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031B1 -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031B1
KR101947031B1 KR1020180056056A KR20180056056A KR101947031B1 KR 101947031 B1 KR101947031 B1 KR 101947031B1 KR 1020180056056 A KR1020180056056 A KR 1020180056056A KR 20180056056 A KR20180056056 A KR 20180056056A KR 101947031 B1 KR101947031 B1 KR 101947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tring
ring
type displacement
d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성용
서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건설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건설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건설이엔지
Priority to KR1020180056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0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F16M11/34Members limiting spreading of legs, e.g. "umbrella le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01B5/06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height gauges

Abstract

본 발명은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응답성이 양호한 링타입 변위계를 사용하며 링타입 변위계의 링부재와 교량 하면의 직접 접촉에 의하여 교량의 처짐이 전달되지 않고 스트링을 통하여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무게 중심을 삼각대의 상단보다 하향 위치시켜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되며, 교량의 처짐량과 링타입 변위계의 링부재의 변위량이 일치하게 되어 교량의 처짐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deflection of bridge using ring type displacement transducer}
본 발명은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응답성이 양호한 링타입 변위계를 사용하며 링타입 변위계의 링부재와 교량 하면의 직접 접촉에 의하여 교량의 처짐이 전달되지 않고 스트링을 통하여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무게 중심을 삼각대의 상단보다 하향 위치시켜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교량의 처짐량과 링타입 변위계의 링부재의 변위량이 일치하게 되어 교량의 처짐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구조물은 준공 후 5년이 경과하면 구조물 안전진단을 실시하여 구조물의 안전성 평가를 한 후 문제점이 없을 경우 관할 감독청으로 관리업무를 이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교량 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해야 하고, 준공 후 일정 기간이 지난 교량에 대해서도 대형사고를 미리 예방하는 차원에서 교량관리가 요구되어 정기적 또는 수시로 교량의 안전성 평가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교량 구조물의 안전성을 점검하기 위하여 별도의 계측장비를 교량 상판 중간지점에 설치하고 시험차량을 운행하여 교량에 작용하는 각종 변위를 측정하고 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교량의 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즉, 교량의 처짐을 측정하는 측정기는 교량의 저면에 밀착시키고 차량이 통과하는 동안 교량의 변위를 측정하게 된다.
종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0868호(2009.05.(4. 등록) "교량의 모멘트 변화 통합 관리시스템"(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은 교량에 설치한 센서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중을 받는 교좌장치의 수직표면에 센서를 설치하여 센서에서 감지된 기계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현장용 감시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감시 결과의 데이터를 인터넷 등의 전송망을 통해 센터로 전송하여 분석하도록 하며,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하며, 상반의 분해 조립 없이 센서의 교체가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1은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지 않아 교량 하부에 측정 장치를 설치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측정작업이 종료된 후에 측정 장치의 해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서 교량의 점검작업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3779호(2015.01.12. 등록)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 장치"(이하, '선행기술2'라 함)는 삼각대에 거치되는 지지블록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센싱부의 상단에 교량의 하면에 접촉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측정 장치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교량의 점검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승강조작부의 커버부재의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행하는 착탈부가 구비되므로 측정 장치의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2는 센서가 상하로 출몰하는 봉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변위량 측정정밀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 2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65900호(2017.08.01. 등록)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 장치"(이하, '선행기술 3'이라 함)는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함으로써 측정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2, 3은 센서 또는 링타입 변위계를 교량의 하면에 접촉시키기 위하여 삼각대의 상단에서 교량의 하면에 이르는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승강나사봉과 센서봉을 필요로 하며 승강나사봉과 센서봉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구동장치가 복잡하고 중량을 증가시키게 되며, 승강나사봉과 승강구동장치의 중량으로 인하여 전체 장치의 무게 중심이 삼각대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게 되어 거치가 불안정한 상태로 되어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 3의 응답성이 양호한 링타입 변위계를 사용하지만 링타입 변위계의 링부재의 상단부가 교량의 하면에 직접 접촉하는 것으로서 링부재의 상단과 교량 하면 간의 슬립에 의하여 교량의 처짐이 링타입 변위계에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아 측정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 2는 링부재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만 작동하게 되므로 링부재의 변형량이 교량의 처짐량보다 크게 되어 측정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0868호(2009.05.(4. 등록) "교량의 모멘트 변화 통합 관리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3779호(2015.01.12. 등록)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65900호(2017.08.01. 등록)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게 중심을 삼각대의 상단보다 하향 위치시켜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한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량의 처짐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삼각대; 상기 삼각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센서봉지지대; 상기 센서봉지지대에 하단이 지지되는 센서봉; 상기 센서봉의 상단에 하단이 결합되는 링부재, 상기 링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링부재의 양측에 부착되는 센싱부를 구비한 링타입 변위계; 상기 센서봉의 상단부와 상기 링부재의 하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하면에 고정되는 교량측 고정부재; 및 상기 링부재의 상단과 교량측 고정부재의 하단을 연결하는 스트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의 처짐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센서봉과 스트링은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의 처짐 측정 장치.
