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658B1 - 교량 받침 변형량 및 교량받침부 변위량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받침 변형량 및 교량받침부 변위량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658B1
KR102354658B1 KR1020210032615A KR20210032615A KR102354658B1 KR 102354658 B1 KR102354658 B1 KR 102354658B1 KR 1020210032615 A KR1020210032615 A KR 1020210032615A KR 20210032615 A KR20210032615 A KR 20210032615A KR 102354658 B1 KR102354658 B1 KR 102354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bridge
distance
slide
meas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식
한신인
정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영동이앤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영동이앤지(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03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16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distance of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하부구조물에 안치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부; 상기 슬라이드부에서 교량 하부구조물과 교량 상부구조물 사이로 돌출되도록 장착되며 교량 상부구조물 하면과 교량 하부구조물 상면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가 포함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변형량 및 교량받침부 변위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 받침 변형량 및 교량받침부 변위량 측정 장치{Measurement device for the amount of strain and displacement of the bridge support}
본 발명은 교량받침 및 교량받침부 주변 상·하부구조의 변위값이 측정되도록 하여 받침부 등의 이상거동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공용년수 증가와 이에 따른 노후화에 의해 손상들이 발생하여 교량의 수명을 단축 시킨다. 발생된 손상들에 의해 이상 거동이 발생하게 되며 심각한 경우 교량 전체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교량의 이상거동은 여러 부재에서 발생되나 특히, 교량받침은 교량의 이상거동이 현저하게 축적되는 부재로서, 교량받침의 건전성 확보와 그에 따른 지속적 유지관리는 교량 전체 구조물의 안전성에 직결되는 사항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교량받침은 손상의 축적으로 인한 이상거동 외에도 상시에 온도변화·상부구조(거더 및 슬래브)의 처짐·크리이프 및 건조수축 등에 의하여 신축이 발생하므로 지속적이면서도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교량받침은 재질 및 하중저항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되고 있으나 탄성받침은 지진하중의 경감효과가 탁월하여 적용빈도가 가장 높은 교량받침 형식이다. 강판과 탄성중합체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교량받침부에 수평하중 작용시 변형이 발생되어 전단저항력에 의해 저항하게 되는 구조이다. 교량받침은 이동량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최근에는 교량 구조물의 이상 거동을 모니터링 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24222호에서는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받침의 변위량를 측정하는 변위량 측정 장치에 있어서, 교량의 교축방향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제 1 변위량 측정부 및 상기 교량의 교축직각방향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제 2 변위량 측정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변위량 측정부는 전부 또는 일부가 와이어 타입 변위센서 및 펜 타입 변위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펜 타입 변위센서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어느 일측단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무저항판과 접촉되어 상기 교축방향 및 교축직각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대해서는 무저항 거동하는 것인 변위량 측정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기술의 경우 교량받침의 변위만을 측정토록 하는 것으로, 교량받침의 변위만으로 측정지점에서 이상거동을 정확히 모니터링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예로 교량 상부구조물 및 교량 하부구조물과 교량받침의 접합부분에서 콘크리트 부분적 깨짐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접합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등이 해당될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24222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 지점을 변화시키면서 교량 받침 변형량 및 교량받침부 변위량을 용이하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측정지점의 이상거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교량 받침 변형량 및 교량받침부 변위량 측정 장치(이하 "본 발명의 장치"이라함)는, 