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293B1 -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293B1
KR101630293B1 KR1020090116536A KR20090116536A KR101630293B1 KR 101630293 B1 KR101630293 B1 KR 101630293B1 KR 1020090116536 A KR1020090116536 A KR 1020090116536A KR 20090116536 A KR20090116536 A KR 20090116536A KR 101630293 B1 KR101630293 B1 KR 101630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exposure time
shutter button
uni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0063A (ko
Inventor
강태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6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293B1/ko
Publication of KR20110060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앞 면에 구비된 제1 표시부와 뒷 면에 구비된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로 저조도 환경에서 노출 시간을 길게 설정하여 촬영시, 노출 시간 동안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피사체를 향하는 제1 표시부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피사체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영상을 제공한다.
듀얼 디스플레이 카메라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복수개의 표시부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야경, 야경 인물과 같은 저조도 환경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광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고감도로 촬영하거나, 조리개를 많이 개방하거나, 플래시를 발광해야만 흔들림이 적은 영상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방법을 사용하여 촬영한 영상의 경우 노이즈가 많고, 빛 갈라짐 현상이 표현되지 않으며, 피사체와 배경을 동시에 선명하게 촬영하기 어렵다.
그러나, 저조도 환경에서 원하는 영상을 얻기 위하여 노출 시간을 길게 할 경우, 피사체는 긴 노출 시간을 예측하지 못하고 움직여 버려서 선명한 영상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본 발명은 저조도 환경에서도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복수개의 표시부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앞 면에 구비된 제1 표시부와 뒷 면에 구비된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저조도 환경의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오프(OFF)되어 있던 상기 제1 표시부를 온(ON)하는 단계; 입력 영상에 대하여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표시부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앞 면은 렌즈부가 배치된 면이며, 상기 뒷 면은 렌즈부가 배치된 면의 반대쪽 면이다.
여기서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제2 셔터 버튼이 입력된 후 셔터 및 조리개가 닫히기 전까지 노출 시간동안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경고 메시지가 노출 시간 동안 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렌즈부가 배치된 면에 구비된 제1 표시부와, 상기 렌즈부가 배치된 면의 반대쪽에 구비된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저조도 환경의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오프(OFF)되어 있던 제1 표시부를 온(ON)하는 단계; 제1셔터 버튼이 입력되면, 촬영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제2셔터 버튼이 입력된 후 셔터 및 조리개가 닫히기 전의 노출 시간 동안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노출 시간 동안 상기 제1 표시부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촬영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는, 감도 또는 조리개 값을 조절하여 상기 노출 시간을 길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촬영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는 플래시는 비발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술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앞 면에 구비된 제1 표시부와 뒷 면에 구비된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저조도 환경의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오프(OFF)되어 있던 제1 표시부를 온(ON)하도록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제1셔터 버튼이 입력되면, 촬영 환경을 설정하는 촬영 환경 설정부; 제2셔터 버튼이 입력된 후 노출 시간 동안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및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노출 시간 동안 상기 제1 표시부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앞 면은 렌즈부가 배치된 면이며, 상기 뒷 면은 렌즈부가 배치된 면의 반대쪽 면이다.
여기서 상기 촬영 환경 설정부는, 감도 또는 조리개 값을 조절하여 상기 노출 시간을 길게 하며, 플래시는 비발광하는 것이다.
각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셔터 버튼은 반 누름에 의한 셔터 버튼이며, 상기 제2 셔터 버튼은 완전 누름에 의한 셔터 버튼이다.
또한 각 실시 예에서 상기 경고 메시지는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막기 위한 내용의 텍스트, 아이콘, 캐릭터 또는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이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남은 노출 시간을 카운트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피사체가 바라보는 쪽에 배치된 표시부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저조도 환경에서도 노이즈가 적고, 빛 갈라짐이 표현되며, 피사체와 배경을 모두 선명하게 도출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 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잇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디지털 촬영 장치(10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지털 스틸 카메라(DSC),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DSLR), 비디오 카메라, 앞 면 및 뒷 면에 복수개의 표시부를 구비하고, 촬영 기능이 탑재된 핸드폰, MP3(MPEG Audio player-3),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촬영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 예들 및 그 변형 예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은 디지털 촬영 장치(1000)의 앞 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1000) 앞 면에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하는 렌즈부(11), 저조도 환경에서 촬영 시에 피사체에 보조적인 광을 공급하는 보조광 (13)과 저조도 환경에서 촬영시에 피사체에 순간적으로 다량의 광을 공급하는 플래시(19), 디지털 촬영 장치(1000)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 버튼(15), 촬영 모드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를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셔터를 열고 닫으며, 조리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키는 셔터 버튼(17) 및 렌즈부(11)가 배치된 면에 배치되어 촬영 영상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31)가 포함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1000)의 뒷 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촬영 장치(1000)의 뒷 면에는, 촬영 영상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32)가 포함된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재생 모드 버튼, 메뉴 버튼, 줌 버튼 등 각종 버튼이 디지털 촬영 장치(1000)의 뒷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디지털 촬영 장치(10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0)는 렌즈부(11)를 포함하는 광학부(10), 상기 광학부(10)를 구동하는 광학 구동부(12), 촬상 소자(21), A/D(analog/digital) 컨버터(22), 화상 입출력 제어부(23), 메모리(40), 표시 구동부(30), 상기 표시 구동부(30)로부터 각각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는 제1 표시부(31)와 제2 표시부(32), 프로그램 저장부(60), 기록 제어부(51)와 기록부(52), 조작부(70) 및 제어부(100) 등을 구비한다.
