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408B1 -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408B1
KR101080408B1 KR1020050003755A KR20050003755A KR101080408B1 KR 101080408 B1 KR101080408 B1 KR 101080408B1 KR 1020050003755 A KR1020050003755 A KR 1020050003755A KR 20050003755 A KR20050003755 A KR 20050003755A KR 101080408 B1 KR101080408 B1 KR 101080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vement
shutter
image
hand sh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3288A (ko
Inventor
이병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3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408B1/ko
Publication of KR20060083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1Motion detection based on the imag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지를 캡쳐하기 전에 손떨림 또는 움직임 여부를 점검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고, 손떨림 또는 움직임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장치는 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써, 제1 셔터 입력 후에 측정된 AF(Auto focus) 데이터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손떨림 또는 움직임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신호처리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떨림 또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외부의 장치나 별도의 전자적 제어 방식의 사용 없이 손떨림 또는 움직임 여부를 점검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거나, 노출값을 조정하여 손떨림 또는 움직임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진의 흐림 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한다.

Description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using auto focus data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도 1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일 실시 예인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 반누름 상태에서 시간의 변화에 따라 측정된 AF(Auto focus) 데이터의 파형도 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도 3의 장치에서 손떨림 또는 움직임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카메라의 셔터 반누름 상태에서 시간의 변화에 따라 측정된 AF 데이터의 파형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6은 도 5 중 자동 포커스 수행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지를 캡쳐하기 전에 손떨림 또는 움직임 여부를 점검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고, 손떨림 또는 움직임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일 실시 예인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는 일반적으로, 자동적으로 포커스(초점)를 맞추는 오토 포커스 기능이 마련되어 있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오토 포커스 방식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지만,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각 위치에서 CCD로 화상을 촬상하고, 촬상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가장 높은 위치를 탐색하는 방식이 주류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종래부터 화상 정보를 얻는 수단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오토 포커스 전용의 거리 센서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서 염가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촬상 화상을 이용한 오토 포커스를 행하는 경우, 어두운 장소 등의 저휘도 환경 하에서는 촬상 화상의 휘도를 얻을 수 없어 콘트라스트를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오토 포커스 시에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나 레이저 등의 보조광을 이용하여 오토 포커스를 수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의 자동 포커스는 카메라계의 촬상면에 피사체의 상이 정확하게 맺히도록 하는 것으로, 주로 액티브(Active) 방식과 패시브(Passive) 방식이 사용된다.
액티브 방식은 카메라쪽에서 전파, 음파, 등을 쏘아서 되돌아오는 반사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와 피사체의 거리 정보를 구하는 것이다. 특히 적외선을 이용한 액티브 방식은 어두운 곳에서도 포커스를 잘 맞출 수 있으나, 적외선을 반사하 는 유리 너머의 피사체나 적외선을 흡수하는 검은 피사체는 포커스를 맞추기 어렵다.
반면, 패시브 방식은 포커스가 잘 맞을수록 화상 정보의 고주파 성분이 커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렌즈계로부터 얻어진 화상 정보에서 고주파 성분을 추출하여 포커스 여부를 판별한다. 따라서 패시브 방식은 어두운 피사체에 포커스를 맞추기가 어렵지만 유리너머에 있는 피사체에 대해서는 포커스를 맞출 수 있다.
