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779B1 -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779B1
KR101483779B1 KR1020140169069A KR20140169069A KR101483779B1 KR 101483779 B1 KR101483779 B1 KR 101483779B1 KR 1020140169069 A KR1020140169069 A KR 1020140169069A KR 20140169069 A KR20140169069 A KR 20140169069A KR 101483779 B1 KR101483779 B1 KR 101483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haft
bridge
coupling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건설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건설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건설이엔지
Priority to KR1020140169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21D5/1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6Deformable or tearable wires, strings, or strips; Use of seals, e.g. destructible locking pins
    • B65D55/066Foil covers combined with outer closures and comprising interacting or interposed tamper indicating means visible through the outer closure, e.g. releasable coloured dyes, changeable patterns, pierceable membranes, visible through a transparent closure or through a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F16M11/34Members limiting spreading of legs, e.g. "umbrella le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직립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다리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축이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블록; 상기 승강축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교량의 저면에 접촉되어 교량의 지점변위를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지지블록에 지지되고 결합부에 의해 제1패널 및 제2패널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1패널에 구비되는 고정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동기어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축과 볼트결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착탈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주동기어의 주동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재로 이루어지는 승강조작부;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부재를 관통하여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각형의 축에 설치되고 상기 종동기어에 기어연결되는 구속기어와, 상기 축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의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와, 상기 축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조작홀부로 이루어지는 승강상태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POINT DISPLACEMENT MEASURING INSTRUMENT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축 및 연장축을 승강시키는 승강조작부의 설치 및 해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측정장치의 설치, 해제 및 이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등의 구조물은 준공 후 5년이 경과 하면 구조물 안전진단을 실시하여 교량 구조물의 안전성 평가를 한 후 문제점이 없을 경우 관할 감독청으로 관리업무를 이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교량 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해야 하고, 준공 후 일정기간이 지난 교량에 대해서도 대형사고를 미리 예방하는 차원에서 교량관리가 요구되어 정기적 또는 수시로 교량의 안전성 평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교량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별도의 계측장비를 교량의 상판 중간지점에 설치하고 시험차량을 운행하여 교량에 작용하는 하중과 각종 변위를 측정하고 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교량의 상태를 측정하였다.
교량의 지점변위를 측정하는 측정기는 교량의 저면에 밀착시키고, 차량이 통과되는 동안의 교량의 변위를 측정하여 안전성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0868호(2009년 6월 4일 공고, 발명의 명칭 : 교량의 모멘트 변화 통합 관리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측정장치는,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교량 하부에 측정장치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어렵고, 측정작업이 종료된 후에 측정장치의 해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어려워 교량의 점검작업이 용이하게 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승강축 및 연장축을 승강시키는 승강조작부의 설치 및 해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측정장치의 설치, 해제 및 이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면에 직립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다리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축이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블록; 상기 승강축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교량의 저면에 접촉되어 교량의 지점변위를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지지블록에 지지되고 결합부에 의해 제1패널 및 제2패널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1패널에 구비되는 고정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동기어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축과 볼트결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착탈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주동기어의 주동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재로 이루어지는 승강조작부;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부재를 관통하여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각형의 축에 설치되고 상기 종동기어에 기어연결되는 구속기어와, 상기 축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의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와, 상기 축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조작홀부로 이루어지는 승강상태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패널로부터 상기 제2패널 측으로 돌출되는 결합후크; 상기 결합후크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패널에 형성되는 결합홈부; 상기 결합홈부로부터 상기 제2패널 외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결합공간부; 상기 결합공간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구속돌기; 상기 제1걸림돌기와 상기 결합공간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구속돌기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조작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착탈부는, 상기 제2패널의 외측 단부 저면에서 돌출되는 제1고정후크; 상기 제2패널의 외측 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커버부재에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재로부터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고정굴곡부; 상기 고정굴골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후크와 걸림결합되는 제2고정후크; 및 상기 제2고정후크로부터 연장되는 해제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는, 승강축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승강축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승강상태유지부가 구비되므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승강축을 상승시키고 상승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교량의 점검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는, 승강조작부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간단한 작업에 의해 조립하고 해체할 수 있는 결합부가 구비되므로 측정장치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교량의 점검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는, 승강조작부의 커버부재의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행하는 착탈부가 구비되므로 측정장치의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의 결합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의 결합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는, 지면에 직립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다리부(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축(5)이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블록(1)과, 승강축(5)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교량의 저면에 접촉되어 교량의 지점변위를 측정하는 센싱부(8)와, 지지블록(1)에 지지되고 결합부(16)에 의해 제1패널(12) 및 제2패널(14)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지지플레이트(10), 제1패널(12)에 구비되는 고정블록(12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동기어(32), 지지플레이트(10)에 설치되고 승강축(5)과 볼트결합되는 종동기어(38), 지지플레이트(10)에 착탈부(7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50), 주동기어(32)의 주동축(34)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재(36)로 이루어지는 승강조작부(100)와, 커버부재(50)에 설치되는 케이스(82), 케이스(82)와 커버부재(50)를 관통하여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각형의 축에 설치되고 종동기어(38)에 기어연결되는 구속기어(84), 축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커버부재(50) 사이의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86), 축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조작홀부(88)로 이루어지는 승강상태유지부(80)를 포함한다.