상기 광학부(10)는 광학 신호를 집광하는 렌즈부(11), 상기 광학 신호의 양(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광학 신호의 입력을 제어하는 셔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을 포함하며, 이들 렌즈들은 각각 하나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 렌즈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셔터로 가리개가 위아래로 움직이는 기계식 셔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셔터 장치 대신 촬상 소자(21)에 전기 신호의 공급을 제어하여 셔터 역할을 행할 수도 있다.
상기 광학부(10)를 구동하는 광학 구동부(12)는 오토 포커스, 자동 노출 조정, 조리개 조정, 줌, 초점 변경 등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렌즈의 위치, 조리개의 개폐, 셔터의 동작 등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광학 구동부(12)는 제어부(10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광학부(10)를 구동할 수 있다.
촬상 소자(21)는 광학부(10)를 통해 입력된 광학 신호를 수광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 소자를 구비한다. 상기 광전 변환 소자로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어레이,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어레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A/D컨버터(22)는 촬상 소자(21)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를 생성한다. A/D컨버터(22)는 생성한 디지털 신호를 화상 입출력 제어부(23)에 출력한다.
메모리(40)는 촬영한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여러 개 영상들의 영상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으며, 포커스 제어시의 영상 신호를 차례대로 유지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화상 입출력 제어부(23)에 영상을 읽고 쓰는 것이 제어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60)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작동하는 필요한 OS(operating system),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60)로서 E2PROM(Electrically Erasable Read Only Memory), 플래쉬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표시 구동부(30)는 제1 표시부(31) 및 제2 표시부(32)에서 각종 설정 화면 또는 촬영으로 생성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동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는 기록부(52)에 기록된 화상을 구현하는 것이나, 또는 메모리(40)로부터 실시간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표시 구동부(30)는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1 표시부(31) 및 제2 표시부(32)의 on/off한다. 제1 표시부(31) 및 제2 표시부(32)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PDP (plasma display panel), 터치 스크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기록 제어부(51)는 기록부(52)로의 영상 데이터의 기입, 또는 기록부(52)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나 설정 정보 등의 독출을 제어한다. 기록부(52)는, 예를 들면 광디스크(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블루레이디스크 등), 광자기 디스크, 자기 디스크, 반도체 기억매체 등으로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기록 제어부(51), 기록부(52)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서 착탈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조작부(70)는 촬영자(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조작하거나 촬영시 각종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키, 터치 패널, 터치 스크린, 다이얼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원 온/오프, 촬영 개시/정지, 재생 개시/정지/서치, 광학계의 구동, 모드 변환, 메뉴 조작, 선택 조작 등의 촬영자 조작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셔터 버튼(17)은 촬영자에 의한 반 누름, 완전 누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셔터 버튼(17)은 반 누름되었을 때 촬영 조건 설정 조작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셔터 버튼(17)은 완전 누름되었을 때 촬영 개시 조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조작 신호는 제어부(100) 등에 전송되어, 이에 따라 해당 구성 요소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는 프로그램에 의해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 안에 설치된 각 구성 요소의 처리를 제어한다. 제어부(100)는, 예를 들면 포커스 제어나 노출 제어에 기초하여 광학 구동부(12)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광학부(10)를 구동시킨다. 또한, 제어부(100)는 조작부(7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00)는 압축 처리 전의 영상 신호를 받아 예를 들면 JPEG압축 형식 또는 LZW압축 형식 등의 압축 형식으로 화상 신호를 압축 처리한다. 또한,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어부(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촬영 모드에 따라 표시 구동부(30)를 제어하여 제1 표시부(31)의 on/off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110), 조작부(70)에서 출력된 촬영 조건 설정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촬영 조건 설정부(120) 및 노출 시간 동안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시하는 움직임 감시부(130) 및 상기 움직임 감시부(130)에서 감시한 결과 피사체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표시 구동부(30)를 제어하여 경고 메시지를 제1 표시부(31)로 출력하는 경고부(140)를 구비한다.