이러한 자동 포커스 데이터는 고주파 성분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떨림 또는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자동 포커스 데이터는 그 값이 일정하지만,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떨림 또는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저주파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도 1a에 비해 급격한 감소를 가져오게 되어, 손떨림 또는 움직임이 발생하여 영상을 캡쳐하는 경우에 흐림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손떨림 또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외부의 장치나 별도의 전자적 제어 방식의 사용 없이 손떨림 또는 움직임 여부를 점검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거나, 노출값을 조정하여 손떨림 또는 움직임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장치는 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써, 제1 셔터 입력 후에 측정된 AF(Auto focus) 데이터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손떨림 또는 움직임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신호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준범위는 상기 측정된 AF 데이터의 평균값에 대한 상한값 및 하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경고 메시지 출력 후에, 상기 이미지 캡쳐를 위해 제2 셔터가 입력되는 경우, 노출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수단은 노출 시간을 최소화하고 AGC(Automatic gain control) 게인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노출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방법은 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써, (a) 제1 셔터 입력으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포커스를 조정 후에 측정된 AF 데이터와 기준범위를 비교하는 단계; 및 (b) 상기 AF 데이터가 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 손떨림 또는 움직임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준범위는 상기 측정된 AF 데이터의 평균값에 대한 상한값 및 하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c)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후에, 상기 이미지 캡쳐를 위 해 제2 셔터가 입력되는 경우, 노출값을 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노출값이 조정 촬영된 이미지를 캡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출값 조정 시에 노출 시간을 최소화하고 AGC(Automatic gain control) 게인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노출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일 실시 예인 디지털 카메라(이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라 표기함)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로, 셔터(11), 조리개(15) 및 렌즈부(15)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이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조리개(13)는 렌즈를 투과하는 빛의 양과 초점 심도를 조절하는데, 빛은 렌즈에 있는 빛은 렌즈에 있는 조리개를 통과하여 필름에 도달하며 적당한 빛의 양은 이 조리개(13)를 열거나 닫음으로써 조절된다. 일반적으로 어두운 곳에서는 조리개(13)를 열어 많은 빛을 통과시키고, 밝은 곳에서는 조리개(13)를 닫음으로써 적은 양의 빛을 통과시켜 노출을 적당히 조절한다.
참조 부호 MA(23)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여기서, 지정 노출 모드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따라 조리개 구동 모터(MA)의 회전각이 달라진다. 지정 노출 모드란, 피사 영역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일부 영역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41)에 표시된 지정 검출 영역에 일치되면, 이 지정 검출 영역의 평균 휘도에 대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노광량을 설정하는 모드를 말한다.
렌즈부(15)와 필터부(17)를 포함한 광학계(OPS)(19)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20)는 줌 렌즈(ZL), 포커스 렌즈(FL), 및 보상 렌즈(CL)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광각(wide angle)-줌 버튼(미도시) 또는 망원(telephoto)-줌 버튼(미도시)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31)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31)가 모터 구동부(29)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25)가 구동되어 줌 렌즈(ZL)(15-1)가 이동된다. 즉, 광각(wide angle)-줌 버튼이 눌러지면 줌 렌즈(ZL)(15-1)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telephoto)-줌 버튼이 눌려지면 줌 렌즈(ZL)(15-1)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이와 같은 특성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31)는 광학계(OPS)(19)의 설계 데이터로부터 줌 렌즈(ZL)(15-1)의 위치에 대한 화각(
Figure 112005002221781-pat00001
)을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줌 렌즈(ZL)(15-1)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커스 렌즈(FL)(15-2)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화각(
Figure 112005002221781-pat00002
)은 포커스 렌즈(FL)(15-2)의 위치에 대하 여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한편, 피사체에 대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초점이 맞추어진 경우, 포커스 렌즈(FL)(15-2)의 현재 위치는 피사체 거리(Dc)에 대하여 변한다. 여기서, 줌 렌즈(ZL)(15-1)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커스 렌즈(FL)(15-2)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피사체 거리(Dc)는 줌 렌즈(ZL)(15-1)의 위치에 영향을 받는다.
자동 포커스 수행 시에, 마이크로제어기(31)가 모터 구동부(29)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27)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FL)(15-2)가 맨 앞쪽에서 맨 뒤쪽으로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영상 신호의 고주파 함량이 가장 많아지는 포커스 렌즈(FL)의 위치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MF)(15-2)의 위치 스텝 수가 설정된다.
보상 렌즈(CL)(15-3)는 전체적인 굴절률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광학계(OPS)(19)의 필터부(17)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LPF, Optical Low Pass Filter)(17-1)는 고주파 함량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RF, Infra-Red cut Filter)(17-2)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21)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3)는 OEC(21)에서 출력되는 전 기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37)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39)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셔터(11)는 2단의 구조로 즉, 반셔터와 완전셔터로 구분된다. 반셔터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가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일종의 예비단계라 할 수 있다. 이후, 완전셔텨를 누르면, 정해진 초점 및 조절된 빛의 양에 의해 피사체가 촬영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35)는 반셔터가 입력되어 자동 포커스 수행 후에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3)로부터 출력되는 자동 포커스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손떨림 또는 움직임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경고 메시지 출력 후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35)가 셔터(11) 입력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노출값을 조정하여 이미지가 캡쳐되도록 신호 처리한다.
