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157B1 - 가스레인지 - Google Patents

가스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157B1
KR101486157B1 KR1020130093270A KR20130093270A KR101486157B1 KR 101486157 B1 KR101486157 B1 KR 101486157B1 KR 1020130093270 A KR1020130093270 A KR 1020130093270A KR 20130093270 A KR20130093270 A KR 20130093270A KR 101486157 B1 KR101486157 B1 KR 101486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or
thermal head
cooking
range
triv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치히로 하시모토
야스마사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3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Abstract

(과제) 삼발이(3)에 얹어 놓는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맞닿아서 눌려 내려지는 감열헤드(42)를 갖는 냄비바닥 온도센서(4)와, 감열헤드가 눌려 내려졌을 때에 이것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구비하는 레인지에 있어서, 삼발이에 얹어 놓여진 조리용기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검출기로서 제 1과 제 2의 적어도 2개의 검출기(61, 62)를 구비한다. 제 1 검출기(61)는 바닥이 평평한 조리용기를 삼발이(3)에 얹어 놓았을 때의 감열헤드(42)의 하강량(D1)과 동등하게 설정되는 기준 하강량의 감열헤드(42)의 하강이 검출 가능하고, 제 2 검출기(62)는 기준 하강량으로부터 이것을 상회하는 소정범위(표준적인 크기의 중화요리냄비를 삼발이에 얹어 놓았을 때의 하강량(D2)을 포함하는 범위)까지의 감열헤드(42)의 하강이 검출 가능하다. 그리고, 양측 검출기(61, 62)에 의한 감열헤드(42)의 하강의 검출, 불검출의 조합에 의거하여 삼발이(3)에 얹어 놓은 조리용기의 종류를 판별한다.

Description

가스레인지{GAS RANGE}
본 발명은 환형상의 레인지버너로 둘러싸이는 버너 내측 공간에 삽입되는 상하 방향으로 긴 지지파이프의 상단부에 상측으로 탄지되게 지지되며, 감열소자를 내장하는 감열헤드를 갖는 냄비바닥 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상판 상의 삼발이에 조리용기를 얹어 놓았을 때에 감열헤드가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맞닿아서 내려 눌려지도록 한 가스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냄비바닥 온도센서를 구비하는 가스레인지에서는, 감열소자에서 검출되는 조리용기의 온도가 소정의 과열설정온도로 상승하였을 때에 레인지버너의 화력을 약하게 하는 것과 소화하는 것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과열방지제어를 실행하고 있다. 또한, 이런 종류의 가스레인지에 있어서, 조리용기가 삼발이에 얹어 놓여져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해서, 감열헤드가 눌려 내려졌을 때에 이것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구비하고, 검출기에서 감열헤드가 눌려 내려진 것(이하, ‘하강’이라고도 함)이 검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레인지버너의 점화조작이 실행되었을 때에는 레인지버너의 점화를 금지하는 점화제한제어를 실행하고, 레인지버너의 연소중에 검출기에서 감열헤드의 하강이 검출되지 않았을 때에는 레인지버너의 화력을 약하게 하는 것과 소화하는 것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연소제한제어를 실행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에서는, 검출기로서 마이크로스위치를 이용하고, 감열헤드가 눌려 내려졌을 때에 그 하단부에 고정한 꺾쇠가 마이크로스위치의 레버를 눌러 마이크로스위치가 온(on)이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검출기로서 리드스위치를 이용하고, 리드스위치에 대향하는 영구자석을 설치하는 동시에, 감열헤드와 함께 상하 운동하고, 감열헤드의 상측 운동 위치에서 리드스위치와 영구자석의 사이에 삽입되는 자성판을 설치하며, 감열헤드가 눌려 내려졌을 때, 자성판이 리드스위치와 영구자석의 사이로부터 하측으로 이탈하여 영구자석의 자계가 리드스위치에 전해져서 리드스위치가 온이 되도록 한 것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검출기로서 포토인터럽터를 이용하고, 감열헤드와 함께 상하운동하는 차광판을 설치하여, 감열헤드가 눌려 내려졌을 때에 차광판이 포토인터럽터의 투광부와 수광부의 사이에 삽입되고, 수광부가 차광되어 검출신호가 출력되도록 한 것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여기에서, 상술한 어느 검출기에서나 바닥이 평평한 조리용기를 삼발이에 얹어 놓았을 때의 감열헤드가 눌려 내려가는 양(이하, ‘하강량’이라고도 함)을 기준 하강량이라 하고, 감열헤드가 기준 하강량만큼 눌려 내려진 시점에서 이것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바닥이 하측으로 둥글게 패인 조리용기, 즉 중화요리냄비를 삼발이에 얹어 놓으면, 감열헤드의 하강량은 기준 하강량을 상회하지만, 검출기는 감열헤드가 기준 하강량만큼 눌려 내려진 시점에서 이것을 검출하고,, 그 이상 눌려 내려졌어도 검출기의 신호는 변화하지 않아 삼발이에 얹어 놓여진 조리용기의 종류는 판별할 수 없다.