구동 제어부(110)는 광량이 충분하지 않은 저조도 환경에 대해 촬영하는 경우, 표시 구동부(30)를 제어하여 제1 표시부(31)를 on 시킨다. 예를 들어 구동 제어부(110)는 디지털 촬영 장치가 야경 모드 또는 야경 인물 모드일 때, 제1 표시부(31)를 on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변 광량을 측정하여 저조도 환경에 해당하는 경우, 제1 표시부(31)를 on 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하여 강제로 제1 표시부(31)를 on 시킬 수도 있다.
촬영 조건 설정부(120)는 조작부(70)에서 출력된 촬영 조건 설정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촬영 조건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촬영자가 반누름에 의한 셔터 버튼을 입력하면 촬영 조건을 설정한다. 이 때 촬영 조건은 플래시 발광 여부, 감도값 및 조리개값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 조건 설정부(120)에서 설정되는 상기 촬영 조건은 저조도 환경에서 촬영을 하더라도,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플래시는 비발광하며, 노출 시간을 길게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130)는 노출 시간 동안 피사체(예를 들어, 피촬영자)의 움직 임을 감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완전 누름에 의한 셔터 버튼이 입력되고, 움직임 감지부(130)는 노출 시간 동안의 입력 영상으로부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디지털 촬영 장치는 저조도 환경에서 촬영을 수행하고자 하는 야경 및 야경 인물과 같은 촬영 모드가 선택되고 반누름에 의한 셔터 버튼이 입력되기 전의 기간에, 라이브 뷰(live-view) 모드에서 입력된 입력 영상으로부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시할 수 있다.
경고부(140)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130)의 감시 결과,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피사체가 볼 수 있는 상기 제1 표시부(31)에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표시 구동부(30)를 제어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광량이 충분하지 않은 저조도 환경에 대한 촬영 모드에 진입한다.(S501)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야경, 야경 인물과 같은 촬영 모드를 선택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피사체가 움직일 수 있으며, 제1 표시부에 경고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하므로 야경 인물 촬영 모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촬영 모드에서 제1 표시부(31)가 실행된다. (S502) 상기 제1 표시부(31)는 렌즈부(11)가 배치된 면에 위치하므로, 피사체는 촬영 중에 상기 제1 표시부(31)에 표시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촬영자는 반누름에 의한 셔터 버튼을 입력한다. (S503)
상기 반누름에 의한 셔터 버튼에 의해 발생된 촬영 조건 설정 조작 신호를 제어부(100)가 인지하면, 제어부(100)는 촬영 조건을 설정한다. (S504) 여기서 설정될 촬영 조건은 플래시 발광 여부, 감도값 및 조리개값에 해당한다. 상기 촬영 조건은 저조도 환경에서도 노이즈가 적고, 빛 갈라짐이 표현되며, 피사체와 배경이 모두 선명하게 도출된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감도 또는 조리개 값은 노출 시간을 길게 가지도록 설정되며, 플래시는 비발광하도록 설정된다. 구체적인 예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은 저조도 환경에서 노출 시간을 길게 가지도록 촬영한 영상이다.
저조도 환경에서 저감도 또는 조리개를 적게 개방한(조인) 상태에서 촬영할 경우, 노출 시간은 길어진다. 이러한 촬영 조건에서 촬영 할 때, 노출 시간동안 피사체가 움직인다면 도 6의 영상과 같이 피사체의 이동 경로가 모두 나타나며, 피사체의 경계가 흐릿하게 촬영 되므로,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없다.
도 7은 저조도 환경에서 서로 다른 조리개 값은 가진 상태에서 촬영한 영상이다.
도 6과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도를 높이거나, 조리개를 많이 개방한(푼) (F 2.0) 상태에서 촬영할 경우에는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없다. 도 7(a)는 조리개를 많이 개방한 상태에서 촬영한 영상인데, 불빛이 블러링(blurring)되어 표현된다. 도 7(b)은 조리개를 적게 개방한 상태(F 11.0)에서 촬영한 영상인데, 불빛이 별 모양으로 관찰되는, 빛 갈라짐 현상이 표현된다. 즉, 도 7(a)와 같이 조리개 값을 작게 하여 조리개를 많이 개방하는 경우, 조리개를 적게 개방한 상태에서 촬영한 영상과 같이 사용자가 선호하는 불빛의 모습이 나타나지 않는다. 즉, 저조도 환경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노출 시간을 길게 하더라도, 저감도 또는 조리개를 적게 개방한 상태에서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저조도 환경에서 플래시를 발광한 상태에서 촬영한 영상이다.