여기서 기준범위는 측정된 AF 데이터의 평균값에 대한 상한값 및 하한값으로, 도 4에 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는 자동 포커스 수행 후에 측정된 AF 데이터를 나타내고, 도 4b는 측정된 AF 데이터의 평균값을 나타내고, 도 4c는 평균값의 상한값(예를 들어, 평균값×1.15)을 나타내고, 도 4d는 평균값의 하한값(예를 들어, 평균값×0.85)을 나타낸다.
측정된 AF 데이터가 기준 범위 내에 들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35)는 손떨림 또는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자동 포커스 완료를 디스플레이 패널(41)에 표시하고, 영상 캡쳐를 위한 셔터(11)의 입력을 기다린다. 그러나, 측정된 AF 데이터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35)는 손떨림 또는 움직임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41) 또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
경고 메시지 출력된 후에, 사용자가 셔터(11)를 입력하여 영상을 캡쳐하는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기(35)는 영상의 흐림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노출값을 조정한다. 노출값에 영상을 미치는 인자는 CCD 감도(ISO), 조리개 값, 셔터 속도이며, 디지털 신호 처리기(35)는 노출 시간이 최소가 되도록 셔터 속도를 최대한 빠르게 동작시키고, 그에 대한 보상으로 AGC(Automatic gain contrl) 게인이 최대가 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로서, 먼저, 셔터(11)를 S1 상태 즉, 반누름 상태로 전환하고(501단계), AF 과정을 수행한다(503단계). 도 6에 자동 포커스 수행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포커스 모터(MF)(27)의 구동에 의하여 포커스 렌즈(FL)(15-2)가 시작 위치로 이동된다(503-1단계).
다음에 포커스 렌즈(FL)(15-2)의 현재 위치가 종료 위치가 될 때까지 제1 스텝 수 예를 들어, 8 스텝 수 단위로 포커스 모터(MF)(27)가 구동되면서 포커스 값 즉, 영상 신호의 고주파 함량이 판독된다(503-2, 503-3단계).
다음에 판독된 포커스 값들 중에서 최대 포커스 값의 위치를 점검한다(503-4단계). 즉, 최대 포커스 값의 위치의 주위에서 고주파 함량이 가장 많은 최종 위치 스텝 수가 찾아져 설정된다.
다음에, 포커스 모터(MF)의 구동에 의하여 포커스 렌즈(FL)가 최대 포커스 값의 위치로 이동된다(503-5단계).
자동 포커스 수행 후에, 측정된 AF 데이터와 기준범위를 비교한다(505단계). 본 발명에서, 기준범위는 측정된 AF 데이터의 평균값에 대한 상한값(예를 들어, 평균값×1.15) 및 하한값(예를 들어, 평균값×0.85)이 된다.
상기 비교 결과, 측정된 AF 데이터가 기준 범위 내에 들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35)는 손떨림 또는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자동 포커스 완료를 디스플레이 패널(41)에 표시하고, 영상 캡쳐를 위한 셔터(11)의 입력을 기다린다.
그러나 상기 비교 결과, 측정된 AF 데이터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35)는 손떨림 또는 움직임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41) 또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507단계).
경고 메시지 출력된 후에, 사용자가 셔터(11)를 S2 상태 즉, 완전누름 상태로 전환한 경우(509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기(35)는 영상의 흐림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최적의 노출이 되도록 노출값을 조정한다(511단계). 노출값에 영상을 미 치는 인자는 CCD 감도(ISO), 조리개 값, 셔터 속도이며, 디지털 신호 처리기(35)는 노출 시간이 최소가 되도록 셔터 속도를 최대한 빠르게 동작시키고, 그에 대한 보상으로 AGC(Automatic gain control) 게인이 증가 되도록 한다.
