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272B1 - 동시 설치 가능한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동시 설치 가능한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8272B1 KR102578272B1 KR1020220095072A KR20220095072A KR102578272B1 KR 102578272 B1 KR102578272 B1 KR 102578272B1 KR 1020220095072 A KR1020220095072 A KR 1020220095072A KR 20220095072 A KR20220095072 A KR 20220095072A KR 102578272 B1 KR102578272 B1 KR 1025782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d
- fixing
- mounting
- gauge
- le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01B5/0004—Suppor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시 설치 가능한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프레임부, 상기 메인프레임부를 세우기 위한 복수의 다리부, 및 교량 상판의 높이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게이지를 상기 메인프레임부에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하고자 하는 교량의 하측 설치면에 게이지를 안정적으로 설치시킬 수 있어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하고자 하는 교량의 하측 설치면에 게이지를 안정적으로 설치시킬 수 있어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게이지를 안정적으로 장착시킴은 물론, 측정하고자 하는 교량의 하측 설치면에 안정적으로 설치시킬 수 있어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 설치 가능한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구조물은 준공 시 초기점검을 실시하여 구조물의 안전성 평가를 한 후 문제점이 없을 경우 관할 감독청으로 관리업무를 이관하게 된다.
이후, 준공후 10년이 경과하게되면 구조물 안전진단을 실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교량 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해야 하고, 준공 후 일정 기간이 지난 교량에 대해서도 대형사고를 미리 예방하는 차원에서 교량관리가 요구되어 정기적 또는 수시로 교량의 안전성 평가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교량 구조물의 안전성을 점검하기 위하여 별도의 계측장비를 교량 상판 중간지점에 설치하고 시험차량을 운행하여 교량에 작용하는 각종 변위를 측정하고 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교량의 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즉, 교량의 처짐을 측정하는 측정기는 교량의 저면에 밀착시키고 차량이 통과하는 동안 교량의 변위를 측정하게 된다.
종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0868호의 교량의 모멘트 변화 통합관리시스템은 교량에 설치한 센서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중을 받는 교좌장치의 수직표면에 센서를 설치하여 센서에서 감지된 기계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현장용 감시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감시 결과의 데이터를 인터넷 등의 전송망을 통해 센터로 전송하여 분석하도록 하며,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하며, 상반의 분해 조립 없이 센서의 교체가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은 교좌장치가 교각과 상판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교량 설치시 함께 설치되어 비용이 증가됨은 물론, 해당 교량에만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여 여러 교량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게이지를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 및 유지시킬 수 있어 측정 정밀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메인프레임부, 상기 메인프레임부를 세우기 위한 복수의 다리부, 및 교량 상판의 높이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게이지를 상기 메인프레임부에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부,를 포함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교량의 하측 설치면에 게이지를 안정적으로 설치시킬 수 있어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 설치 가능한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부, 상기 메인프레임부를 세우기 위한 복수의 다리부, 및 교량 상판의 높이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게이지를 상기 메인프레임부에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프레임부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메인다단봉, 및 상기 각 메인다단봉의 위치를 각각 고정시키기 위한 메인다단고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는, 다리프레임, 및 상기 다리프레임을 상기 메인다단봉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켜 각도 조절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다리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리프레임은, 다단봉으로 형성되는 다리다단봉, 및 상기 각 다리다단봉의 위치를 각각 고정시키기 위한 다리다단고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 상기 다리다단봉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다리다단봉의 하단부가 설치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상기 각 다리다단봉 중 최하측에 위치된 다리다단봉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미끄럼방지프레임, 상기 미끄럼방지프레임에 돌출형성되어 설치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미끄럼방지돌기, 및 상기 설치면을 향해 회전된 미끄럼방지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미끄럼방지고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미끄럼장비고정부는, 상기 미끄럼방지프레임의 회전되는 축을 쪼이거나 풀어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지는, 탄성을 갖는 링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교량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링게이지와 봉형상으로 상단부에 슬라이딩되는 센싱부를 갖고, 하단부 중앙부에 케이블이 연결된 