그런데, 중화요리냄비는 일반적으로 볶음음식을 조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볶음음식 조리에서는 중화요리냄비를 상당히 고온으로 예열하고 나서 조리물을 투입하고, 그 후에 중화요리냄비를 삼발이에서 띄워 냄비를 흔드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의 것에서는 삼발이에 중화요리냄비를 얹어 놓아도 이것을 판별할 수 없기 때문에, 중화요리냄비의 예열중에 냄비 온도가 상기 과열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여 과열방지제어가 실행되거나, 냄비를 흔들 때에 검출기가 감열헤드의 하강을 검출하지 않게 되어 연소제한제어가 실행되어 볶음음식 조리의 조리성이 나빠진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2010-139189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허공개 2010-25420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국 특허공개 2007-292409호 공보(단락 0037, 도 6 참조)
본 발명은 이상의 점에 감안하여, 삼발이에 중화요리냄비를 얹어 놓았을 때에 이것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한 가스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과제로 하고, 또한, 중화요리냄비에 의한 볶음음식 조리의 조리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가스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제 1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환형상의 레인지버너로 둘러싸이는 버너 내측 공간에 삽입되는 상하 방향으로 긴 지지파이프의 상단부에 상측으로 탄지되게 지지되며, 감열소자를 내장하는 감열헤드를 갖는 냄비바닥 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상판 상의 삼발이에 조리용기를 얹어 놓았을 때에 감열헤드가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맞닿아서 눌려 내려지도록 한 가스레인지로서, 감열헤드가 눌려 내려졌을 때에 이것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검출기로서 제 1과 제 2의 적어도 2개의 검출기를 구비하고, 제 1 검출기는 바닥이 평평한 조리용기를 삼발이에 얹어 놓았을 때의 감열헤드의 하강량과 동등하게 설정되는 기준 하강량의 감열헤드의 하강을 검출 가능하며, 제 2 검출기는 기준 하강량을 상회하는 소정범위의 감열헤드의 하강을 검출 가능하고, 또한 제 1과 제 2의 양측 검출기에 의한 감열헤드의 하강의 검출, 불검출의 조합이, 삼발이에 조리용기가 얹어 놓여져 있지 않을 때와, 바닥이 평평한 조리용기를 삼발이에 얹어 놓았을 때와, 바닥이 하측으로 둥글게 패인 중화요리냄비를 삼발이에 얹어 놓았을 때에 변화하도록 하고, 양측 검출기에 의한 감열헤드의 하강의 검출, 불검출의 조합에 의거하여 삼발이에 조리용기가 얹어 놓여져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동시에, 삼발이에 얹어 놓여진 조리용기가 바닥이 평평한 것과 중화요리냄비 중 어느 것인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제 1 검출기가 기준 하강량의 감열헤드의 하강만을 검출 가능하고, 제 2 검출기가 상기 소정범위의 감열헤드의 하강만을 검출 가능하다면, 삼발이에 조리용기가 얹어 놓여져 있지 않을 때는 제 1과 제 2의 양측 검출기에서 감열헤드의 하강이 불검출이 되고, 바닥이 평평한 조리용기를 삼발이에 얹어 놓았을 때는 제 1 검출기에서 감열헤드의 하강이 검출되고, 제 2 검출기에서는 감열헤드의 하강이 불검출이 되고, 중화요리냄비를 삼발이에 얹어 놓았을 때는 제 2 검출기에서 감열헤드의 하강이 검출되고, 제 1 검출기에서는 감열헤드의 하강이 불검출이 된다. 따라서, 양측 검출기에 의한 감열헤드의 하강의 검출, 불검출의 조합에 의거하여, 삼발이에 조리용기가 얹어 놓여져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는 동시에, 삼발이에 얹어 놓여진 조리용기가 바닥이 평평한 것과 중화요리냄비 중 어느 것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단, 이 경우에는 바닥면의 곡률반경이 상당히 큰 특대의 중화요리냄비를 삼발이에 얹어 놓고, 감열헤드의 하강량이 기준 하강량과 상기 소정범위 사이의 범위에 들어가면, 제 1과 제 2의 양측 검출기에서 감열헤드의 하강이 불검출이 되고, 삼발이에 조리용기가 얹어 놓여져 있지 않다고 잘못 판별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감열헤드의 하강량이 기준 하강량과 상기 소정범위 사이의 범위에 들어갔을 때에 이것을 검출하는 제 3 검출기를 설치해도 좋지만, 이러면 검출기의 개수가 증가하여 늘어나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검출기가 기준 하강량의 감열헤드의 하강만을 검출 가능하고, 제 2 검출기는 상기 소정범위뿐만 아니라 상기 소정범위에서 기준 하강량까지의 감열헤드의 하강을 검출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특대의 중화요리냄비를 삼발이에 얹어 놓아 감열헤드의 하강량이 기준 하강량과 상기 소정범위 사이의 범위에 들어가더라도 이것을 제 2 검출기에서 검출할 수 있어 삼발이에 조리용기가 얹어 놓여져 있지 않다고 잘못 판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바닥이 평평한 조리용기를 삼발이에 얹어 놓으면 제 1과 제 2의 양측 검출기에서 감열헤드의 하강이 검출되고, 중화요리냄비를 삼발이에 얹어 놓으면 제 2 검출기에서만 감열헤드의 하강이 검출되기 때문에, 삼발이에 얹어 놓은 조리용기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그런데, 감열소자에서 검출되는 조리용기의 온도가 소정의 과열설정온도로 상승하였을 때에, 레인지버너의 화력을 약하게 하는 것과 