수록 발광부(90)에 의해 조사되는 광량이 달라지거나, 발광되는 발광부(90)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으며, 또는 발광부(90)가 점등되는 시간간격을 줄여 시인성을 높일 수도 있다. 도면에는 상기 접근센서(200)가 1개만 도시되었으나, 상기 접근센서(200)는 상기 장치몸체(10)에 다수개가 다양한 각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발광모듈(20)에는 충격감지센서(미도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충격감지센서는 상기 장치몸체(10)에 충격이 가해지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발광모듈(20)의 비상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장치몸체(10)에 충돌하면 상기 충격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발광모듈(20)의 비상기능을 활성화하고, 이를 다음 차량에 인지시킴으로써 후속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비상기능은 발광부(90)의 점등방식을 변경하거나, 발광부(90)가 점등되는 시간간격을 줄이는 방식이 가능하며, 또는 발광부(90)가 다수개의 LED로 구성될 경우 LED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색상을 변경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용 가이드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장치는 일반적으로 도로의 분기점에 위치된다. 예를 들면 고가도로의 입구에 도로가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차량이 고가도로의 시설물에 직접 충돌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로와 인도 또는 도로와 공사영역을 구획하는 부분에 열을 지어 설치될 수도 있다.
가이드장치는 차량이 충돌했을 때,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도로 시설물 등에 차량이 직접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차량의 충격을 가이드장치가 먼저 흡수하여 차량을 보호함과 동시에 시설물도 보호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장치에 구비된 집광모듈(30)의 상기 집광판(70)은 집광하지 않을 때, 즉 가이드장치의 주변이 어두워서 집광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상기 발광모듈(20)은 점등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이드장치에서 상기 발광모듈(20)은 집광판(70)이 집광을 하고 있을 때, 다시 말해 태양광이 있거나 주변이 밝을 때에는 상기 발광부(90)가 발광하지 않는다. 이때에는 물론, 상기 발광부(90)가 발광하지 않더라도 가이드장치를 주변과 식별하는 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상기 집광판(70)에 의해 만들어진 전기에너지가 배터리에 충전되었다가 주변에 광이 없을 때 사용된다. 따라서, 주간에 배터리를 충전해 두었다가 야간에 발광부(90)가 발광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전원이 필요없고, 자동적으로 발광부(90)가 점등된다.
또한, 상기 광센서(100) 또는 집광모듈(30)에 의해 측정된 광량이 일정크기 이하인 경우에 이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상기 발광모듈(20)이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량이 적은 야간이나 안개가 낀 상태 등의 경우에 광센서(100)가 이를 측정하여 발광모듈(20)을 활성화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근센서(200)에 의해 외부물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발광부(90)가 순차적으로 점등되거나 또는 동시에 점등되는 방식의 점멸동작으로 발광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또는 접근센서(200)에 의해 감지된 외부물체가 상기 장치몸체(10)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짧아질수록 발광부(90)에 의해 조사되는 광량이 달라지거나, 발광되는 발광부(90)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으며, 또는 발광부(90)가 점등되는 시간간격을 줄여 시인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드장치는 센서모듈(100,200)을 통해 주변 상황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반응하여 시인성을 높임으로써, 가이드장치의 안내기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발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례에 의한 가이드장치는 태양에너지를 집광하는 집광모듈(20)과 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모듈(30)이 서로 이격되어 전선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발광모듈(30) 또는 집광모듈(20) 중 어느 하나의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부분만 분리하여 수리하거나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례에서는 가이드장치가 충격흡수탱크인 것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 가이드장치는 시선유도콘이나 안전용 드럼일 수도 있다.
10: 가이드몸체 11: 표시부
15: 발광모듈설치홈 18: 결합돌출부
20: 발광모듈 30: 집광모듈
40: 보강브라켓 50: 집광케이스
51: 케이스몸체 52: 브라켓부
53: 수납공간 55: 결합가이드
60: 안착플레이트 62: 안착단
70: 집광판 100: 광센서
200: 접근센서

Claims (9)