지지블록(1)의 둘레면에는 다수 개의 다리부(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다수 개의 다리부(3)를 지지블록(1) 외측으로 펼쳐 지면과 일정 각도를 유지토록 하면 지지블록(1)이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된다.
지지블록(1)의 중앙부에는 상면으로부터 저면까지 관통되는 홀부가 형성되어 나사산이 형성되는 승강축(5)이 삽입되고, 지지블록(1)의 홀부 내벽을 따라 승강축(5)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지지블록(1)의 상면에는 지지플레이트(10)가 설치되고, 지지플레이트(10)는 지지블록(1)과 비교하여 넓게 형성되어 승강조작부(100)의 저면을 이루게 된다.
제1패널(12) 및 제2패널(14)은 각각 중앙부에 서로 대향되는 제1통과홈부 및 제1통과홀부(12a)가 형성되고, 제1패널(12) 및 제2패널(14)의 일단부는 경첩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측정장치를 설치할 때에 지지블록(1)의 상면에 제1패널(12) 및 제2패널(14)을 안착시키고, 결합부(16)를 조작하여 제1패널(12) 및 제2패널(14)을 결합시키면 제1통과홈부와 제2통과홈부가 연속되게 배치되어 승강축(5)이 출몰되는 홀부를 이루게 된다.
결합부(16)는, 제1패널(12)로부터 제2패널(14) 측으로 돌출되는 결합후크(16a)와, 결합후크(16a)가 삽입되도록 제2패널(14)에 형성되는 결합홈부(37)(16b)와, 결합홈부(37)(16b)로부터 제2패널(14) 외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결합공간부(16c)와, 결합공간부(16c)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걸림돌기(18a)가 형성되는 구속돌기(18)와, 제1걸림돌기(18a)와 결합공간부(16c) 사이에 개재되는 제1탄성부재(18b)와, 구속돌기(18)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조작홀부(18c)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패널(12)과 제2패널(14)을 회전시켜 서로 대향되게 배치시키면 걸림후크가 결합홈부(16b)에 삽입되면서 구속돌기(18)의 경사면을 밀어 구속돌기(18)를 결합공간부(16c) 측으로 가압하면서 삽입되므로 걸림돌기에 의해 제1탄성부재(18b)가 압축되면서 구속돌기(18)가 이동된다.
결합후크(16a)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1탄성부재(18b)의 복원력에 의해 구속돌기(18)가 결합홈부(37)(16b) 측으로 돌출되어 결합후크(16a)를 구속하여 제1패널(12)과 제2패널(14)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에, 작업자가 지지플레이트(10)의 해체작업을 행할 때에는 제1조작홀부(18c)를 지지플레이트(10) 외측으로 당기면 제1탄성부재(18b)가 압축되면서 구속돌기(18)가 결합공간부(16c)로 후퇴하여 제1패널(12)과 제2패널(14)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0)의 조립을 완료한 후에는 종동기어(38) 및 커버부재(50)를 설치하는데, 커버부재(50)는 착탈부(70)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0)에 조립된다.
커버부재(50)는 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되어 지지플레이트(10)의 상면에 조립되고, 일측면에는 주동축(34)이 통과되는 제1관통홀부(52)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도어부재(5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는 승강축(5)이 돌출되는 제2관통홀부(54)가 형성된다.
따라서 주동축(34) 및 승강축(5)이 돌출되도록 커버부재(50)를 지지플레이트(10)의 상면에 안착시킨 후에 착탈부(70)를 조작하여 커버부재(50)를 조립하게 되며, 본 실시예의 착탈부(70)는 커버부재(50)의 하단 복수 면에 설치되어 커버부재(50)를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착탈부(70)는, 제2패널(14)의 외측 단부 저면에서 돌출되는 제1고정후크(72)와, 제2패널(14)의 외측 단부를 감싸도록 커버부재(50)에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재(56)로부터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고정굴곡부(74)와, 고정굴골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제1고정후크(72)와 걸림결합되는 제2고정후크(76)와, 제2고정후크(76)로부터 연장되는 해제레버(78)를 포함한다.