본 발명의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에 의하면, 응답성이 양호한 링타입 변위계를 사용하며 링타입 변위계의 링부재와 교량 하면의 직접 접촉에 의하여 교량의 처짐이 전달되지 않고 스트링을 통하여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무게 중심을 삼각대의 상단보다 하향 위치시켜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되며, 교량의 처짐량과 링타입 변위계의 링부재의 변위량이 일치하게 되어 교량의 처짐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라 교량 처짐을 측정하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
도 3의 (a)는 측정 장치를 거치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의 (b)는 교량에 처짐이 발생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거치 상태 정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라 교량 처짐을 측정하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
도 7의 (a)는 측정 장치를 거치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의 (b)는 측정 장치의 스트링긴장력보강수단을 설치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의 (c)는 교량에 처짐이 발생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를 보인 거치 상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성요소들을 결합하기 위하여 단순히 볼트가 관통되거나 체결되는 볼트관통공과 볼트체결공(나사홀)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는 상판과 거더와 같은 교량상부구조물(SS)이 철재로 구성된 교량, 예컨대 철제거더 또는 철제거더를 가지는 거더교, 강교(鋼橋), 판형교(Plate Girder Bridge), 강합성상형교(Steel Box Girder Bridge), 강상판형교 등과 같은 교량에 적용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지지대(11)와 3개의 다리(12)를 가지는 삼각대(10)와; 상기 상단지지대(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센서봉지지대(20)와, 상기 센서봉지지대(20)에 하단이 고정되는 센서봉(40)과; 상기 센서봉(40)의 상단에 하단이 결합되는 링타입 변위계(50)와; 상기 센서봉(40)의 상단부와 상기 링타입 변위계(50) 하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60)과; 교량의 상부구조물(SS)의 하면에 고정되는 교량측 고정부재(70); 및 상기 링타입 변위계(50)의 상단과 교량측 고정부재(70)의 하단을 연결하는 스트링(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삼각대(10)는 3개의 다리(12)의 길이 및/또는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단지지대(11)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통상적인 측량용 삼각대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구체저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센서봉지지대(20)는 수평판(21)과, 상기 수평판(21)의 상면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판(21)의 상면 중앙부에 결합되는 센서봉지지관(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봉지지대(20)는 센서봉지지관(22)에 상기 센서봉(40)의 하단이 직접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센서봉지지관(2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센서봉(40)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지지관(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판(21)의 상면과 센서봉지지관(22)의 외주면 사이에는 복수개의 보강리브(22a)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수평판(21)과 센서봉지지관(22) 및 보강리브(22a)는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회전지지관(23)은 상기 수평판(21)과 센서봉지지관(22)에 법선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나사홀(24a)에 조임나사(24b)를 체결하여 조임나사(24b)의 선단부가 회전지지관(23)의 외주면을 조이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센서봉지지관(22)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봉(40)은 상기 회전지지관(23)의 주면에 형성된 관통홀(25a)과 동축을 이루며 회전지지관(23)의 외주면에 용접 고정되는 너트(25b)에 조임볼트(25c)를 체결하여 조임볼트(25c)의 선단부가 센서봉(40)의 외주면을 조이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지지관(23)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봉지지대(20)의 수평판(21)은 상기 삼각대(10)의 상단지지대(11)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상단지지대(11)와 수평판(21)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조절수단(30)을 통하여 결합하여 센서봉지지대(20)의 수평도와 센서봉(40)의 수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평조절수단(30)은 상기 상단지지대(11)에 결합되는 고정판(31)과, 상기 고정판(31) 상에 배치되며 상기 수평판(21)이 결합되는 조절판(32)과, 상기 고정판(31)에 형성된 지지공(3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33)과, 상기 조절판(32)에 형성된 나사홀(32a)에 체결되는 나사봉(34)과, 상기 지지축(33)과 나사봉(34) 사이에 결합되는 조절손잡이(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절판(32)에는 원형 수평계(36)와 막대형 수평계(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절수단(30)은 고정판(31)의 하면 중심부에 하향 돌출 형성된 나사(도시생략)를 상기 삼각대(10)의 상단지지대(11)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도시생략)에 관통시키고 상단지지대(11)의 하면에서 상기 나사에 너트(도시생략)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삼각대(10)에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봉지지대(20)는 상기 수평판(21)의 하면 중심부에 하향 돌출 형성된 나사(도시생략(을 삼기 수평조절수단(30)의 조절판(32)의 중심부에 형성된 나사홀(도시생략)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수평조절수단(3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센서봉(40)은 하나의 봉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두개의 봉(41, 42)과, 두개의 봉(41, 42) 사이에 설치되는 길이조절링(43)이 구비된 신축형 봉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축형 봉은 길이조절링(43)과 한 쪽 봉(41 또는 42)을 한 쪽으로 돌리면 풀려서 길이조절 가능한 상태로 되고, 반대쪽으로 돌리면 길이조절된 상태로 조여지는 통상적인 신축형 봉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링타입 변위계(50)는 링부재(51)와, 상기 링부재(5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52)와, 상기 링부재(51)의 양측에 구비되는 센싱부(53)와, 상기 결합부(52)에 결합되며 센싱구동회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54)과, 상기 센싱부(53)와 회로기판(54)을 연결하는 연결전선(55)과, 상기 회로기판(54)에 연결되는 입출력전선(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링부재(51)는 판스프링 재질의 띠강판을 링형으로 형성한 것이며, 상기 결합부(52)는 띠강판의 양단을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입출력전선(54)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52)는 상면에 상기 링타입 변위계(50)의 링부재(51)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52b)이 형성된 결합부본체(52a)와, 상기 삽입홈(52b)을 복개하는 덮개(52c)와, 상기 덮개(52c)와 링부재(51)의 하단부에 형성된 관통공(52d, 52e)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본체(52a)의 상면에 형성된 나사홀(52f)에 체결되는 고정나사(52g)를 포함한다.