소화하는 것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과열방지제어를 실행할 경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삼발이에 얹어 놓은 조리용기가 중화요리냄비라고 판별되었을 때는, 그렇지 않을 때보다도 과열설정온도를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중화요리냄비를 삼발이에 얹어 놓은 경우는 과열설정온도가 비교적 고온으로 설정되게 되어, 중화요리냄비의 예열이 불충분한 단계에서 과열방지제어가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볶음음식 조리의 조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레인지버너의 연소중에 삼발이에 조리용기가 얹어 놓여져 있지 않다고 판별되었을 때는, 레인지버너의 화력을 약하게 하는 것과 소화하는 것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연소제한제어를 실행할 경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삼발이에 얹어 놓은 조리용기가 중화요리냄비라고 판별된 채로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연소제한제어를 금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중화요리냄비를 삼발이에 얹어 놓고 예열하는 것으로, 삼발이에 얹어 놓은 조리용기가 중화요리냄비라고 판별된 채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그 후의 냄비 흔듬에 의해 삼발이에 조리용기가 얹어 놓여져 있지 않다고 판별되어도 연소제한제어는 실행되지 않고, 볶음음식 조리의 조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삼발이에 조리용기를 얹어 놓지 않은 상태에서의 레인지버너의 점화에 의한 사용자의 의복으로의 인화(引火)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 삼발이에 조리용기가 얹어 놓여져 있지 않다고 판별된 상태에서 레인지버너의 점화조작이 실행되었을 때는 레인지버너의 점화를 금지하는 점화제한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가스레인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의 (a)는 도 1의 레인지의 삼발이에 바닥이 평평한 조리용기를 얹어 놓은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b)는 도 1의 레인지의 삼발이에 중화요리냄비를 얹어 놓은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도 1의 레인지의 컨트롤러가 실행하는 점화제한제어와 연소제한제어의 제어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도 1의 레인지의 컨트롤러가 실행하는 과열방지제어의 제어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을 참조하여, “1”은 도시를 생략한 소정범위의 상면을 덮는 상판을 나타내고 있다. 상판(1)에는 버너용 개구(1a)가 형성되어 있고, 소정범위에 버너용 개구(1a)를 향하도록 레인지버너(2)를 설치하고 있다. 상판(1)상에는 환형상의 삼발이 틀(31)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삼발이 돌조(32)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삼발이 (3)가 레인지버너(2)를 둘러싸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고, 삼발이(3)에 얹어 놓는 냄비 등의 조리용기가 레인지버너(2)로 가열된다.
레인지버너(2)는 혼합관(21)에 이어지는 환형상의 버너보디(22)와, 버너보디 (22)상에 얹어 놓여지며, 버너보디(22)와의 사이에 불꽃구멍(23a)을 구획 형성하는 환형상의 버너캡(23)과, 버너캡(23) 상에 얹어 놓여지고, 버너캡(23)과의 사이에 2차 공기 통로를 구획 형성하는 환형상의 2차공기 가이드판(24)을 구비하는 공지의 환형상 버너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레인지버너(2)의 외주에는 점화전극(25)과 화염검지를 위한 열전대(26)가 부설되어 있다.
레인지버너(2)에 대한 가스공급로(27)에는, 상류측부터 차례로 상폐형(常閉型)의 제 1 전자밸브(271)와, 레인지 본체 전면(前面)의 도시 생략한 조작버튼에 의한 점화조작으로 개방되고 소화조작으로 폐쇄되는 수동의 메인밸브(272)와, 레인지 본체 전면의 도시 생략한 화력조절 레버에 연동하는 수동의 유량조절밸브(273)와, 상개형(常開型)의 제 2 전자밸브(274)와, 제 2 전자밸브(274)에 병렬의 오리피스(275)가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전자밸브(271)의 폐쇄로 레인지버너(2)로의 가스공급이 정지되고, 제 2 전자밸브(274)의 폐쇄로 레인지버너(2)로의 공급가스량이 오리피스(275)로 규정되는 소량으로 제한되어 레인지버너(2)의 화력이 약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레인지버너(2)로 둘러싸이는 버너 내측 공간을 통하여 레인지버너(2)의 상측으로 돌출하는 냄비바닥 온도센서(4)가 설치되어 있다. 냄비바닥 온도센서 (4)는 버너 내측 공간에 삽입되는 상하 방향으로 긴 지지파이프(41)와, 지지파이프 (41)의 상단부에 지지되는 감열헤드(42)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파이프(41)는 도시 생략한 고정구로 레인지버너(2)에 대하여 고정된다. 감열헤드(42)는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맞닿는 집열판(42a)과, 집열판(42a)에 의해 상단이 폐색되는 내통(42b)과, 내통(42b)을 둘러싸는 차열용 외통(42c)을 구비하고, 집열판(42a)의 하면에 집열판(42a)을 통하여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서미스터 등의 감열소자(43)가 장착되어 있다.
