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774B1 -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774B1
KR101486774B1 KR20080069752A KR20080069752A KR101486774B1 KR 101486774 B1 KR101486774 B1 KR 101486774B1 KR 20080069752 A KR20080069752 A KR 20080069752A KR 20080069752 A KR20080069752 A KR 20080069752A KR 101486774 B1 KR101486774 B1 KR 101486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apparatus
signal
digital photographing
digita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69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064A (ko
Inventor
장영수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69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77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은 원하지 않은 외부충격이 가해졌을 때, 외부 충격을 감지한 신호를 입력받아, 기준 값보다 크면 광학 구동부가 이전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셔터, ND 필터 또는 조리개가 이전 상태로 유지되어 적정 자동 노출하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오동작, 자동 노출, 감지 신호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Method for preventing an error operation i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오동작 방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발생하는 외부 충격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하는 방법과, 오동작 방지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출이란 사진 촬영 시 필름이 감광하는데 가장 적합한 광량을 필름 또는 CCD에 조사하는 조작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의 조리개와 셔터 스피드를 조정하여 적절한 노출을 맞춘다. 노출이 적으면 사진이 어둡게 나오며, 노출이 심할 경우 너무 환하게 나와 촬영 대상의 색감이 정확히 표현되기 어렵다.
대부분의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채택하고 있는 자동 노출(AE) 기능은 셔터와 조리개의 연동을 이용한 것으로 조리개와 셔터 속도를 모두 알아서 결정해주는 프로그램 모드이다. 예를 들면 셔터 속도를 정해주면 그에 맞는 조리개수치를 알아서 제시하는 셔터속도 우선 모드, 조리개 수치를 정해주면 그에 맞는 셔터 속도를 제시하는 조리개 우선 모드 등이 자동 노출 기능의 여러 가지 방식이다.
한편,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원하지 않은 외부충격이 가해졌을 때, 셔터나 ND 필터, 또는 조리개가 오동작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정확한 자동 노출을 불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셔터나 ND 필터가 개방되어야 하나 닫혀버리거나, 닫혀야하나 개방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적정 자동 노출 상태가 아닌 조건에서 촬영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원하지 않은 외부충격이 가해졌을 때, 이를 감지하여 셔터, ND필터 또는 조리개가 이전상태로 유지되어 적정 자동 노출 상태에서 촬영 가능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노출 제어를 위해 광학 구동부가 제1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외부 충격을 감지하고, 이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감지 신호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광학 구동부가 상기 제1 상태를 유지하는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상태에 따른 노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구동 제어 신호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셔터 스피드, ND 필터 및 조리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상태로 유지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 신호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포함된 관성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 신호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포함된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 신호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포함된 EIS(Electrical image stabilization)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동작 방지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외부 충격을 감지하고, 이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광학 구동부의 구동 제어 신호를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노출 제어를 위해 광학 구동부가 제1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 신호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광학 구동부가 상기 제1 상태를 유지하는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상태에 따른 노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구동 제어 신호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셔터 스피드, ND 필터 및 조리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상태로 유지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 신호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포함된 관성 센서,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시스템 및 EIS(Electrical image stabilization)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은 원하지 않은 외부충격이 가해졌을 때, 외부 충격을 감지한 신호를 입력받아, 기준 값보다 크면 광학 구동부가 이전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셔터, ND 필터 또는 조리개가 이전 상태로 유지되어 적정 자동 노출하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 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블록도이다. 또한, 도 1과 함께 설명할 도 2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광학부(1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지털 카메라(100)는 광학부(10), 광학 구동부(11), 촬상소자(15), 촬상소자 제어부(16), 센서부(17), 조작부(20), 프로그램 저장부(30), 버퍼 저장부(40), 데이터 저장부(50), 표시 제어부(60), 데이터 구동부(61), 주사 구동부(63), 표시부(65)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70)를 포함한다.