상기 센싱부(53)는 링부재(51)의 변위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링부재(51)의 양측에 접착고정된다. 상기 센싱부(53)를 링부재(51)에 접착하기 위하여 강력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54)은 상기 결합부(52)의 하면에 접착 또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전선(55)과 입출력전선(56)은 센싱부(53)와 회로기판(54)에 입력전류를 입력함과 아울러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링타입 변위계(50)는 기성 제품을 그대로 활용하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입출력전선(56)은 교량처짐측정 프로그램이 설치된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의 컴퓨터(도시생략)에 연결하여 측정시스템이 구축되도록 한다. 상기 센싱부(53)와 회로기판(54)은 상기 입출력전선(56)을 통하여 컴퓨터와 배터리(도시생략)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링부재(51)의 상단에는 상기 스트링연결고리(57)가 구비된다. 상기 스트링연결고리(57)는 도시예와 같이, 고리부(57a)의 하단에 용접 고정된 나사부(57b)를 링부재(51)의 상단부에 형성된 관통공(57c)에 관통시키고, 나사부(57b)에 너트(57d)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링부재(51)에 결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고리부(57a)를 포함하며 링부재(51)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높이조절수단(60)은 상기 센서봉(40)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향 연장되며 하부조절볼트(61)와, 상기 결합부(52)에 고정되어 하향 연장되며 상기 하부조절볼트(61)와 나선방향이 반대인 상부조절볼트(62)와, 상기 하부조절볼트(61)에 맞물리는 하부나사홀(63a)과 상기 상부조절볼트(62)에 맞물리는 상부나사홀(63b)을 가지는 조절너트(63)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하부조절볼트(61)와 하부나사홀(63a)은 오른나선으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조절볼트(62)와 상부나사홀(63b)은 왼나선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반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조절볼트(61)는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61a)를 상기 센서봉(40)의 상단에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센서봉(40)의 상단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봉(40)의 주벽 상단에 형성되는 나사홀(도시생략)에 체결되는 세트나사(도시생략)에 의하여 고정부(61a)의 외주면을 조이는 것에 의하여 센서봉(40)의 상단에 하부조절볼트(61)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상부조절볼트(62)는 상기 결합부(52)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회로기판(54)을 관통하여 하향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조절볼트(61)에는 로크너트(64)가 추가로 체결되며, 상기 상부조절볼트(62)에는 로크너트(65)가 추가로 체결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60)은 조절너트(63)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리면, 하부조절볼트(61)와 하부나사홀(63a)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조절너트(63)를 기준으로 하여 하부조절볼트(61)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상부조절볼트(62)와 상부나사홀(63b)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상부조절볼트(62)가 하강 또는 상승하게 된다.