내통(42b)은 지지파이프(41)의 상단에 고정한 스프링받이(44a)에 상하 운동 자유롭게 외측에서 삽입되어 있고, 이 스프링받이(44a)와 집열판(42a)의 사이에 스프링(44)을 설치하고, 지지파이프(41)에 대하여 감열헤드(42)를 스프링(44)에 의해 상측으로 탄지하고 있다. 또한, 내통(42b)의 하단부에는 직경이 축소된 단차부 (42d)가 형성되어 있고, 삼발이(3)에 조리용기를 얹어 놓지 않은 자유 상태에서는 감열헤드(42)가 스프링받이(44a)의 하면으로의 단차부(42d)의 맞닿음으로 규제되는 상측 운동단(上動端) 위치에 홀딩된다. 이 상측 운동단 위치에서는 감열헤드(42)가 삼발이(3)보다도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삼발이(3)에 조리용기를 얹어 놓았을 때, 감열헤드(42)가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맞닿아서 스프링(4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눌려 내려지고, 집열판(42a)이 스프링(44)의 압축 반력(反力)으로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확실하게 맞닿도록 하고 있다.
감열소자(43)로부터 연장되는 리드선(43a)은 지지파이프(41)에 삽입되고, 그 하단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어 제어수단인 컨트롤러(5)에 접속된다(도 1 참조). 컨트롤러(5)는 감열소자(43)에서 검출한 조리용기의 온도가 소정의 과열설정온도로 상승하였을 때, 레인지버너(2)의 화력을 약하게 하는 것과 소화하는 것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과열방지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리드선(43a)에는 비교적 강성이 높은 단열피복(43b)이 외측에서 삽입되어 있고, 감열헤드(42)의 상하 운동에 추종하여 리드선(43a)이 지지파이프(41) 내에서 휘는 일없이 상하 운동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가스레인지는 삼발이(3)에 조리용기가 얹어 놓여져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해서, 감열헤드(42)가 눌려 내려졌을 때에 이것을 검출하는 제 1과 제 2의 2개의 검출기(61, 6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 1 검출기(61)는 바닥이 평평한 조리용기를 삼발이(3)에 얹어 놓았을 때의 감열헤드(42)의 하강량(D1)(도 2의 (a) 참조)과 동등하게 설정되는 기준 하강량의 감열헤드(42)의 하강이 검출 가능하고, 제 2 검출기(62)는 기준 하강량을 상회하는 소정범위의 감열헤드(42)의 하강이 검출 가능하며, 또한 제 1과 제 2의 양측 검출기(61, 62)에 의한 감열헤드(42)의 하강의 검출, 불검출의 조합이, 삼발이(3)에 조리용기가 얹어 놓여져 있지 않을 때와, 바닥이 평평한 조리용기를 삼발이(3)에 얹어 놓았을 때와, 바닥이 하측으로 둥글게 패인 중화요리냄비를 삼발이(3)에 얹어 놓았을 때에 변화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기준 하강량은, 바닥면이 변형하여 상측으로 솟아오르거나 하측으로 패인 본래 바닥이 평평한 조리용기에 대처할 수 있도록, 상기 D1의 예를 들면 ±4㎜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준 하강량을 상기 D1과 동등하게 설정한다라는 것은 이와 같은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소정범위는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면의 곡률반경이 예를 들면 45㎝ 정도인 표준적인 크기의 중화요리냄비를 삼발이(3)에 얹어 놓았을 때의 감열헤드(42)의 하강량(D2)의 예를 들면 ±2㎜의 범위로 설정된다.