따라서 커버부재(50)를 설치한 후에 도어부재(56)를 회전시켜 커버부재(50)를 폐쇄하고, 고정굴골부를 변형시키면서 제1고정후크(72) 측으로 가압하면 제2고정후크(76)가 제1고정후크(72)에 걸림결합되면서 커버부재(50) 및 도어부재(56)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후에, 커버부재(50)를 해체하는 경우에는 해제레버(78)를 하측으로 당기면서 고정굴곡부(74)를 변형시키면서 제1고정후크(72)와 제2고정후크(76)이 걸림결합을 해제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된 측정장치는 승강축(5) 상단에 센싱부(8)를 결합한 연장축(7)을 설치하고, 작업자가 주동축(34)을 레버부재(36)의 결합홈부(37)에 삽입하고, 레버부재(36)를 회전시켜 승강축(5), 연장축(7) 및 센시부를 교량의 저면으로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제2조작홀부(88)를 커버부재(50) 외측으로 당기면서 레버부재(36)를 회전시키면서 승강작업을 행한다.
제2조작홀부(88)를 커버부재(50) 외측으로 당기면 제2탄성부재(86)가 압축되면서 구속기어(84) 및 제2걸림돌기(84a)가 후퇴되므로 구속기어(84)가 종동기어(38)와 분리되고, 상승작동을 완료한 후에 작업자가 제2조작홀부(88)를 놓으면 제2탄성부재(86)의 복원력에 의해 제2걸림돌기(84a) 및 구속기어(84)가 전진하게 되어 종동기어(38)와 기어연결된다.
여기서, 구속기어(84)의 회전축의 단면 및 케이스(82)의 호부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므로 구속기어(84)의 회전운동을 구속하게 되므로 종동기어(38)의 회전도 구속되어 승강축(5)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승강축(5)은 종동기어(38)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종동기어(38)의 홀부 내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승강축(5)과 볼트결합되므로 종동기어(38)의 회전운동이 구속되면 승강축(5)의 상승 또는 하강이 구속된다.
따라서 승강축(5), 연장축(7) 및 센싱부(8)의 상승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승강축 및 연장축을 승강시키는 승강조작부의 설치 및 해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측정장치의 설치, 해제 및 이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측정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지지블록 3 : 다리부
5 : 승강축 7 : 연장축
8 : 센싱부 10 : 지지플레이트
32 : 주동기어 38 : 종동기어
50 : 커버부재 70 : 착탈부
80 : 승강상태유지부 100 : 승강조작부

Claims (3)

  1. 지면에 직립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다리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축이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블록;
    상기 승강축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교량의 저면에 접촉되어 교량의 지점변위를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지지블록에 지지되고 결합부에 의해 제1패널 및 제2패널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1패널에 구비되는 고정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동기어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축과 볼트결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착탈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주동기어의 주동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재로 이루어지는 승강조작부;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부재를 관통하여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각형의 축에 설치되고 상기 종동기어에 기어연결되는 구속기어와, 상기 축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의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와, 상기 축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조작홀부로 이루어지는 승강상태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패널로부터 상기 제2패널 측으로 돌출되는 결합후크;
    상기 결합후크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패널에 형성되는 결합홈부;
    상기 결합홈부로부터 상기 제2패널 외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결합공간부;
    상기 결합공간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구속돌기;
    상기 제1걸림돌기와 상기 결합공간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구속돌기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조작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제2패널의 외측 단부 저면에서 돌출되는 제1고정후크;
    상기 제2패널의 외측 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커버부재에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재로부터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고정굴곡부;
    상기 고정굴골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후크와 걸림결합되는 제2고정후크; 및
    상기 제2고정후크로부터 연장되는 해제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KR1020140169069A 2014-11-28 2014-11-28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KR101483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069A KR101483779B1 (ko) 2014-11-28 2014-11-28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069A KR101483779B1 (ko) 2014-11-28 2014-11-28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779B1 true KR101483779B1 (ko) 2015-01-19

Family

ID=52590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069A KR101483779B1 (ko) 2014-11-28 2014-11-28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77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424B1 (ko) * 2016-05-17 2016-09-08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교량 상부구조물 진동변위 측정용 장치