봉게이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상단부에 고정너트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링게이지를 고정너트에 장착시키기 위한 링장착부, 및 상기 봉게이지를 고정너트에 장착시키기 위한 봉장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링장착부는, 상기 고정너트에 체결되도록 상기 링게이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링고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봉장착부는, 내부에 장착공간부가 형성되는 봉장착본체, 및 상기 고정너트에 체결되도록 상기 봉장착본체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봉고정볼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착공간부는, 상기 봉게이지가 장착되기 위한 제1장착공간부와 상기 케이블이 위치되기 위한 제2장착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장착본체는, 내부에 상기 제1장착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봉게이지의 하단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을 갖는 제1봉장착본체, 내부에 상기 제2장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이 위치되며, 상기 봉고정볼트가 일체로 형성되는 제2봉장착본체, 상기 제1장착공간부와 제2장착공간부가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제1봉장착본체와 제2봉장착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봉장착절개부, 및 상기 봉장착절개부를 폐쇄시켜 제1장착공간부에 위치된 봉게이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봉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링게이지를 메인프레임부에 장착시키기 위한 링장착부, 및 상기 봉게이지를 메인프레임부에 장착시키기 위한 봉장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링장착부는,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너트, 및 상기 고정너트에 체결되도록 상기 링게이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링고정볼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봉장착부는, 제1고정공을 갖고,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봉고정브래킷, 내부에 장착공간부가 형성되고, 장착공간부에 장착되는 봉게이지의 하단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과 케이블이 하측으로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을 갖는 봉장착본체, 상기 제1고정공에 대응되도록 제2고정공을 갖고, 상기 봉장착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봉고정브래킷, 및 일직선상에 위치된 제1고정공과 제2고정공에 관통되어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봉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봉장착본체는, 상기 관통공의 하측 주변을 감싸도록 제2봉장착본체가 더 구비되어 상기 봉게이지와 케이블의 연결부분을 보호한다.
그리고 상기 봉장착부는, 제1고정공을 갖고,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봉고정브래킷, 내부에 장착공간부가 형성되고, 장착공간부에 장착되는 봉게이지의 하단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과 케이블이 하측으로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 상단부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걸림턱을 갖는 봉장착본체, 상기 봉장착본체가 관통되고, 상단면에 걸림턱이 걸려 위치시키는 봉거치프레임, 상기 제1고정공에 대응되도록 제2고정공을 갖고, 상기 봉거치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봉고정브래킷, 및 일직선상에 위치된 제1고정공과 제2고정공에 관통되어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봉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봉장착본체는, 상기 관통공의 하측 주변을 감싸도록 제2봉장착본체가 더 구비되어 상기 봉게이지와 케이블의 연결부분을 보호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봉게이지를 메인프레임부에 장착시키기 위한 봉장착부, 및 상기 링게이지를 봉장착부에 장착시키기 위한 링장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봉장착부는,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너트, 내부에 장착공간부가 형성되는 봉장착본체, 및 상기 고정너트에 체결되도록 상기 봉장착본체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봉고정볼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링장착부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링고정공을 갖고, 상기 봉장착본체에 구비되는 링장착본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착공간부는, 상기 봉게이지가 장착되기 위한 제1장착공간부와 상기 케이블이 위치되기 위한 제2장착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장착본체는, 내부에 상기 제1장착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봉게이지의 하단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을 갖는 제1봉장착본체, 내부에 상기 제2장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이 위치되며, 상기 봉고정볼트가 일체로 형성되는 제2봉장착본체, 상기 제1장착공간부와 제2장착공간부가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제1봉장착본체와 제2봉장착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봉장착절개부, 및 상기 봉장착절개부를 폐쇄시켜 제1장착공간부에 위치된 봉게이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봉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봉장착부는, 제1고정공을 갖고,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봉고정브래킷, 내부에 장착공간부가 형성되고, 장착공간부에 장착되는 봉게이지의 하단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과 케이블이 하측으로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을 갖는 봉장착본체, 상기 제1고정공에 대응되도록 제2고정공을 갖고, 상기 봉장착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봉고정브래킷, 및 일직선상에 위치된 제1고정공과 제2고정공에 관통되어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봉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봉장착본체는, 상기 관통공의 하측 주변을 감싸도록 제2봉장착본체가 더 구비되어 상기 봉게이지와 케이블의 연결부분을 보호한다.