  1.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장치몸체와,
    상기 장치몸체의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장착통공에 장착되되 상기 장치몸체의 장착통공의 외측으로 태양광집광판이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집광모듈과,
    상기 장치몸체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집광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집광모듈로부터 전달된 전기에너지를 통해 상기 장치몸체 외측으로 발광하는 발광모듈과,
    상기 장치몸체에 구비되고 광량 및 외부물체의 상기 장치몸체에 대한 접근 을 감지하여 상기 발광모듈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모듈에는 광량을 측정하는 광센서가 포함되어 상기 장치몸체에 전달되는 외부 광량을 측정하고, 상기 광센서에 의해 측정된 광량에 따라 상기 발광모듈이 활성화되고,
    상기 센서모듈에는 충격감지센서가 포함되고, 상기 충격감지센서는 상기 장치몸체에 충격이 가해지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발광모듈의 비상기능을 활성화하되, 상기 비상기능은 발광모듈의 점등방식을 변경하는 방식, 발광모듈이 점등되는 시간간격을 줄이는 방식, 또는 발광모듈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색상을 변경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용 가이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에는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장치몸체의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다수개의 발광부가 포함되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용 가이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장치몸체에 대한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센서에 의해 외부물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상기 다수개의 발광부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점등되도록 활성화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용 가이드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에 의해 측정된 광량이 일정크기 이상일 경우에 상기 집광모듈의 집광기능이 활성화되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용 가이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에 의해 측정된 광량이 일정크기 이하인 경우에 상기 발광모듈이 활성화되되, 상기 광센서에 의해 측정된 광량의 크기에 따라 상기 발광부에 의해 조사되는 광량이 달라지거나 발광되는 발광부의 개수가 달라지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용 가이드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모듈은
    내부가 관통된 집광케이스와,
    상기 집광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고 안착단이 요입된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안착단에 안착되어 집광기능을 수행하는 집광판과,
    상기 집광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집광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다수개의 발광부와 각각 와이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용 가이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집광판으로부터 전달된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가 구비되고, 상기 집광케이스와 상기 장치몸체 사이에는 보강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집광케이스와 상기 보강브라켓에는 서로 대응되는 결합가이드와 가이드홈이 각각 구비되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용 가이드장치.

KR1020150156449A 2015-11-09 2015-11-09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용 가이드장치 KR101718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449A KR101718874B1 (ko) 2015-11-09 2015-11-09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용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449A KR101718874B1 (ko) 2015-11-09 2015-11-09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용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8874B1 true KR101718874B1 (ko) 2017-03-22

Family

ID=5849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449A KR101718874B1 (ko) 2015-11-09 2015-11-09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용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8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028Y1 (ko) * 2001-11-21 2002-03-15 심상인 안개등과 유도등을 일체형으로 한 도로안전유도등장치
KR20040064540A (ko) 2003-01-13 2004-07-19 손영석 기능성 화장품
KR100657561B1 (ko) * 2006-05-10 2006-12-14 정욱조 차량 이탈 방지턱
KR101199818B1 (ko) * 2011-12-29 2012-11-09 (주)에이비엠그린텍 추적 방식의 태양 광 조명 장치
KR20140104694A (ko) * 2013-02-21 2014-08-29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앙 분리봉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028Y1 (ko) * 2001-11-21 2002-03-15 심상인 안개등과 유도등을 일체형으로 한 도로안전유도등장치
KR20040064540A (ko) 2003-01-13 2004-07-19 손영석 기능성 화장품
KR100657561B1 (ko) * 2006-05-10 2006-12-14 정욱조 차량 이탈 방지턱
KR101199818B1 (ko) * 2011-12-29 2012-11-09 (주)에이비엠그린텍 추적 방식의 태양 광 조명 장치
KR20140104694A (ko) * 2013-02-21 2014-08-29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앙 분리봉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95106B2 (en) Ground level illumination system
EA039644B1 (ru)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е дорожное ограждение
KR101250534B1 (ko) 충격흡수체를 이용한 범퍼형 가이드레일장치
KR102005383B1 (ko) 도로에 매립되어 신호 및 차선을 안내하는 주행유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유도시스템
KR101402335B1 (ko) 도로의 원점거리 표시장치
KR102339582B1 (ko) 신호등 연계 횡단보도 차단 시스템
KR101718874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용 가이드장치
KR100806209B1 (ko) 발광 과속 방지턱
KR102177286B1 (ko) 태양열 발전 기능을 구비한 과속 방지턱
KR200399041Y1 (ko) 표시장치 일체형 도로경계석
KR101499708B1 (ko) 도로 표지병
KR101607275B1 (ko) 도로 표지병
KR100378410B1 (ko) 중앙분리대용 안전운행 장치
KR102191716B1 (ko) 경고안내 표시형 차선분리대
KR102297986B1 (ko) Led부가 구비된 차선분리대
EP3359739B1 (en) Illumination system for a safety barrier, safety barrier therewith and kit of parts
KR200217054Y1 (ko) 중앙분리대용 안전운행 장치
KR100895698B1 (ko) 도로용 차선등
KR101655319B1 (ko)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차선 규제봉
KR100992284B1 (ko) 야생동물의 도로 진입방지를 위한 야간발광 시선유도구
KR200443602Y1 (ko) 거리 및 대피방향이 표시된 led시선유도등
KR102513325B1 (ko) 어린이 보호구역의 도로안전 표시 시스템
CN211943113U (zh) 信息显示车灯及车辆
CN211872762U (zh) 一种雾天用安全型道路防护柱
CN210946560U (zh) 智能道口警示标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