노출값 조정 후에 영상을 캡쳐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영상의 흐림을 최대한 억제한다(513단계).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손떨림 또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외부의 장치나 별도의 전자적 제어 방식의 사용 없이 손떨림 또는 움직임 여부를 점검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거나, 노출값을 조정하여 손떨림 또는 움직임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진의 흐림 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한다.

Claims (8)

  1. 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써,
    제1 셔터 입력 후에 측정된 AF(Auto focus) 데이터가, 상기 측정된 AF 데이터의 평균값에 대한 상한값 이상이거나 하한값 이하인 경우, 손떨림이 또는 움직임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는 신호처리수단을 포함하는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경고 메시지 제공 후에, 상기 이미지 캡쳐를 위해 제2 셔터가 입력되는 경우, 노출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수단은
    노출 시간을 상기 제2 셔터 버튼 입력 전에 설정된 노출 시간 보다 짧게하고 AGC(Automatic gain control) 게인이 증가 되도록 상기 노출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장치.
  5. 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촬영 방법으로써,
    (a) 제1 셔터 입력으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포커스를 조정 후에 측정된 AF 데이터가, 상기 측정된 AF 데이터의 평균값에 대한 상한값 이상이거나 하한값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b) 상기 AF 데이터가, 상기 AF 데이터의 평균값에 대한 상한값 이상이거나 하한값 이하인 경우, 손떨림 또는 움직임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방법.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c)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후에, 상기 이미지 캡쳐를 위해 제2 셔터가 입력되는 경우, 노출값을 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노출값이 조정 촬영된 이미지를 캡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값 조정 시에
    노출 시간을 상기 제2 셔터 버튼 입력 전에 설정된 노출 시간 보다 짧게하고 AGC(Automatic gain control) 게인이 증가 되도록 상기 노출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방법.
KR1020050003755A 2005-01-14 2005-01-14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080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755A KR101080408B1 (ko) 2005-01-14 2005-01-14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755A KR101080408B1 (ko) 2005-01-14 2005-01-14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288A KR20060083288A (ko) 2006-07-20
KR101080408B1 true KR101080408B1 (ko) 2011-11-04

Family

ID=37173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755A KR101080408B1 (ko) 2005-01-14 2005-01-14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4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293B1 (ko) * 2009-11-30 2016-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5863A (ja) * 2002-04-19 2003-11-06 Olympus Optical Co Ltd ブレ検出機能付カメラ
JP2004159083A (ja) 2002-11-06 2004-06-03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5863A (ja) * 2002-04-19 2003-11-06 Olympus Optical Co Ltd ブレ検出機能付カメラ
JP2004159083A (ja) 2002-11-06 2004-06-03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288A (ko)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6930B2 (ja) 撮像装置および焦点調節方法
US770667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KR100906166B1 (ko) 카메라 흔들림 보정과 감도 전환기능을 가진 디지털촬상장치
TWI423664B (zh) 影像裝置與曝光控制方法
KR100843818B1 (ko) 정지 화상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US7864239B2 (en) Lens barrel and imaging apparatus
JP2007251343A (ja) 撮像素子駆動装置及びオートフォーカスユニット
JP2016143035A (ja) 焦点調節装置および焦点調節方法
KR10159429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573032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JP2007057974A (ja) 撮影装置
CN110024371B (zh) 摄影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6303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10063766B2 (en) Focus detection apparatus and focus detection method with a filter circuit for filtering image data multiplied by a coefficient after being reset
JPH0630322A (ja) 自動合焦装置
JP4170194B2 (ja) 撮影装置
US20190068875A1 (en) Imaging device,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interchangeable lens
KR101080408B1 (ko)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장치 및 방법
JP2000125204A (ja) 電子カメラ
JP2001086385A (ja) 電子カメラ
JPH07143388A (ja) ビデオカメラ
KR20090087694A (ko) 오토 포커스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오토 포커스 방법
US7161628B2 (en) Image-pickup apparatus outputting signals for finder display and signals for focal-point detection,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encoded thereon a program implementing a method using the apparatus
JP2002014405A (ja) 電子カメラ用レンズアダプタおよび電子カメラ
JP4779383B2 (ja) デジタル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