그리고 상기 링장착부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링고정공을 갖고, 상기 봉장착본체에 구비되는 링장착본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부과 각 다리부의 위치를 유지시켜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형상유지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형상유지부는, 상기 메인프레임부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제1와이어, 상기 다리부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제2와이어, 및 상기 제1와이어의 타단부와 제2와이어의 일단부의 장력을 유지시켜 메인프레임부와 다리부 사이에 장력을 형성시켜 각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장력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부는, 장력조절본체, 상기 장력조절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1너트, 상기 장력조절본체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제2너트, 상기 제1와이어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너트에 체결되는 제1고정앵커, 및 상기 제2와이어의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2너트에 체결되는 제2고정앵커,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는 피아노강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동시 설치 가능한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에 의하면, 측정하고자 하는 교량의 하측 설치면에 게이지를 안정적으로 설치시킬 수 있어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 장착부의 다른 실시 예의 봉장착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형상유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 장착부의 다른 실시 예의 봉장착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형상유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 장착부의 다른 실시 예의 봉장착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형상유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동시 설치 가능한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10)는 메인프레임부(100), 다리부(200) 및 장착부(300)를 포함한다.
메인프레임부(100)는 세워지는 것으로, 교량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게이지(20)가 설치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다리부(200)는 복수 구비되며, 메인프레임부(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곳에 세우기 위해 구비된다.
장착부(300)는 교량 상판(1)의 높이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게이지(20)를 메인프레임부(100)에 장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교량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10)에 의하면, 게이지(20)를 견고하게 장착하여 교량 상판(1)의 쳐짐 등의 변위에 대한 정밀한 측정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메인프레임부(100)는 메인다단봉(110)과 메인다단고정부(120)를 포함한다.
메인다단봉(11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다단봉으로 구성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삽입되어 슬라이딩된다.
그리고 메인다단고정부(120)는 각 메인다단봉(110)의 위치를 각각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교량 상판(1)의 높이에 따라, 메인프레임부(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리부(200)는 다리프레임(210)과 다리고정부(220)를 포함한다.
다리고정부(220)는 다리프레임(210)을 메인프레임부(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메인다단봉(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켜 각도 조절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다리프레임(210)은 다리다단봉(212)과 다리다단고정부(214)를 포함한다.
다리다단봉(212)은 다단봉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다리다단고정부(214)는 각 다리다단봉(212)의 위치를 각각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10)가 설치되는 위치에서 각 다리부(200)가 설치되는 부분의 높이가 상이할 경우, 이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다리부(20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부(230)를 더 포함한다.
이 미끄럼방지부(230)는 다리다단봉(212)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다리다단봉(212)의 하단부가 설치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미끄럼방지부(230)는 미끄럼방지프레임(232)과 미끄럼방지돌기(234) 및 미끄럼방지고정부(236)를 포함한다.
미끄럼방지프레임(232)은 각 다리다단봉(212) 중 최하측에 위치된 다리다단봉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미끄럼방지돌기(234)는 복수 형성되는 것으로, 미끄럼방지프레임(232)에 돌출형성되어 설치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미끄럼방지고정부(236)는 설치면을 향해 회전된 미끄럼방지프레임(232)을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미끄럼방지고정부(236)는 일 실시 예로, 미끄럼방지프레임(232)의 회전되는 축을 쪼이거나 풀어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게이지(20)는 링게이지(30)와 봉게이지(4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링게이지(30)는 탄성을 갖는 링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교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고, 봉게이지(40)는 봉형상으로 상단부에 슬라이딩되는 센싱부를 갖고, 하단부 중앙부에 케이블(42)이 연결된다.
이와 같은, 링게이지(30)와 봉게이지(40)는 기존에 판매되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장착부(30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링장착부(310)와 봉장착부(320)를 포함한다.
먼저, 메인프레임부(100)의 상단부에 고정너트(330)가 형성된다.