또한, 상세히 기술하면, 제 1과 제 2의 각 검출기(61, 62)는 단면 U자 형상으로 일측부에 투광부(6a)와 타측부에 수광부(6b)를 갖는 포토인터럽터로 구성되어 있고, 각 검출기(61, 62)로부터 도출되는 리드선(61a, 62a)이 컨트롤러(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지지파이프(41)로부터 도출되는 리드선(43a)의 단열피복(43b)에 외측에서 삽입 고정되어 감열헤드(42)의 상하 운동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통체(43c)를 설치하고, 상기 통체(43c)에 제 1 검출기(61)와 협력 작동하는 제 1 차광판(61)과, 제 2 검출기(62)와 협력 작동하는 제 2 차광판(62)을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차광판(61)의 길이를 비교적 짧게 하여 감열헤드(42)의 하강량이 기준 하강량으로 되어 있을 때에만 제 1 차광판(61)이 제 1 검출기(61)의 투광부(6a)와 수광부 (6b)의 사이에 삽입되어 제 1 검출기(61)가 감열헤드(42)의 하강을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 2 차광판(62)의 길이를 비교적 길게 하여 감열헤드(42)의 하강량이 상기 소정범위에 들어가 있을 때뿐만 아니라 상기 소정범위에서 기준 하강량까지의 어느 것이라도 제 2 차광판(62)이 제 2 검출기(62)의 투광부(6a)와 수광부(6b)의 사이에 삽입되어 제 2 검출기(62)가 감열헤드(42)의 하강을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즉, 제 1 검출기(61)는 기준 하강량의 감열헤드(42)의 하강만을 검출 가능하고, 제 2 검출기(62)는 상기 소정범위뿐만 아니라 상기 소정범위에서 기준 하강량까지의 감열헤드(42)의 하강을 검출 가능하다.
이에 따르면, 제 1과 제 2의 양측 검출기(61, 62)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검출된 경우는, 삼발이(3)에 바닥이 평평한 조리용기가 얹어 놓여졌다고 판별할 수 있고, 제 2 검출기(62)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검출되고, 제 1 검출기(61)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불검출인 경우는, 삼발이(3)에 중화요리냄비(P2)가 얹어 놓여졌다고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제 2 검출기(62)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불검출인 경우는(이 경우는 제 1 검출기(61)에서도 감열헤드(42)의 하강이 불검출이 된다), 삼발이(3)에 조리용기가 얹어 놓여져 있지 않다고 판별할 수 있다.
그런데, 제 2 검출기(62)에 의해, 상기 소정범위의 감열헤드(42)의 하강만을 검출 가능하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러면 이하의 문제점을 발생한다. 즉, 바닥면의 곡률반경이 상당히 큰 특대의 중화요리냄비를 삼발이(3)에 얹어 놓으면, 감열헤드(42)의 하강량이 기준 하강량과 상기 소정범위 사이의 범위에 들어가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는 제 1과 제 2의 양측 검출기(61, 62)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불검출이 되어 삼발이(3)에 조리용기가 얹어 놓여져 있지 않다고 잘못 판별한다. 이 경우, 감열헤드(42)의 기준 하강량과 상기 소정범위 사이의 범위의 하강을 검출 가능한 제 3 검출기를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러면 검출기의 개수가 증가하여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대의 중화요리냄비를 삼발이(3)에 얹어 놓아도 제 2 검출기(62)가 감열헤드(42)의 하강을 검출하기 때문에, 검출기의 개수를 늘리는 일없이 상기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어 유리하다.
컨트롤러(5)는 제 2 검출기(62)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불검출의 상태(삼발이(3)에 조리용기가 얹어 놓여져 있지 않다고 판별된 상태)에서 레인지버너 (2)의 점화조작이 실행된 때는, 레인지버너(2)의 점화를 금지하는 점화제한제어를 실행하고, 레인지버너(2)의 연소중에 제 2 검출기(62)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불검출이 되었을 때는, 레인지버너(2)의 화력을 약하게 하는 것과 소화하는 것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연소제한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컨트롤러(5)에는 조작버튼에 의한 점화조작으로 온하고, 소화조작으로 오프하는 점소화 스위치로부터의 신호와, 열전대(26)로부터의 출력신호도 입력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점화제한제어와 연소제한제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STEP 1에서 점화조작이 실행되었는지 아닌지, 즉 점소화 스위치가 온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온되었을 때에는 STEP 2로 진행하여 제 2 검출기(62)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검출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제 2 검출기(62)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불검출인 경우에는, 삼발이(3)에 조리용기가 얹어 놓여져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STEP 3으로 진행하여 조리용기가 얹어 놓여져 있지 않다는 취지를 표시하는 에러표시를 실행하고, STEP 1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 상폐형의 제 1 전자밸브(271)는 폐쇄된 채이며, 레인지버너(2)에 가스는 공급되지 않고, 점화를 금지하는 점화제한제어가 실행되게 된다.
한편, STEP 2에 있어서, 제 2 검출기(62)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검출되어 있다고 판별된 때는, STEP 4로 진행하여 도시 생략한 점화기에 통전하여 점화전극(25)에서 스파크시키는 동시에, STEP 5에서 제 1 전자밸브(271)를 개방시켜 레인지버너(2)에 점화한다. 다음에, STEP 6으로 진행하고, 점화 확인을 위해서, 열전대(26)의 기전압(Vtc)이 소정의 역치(YV) 이상으로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Vtc<YV이면, STEP 7에서 스파크 개시로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Vtc<YV인 채로 대기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는 점화 미스를 발생했다고 판단하고, STEP 17로 진행하여 제 1 전자 밸브(271)를 폐쇄시킨다.