교량 하부구조물에 안치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부; 상기 슬라이드부에서 교량 하부구조물과 교량 상부구조물 사이로 돌출되도록 장착되며 교량 상부구조물 하면과 교량 하부구조물 상면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가 포함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슬라이드부의 슬라이드와 상기 센서부의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에 의한 센싱값을 분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센서가 센싱한 값 및 이를 분석한 결과를 전달받아 현시하는 모니터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에서 교량 하부구조물과 교량 상부구조물 사이로 돌출되도록 장착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횡봉과, 상기 횡봉에서 직각으로 장착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종봉과, 상기 종봉의 상단에 구성되어 상방향거리를 측정하는 제 1센서와, 상기 제 1센서 하부에 구성되어 측방향거리를 측정하는 제 2센서와, 상기 종봉의 하단에 구성되어 하방향거리를 측정하는 제 3센서와, 상기 제 3센서 상부에 구성되어 측방향거리를 측정하는 제 4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제 1센서는 교량 상부구조물 하면까지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제 2센서는 교량받침의 상단부 측면까지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제 3센서는 교량 하부구조물 상면까지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제 4센서는 교량받침의 하단부 측면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횡봉에는 상기 종봉과 이격되면서 위치가 조절되도록 장착되고, 그 길이가 조절되는 제 2종봉이 더 구성되며, 상기 제 2종봉의 상단에 구성되어 상방향거리를 측정하는 제 5센서와, 상기 제 5센서 하부에 구성되어 측방향거리를 측정하는 제 6센서와, 상기 제 2종봉의 하단에 구성되어 하방향거리를 측정하는 제 7센서와, 상기 제 7센서 상부에 구성되어 측방향거리를 측정하는 제 8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제 1센서는 교량받침 상부판 하면까지 거리를 측정하고, 제 2센서는 교량받침의 몸체부 상단부까지 거리를 측정하며, 제 3센서는 교량받침의 하부판 상면까지 거리를 측정하고, 제 4센서는 교량받침의 몸체부 하단부까지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제 5센서는 교량 상부구조물 하면까지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제 6센서는 교량받침의 상부판 측면까지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제 7센서는 교량 하부구조물 상면까지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제 8센서는 교량받침의 하부판 측면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종봉의 상단에는 상기 제 1센서 및 상기 제 2센서가 구성된 제 1센서블럭이 체결되며, 상기 종봉의 하단에는 상기 제 3센서 및 상기 제 4센서가 구성된 제 2센서블럭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제 2종봉의 상단에는 상기 제 5센서 및 상기 제 6센서가 구성된 제 3센서블럭이 체결되며, 상기 제 2종봉의 하단에는 상기 제 7센서 및 상기 제 8센서가 구성된 제 4센서블럭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받침대에는, 교량 하부구조물에 안치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 상부에서 양측에 회전공이 형성되는 슬라이드판과, 상기 회전공에 삽입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연동을 하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회전봉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회전봉이 관통하며 상기 나사산에 대향하는 나사골이 형성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회전봉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판에서 슬라이드가 이루어지는 슬라이드구와, 상기 센서부가 장착되는 장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모니터링 지점을 변화시키면서 교량 및 교량받침의 변위측정이 용이하도록 하고, 교량의 변위 및 교량받침의 변위를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측정지점에서 다양한 이상거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서 종봉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서 받침대 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종봉, 횡봉 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장치(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량 하부구조물(120)에 안치되는 받침대(2); 상기 받침대(2)에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부(3); 상기 슬라이드부(3)에서 교량 하부구조물(120)과 교량 상부구조물(110) 사이로 돌출되도록 장착되며 교량 상부구조물(110) 하면과 교량 하부구조물(120) 상면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421 등)가 포함되는 센서부(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교량 상부구조물(110)은 바닥판, 거더 등을 포함하는 것이고, 교량 하부구조물(120)은 교각, 교대, 받침콘크리트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교량 상부구조물(110)과 교량 하부구조물(120) 사이에는 교량받침(200)이 구성된다.