링장착부(310)는 링게이지(30)를 고정너트(330)에 장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봉장착부(320)는 봉게이지(40)를 고정너트(330)에 장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다시 말해, 링장착부(310)와 봉장착부(320)는 어느 하나만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되는 게이지가 링게이지(30)인지 봉게이지(40)인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ㅊ
이를 위한, 링장착부(310)는 링고정볼트(312)를 포함한다.
이 링고정볼트(312)는 고정너트(330)에 체결되도록 링게이지(30)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봉장착부(320)는 봉장착본체(322)와 봉고정볼트(324)를 포함한다.
봉장착본체(322)는 내부에 장착공간부(321)가 형성된다.
또한 봉고정볼트(324)는 고정너트(330)에 체결되도록 봉장착본체(322)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장착공간부(321)는 봉게이지(40)가 장착되기 위한 제1장착공간부(321a)와 케이블(42)이 위치되기 위한 제2장착공간부(321b)를 포함한다.
그리고 봉장착본체(322)는 제1봉장착본체(3222)와 제2봉장착본체(3224), 봉장착절개부(3226) 및 봉이탈방지부(3228)를 포함한다.
제1봉장착본체(3222)는 내부에 제1장착공간부(321a)가 형성되며, 봉게이지(40)의 하단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3223)이 형성된다.
또한 제2봉장착본체(3224)는 내부에 제2장착공간부(321b)가 형성되고, 케이블(42)이 위치되며, 봉고정볼트(324)가 일체로 형성된다.
봉장착절개부(3226)는 제1장착공간부(321a)와 제2장착공간부(321b)가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제1봉장착본체(3222)와 제2봉장착본체(3224)의 외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봉이탈방지부(3228)는 봉장착절개부(3226)를 폐쇄시켜 제1장착공간부(321a)에 위치된 봉게이지(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장착부(400)는 링장착부(410)와 봉장착부(420)를 포함한다.
링장착부(410)는 링게이지(30)를 메인프레임부(100)에 장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봉장착부(420)는 봉게이지(40)를 메인프레임부(100)에 장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링장착부(410)는 고정너트(412)와 링고정볼트(414)를 포함한다.
고정너트(412)는 메인프레임부(100)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또한 링고정볼트(414)는 고정너트(412)에 체결되도록 링게이지(30)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봉장착부(420)는 제1봉고정브래킷(422)과 봉장착본체(424), 제2봉고정브래킷(426) 및 봉고정부재(428)를 포함한다.
제1봉고정브래킷(422)은 제1고정공(423)을 갖고, 메인프레임부(10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또한 봉장착본체(424)는 내부에 장착공간부(4241)가 형성되고, 장착공간부(4241)에 장착되는 봉게이지(40)의 하단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4242)과 케이블(42)이 하측으로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4244)이 형성된다.
제2봉고정브래킷(426)은 제1고정공(423)에 대응되도록 제2고정공(425)을 갖고, 봉장착본체(424)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봉고정부재(428)는 일직선상에 위치된 제1고정공(423)과 제2고정공(425)에 관통되어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봉장착본체(424)는, 관통공(4244)의 하측 주변을 감싸도록 제2봉장착본체(4446)가 더 구비되어 봉게이지(40)와 케이블(42)의 연결부분을 보호한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봉장착부(420')는,(#2)
제1봉고정브래킷(422')과 봉장착본체(424'), 봉거치프레임(426'), 제2봉고정브래킷(428') 및 봉고정부재(429')를 포함한다.
제1봉고정브래킷(422')은 제1고정공(423')을 갖고, 메인프레임부(10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봉장착본체(424')는 내부에 장착공간부(425')가 형성되고, 장착공간부(425')에 장착되는 봉게이지(40)의 하단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4242')과 케이블(42)이 하측으로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4244'), 상단부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걸림턱(4246')이 형성된다.
봉거치프레임(426')은 봉장착본체(424')가 관통되고, 상단면에 걸림턱(4246')이 걸려 위치시킨다.
또한 제2봉고정브래킷(428')은 제1고정공(423')에 대응되도록 제2고정공(4282')을 갖고, 봉거치프레임(426')에 일체로 형성된다.