한편,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Vtc≥YV로 되었을 때는, STEP 8로 진행하여 제 2 검출기(62)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검출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검출되어 있으면 STEP 9로 진행하여 제 1 검출기(61)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검출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제 1 검출기(61)와 감열헤드(42)의 하강이 검출되어 있으면, 바닥이 평평한 조리용기가 삼발이(3)에 얹어 놓여져 있다고 판단하고, 그대로 STEP 8로 되돌아간다. 한편, 제 1 검출기 (62)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불검출이면, 중화요리냄비가 삼발이(3)에 얹어 놓여져 있다고 판단하여 STEP 10으로 진행하고, 제 1 검출기(61)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불검출인 채로 소정시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 즉 삼발이(3)에 얹어 놓은 조리용기가 중화요리냄비라고 판별된 채로 소정시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했을 때는 STEP 11로 진행하여 플래그(F)를 「1」로 설정하고, STEP 8로 되돌아간다.
STEP 8에 있어서, 제 2 검출기(62)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불검출이라고 판별되었을 때는 STEP 12로 진행하여 플래그(F)가 「1」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플래그(F)가 「1」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STEP 13에서 제 2 전자밸브(274)를 폐쇄시켜 레인지버너(2)의 화력을 약하게 하는 연소제한제어를 실행한다. 그 후, STEP 14로 진행하여 제 2 검출기(62)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검출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재차 판별하고, 검출되어 있으면, STEP 15에서 제 2 전자밸브(274)를 개방시킨 후, STEP 8로 되돌아간다. 한편, 제 2 검출기 (62)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불검출이면, STEP 16으로 진행하여 불검출인 채로 소정시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소정시간이 경과했을 때는 STEP 17로 진행하여 제 1 전자밸브(271)를 폐쇄하고, 레인지버너(2)를 소화하는 제 2 연소제한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제 2 검출기(62)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불검출로 되었을 때, 즉 삼발이(3)에 조리용기가 얹어 놓여져 있지 않다고 판별되었을 때의 연소제한제어로서 레인지버너(2)의 화력을 약하게 하는 것과 소화하는 것 중 어느 한쪽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에서, 삼발이(3)에 얹어 놓은 조리용기가 중화요리냄비라고 판별된 채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STEP 11에서 플래그(F)가 「1」로 설정되기 때문에, 그 후에 제 2 검출기(62)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불검출로 되어도 STEP 12에서 F=1로 판별되어 STEP 13으로는 진행하지 않고, 연소제한제어가 금지된다. 또한, 플래그(F)는 소화조작에서 「0」로 재설정된다.
또한, 도 3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레인지버너(2)의 연소중에는 열전대 (26)의 기전압(Vtc)을 상시 감시하고, 레인지버너(2)의 실화로 Vtc<YV로 되었을 때에 제 1 전자밸브(271)를 폐쇄하여 생가스(raw gas)의 방출을 방지하는 실화안전제어를 실행한다.
다음에, 레인지버너(2)의 연소중에 상기한 제어와는 별도로 실행하는 과열방지제어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STEP 101에 있어서, 제 2 검출기(62)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검출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검출되어 있으면 STEP 102로 진행하여 제 1 검출기(61)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검출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제 1 검출기(61)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검출되어 있으면, 바닥이 평평한 조리용기가 삼발이(3)에 얹어 놓여져 있다고 판단하여 STEP 103으로 진행하고, 과열설정온도(YT)를 비교적 낮은 온도(예를 들면 250℃)(YT1)로 설정한다. 또한, 제 1 검출기(61)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불검출이면, 중화요리냄비가 삼발이(3)에 얹어 놓여져 있다고 판단하여 STEP 104로 진행하고, 과열설정온도(YT)를 비교적 높은 온도(예를 들면 290℃)(YTh)로 설정한다.
그 후, STEP 105로 진행하여 감열소자(43)에서 검출되는 조리용기의 온도(T)가 과열설정온도(YT) 이상으로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T≥YT이면, STEP 106으로 진행하여 제 2 전자밸브(274)를 폐쇄시키고, 레인지버너(2)의 화력을 약하게 하는 과열방지제어를 실행한다. 다음에 STEP 107로 진행하여 조리용기의 온도(T)가 과열설정온도(YT)보다 소정의 편차분(△T)만큼 낮은 온도를 하회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T<YT-△T로 되었을 때는 STEP 108에서 제 2 전자밸브(274)를 개방시키고 STEP 105로 되돌아간다.