도 8의 (a)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저조도 환경에서 플래시를 발광하여 촬영한 영상은 대부분 피사체는 선명하게 촬영되나, 배경은 까맣게 촬영되어 보이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b)의 경우, 배경과 피사체가 모두 촬영되기는 하였으나, 피사체가 디지털 촬영 장치에 가까이 있어 플래시의 빛을 너무 많이 반사함으로써, 피사체와 배경의 조화가 부자연스러운 결과를 얻게 된다. 즉, 저조도 환경에서 자연스러운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플래시를 비발광하여 촬영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감도는 ISO 100 또는 IOS 200으로 설정하고, 조리개 값은 F 8, 11 또는 13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래시는 비발광으로 설정한다. 그러나 저조도 환경에서 이와 같이 저감도 및 조리개를 적게 개방한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경우, 셔터 스피드는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즉, 노출 시간이 길어져, 피사체에 움직임이 발생하면 도 6과 같은 영상이 얻어지므로,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피사체가 보이는 쪽에 해당하는 제1 표시부(31)에 피사체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한다.
다시 도 5로 돌아오면, 사용자는 완전 누름에 의한 셔터 버튼을 입력한다. (S505)
완전 누름에 의한 셔터 버튼이 입력되고 셔터 및 조리개가 닫히기 전까지의 노출 시간 동안, 디지털 촬영 장치(1000)는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S506) 여기서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은 노출 시간동안 입력되는 영상의 분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S503 단계에서 반 누름에 의한 셔터 버튼이 입력될 때, 피사체에 자동 포커스가 맞춰지게 되는데, S506 단계에서는 디지털 촬영 장치와 피사체의 거리가 변화 한다거나, 콘트라스트가 변경되는 것을 감지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포커싱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S506 단계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00)는 노출 시간동안 제1 표시부(31)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한다. (S507)
도 9 의 (a) 내지 (c)는 경고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표시부(31)는 피사체의 움직임을 막기 위한 내용의, `STOP` 과 같은 경고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9의(a)) 그 외에도 다양한 아이콘, 캐릭터, 또는 그림이 표시될 수 있다. (도 9의(b)) 또한 움직임이 감지되면 현재 남은 촬영 노출 시간을 카운트하여 제1 표시부(31)에 나타낼 수 있다. (도 9의(c)) 남아있는 노출 시간은 S504 단계에서 촬영 조건 설정시 계산된 노출 시간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방법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경고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는 렌즈부(11)가 배치된 면에 제1 표시부(31)가 배치된 구조적 특징이 있으므로, 피사체는 경고 메시지를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는 경고 메시지를 인지하고 움직임을 멈출 수 있다. (S509)
마지막으로, 디지털 촬영 장치(1000)는 조리개 및 셔터를 닫고 촬영을 완료하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한다. (S509)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저조도 환경에서, 디지털 촬영 장치(1000)는 야경 및 야경 인물과 같은 저조도 촬영 모드가 선택되고 반 누름에 의한 셔터 버튼 입력 전,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경고 메시지를 제1 표시부(31)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저조도 환경에서 디지털 촬영 장치(1000)는 야경, 야경 인물과 같은 저조도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삼각대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삼각대 설치 요구 메시지를 제1 표시부(31) 또는 제2 표시부(32)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촬영자가 인식하고 삼각대를 설치하여 촬영을 실시함으로써 저조도 촬영 환경에서 보다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10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영상은 저감도 및 조리개를 조인 상태에서 촬영하였고 플래시는 비발광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노출 시간 동안 제1 표시부(31)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피사체의 움직임을 막았다. 결국 도 10을 참조하면, 야경과 같은 저조도 환경에서 촬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고 고품질의 영상이 도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 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도 1은 디지털 촬영 장치의 앞 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의 뒷 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저조도 환경에서 노출 시간을 길게 가지도록 촬영한 영상이다.
도 7은 저조도 환경에서 서로 다른 조리개 값은 가진 상태에서 촬영한 영상이다.
도 8은 저조도 환경에서 플래시를 발광한 상태에서 촬영한 영상이다.