봉고정부재(429')는 일직선상에 위치된 제1고정공(423')과 제2고정공(4282')에 관통되어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봉장착본체(424')는 관통공(4244')의 하측 주변을 감싸도록 제2봉장착본체(4248')가 더 구비되어 봉게이지(40)와 케이블(42)의 연결부분을 보호한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의 장착부(500)는, 봉장착부(510)와 링장착부(520)를 포함한다.
봉장착부(510)는 봉게이지(40)를 메인프레임부(100)에 장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링장착부(520)는 링게이지(30)를 봉장착부(510)에 장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봉장착부(510)는 고정너트(512)와 봉장착본체(514) 및 봉고정볼트(516)를 포함한다.
고정너트(512)는 메인프레임부(100)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봉장착본체(514)는 내부에 장착공간부(5141)가 형성된다.
봉고정볼트(516)는 고정너트(512)에 체결되도록 봉장착본체(514)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또한 링장착부(520)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링고정공(523)을 갖고, 봉장착본체(514)에 구비되는 링장착본체(5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장착공간부(5141)는 봉게이지(40)가 장착되기 위한 제1장착공간부(5141a)와 케이블(42)이 위치되기 위한 제2장착공간부(5141b)를 포함한다.
그리고 봉장착본체(514)는 제1봉장착본체(5142)와 제2봉장착본체(5144), 봉장착절개부(5146) 및 봉이탈방지부(5148)를 포함한다.
제1봉장착본체(5142)는 내부에 제1장착공간부(5141a)가 형성되며, 봉게이지(40)의 하단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5142a)이 형성된다.
또한 제2봉장착본체(5144)는 내부에 제2장착공간부(5141b)가 형성되고, 케이블(42)이 위치되며, 봉고정볼트(516)가 일체로 형성된다.
봉장착절개부(5146)는 제1장착공간부(5141a)와 제2장착공간부(5141b)가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제1봉장착본체(5142)와 제2봉장착본체(5144)의 외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봉이탈방지부(5148)는 봉장착절개부(5146)를 폐쇄시켜 제1장착공간부(5141a)에 위치된 봉게이지(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한편, 다른 실시 예의 봉장착부(510')는, 제1봉고정브래킷(512')과 봉장착본체(514'), 제2봉고정브래킷(516') 및 봉고정부재(518')를 포함한다.
제1봉고정브래킷(512')은 제1고정공(513')을 갖고, 메인프레임부(10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봉장착본체(514')는 내부에 장착공간부(515')가 형성되고, 장착공간부(515')에 장착되는 봉게이지(40)의 하단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5142')과 케이블(42)이 하측으로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5144')이 형성된다.
제2봉고정브래킷(516')은 제1고정공(513')에 대응되도록 제2고정공(517')을 갖고, 봉장착본체(514')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봉고정부재(518')는 일직선상에 위치된 제1고정공(513')과 제2고정공(517')에 관통되어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봉장착본체(514')는, 관통공(5144')의 하측 주변을 감싸도록 제2봉장착본체(5146')가 더 구비되어 봉게이지(40)와 케이블(42)의 연결부분을 보호한다.
그리고 링장착부(520)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링고정공(523)을 갖고, 봉장착본체(514')에 구비되는 링장착본체(522)를 포함한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10)는 형상유지부(600)를 더 포함한다.
이 형상유지부(600)는 메인프레임부(100)과 각 다리부(200)의 위치를 유지시켜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형상유지부(600)는 제1와이어(610)와 제2와이어(620) 및 장력조절부(630)를 포함한다.
제1와이어(610)는 메인프레임부(100)에 일단부가 고정된다.
그리고 제2와이어(620)는 다리부(200)에 타단부가 고정된다.
장력조절부(630)는 제1와이어(610)의 타단부와 제2와이어(620)의 일단부의 장력을 유지시켜 메인프레임부(100)와 다리부(200) 사이에 장력을 형성시켜 각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장력조절부(630)는 장력조절본체(631)와 제1너트(632), 제2너트(633), 제1고정앵커(634) 및 제2고정앵커(635)를 포함한다.