광학부(10)는 피사체로부터의 광학 신호가 입력되어 촬상 소자(13)로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광학부(10)는 렌즈부(1), 셔터(2), ND 필터(3) 및 조리개(4)를 포함한다. 렌즈부(1)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2)는 빛을 차단시켜 주며 촬영 시 열려 빛을 조절해 준다. 예를 들면, 렌즈에 들어 있는 렌즈 셔터, 전자적으로 셔터가 제어되는 전자 셔터를 포함한다. 또한, 셔터(2)는 조리개(4)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킨다. ND 필터(3)는 카메라 렌즈 앞에 붙이는 것으로, 색깔은 그대로 두고 빛의 양만 줄이는 필터이다. 조리개(4)는 카메라 렌즈의 구경을 조절하여 CCD에 도달하는 빛의 밝기와 피사계 심도를 조절하는데, 조리개 구멍의 크기를 동심원 모양으로 연속하여 변화시키며 입사하는 광량을 조절한다. 여기서, 조리개(4)는 다단 조리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셔터(2), ND 필터(3) 및 조리개(4)는 광학 구동부(11)에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ON/OFF가 제어된다. 또한, 외부 충격이 발생함에 따라 셔터(2), ND 필터(3) 및 조리개(4)의 상태가 바뀌었을 때,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의 제어에 따라 이전 상태, 즉 외부 충격이 발생하기 전의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00)에 원하지 않는 외부 충격이 인가되었을 때 셔터, ND 필터, 조리개의 상태를 원래 상태, 충격이 발생하기 전의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오동작, 예를 들면 셔터(2)나 ND 필터(3)가 오동작하여 개방되어야 할 경우인데 닫히거나, 닫혀야 할 경우인데 개방되는 경우를 방지하여 적정한 자동 노출 상태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광학 구동부(11)는 렌즈의 위치, 셔터(2)의 개폐, ND 필터(3)의 개폐, 조리개의 개폐 등을 조절한다.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또한, 조리개의 개폐를 조절하여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광학 구동부(11)가 광학부(10)를 제어할 수 있다. 광학 구동부(11)는 모터 드라이버 IC(MDIC)를 포함하며,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의 제어하에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광학부(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5)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 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상기 촬상 소자(15)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5)는 촬상소자 제어부(16)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16)도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소자(15)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17)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외부 충격을 감지하고, 이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에 출력한다. 여기서, 센서부(17)는 관성 센서, 예를 들면 각속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모두 포함하며, 용어에 한정되지 않고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들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속도 센서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각 변화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각 변화량에 상응하는 센서 신호 값을 출력하는 센서이며, 가속도 센서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속도 변화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속도 변화량에 상응하는 센서 신호 값을 출력하는 센서이다.
더 구체적으로, 각속도 센서의 일종인 진동 자이로 센서(gyroscope sensor)를 사용할 수 있다. 진동 자이로 센서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3각 기둥 부재의 표면에 3개의 진동 소자를 붙이고, 물체의 운동시 발생하는 3각 기둥의 진동을 진동 토크로 변환하여 회전각속도를 전압의 변위량으로 검출하는 센서이다. 무 회전시에는 3각 기둥의 진동 소자들로부터 동일한 진폭이 출력되고, 회전시에는 3각 기둥이 변형을 받아 진동 소자들로부터 출력되는 진폭의 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진폭을 검파하여 이동체의 회전량을 검출한다. 여기서 진동 소자는 압전 세라믹 소 자, 압전 수정 소자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자이로 센서는 외부 충격을 판단하기 위하여 X축, Y축, Z축 방향으로 디지털 촬영 장치(100)가 움직일 때 이에 대응하는 움직임을 검지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X축, Y축의 2축 진동을 검출하는 하나의 진동 자이로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센서부(17)를 통해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것 외에,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 포함된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시스템 또는 EIS(Electrical Image Stabilization)시스템으로부터 외부 충격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조작부(2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상기 조작부(2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5)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이 있다. 조작부(20)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리모트 컨트롤러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30),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40),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상기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버퍼 저장부(40)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 충격이 발생하기 이전에 디지털 신호 처리부(70)가 광학 구동부(11)에 출력했던 이전 상태 신호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는 외부 충격에 따른 감지 신호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버퍼 저장부(40)로부터 이전 상태 신호를 읽어와, 이에 따른 제어 신호를 광학 구동부(11)에 출력함으로써 셔터(2), ND 필터(3) 및 조리개(4)의 이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60), 표시 제어부(60)로부터 입력되어 표시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61)와 주사 구동부(63), 데이터 구동부(61)와 주사 구동부(6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소정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65)를 포함한다. 표시부(65)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ED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를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는 촬상 소자(15)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사람의 시각에 맞게 영상 신호를 변환하도록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는 그 기능이 설정된 경우 오토화이트밸런스(Auto White Balance)나 오토익스포저(Auto Exposure)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러를 이용하여 그 크기를 조절하며, 압축하여 소정 형식의 이미지 파일을 형성한다. 반대로 이미지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기도 한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는 사진 촬영 전 라이브-뷰 모드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셔터-릴리즈 신호에 의해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해 상기와 같은 영상 신호 처리들을 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신호들 각각에 대해 다른 영상 신호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는 센서부(17)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광학 구동부(11)의 구동 제어 신호를 제어한다. 또한, 출력된 감지 신호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기 저장된 이전 상태 신호를 읽어와, 광학 구동부(11)가 이전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지털 촬영 장치의 셔터(2), ND 필터(3), 조리개(4)의 상태를 이전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 포함된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시스템 또는 EIS(Electrical Image Stabilization)시스템으로부터 외부 충격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감지 신 호가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광학 구동부(11)에 어떠한 제어 신호도 전송하지 않아 광학 구동부(11)가 새롭게 동작하지 않도록 하고, 이에 따라 현재 설정된 셔터(2), ND 필터(3) 및 조리개(4)의 설정대로 영상을 촬영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동작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00에서, 관성 센서로부터 외부 충격을 감지한다. 여기서는 관성 센서를 예로 들었지만,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다른 센서들 또는 디지털 촬영 장치에 포함된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시스템 또는 EIS(Electrical Image Stabilization)시스템이 외부 충격을 감지할 수도 있다. 단계 302에서, 감지 신호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임계값은 시스템 성능에 따라 임의로 결정할 수 있는 값이다. 단계 302의 판단 결과, 감지 신호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광학 구동부에 이전 광학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이전 광학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셔터, ND 필터, 조리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시킨다. 그리고 단계 308에서, 셔터, ND 필터, 조리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외부 충격이 있기 전의 상태에서 촬영함으로써 적정 노출을 유지하면서 촬영을 할 수 있다.