이때, 하부조절볼트(61) 및 하부나사홀(63a)과 상부조절볼트(62) 및 상부나사홀(63b)의 나선방향이 서로 반대로 되어 있으므로 하부조절볼트(61)가 상승할 때는 상부조절볼트(62)가 하강하게 되고, 하부조절볼트(61)가 하강할 때는 상부조절볼트(62)가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하부조절볼트(61)가 결합된 센서봉(40)의 상단에서, 상부조절볼트(62)에 결합된 링타입 변위계(5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교량측 고정부재(70)는 본 실시예와 같이 상판과 거더와 같은 교량상부구조물(SS)이 철재로 구성된 교량, 예컨대 철제거더 또는 철제거더를 가지는 거더교, 강교(鋼橋), 판형교(Plate Girder Bridge), 강합성상형교(Steel Box Girder Bridge), 강상판형교 등과 같은 교량의 경우에는 영구자석으로 구성하여 자력에 의하여 흡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량측 고정부재(70)는 상판과 거더와 같은 교량상부구조물(SS)이 콘크리트 재질로 구성된 교량, 예컨대 콘크리트교, T형교, 콘크리트거더교, PSC박스거더교 등의 교량의 경우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교량측 고정부재(70)는 교량상부구조물(SS)이 비자성체이거나 자성체이거나 불문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영구자석(71)과, 상기 영구자석(71)을 감싸는 자석케이싱(72)과, 상기 자석케이싱(72)의 하면에 결합되는 연결고리(7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71)은 스트링(80)을 통하여 가해지는 하향 인장력을 이길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자가 교량상부구조물(SS)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정도의 흡착력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71)은 원주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자석케이싱(72)은 하면이 폐쇄되고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영구자석(71)을 삽입하였을 때 영구자석(71)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고리(73)는 자석케이싱(72)의 하면에 직접 용접 고정할 수도 있으며, 도시예와 같이 자석케이싱(72)의 하면에 용접 고정되는 연결봉(74)의 하단에 용접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스트링(80)은 하나의 소선으로 구성된 와이어 또는 여러 개의 소선을 꼬아서 만든 연선 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트링(80)의 상단에는 상기 교량측 고정부재(70)의 하단부에 구비된 연결고리(73)에 걸리는 걸고리(81)가 구비되고, 상기 스트링(80)의 하단에는 상기 링타입 변위계(50)의 링부재(51)의 상단부에 구비된 연결고리(73)에 걸리는 스트링길이조절구(82)가 구비된다.
상기 걸고리(81)는 스트링(80)의 상단부를 연결할 수 있음과 아울러 교량측 고정부재(70)의 연결고리(73)에 걸릴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의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스트링길이조절구(82)는 상기 스트링(80)이 관통하는 스트링관통공(84)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고리(57)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조절구본체(83)와, 상기 조절구본체(83)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홀(85)에 체결되어 스트링관통공(84)에 관통된 스트링(80)을 조이는 스트링조임나사(86)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트링길이조절구(82)는 스트링조임나사(88)를 이완시키면 스트링(80)에 대한 조절구본체(83)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위치이동된 상태에서 스트링조임나사(86)를 조여서 조절구본체(83)를 스트링(80)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트링(8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트링길이조절구(82)는 반드시 도시예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스트링(80)을 상기 연결고리(57)에 통과시켜 반전시켜 두 가닥이 겹쳐지게 한 다음 위치를 이동하면서 두 가락의 스트링(80)을 조여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는 링타입 변위계(50)의 링부재(51)가 직접 교량의 하면에 접촉하지 않고, 스트링(80)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이므로 센서봉(40)의 길이를 비교적 짧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치 전체의 무게 중심이 삼각대(10)의 상단보다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장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에 의하여 교량의 처짐을 측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라 교량 처짐을 측정하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도 3에서는 삼각대(10)에 대한 도시는 생략한다.
준비과정으로서 삼각대(10)의 상단지지대(11)에 센서봉지지대(20)를 결합하고, 센서봉지지대(20)에 센서봉(40)을 결합하며, 센서봉(40)의 상단에 높이조절수단(60)을 통하여 링타입 변위계(50)를 결합한 상태로 준비함과 아울러 교량측 고정부재(70)에 스트링(80)을 연결한 상태로 준비한다.
센서봉지지대(20)와 센서봉(40)과 링타입 변위계(50) 및 높이조절수단(60)이 결합된 삼각대(10)를 측정하고자 하는 교량 하부의 지면에 거치한다[도 3의 (a) 참조].
이때, 삼각대(10)의 3개의 다리(12)의 각도와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상단지지대(11)가 대략적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함과 아울러 센서봉(40)이 대략적으로 수직을 이루도록 한다.
또한 수평조절수단(30)에 의하여 조절판(32)의 수평도를 조절하여 조절판(32)에 결합된 센서봉지지대(20)의 수평판(21)과 센서봉지지관(22) 및 회전지지관(23), 그리고 회전지지관(23)에 지지된 센서봉(40)의 수직도를 보다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수평조절수단(30)의 손잡이(35)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리면, 손잡이(35)에 결합된 지지축(33)이 고정판(31)의 지지공(31a)에 대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 하게 되고, 손잡이(35)에 결합된 나사봉(34)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면서 조절판(32)의 나사홀(32a)과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조절판(32)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되며, 이러한 수평조절수단(30)은 고정판(31)과 조절판(32)에 등각도 간격으로 3개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절판(32)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조절판(32)에 설치된 원형 수평계(36)와 막대형 수평계(37)를 이용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절판(32)의 수평도를 조절하게 되면, 조절판(32)에 결합된 센서봉지지관(22)과, 센서봉지지관(22)에 삽입 고정된 회전지지관(23) 및, 회전지지관(23)에 삽입 고정된 센서봉(40)과, 센서봉(40)의 상단에 결합된 링타입 변위계(50)의 수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입출력전선(56)이 연결된 컴퓨터에 설치된 교량처짐측정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또한 스트링(80)의 상단에 연결된 교량측 고정부재(70)를 교량상부구조물(SS)의 하면에 고정하며, 스트링(80)의 하단을 링타입 변위계(50)의 상단에 연결한다.