한편, T≥YT-△T일 때는 STEP 109에서 T≥YT-△T인 채로 소정시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했을 때에는 STEP 110으로 진행하여 제 1 전자밸브(271)를 폐쇄시키고, 레인지버너(2)를 소화하는 제 2 과열방지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T≥YT로 되었을 때의 과열방지제어로서 레인지버너(2)의 화력을 약하게 하는 것과 소화하는 것 중 어느 한쪽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의 제어에 따르면, 제 2 검출기(62)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검출되고, 제 1 검출기(61)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불검출인 경우, 즉 중화요리냄비를 삼발이(3)에 얹어 놓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과열설정온도(YT)가 비교적 높은 온도 (YTh)로 설정되게 된다. 따라서, 중화요리냄비의 예열이 불충분한 단계에서 과열방지제어가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볶음음식 조리의 조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중화요리냄비를 삼발이(3)에 얹어 놓고 예열하는 것에 의해, 제 2 검출기(62)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검출되고, 또한 제 1 검출기(61)에서 감열헤드 (42)의 하강이 불검출인 채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그 후 냄비 흔듬에 의해 제 2 검출기(62)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불검출로 되어도 연소제한제어는 실행되지 않고 볶음음식 조리의 조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 2 검출기(62)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불검출인 상태에서 레인지버너(2)의 점화조작이 실행되었을 때는 레인지버너(2)의 점화가 금지되기 때문에, 삼발이(3)에 조리용기를 얹어 놓지 않은 상태에서의 레인지버너(2)의 점화에 의한 사용자 의복으로의 인화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검출기(61)가 기준 하강량인 감열헤드(42)의 하강만을 검출 가능하지만, 제 1 검출기(61)가 기준 하강량뿐만 아니라 상기 소정범위까지의 감열헤드(42)의 하강을 검출 가능하고, 제 2 검출기(62)가 상기 소정범위의 감열헤드(42)의 하강만을 검출 가능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는 제 1 검출기(61)에서만 감열헤드(42)의 하강이 검출되었을 때에 바닥이 평평한 조리용기가 삼발이(3)에 얹어 놓여져 있다고 판단하여 도 4의 STEP 103으로 진행하고, 제 1과 제 2의 양측 검출기(61, 62)에서 감열헤드(42)의 하강이 검출되었을 때 중화요리냄비가 삼발이(3)에 얹어 놓여져 있다고 판단하여 도 3의 STEP 10이나 도 4의 STEP 104로 진행한다.
단, 이 경우에는 특대의 중화요리냄비를 삼발이(3)에 얹어 놓고 감열헤드 (42)의 하강량이 기준 하강량과 상기 소정범위 사이의 범위에 들어가면, 제 1 검출기(61)에서만 감열헤드(42)의 하강이 검출되어 바닥이 평평한 조리용기가 삼발이(3)에 얹어 놓여져 있다고 잘못 판별하여 과열설정온도가 낮게 설정되거나 연소제한제어가 금지되지 않게 된다. 이에 대하여,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감열헤드(42)의 하강량이 기준 하강량과 상기 소정범위 사이의 범위에 들어가면, 제 2 검출기(62)에서만 감열헤드(42)의 하강이 검출되어 중화요리냄비가 삼발이(3)에 얹어 놓여져 있다고 판별되기 때문에, 과열설정온도가 높게 설정되는 동시에 연소제한제어가 금지되어 특대의 중화요리냄비에 의한 볶음음식 조리의 조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유리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과 제 2의 각 검출기(61, 62)를 포토인터럽터로 구성하고 있지만, 상기 특허문헌 1 기재의 마이크로스위치나 특허문헌 2 기재의 리드스위치 등으로 각 검출기(61, 62)를 구성해도 좋다.
1- 상판 2- 레인지버너
3- 삼발이 4- 냄비바닥 온도센서
41- 지지파이프 42- 감열헤드
43- 감열소자 61- 제 1 검출기
62- 제 2 검출기

Claims (5)

  1. 환형상의 레인지버너로 둘러싸이는 버너 내측 공간에 삽입되는 상하 방향으로 긴 지지파이프의 상단부에 상측으로 탄지되게 지지되며, 감열소자를 내장하는 감열헤드를 갖는 냄비바닥 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상판 상의 삼발이에 조리용기를 얹어 놓았을 때에 감열헤드가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맞닿아서 눌려 내려지고, 감열헤드가 눌려 내려졌을 때에 이것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구비하는 가스레인지에 있어서,
    검출기로서 제 1과 제 2의 적어도 2개의 검출기를 구비하고, 제 1 검출기는 바닥이 평평한 조리용기를 삼발이에 얹어 놓았을 때, 바닥이 평평한 조리용기가 감열헤드를 눌러 내리는 하강량과 동등하게 설정되는 기준 하강량이 검출 가능하고,
    제 2 검출기는 상기 기준 하강량을 상회하는 소정범위의 감열헤드의 하강량이 검출 가능하고,
    또한 삼발이에 조리용기가 얹어 놓여져 있지 않을 때와, 바닥이 평평한 조리용기를 삼발이에 얹어 놓았을 때와, 바닥이 하측으로 둥글게 패인 중화요리 냄비를 삼발이에 얹어 놓았을 때에, 제 1과 제 2의 양측 검출기에 의한 감열헤드의 하강 상태의 검출, 불검출의 조합 결과가 다르도록 하고,
    양측 검출기에 의한 감열헤드의 하강 상태의 검출, 불검출의 조합 결과에 의거하여 삼발이에 조리용기가 얹어 놓여져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동시에, 삼발이에 얹어 놓여진 조리용기가 바닥이 평평한 것과 중화요리냄비 중 어느 것인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검출기는 상기 기준 하강량의 상기 감열헤드의 하강 상태만이 검출 가능하고, 상기 제 2 검출기는 상기 소정범위뿐만 아니라 상기 소정범위에서 기준 하강량까지의 감열헤드의 하강 상태가 검출 가능하고, 삼발이에 얹어 놓여진 조리용기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