단계 302의 판단 결과, 감지 신호가 임계값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현재 설정된 셔터, ND 필터 또는 조리개의 설정 상태에 따라 촬영을 한다.
전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 면 본 발명이 카메라폰, 캠코더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학부(10)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동작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광학부 12: 렌즈부
17: 센서부 1: 렌즈부
2: 셔터 3: ND 필터
4: 조리개

Claims (11)

  1.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노출 제어를 위해 광학 구동부가 제1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외부 충격을 감지하고, 이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감지 신호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광학 구동부가 상기 제1 상태를 유지하는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상태에 따른 노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제어 신호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셔터 스피드, ND 필터 및 조리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상태로 유지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신호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포함된 관성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신호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포함된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신호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포함된 EIS(Electrical image stabilization)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7.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8. 오동작 방지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외부 충격을 감지하고, 이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광학 구동부의 구동 제어 신호를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노출 제어를 위해 광학 구동부가 제1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 신호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광학 구동부가 상기 제1 상태를 유지하는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상태에 따른 노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제어 신호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셔터 스피드, ND 필터 및 조리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상태로 유지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신호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포함된 관성 센서,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시스템 및 EIS(Electrical image stabilization)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KR20080069752A 2008-07-17 2008-07-17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KR101486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9752A KR101486774B1 (ko) 2008-07-17 2008-07-17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9752A KR101486774B1 (ko) 2008-07-17 2008-07-17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064A KR20100009064A (ko) 2010-01-27
KR101486774B1 true KR101486774B1 (ko) 2015-02-04

Family

ID=41817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69752A KR101486774B1 (ko) 2008-07-17 2008-07-17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7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220B1 (ko) 2017-02-06 202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의 떨림을 보정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1089220B2 (en) 2019-05-02 2021-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test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1869A (ja) * 1995-08-24 1997-03-07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JPH10340522A (ja) * 1997-06-09 1998-12-22 Sony Corp データ記録装置及びカメラ装置
KR100191166B1 (ko) * 1995-07-13 1999-06-15 윤종용 광학 카메라의 손떨림 감지에 의한 셔터동작 제어회로 및 그 방법
KR20080029126A (ko) * 2006-09-28 2008-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에서의 모터 탈조 검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166B1 (ko) * 1995-07-13 1999-06-15 윤종용 광학 카메라의 손떨림 감지에 의한 셔터동작 제어회로 및 그 방법
JPH0961869A (ja) * 1995-08-24 1997-03-07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JPH10340522A (ja) * 1997-06-09 1998-12-22 Sony Corp データ記録装置及びカメラ装置
KR20080029126A (ko) * 2006-09-28 2008-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에서의 모터 탈조 검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064A (ko)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860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흔들림 보정 방법 및 장치
JP4884417B2 (ja) 携帯型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045009B2 (en) Image-exposure systems and methods using detecting motion of a camera to terminate exposure
KR101531167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움직임에 따른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JP4916513B2 (ja) 撮像装置
KR20120071969A (ko) 손 떨림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904441B2 (en) Imaging device, imag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08289032A (ja) 撮像装置
JP2005215388A (ja) 交換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カメラシステム
JP5138525B2 (ja) 像振れ補正装置及び像振れ補正方法
JP2007206382A (ja) ぶれ検出装置、その制御方法、撮影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035964B2 (ja) 像ブレ補正装置、像ブレ補正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20070212040A1 (en) Photographic device with anti-shake function
KR10148677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JP2007199182A (ja) 防振機能付きカメラ
JP4974829B2 (ja) 撮像装置
JP7241138B2 (ja) ブレ検出装置、撮像装置、レンズ装置、撮像装置本体、ブレ検出方法、ブレ検出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2013778A (ja) 撮像装置
JP2007049652A (ja) カメラ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82232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JP6057529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4369350B2 (ja) 撮影装置
JP2007248672A (ja) 撮影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9015184A (ja) 撮像装置
KR101630293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