이때, 교량상부구조물(SS)이 철제거더 등 자성체인 경우에는 교량측 고정부재(70)를 구성하는 영구자석(71)의 자력에 의하여 흡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교량상부구조물(SS)이 콘크리트 등 비자성체인 경우에는 교량측 고정부재(70)를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링(80)은 휘어지거나 늘어지는 일이 없이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스트링길이조절구(82)에 의하여 스트링(80)의 길이를 조절함과 아울러 높이조절수단(60)에 의하여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스트링(80)을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링타입 변위계(50)의 링부재(51)가 자유상태에서 원을 이룬다고 할 때 링부재(51)의 상단부가 스트링(80)에 의하여 상방으로 당겨지는 상향 탄성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장변이 상하방향으로 위치하는 타원형을 이루는 상태로 된다.
링부재(51)에 상향 탄성변형이 발생하게 되면, 센싱부(53)는 상향 탄성변형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그 전기적 신호가 연결전선(55)과 입출력전선(56)을 통하여 교량처짐측정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에 전달되고, 컴퓨터의 모니터에 탄성변형량에 따른 처짐값이 표시된다.
이때, 전기적 신호는 링부재(51)가 교량의 처짐에 대응한 하향 탄성변형에 따른 것이 아니고, 스트링(80)에 의하여 당겨짐에 대응한 상향 탄성변형에 따른 것이므로 처짐값이 '-'로 표시되는데 작업자가 컴퓨터의 키보드 조작에 의하여 '-'값으로 표시된 처짐값을 '0'으로 리셋한다.
이 상태에서 교량에 처짐이 발생하게 되면, 교량의 처짐량(δ)만큼 교량측 고정부재(70)가 하강하게 되고, 교량측 고정부재(70)와 링타입 변위계(50)의 링부재(51)에 연결되어 팽팽하게 유지되고 있던 스트링(80)이 느슨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스트링(80)에 의하여 상방으로 당겨지고 있던 링부재(51)의 상단부가 하강하는 하향 탄성변형이 발생하게 된다[도 3의 (b) 참조].
링부재(51)에 하향 탄성변형이 발생하게 되면, 센싱부(53)는 그 하향 탄성변형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그 전기적 신호가 연결전선(55)과 입출력전선(56)을 통해 교량처짐측정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에 전달되며, 컴퓨터의 모니터에 하향 탄성변형에 따른 처짐값이 컴퓨터의 모니터에 표시된다.
이때, 컴퓨터 모니터에 표시되는 처짐값은 '+'값으로 표시되며, 작업자는 모니터에 표시된 처짐값을 읽어 교량의 처짐량(δ)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는 상판과 거더와 같은 교량상부구조물(SS)이 콘크리트 재질로 구성된 교량, 예컨대 콘크리트교, T형교, 콘크리트거더교, PSC박스거더교 등의 교량에 적용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교량상부구조물(SS)이 콘크리트 등 비자성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교량측 고정부재(670)를 교량상부구조물(SS)에 자력으로 부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교량상부구조물(SS)의 하면에 고정되는 자성체판(MP)을 더 포함하여 자성체판(MP)에 영구자석(71)를 포함하는 교량측 고정부재(70)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여타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자성체판(MP)은 접착제에 의하여 교량상부구조물(SS)의 하면에 접착하여 고정하거나 앵커볼트에 의하여 교량상부구조물(SS)의 하면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교량측 고정부재(70)는 교량상부구조물(SS)이 비자성체인 경우 자성체판(MP)를 사용하지 않고 교량상부구조물(SS)의 하면에 접착제에 의하여 직접 고정할 수도 있으며, 자성체이거나인 경우에도 교량측 고정부재(70)를 자력에 의하여 고정하지 않고 교량상부구조물(SS)의 하면에 접착제에 의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는 상판과 거더와 같은 교량상부구조물(SS)이 철재로 구성된 교량, 예컨대 철제거더 또는 철제거더를 가지는 거더교, 강교(鋼橋), 판형교(Plate Girder Bridge), 강합성상형교(Steel Box Girder Bridge), 강상판형교 등과 같은 교량에 적용한 예를 보인 것이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링타입 변위계(50)의 링부재(51)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트링(80)을 하방으로 당겨서 스트링(80)을 팽팽하게 긴장시키는 것인바, 이 경우 바람이 강하게 부는 상태에서는 링부재(51)의 자체 탄성력만으로는 스트링(80)이 바람의 영향으로 휘어지지 않을 정도의 긴장력을 부여할 수 없게 되어 교량의 처짐량(δ)이 스트링(80)을 통하여 링부재(51)에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는 스트링(80)의 긴장력을 보강하기 위한 스트링긴장력보강수단(90)을 더 포함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트링긴장력보강수단(90)은 상기 링타입 변위계(50)의 링부재(51)의 하단과 상단 사이에 연결되는 인장스프링(91)을 포함한다.