제1너트(632)는 장력조절본체(631)의 일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2너트(633)는 장력조절본체(631)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제1고정앵커(634)는 제1와이어(610)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제1너트(632)에 체결된다.
또한 제2고정앵커(635)는 제2와이어(620)의 일단부가 연결되며, 제2너트(633)에 체결된다.
여기서, 제1와이어(610)와 제2와이어(620)는 피아노강선으로, 메인프레임부(100)와 각 다리부(200) 사이에 장력을 형성 및 유지시켜 설치위치에 더욱 안정적이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10 : 고정장치 100 : 메인프레임부
200 : 다리부 300, 400, 500 : 장착부
600 : 형상유지부
200 : 다리부 300, 400, 500 : 장착부
600 : 형상유지부
Claims (2)
- 메인프레임부;
상기 메인프레임부를 세우기 위한 복수의 다리부;
교량 상판의 높이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게이지를 상기 메인프레임부에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부; 및
상기 메인프레임부과 각 다리부의 위치를 유지시켜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형상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부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메인다단봉; 및
상기 각 메인다단봉의 위치를 각각 고정시키기 위한 메인다단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부는,
다리프레임; 및
상기 다리프레임을 상기 메인다단봉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켜 각도 조절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다리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프레임은,
다단봉으로 형성되는 다리다단봉; 및
상기 각 다리다단봉의 위치를 각각 고정시키기 위한 다리다단고정부;를 포함하며,
각 상기 다리다단봉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다리다단봉의 하단부가 설치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형상유지부는,
상기 메인프레임부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제1와이어;
상기 다리부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제2와이어; 및
상기 제1와이어의 타단부와 제2와이어의 일단부의 장력을 유지시켜 메인프레임부와 다리부 사이에 장력을 형성시켜 각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장력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지는,
탄성을 갖는 링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교량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링게이지;와
봉형상으로 상단부에 슬라이딩되는 센싱부를 갖고, 하단부 중앙부에 케이블이 연결된 봉게이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링게이지를 메인프레임부에 장착시키기 위한 링장착부; 및
상기 봉게이지를 메인프레임부에 장착시키기 위한 봉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장착부는,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너트; 및
상기 고정너트에 체결되도록 링게이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링고정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봉장착부는,
제1고정공을 갖고,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봉고정브래킷;
내부에 장착공간부가 형성되고, 장착공간부에 장착되는 봉게이지의 하단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과 케이블이 하측으로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을 갖는 봉장착본체;
상기 제1고정공에 대응되도록 제2고정공을 갖고, 상기 봉장착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봉고정브래킷; 및
일직선상에 위치된 제1고정공과 제2고정공에 관통되어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봉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봉장착본체는,
상기 관통공의 하측 주변을 감싸도록 제2봉장착본체;가 더 포함되는 동시 설치 가능한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5072A KR102578272B1 (ko) | 2021-07-05 | 2022-07-29 | 동시 설치 가능한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7753A KR102435227B1 (ko) | 2021-07-05 | 2021-07-05 |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 |
KR1020220095072A KR102578272B1 (ko) | 2021-07-05 | 2022-07-29 | 동시 설치 가능한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7753A Division KR102435227B1 (ko) | 2021-07-05 | 2021-07-05 |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7247A KR20230007247A (ko) | 2023-01-12 |
KR102578272B1 true KR102578272B1 (ko) | 2023-09-12 |
Family
ID=8306192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7753A KR102435227B1 (ko) | 2021-07-05 | 2021-07-05 |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 |
KR1020220095071A KR102578273B1 (ko) | 2021-07-05 | 2022-07-29 | 교번 설치 가능한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 |
KR1020220095072A KR102578272B1 (ko) | 2021-07-05 | 2022-07-29 | 동시 설치 가능한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7753A KR102435227B1 (ko) | 2021-07-05 | 2021-07-05 |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 |