  3. 감열소자에서 검출되는 조리용기의 온도가 소정의 과열설정온도로 상승하였을 때에, 과열방지제어로서 레인지버너의 화력을 약하게 하는 것 또는 소화하는 것 중 적어도 한쪽을 실행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가스레인지로서,
    삼발이에 얹어 놓은 조리용기가 중화요리냄비라고 판별되었을 때는, 그렇지 않을 때보다도 과열설정온도를 높게 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
  4. 레인지버너의 연소중에 삼발이에 조리용기가 얹어 놓여져 있지 않다고 판별되었을 때는, 연소제한제어로서 레인지버너의 화력을 약하게 하는 것 또는 소화하는 것 중 적어도 한쪽을 실행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가스레인지로서,
    삼발이에 얹어 놓은 조리용기가 중화요리냄비라고 판별된 채로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연소제한제어를 금지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삼발이에 조리용기가 얹어 놓여져 있지 않다고 판별된 상태에서 레인지버너의 점화조작이 실행되었을 때는 레인지버너의 점화를 금지하는 점화제한제어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
KR1020130093270A 2013-08-06 2013-08-06 가스레인지 KR101486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270A KR101486157B1 (ko) 2013-08-06 2013-08-06 가스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270A KR101486157B1 (ko) 2013-08-06 2013-08-06 가스레인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157B1 true KR101486157B1 (ko) 2015-01-23

Family

ID=52592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270A KR101486157B1 (ko) 2013-08-06 2013-08-06 가스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1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4340A (zh) * 2018-09-25 2018-12-25 南京英维尔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自平衡智能燃气灶及平衡控制方法
CN111623380A (zh) * 2020-06-22 2020-09-04 安徽金瑞杰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两主两副燃气灶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357A (ko) * 2002-07-30 2004-02-0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곤로용 냄비바닥 온도센서
JP2007292408A (ja) * 2006-04-26 2007-11-08 Cleanup Corp 鍋底感熱センサ付コンロ
KR20120050389A (ko) * 2010-11-10 2012-05-18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가스레인지
JP2012154572A (ja) * 2011-01-27 2012-08-16 Rinnai Corp ガスコンロ用鍋底温度セン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357A (ko) * 2002-07-30 2004-02-0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곤로용 냄비바닥 온도센서
JP2007292408A (ja) * 2006-04-26 2007-11-08 Cleanup Corp 鍋底感熱センサ付コンロ
KR20120050389A (ko) * 2010-11-10 2012-05-18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가스레인지
JP2012154572A (ja) * 2011-01-27 2012-08-16 Rinnai Corp ガスコンロ用鍋底温度セン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4340A (zh) * 2018-09-25 2018-12-25 南京英维尔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自平衡智能燃气灶及平衡控制方法
CN109084340B (zh) * 2018-09-25 2024-03-29 南京英维尔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自平衡智能燃气灶及平衡控制方法
CN111623380A (zh) * 2020-06-22 2020-09-04 安徽金瑞杰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两主两副燃气灶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85583B1 (en) Cooktop with a device for fire mitigation and corresponding method
JP5388203B2 (ja) ガスコンロ
JP2007213894A (ja) 誘導加熱装置
JP2010014342A (ja) ガスコンロにおける火力調節装置。
KR101486157B1 (ko) 가스레인지
JP2003004237A (ja) 加熱調理器
JP2018128171A (ja) ガスコンロ
JP5148570B2 (ja) こんろ
JP5648006B2 (ja) ガスコンロ
JP2006118817A (ja) 加熱調理器
CN104279583B (zh) 燃气炉具
JP5564064B2 (ja) ガスコンロ
JP6058587B2 (ja) ガスコンロ
JP4139270B2 (ja) 調理器
JP2013152063A (ja) ガスコンロ
JP4586188B2 (ja) 調理容器の温度検出構造
JP2003310428A (ja) 炊飯器
JP5390005B2 (ja) こんろ
JP5921480B2 (ja) コンロ
KR100429417B1 (ko) 가스레인지의비등점검지장치및그방법
JP2006138571A (ja) ガスこんろ
JP5302657B2 (ja) 加熱調理器
JP2018128169A (ja) コンロ
JP2005241044A (ja) コンロ用鍋底温度センサおよびコンロにおける過熱防止装置
KR101265549B1 (ko) 가스레인지의 과열방지 기능의 자동 해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