상기 인장스프링(91)은 스프링(80)에 긴장력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므로 링부재(51)의 탄성력보다 큰 인장력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스프링(91)은 하단과 상단에 각각 하단걸고리(92)와 상단걸고리(93)를 구비한 인장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링타입 변위계(50)의 링부재(51)의 하단과 상단에는 각각 상기 하단걸고리(92)와 상단걸고리(93)를 걸기 위한 하단고리(94)와 상단고리(95)가 구비된다.
상기 하단고리(94)는 상기 결합부(52)의 덮개(52c) 상에 고정되는 고정부(94a)와, 상기 고정부(94a)에서 상향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어 상기 하부걸고리(92)가 걸리는 고리부(94b)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94a)는 상기 덮개(52c)를 결합부본체(52a)에 고정하는 고정나사(52g)에 의하여 덮개(52c)와 함께 결합부본체(52a)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부(94a)에는 고정나사(52g)가 관통되는 나사관통공(94c)이 형성된다.
상기 상단고리(95)는 고리부(95a)와, 상기 고리부(95a)의 상단에 결합되는 나사부(95b)를 포함한다.
상기 상단고리(95)는 상기 스트링연결고리(57)와 함께 하나의 너트(95c)에 의하여 링부재(51)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너트(95c)의 상단과 하단에 나사홀(95d, 95e)을 형성하여 상단의 나사홀(95d)을 상기 스트링연결고리(57)의 나사부(57b)에 체결하고, 하단의 나사홀(95e)을 상기 상단고리(95)의 나사부(95b)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하나의 너트(95c)에 의하여 상단고리(95)와 스트링연결고리(57)를 링부재(51)의 상단부에 결합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에 의하여 교량의 처짐을 측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준비과정으로서 삼각대(10)의 상단지지대(11)에 센서봉지지대(20)를 결합하고, 센서봉지지대(20)에 센서봉(40)을 결합하며, 센서봉(40)의 상단에 높이조절수단(60)을 통하여 링타입 변위계(50)를 결합한 상태로 준비함과 아울러 교량측 고정부재(70)에 스트링(80)을 연결한 상태로 준비하며, 스트링긴장력보강수단(90)은 별도로 준비한다.
센서봉지지대(20)와 센서봉(40)과 링타입 변위계(50) 및 높이조절수단(60)이 결합된 삼각대(10)를 측정하고자 하는 교량 하부의 지면에 거치한다[도 7의 (a) 참조].
도 7의 (a)는 측정 장치를 거치한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 상태에서는 스트링긴장력보강수단(90)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로서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도 3의 (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하단고리(94)의 고리부(94b)에 인장스프링(91)의 하단걸고리(92)를 걸고, 상기 상단고리(95)의 고리부(95a)에 인장스프링(91)의 상단걸고리(93)를 걸어서 링부재(51)의 하단과 상단 사이에 스트링긴장력보강수단(90)을 설치하여 스트링(80)의 긴장력을 보강한다[도 7의 (b) 참조].
링부재(51)의 하단과 상단 사이에 스트링긴장력보강수단(90)이 설치되면, 링부재(51)의 상단과 하단이 인장스프링(91)의 탄성력에 의하여 당겨지게 되고, 링부재(51)는 하단이 결합부(52), 높이조절수단(60), 센서봉(40), 센서봉지지대(20) 및 수평조절수단(30)을 통하여 삼각대(10)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링부재(51)의 상단이 하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링부재(51)의 상단부에 하단이 연결되어 있는 스트링(80)이 하방으로 당겨지게 되어 스트링(80)의 긴장력이 보강되는 것이다.
따라서 바람이 강하게 부는 상태에서도 스프링(80)이 바람의 영향으로 휘어지지 않게 되어 교량의 처짐량(δ)이 스트링(80)을 통하여 링부재(51)에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교량에 처짐이 발생하게 되면, 교량의 처짐량(δ)만큼 교량측 고정부재(70)가 하강하게 되고, 교량측 고정부재(70)와 링타입 변위계(50)의 링부재(51)에 연결되어 팽팽하게 유지되고 있던 스트링(80)이 느슨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스트링(80)에 의하여 상방으로 당겨지고 있던 링부재(51)의 상단부가 하강하는 하향 탄성변형이 발생하게 된다[도 7의 (c) 참조].