도 9 는 경고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0 : 디지털 촬영 장치
11 : 렌즈부
19 : 플래시
31 : 제1 표시부
32 : 제2 표시부
100 : 제어부

Claims (16)

  1. 앞 면에 구비된 제1 표시부와 뒷 면에 구비된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저조도 환경의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오프(OFF)되어 있던 상기 제1 표시부를 온(ON)하는 단계;
    입력 영상에 대하여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표시부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 면은 렌즈부가 배치된 면이며,
    상기 뒷 면은 렌즈부가 배치된 면의 반대쪽 면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촬영을 위한 셔터 버튼이 입력된 후 셔터 및 조리개가 닫히기 전까지의 노출 시간동안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노출 시간동안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는 것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는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막기 위한 내용의 텍스트, 아이콘, 캐릭터 또는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이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남은 노출 시간을 카운트하여 표시하는 것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6. 렌즈부가 배치된 면에 구비된 제1 표시부와, 상기 렌즈부가 배치된 면의 반대쪽에 구비된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저조도 환경의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오프(OFF)되어 있던 제1 표시부를 온(ON)하는 단계;
    제1셔터 버튼이 입력되면, 촬영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제2셔터 버튼이 입력된 후 셔터 및 조리개가 닫히기 전의 노출 시간 동안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노출 시간 동안 상기 제1 표시부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셔터 버튼은 반 누름에 의한 셔터 버튼이며,
    상기 제2 셔터 버튼은 완전 누름에 의한 셔터 버튼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는,
    감도 또는 조리개 값을 조절하여 상기 노출 시간을 길게 하는 것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는,
    플래시는 비발광하는 것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는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막기 위한 내용의 텍스트, 아이콘, 캐릭터 또는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이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남은 노출 시간을 카운트하여 표시하는 것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12. 앞 면에 구비된 제1 표시부와 뒷 면에 구비된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저조도 환경의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오프(OFF)되어 있던 제1 표시부를 온(ON)하도록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제1셔터 버튼이 입력되면, 촬영 환경을 설정하는 촬영 환경 설정부;
    제2셔터 버튼이 입력된 후 노출 시간 동안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및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노출 시간 동안 상기 제1 표시부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앞 면은 렌즈부가 배치된 면이며,
    상기 뒷 면은 렌즈부가 배치된 면의 반대쪽 면인 디지털 촬영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셔터 버튼은 반 누름에 의한 셔터 버튼이며,
    상기 제2 셔터 버튼은 완전 누름에 의한 셔터 버튼인 디지털 촬영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환경 설정부는,
    감도 또는 조리개 값을 조절하여 상기 노출 시간을 길게 하며,
    플래시는 비발광하는 것인 디지털 촬영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는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막기 위한 내용의 텍스트, 아이콘, 캐릭터 또는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이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남은 노출 시간을 카운트하여 표시하는 것인 디지털 촬영 장치.
KR1020090116536A 2009-11-30 2009-11-30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1630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536A KR101630293B1 (ko) 2009-11-30 2009-11-30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536A KR101630293B1 (ko) 2009-11-30 2009-11-30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063A KR20110060063A (ko) 2011-06-08
KR101630293B1 true KR101630293B1 (ko) 2016-06-14

Family

ID=44394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536A KR101630293B1 (ko) 2009-11-30 2009-11-30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2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7789A (ja) * 2003-12-04 2005-06-23 Casio Comput Co Ltd 撮影装置および撮影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6221B2 (ja) * 2001-06-26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080408B1 (ko) * 2005-01-14 2011-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7789A (ja) * 2003-12-04 2005-06-23 Casio Comput Co Ltd 撮影装置および撮影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063A (ko)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7677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8294813B2 (en) Imaging device with a scene discriminator
JP4715865B2 (ja) 撮像装置、プログラム
JP2007264196A (ja) ストロボ制御装置及び方法
JP2009171220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091446A (ja) カメラ
KR20110060497A (ko) 점프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US85935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flash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and apparatus
JP2008054177A (ja) 撮像装置
JP2008289032A (ja) 撮像装置
JP6537288B2 (ja) 焦点調節装置および焦点調節方法
US20140078373A1 (en)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isplaying angle of view information,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and medium for recording the method
JP4614143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3229856A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053811A (ja) 電子カメラ
JP2006217505A (ja) 撮影装置
KR101630293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JP6410416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07028546A (ja) 撮像装置
JP6335497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5355124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シーン判別方法
KR20100112788A (ko) 손떨림 방지 기능과 플래쉬 기능의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 및 디지털 카메라 모듈
JP2008118263A (ja) 撮影装置および発熱抑制方法
JP5414411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684057B2 (ja) 電子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