KR101765890B1 (ko) * 2016-12-23 2017-08-10 (주) 토건테크 정밀측정이 가능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KR101765887B1 (ko) * 2016-12-23 2017-08-10 주식회사 대성건설이엔지 측정정밀도 향상을 위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KR101765886B1 (ko) * 2016-12-23 2017-08-10 (주) 토건테크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KR101765899B1 (ko) * 2016-12-23 2017-08-10 주식회사 대경유지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KR101765900B1 (ko) * 2016-12-23 2017-08-10 주식회사 대경유지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KR101947022B1 (ko) 2018-05-16 2019-05-02 주식회사 대경유지 스트링긴장력조절수단을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
KR101947031B1 (ko) 2018-05-16 2019-05-02 주식회사 대성건설이엔지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
KR102435227B1 (ko) * 2021-07-05 2022-08-31 박진일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653A (ja) * 1997-08-06 1999-02-26 Kanesashi Sokki Seisakusho Tokyo Eigiyoushiyo:Kk 測量機用三脚の昇降装置
KR19990086807A (ko) * 1998-05-30 1999-12-15 박영진 비용접 사각 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0107367A (ja) * 2008-10-30 2010-05-13 Myzox:Kk 測量用三脚
KR20140100014A (ko) * 2013-02-05 2014-08-14 김유신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653A (ja) * 1997-08-06 1999-02-26 Kanesashi Sokki Seisakusho Tokyo Eigiyoushiyo:Kk 測量機用三脚の昇降装置
KR19990086807A (ko) * 1998-05-30 1999-12-15 박영진 비용접 사각 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0107367A (ja) * 2008-10-30 2010-05-13 Myzox:Kk 測量用三脚
KR20140100014A (ko) * 2013-02-05 2014-08-14 김유신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424B1 (ko) * 2016-05-17 2016-09-08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교량 상부구조물 진동변위 측정용 장치
KR101765890B1 (ko) * 2016-12-23 2017-08-10 (주) 토건테크 정밀측정이 가능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KR101765887B1 (ko) * 2016-12-23 2017-08-10 주식회사 대성건설이엔지 측정정밀도 향상을 위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KR101765886B1 (ko) * 2016-12-23 2017-08-10 (주) 토건테크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KR101765899B1 (ko) * 2016-12-23 2017-08-10 주식회사 대경유지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KR101765900B1 (ko) * 2016-12-23 2017-08-10 주식회사 대경유지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KR101947022B1 (ko) 2018-05-16 2019-05-02 주식회사 대경유지 스트링긴장력조절수단을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
KR101947031B1 (ko) 2018-05-16 2019-05-02 주식회사 대성건설이엔지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
KR102435227B1 (ko) * 2021-07-05 2022-08-31 박진일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
KR20230007246A (ko) * 2021-07-05 2023-01-12 박진일 교번 설치 가능한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
KR102578273B1 (ko) 2021-07-05 2023-09-12 박진일 교번 설치 가능한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779B1 (ko)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KR100893535B1 (ko) 삼각대
JP6366163B2 (ja) 2つのプロファイル部分を取り外し可能に接続するためのクランプ装置
KR101533454B1 (ko) 교량 구조물용 안전 점검장치
ITPD20120411A1 (it) Struttura perfezionata di casseratura per l'esecuzione di getti orizzontali per la realizzazione di solai
EP2643670B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testing the load-supporting capability of a lifting fixture
JP6009332B2 (ja) 自昇降式外部養生装置用の固定装置とその設置方法
JP2012197609A (ja) 先行手摺り
ITUB20153881A1 (it) Sistema di aggancio e sgancio rapido di una unita' cingolata ad un telaio di una macchina cingolata, particolarmente di una macchina cingolata posa-tubi.
KR101066243B1 (ko) 주탑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탑 가설공법
JP2007182281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制御盤点検台装置
KR101194410B1 (ko) 구조물 지지장치 및 그를 위한 조인트
JP2009270708A (ja) アジャスタボルト
US20190152750A1 (en) Boom arrangement, personnel hoist and method of using personnel hoist
CN211314089U (zh) 电梯底坑爬梯支撑装置
ITRM20080631A1 (it) Parapetto per ponteggi modulari.
KR101754175B1 (ko) 업그레이드 기능을 구비한 테스트 기기
KR101570737B1 (ko) 안전한 위치에서 설치 및 해체되는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KR101492774B1 (ko)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KR20130129151A (ko) 건설용 시스템서포트의 클램프
KR101469496B1 (ko) 교량 보수공사를 위한 일체형 비계조립 및 인상공법
KR20130127763A (ko) 작업용 비계
JP4886292B2 (ja) エレベータ据え付け工事における親綱の保持構造
JP2018193154A (ja) ジャッキアップ治具、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および防振部材の交換方法
KR20170002082U (ko)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와이어로프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