링부재(51)에 하향 탄성변형이 발생하게 되면, 센싱부(53)는 그 하향 탄성변형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그 전기적 신호가 연결전선(55)과 입출력전선(56)을 통해 컴퓨터에 전달되며, 컴퓨터의 모니터에 하향 탄성변형에 따른 처짐값이 컴퓨터의 모니터에 표시된다.
이때, 컴퓨터 모니터에 표시되는 처짐값은 '+'값으로 표시되며, 작업자는 모니터에 표시된 처짐값을 읽어 교량의 처짐량(δ)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는 스트링긴장력보강수단(90)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교량의 처짐량(δ)이 스트링(80)을 통하여 링부재(51)에 정확하게 전달되므로 교량의 처짐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는 상판과 거더와 같은 교량상부구조물(SS)이 콘크리트 재질로 구성된 교량, 예컨대 콘크리트교, T형교, 콘크리트거더교, PSC박스거더교 등의 교량에 적용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교량상부구조물(SS)이 콘크리트 등 비자성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교량측 고정부재(670)를 교량상부구조물(SS)에 자력으로 부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교량상부구조물(SS)의 하면에 고정되는 자성체판(MP)을 더 포함하여 자성체판(MP)에 영구자석(71)을 포함하는 교량측 고정부재(70)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여타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자성체판(MP)은 접착제에 의하여 교량상부구조물(SS)의 하면에 접착하여 고정하거나 앵커볼트에 의하여 교량상부구조물(SS)의 하면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교량측 고정부재(70)는 자성체판(MP)를 사용하지 않고 교량상부구조물(SS)의 하면에 접착제에 의하여 직접 고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삼각대 20 : 센서봉지지대
30 : 수평조절대 40 : 센서봉
50 : 링타입 변위계 60 : 높이조절수단
70 : 교량측 고정부재 80 : 스트링
90 : 스트링긴장력보강수단

Claims (2)

  1. 삼각대(10);
    상기 삼각대(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센서봉지지대(20);
    상기 센서봉지지대(20)에 하단이 지지되는 센서봉(40);
    상기 센서봉(40)의 상단에 하단이 결합되는 링부재(51), 상기 링부재(5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52), 상기 링부재(51)의 양측에 부착되는 센싱부(53)를 구비한 링타입 변위계;
    상기 센서봉(40)의 상단부와 상기 링부재(51)의 하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60);
    교량의 상부구조물(SS)의 하면에 고정되는 교량측 고정부재(70); 및
    상기 링부재(51)의 상단과 교량측 고정부재(70)의 하단을 연결하는 스트링(8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링타입 변위계(50)는 상기 링부재(51)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연결고리(5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교량측 고정부재(70)는 교량상부구조물(SS)이 비자성체이거나 자성체이거나 불문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영구자석(71)과, 상기 영구자석(71)을 감싸는 자석케이싱(72)과, 상기 자석케이싱(72)의 하면에 결합되는 연결고리(7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교량측 고정부재(70)는 교량상부구조물(SS)이 철재로 구성된 철제거더 또는 철제거더를 가지는 거더교, 강교, 판형교, 강합성상형교, 강상판형교를 가지는 교량의 경우에는 영구자석으로 구성하여 자력에 의하여 흡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교량상부구조물(SS)이 콘크리트 재질로 구성된 콘크리트교, T형교, 콘크리트거더교, PSC박스거더교 등의 교량의 경우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트링(80)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고리(73)에 걸리는 걸고리(81)와, 상기 연결고리(57)에 걸리는 스트링길이조절구(8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트링길이조절구(82)는 상기 스트링(80)이 관통하는 스트링관통공(84)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고리(57)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조절구본체(83)와, 상기 조절구본체(83)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홀(85)에 체결되어 스트링관통공(84)에 관통된 스트링(80)을 조이는 스트링조임나사(86)를 포함하여 상기 스트링조임나사(86)를 이완시키면 스트링(80)에 대한 조절구본체(83)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위치이동된 상태에서 스트링조임나사(86)를 조여서 조절구본체(83)를 스트링(80)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트링(8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의 처짐 측정 장치.