KR1020220095071A KR102578273B1 (ko) | 2021-07-05 | 2022-07-29 | 교번 설치 가능한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3) | KR10243522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7238B1 (ko) * | 2017-05-18 | 2017-07-19 | 주식회사 유원이엔씨 | 강봉을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의 변위거동 측정장치 |
KR101765899B1 (ko) | 2016-12-23 | 2017-08-10 | 주식회사 대경유지 |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
KR101765900B1 (ko) * | 2016-12-23 | 2017-08-10 | 주식회사 대경유지 |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
KR101947022B1 (ko) * | 2018-05-16 | 2019-05-02 | 주식회사 대경유지 | 스트링긴장력조절수단을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9777B1 (ko) * | 2010-10-27 | 2012-06-28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센서용 고정장치 |
KR101228136B1 (ko) * | 2011-11-24 | 2013-01-31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비접촉식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연결 구조체 및 그 설치 방법 |
KR101483779B1 (ko) * | 2014-11-28 | 2015-01-19 | 주식회사 대성건설이엔지 |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
KR101765886B1 (ko) * | 2016-12-23 | 2017-08-10 | (주) 토건테크 |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
-
2021
- 2021-07-05 KR KR1020210087753A patent/KR10243522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7-29 KR KR1020220095071A patent/KR10257827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07-29 KR KR1020220095072A patent/KR1025782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5899B1 (ko) | 2016-12-23 | 2017-08-10 | 주식회사 대경유지 |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
KR101765900B1 (ko) * | 2016-12-23 | 2017-08-10 | 주식회사 대경유지 |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
KR101757238B1 (ko) * | 2017-05-18 | 2017-07-19 | 주식회사 유원이엔씨 | 강봉을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의 변위거동 측정장치 |
KR101947022B1 (ko) * | 2018-05-16 | 2019-05-02 | 주식회사 대경유지 | 스트링긴장력조절수단을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7246A (ko) | 2023-01-12 |
KR102435227B1 (ko) | 2022-08-31 |
KR20230007247A (ko) | 2023-01-12 |
KR102578273B1 (ko) | 2023-09-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22193B1 (ko) | 교량의 상부 구조물 변위 측정장치 | |
KR101599903B1 (ko) | 교량 현장 재하 시험을 위한 변위계 설치 시스템 | |
KR101947031B1 (ko) |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 | |
CN205607577U (zh) | 附着式索力检测装置 | |
KR102078485B1 (ko) | 터널의 변위측정장치 | |
EP2054697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onvergence using fiber bragg grating sensor | |
KR200443692Y1 (ko) | 교량 강교박스 슬리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 |
KR20080025275A (ko) | 광섬유격자센서를 이용한 변위 계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방법 | |
KR102578272B1 (ko) | 동시 설치 가능한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 | |
KR101947022B1 (ko) | 스트링긴장력조절수단을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 | |
US4514905A (en) | Convergence extensometer for measuring mine roof subsidence | |
US7066036B2 (en) | Instrument for measuring suspended masses for machines that operate with traction cables | |
KR102354658B1 (ko) | 교량 받침 변형량 및 교량받침부 변위량 측정 장치 | |
EP3093617B1 (en) | A system for detection of foundation movement in a wind turbine | |
KR100585336B1 (ko) | 교량 캔틸레버 안전진단장치 | |
CN111561985B (zh) | 传感器安装机构 | |
WO2020148794A1 (en) | Device for the static and dynamic monitoring of supporting structures | |
KR100522935B1 (ko) | 광역 지반 변위계측 및 경보 장치 | |
KR101718411B1 (ko) | 지중 변형 계측 장치 | |
KR20060102158A (ko) | 구조물의 변형량 및 응력 측정 장치와 측정을 위한 장치의설치방법 | |
KR20040071670A (ko) | 구조물 수직부의 안전진단용 유동변위 측정장치 | |
CN211954524U (zh) | 测量拉索索力的装置 | |
KR20040083406A (ko) | 교량상판 안전진단용 변형측정장치 | |
KR200265796Y1 (ko) | 레이저 장치를 이용한 도로 구조물의 안전진단용 점검시스템 | |
SU1726657A1 (ru) | Прибор дл измерени прогибов мостовых конструкци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