상기 교량받침(200)은 교량 상부구조물(110)과 교량 하부구조물(120)에 가해지는 고정하중, 활하중(충격 포함), 토압, 수압, 온도변화, 지반침하, 지진 및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한 교량 상부구조물(110)과 교량 하부구조물(120)간 상대적 이동 및 회전 변위를 흡수하고 허용함으로써 교량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구성에 해당하며 다양한 공지의 구조가 제시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2)는 교량 하부구조물(120)에 안치되는 구성으로 측정할 교량지점에 상기 받침대(2)를 안치하고, 받침대(2)에서 슬라이드부(3)가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센서부(4)의 센싱에 의해 각 측정지점에서 변위가 측정되고 변위량이 측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받침대(2)의 실시 예가 도 5에 도시되고 있는데, 본 실시 예의 받침대(2)는 교량 하부구조물(120)에 안치되는 받침판(21)과, 상기 받침판(21) 상부에서 양측에 회전공(221)이 형성되는 슬라이드판(22)과, 상기 회전공(221)에 삽입되며 구동모터(24)에 의해 회전연동을 하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회전봉(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판(21)은 공지의 구조로서 도면번호가 도시된 바는 없으나 길이가 조절되는 다리가 구성되어 교량 하부구조물(120)에서 평활도가 조절된 상태로 안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드판(22)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21) 상부에서 양측에 회전공(221)이 형성도록 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판(22)은 양 끝단에 제어단이 절곡되고 제어단에 상기 회전공(221)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공(221)에 삽입되며 구동모터(24)에 의해 회전연동을 하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회전봉(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단 외측에 구동모터(24)가 구성되며, 구동모터(24)와 연동하는 회전봉(23)이 상기 회전공(221)에 삽입되며 구동모터(24)에 의해 회전연동을 하고 상기 회전봉(23)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부(3)는 상기 받침대(2)에서 슬라이드 되는 구성으로 도 5에서 제시하는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부(3)는 상기 회전봉(221)이 관통하며 상기 나사산에 대향하는 나사골이 형성되는 관통홀(311)이 형성되어 회전봉(2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판(22)에서 슬라이드가 이루어지는 슬라이드구(31)와, 상기 센서부(4)가 장착되는 장착구(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구(31)는 상기 회전봉(2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판(22)에서 슬라이드가 되도록 구성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슬라이드구(31)에는 배터리, 통신모듈 등이 내재되는 함체가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구동모터(24)가 연동되도록 하고 각 센서가 작동되도록 하는 배터리와, 각 센서의 센싱값을 송신하는 통신모듈이 내재되는 함체가 상기 슬라이드구(31)에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장착구(32)는 상기 센서부(4)가 장착되는 구성으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센서부(4)의 횡봉(41)이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장착구(32)에 장착된 횡봉(41)은 횡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도록 장착된다. 도 1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S1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장착구(32)에서 상기 횡봉(41)의 횡방향 유동은 다양한 공지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센서부(4)는 상기 슬라이드부(3)에서 교량 하부구조물(120)과 교량 상부구조물(110) 사이로 돌출되도록 장착되며 교량 상부구조물(110) 하면과 교량 하부구조물(120) 상면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421 등)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보는 상기 센서부(4)의 기본 예를 도시하고 있는 바, 본 실시 예의 센서부(4)는 상기 슬라이드부(3)에서 교량 하부구조물(120)과 교량 상부구조물(110) 사이로 돌출되도록 장착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횡봉(41)과, 상기 횡봉(41)에서 직각으로 장착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종봉(42)과, 상기 종봉(42)의 상단에 구성되어 상방향거리를 측정하는 제 1센서(421)와, 상기 제 1센서(421) 하부에 구성되어 측방향거리를 측정하는 제 2센서(422)와, 상기 종봉(42)의 하단에 구성되어 하방향거리를 측정하는 제 3센서(423)와, 상기 제 3센서(423) 상부에 구성되어 측방향거리를 측정하는 제 4센서(4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횡봉(41)은 상기 장착구(32)에서 횡방향 유동(S1)이 가능하도록 하여 각 센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종봉(42)의 경우도 종방향 유동(S4)이 가능하도록 하여 각 센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종봉(42)의 경우 다양한 공지의 구조를 적용하여 종방향 유동(S4)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데, 예로 도 4에서는 2중관 구조가 적용되도록 하여 종방향으로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횡봉(41) 및 상기 종봉(42)에는 내부에 전기적 연결이 각 센서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센서가 구성된 상단에 전기적 이음잭이 형성되어 외부로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센서(421)는 교량 상부구조물(110) 하면까지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제 2센서(422)는 교량받침(200)의 상단부 측면까지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제 3센서(423)는 교량 하부구조물(120) 상면까지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제 4센서(424)는 교량받침(200)의 하단부 측면까지 거리를 측정토록 한다.