  2. 삭제
KR1020180056056A 2018-05-16 2018-05-16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 KR101947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056A KR101947031B1 (ko) 2018-05-16 2018-05-16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056A KR101947031B1 (ko) 2018-05-16 2018-05-16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031B1 true KR101947031B1 (ko) 2019-05-02

Family

ID=66581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056A KR101947031B1 (ko) 2018-05-16 2018-05-16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0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759B1 (ko) * 2020-12-01 2021-03-19 (주)신우기술 비행체를 이용한 교량 재하시험용 변위계측장치
KR102295542B1 (ko) * 2020-12-22 2021-08-30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재하시험 보조장치
CN114542908A (zh) * 2022-02-25 2022-05-27 巩义市保卫公路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造价现场测绘装置
KR20230157112A (ko) 2022-05-09 2023-11-1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과 링크를 이용한 센서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WO2024041620A1 (zh) * 2022-08-24 2024-02-29 深圳市豪华联合科技有限公司 一种伸缩支脚、多脚支架及拍摄支架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675B1 (ko) * 2008-07-28 2008-10-29 주식회사 장민이엔씨 이동이 용이한 교량 상판의 변위측정 안전진단장치
KR100900868B1 (ko) 2007-07-20 2009-06-04 신윤장 교량의 모멘트 변화 통합 관리시스템
KR101010184B1 (ko) * 2009-12-11 2011-01-21 박세범 휴대용 측정기구
KR101202190B1 (ko) * 2012-05-04 2012-11-16 (주)백산엔지니어링 변위 측정장치
KR101483779B1 (ko) 2014-11-28 2015-01-19 주식회사 대성건설이엔지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KR101615097B1 (ko) * 2016-02-18 2016-04-25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환형탄성판을 이용한 구조물 변위 측정 장치
KR101765900B1 (ko) 2016-12-23 2017-08-10 주식회사 대경유지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KR101794127B1 (ko) * 2017-01-17 2017-11-06 (주)한국종합시설안전 교량 상부구조물의 변위거동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868B1 (ko) 2007-07-20 2009-06-04 신윤장 교량의 모멘트 변화 통합 관리시스템
KR100865675B1 (ko) * 2008-07-28 2008-10-29 주식회사 장민이엔씨 이동이 용이한 교량 상판의 변위측정 안전진단장치
KR101010184B1 (ko) * 2009-12-11 2011-01-21 박세범 휴대용 측정기구
KR101202190B1 (ko) * 2012-05-04 2012-11-16 (주)백산엔지니어링 변위 측정장치
KR101483779B1 (ko) 2014-11-28 2015-01-19 주식회사 대성건설이엔지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KR101615097B1 (ko) * 2016-02-18 2016-04-25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환형탄성판을 이용한 구조물 변위 측정 장치
KR101765900B1 (ko) 2016-12-23 2017-08-10 주식회사 대경유지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KR101794127B1 (ko) * 2017-01-17 2017-11-06 (주)한국종합시설안전 교량 상부구조물의 변위거동 측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759B1 (ko) * 2020-12-01 2021-03-19 (주)신우기술 비행체를 이용한 교량 재하시험용 변위계측장치
KR102295542B1 (ko) * 2020-12-22 2021-08-30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재하시험 보조장치
CN114542908A (zh) * 2022-02-25 2022-05-27 巩义市保卫公路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造价现场测绘装置
CN114542908B (zh) * 2022-02-25 2023-06-23 巩义市保卫公路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造价现场测绘装置
KR20230157112A (ko) 2022-05-09 2023-11-1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과 링크를 이용한 센서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WO2024041620A1 (zh) * 2022-08-24 2024-02-29 深圳市豪华联合科技有限公司 一种伸缩支脚、多脚支架及拍摄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031B1 (ko)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
KR101947022B1 (ko) 스트링긴장력조절수단을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
CN104132767B (zh) 一种基于mems的压力传感器
US7282655B2 (en) Electronic balance having a position control mechanism
KR101765900B1 (ko)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CN101622462A (zh) 指示负载的方法和设备
JP2647503B2 (ja) 差圧トランスミッタ
JP3940970B2 (ja) ひずみ測定モジュール
KR101765886B1 (ko)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KR20080025275A (ko) 광섬유격자센서를 이용한 변위 계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방법
US7066036B2 (en) Instrument for measuring suspended masses for machines that operate with traction cables
KR101765890B1 (ko) 정밀측정이 가능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CN106226177B (zh) 特高压直流复合穿墙套管内外抗震试验装置及试验方法
CN105928488A (zh) 钻孔垂向线应变测量仪
KR101765899B1 (ko)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CN209512823U (zh) 一种可重复使用的螺栓载荷传感器
CN110672265B (zh) 一种力传感器的校准装置及方法
CN103419165A (zh) 一种高精度扭矩扳子及其校验、安装和检测方法
KR102578272B1 (ko) 동시 설치 가능한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
JPH11107278A (ja) 圧入杭打抜工法および同装置
CN217304589U (zh) 一种拉推力测试装置
US20050145044A1 (en) Six degrees of freedom mirrored cantilever extensometer
CN212903791U (zh) 一种用于桥梁扰度检测的安装支架
JP6457066B2 (ja) センサユニット
RU5417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стройки и калибровки буйковых уровнемеро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