이와 같이 제 1센서(421) 및 제 3센서(423)에 의해 각 측정지점에서 교량 상부구조물(110) 하면까지 거리 및 교량 하부구조물(120) 상면까지 거리가 각각 측정되도록 하여 측정지점에 따른 교량구조물의 변위량을 도출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변위량의 도출에 의해 교량구조물 자체의 이상거동 여부가 모니터링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센서(422) 및 상기 제 4센서(424)에 의해 각 측정지점에서 교량받침(200)의 상단부 측면까지 거리 및 교량받침(200)의 하단부 측면까지 거리가 각각 측정되도록 하여 측정지점에 따른 교량받침(200)의 변위량을 도출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변위량의 도출에 의해 교량받침(200) 자체의 이상거동 여부가 모니터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교량구조물의 변위량과 교량받침의 변위량이 다른 경우 교량받침이 교량구조물에서 접합부분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추정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접합부분에서 콘크리트의 부분적 깨짐, 접합부분에서 교량받침(200)에 있어 상부판(220) 또는 하부판(230)의 절곡, 또는 교량몸체(210)의 이상 등이 추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상이 추정되는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본 발명의 장치(1) 또는 별도로 카메라를 구동하여 어떠한 이상의 발생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에 더하여 더욱 정확한 모니터링을 하기 위한 실시 예가 도 2에 제시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횡봉(41)에 상기 종봉(42)과 이격되면서 위치가 조절(S3)되도록 장착되고, 그 길이가 조절(S2)되는 제 2종봉(43)이 더 구성되며, 상기 제 2종봉(43)의 상단에 구성되어 상방향거리를 측정하는 제 5센서(431)와, 상기 제 5센서(431) 하부에 구성되어 측방향거리를 측정하는 제 6센서(432)와, 상기 제 2종봉(43)의 하단에 구성되어 하방향거리를 측정하는 제 7센서(433)와, 상기 제 7센서(433) 상부에 구성되어 측방향거리를 측정하는 제 8센서(4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종봉(43)은 상기 횡봉(41)에 장착되되, 상기 종봉(42)과 이격되면서 위치가 조절(S3)되도록 장착되는 바, 횡봉(41)에서 장착위치가 조절되도록 하여 센서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횡봉(41)에서 제 2종봉(43)의 장착은 다양한 공지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 2종봉(43)의 경우도 종방향 유동(S2)이 가능하도록 하여 각 센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센서(421)는 교량받침(200) 상부판(220) 하면까지 거리를 측정하고, 제 2센서(422)는 교량받침(200)의 몸체부(210) 상단부까지 거리를 측정하며, 제 3센서(423)는 교량받침(200)의 하부판(230) 상면까지 거리를 측정하고, 제 4센서(424)는 교량받침(200)의 몸체부(210) 하단부까지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제 5센서(431)는 교량 상부구조물(110) 하면까지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제 6센서(432)는 교량받침(200)의 상부판(220) 측면까지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제 7센서(433)는 교량 하부구조물(120) 상면까지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제 8센서(434)는 교량받침(200)의 하부판(230) 측면까지 거리를 측정토록 하는 것이다.
제 2종봉(43)에 구성된 제 5센서(431) 및 제 7센서(433)에 의해 각 측정지점에서 교량 상부구조물(110) 하면까지 거리 및 교량 하부구조물(120) 상면까지 거리가 각각 측정되도록 하여 측정지점에 따른 교량구조물의 변위량을 도출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변위량의 도출에 의해 교량구조물 자체의 이상거동 여부가 모니터링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6센서(432) 및 상기 제 8센서(434)에 의해 각 측정지점에서 교량받침(200)의 상부판(220) 측면까지 거리 및 교량받침(200)의 하부판(230) 측면까지 거리가 각각 측정되도록 하여 측정지점에 따른 교량받침(200)에 있어 상부판(220) 및 하부판(230)의 변위량을 도출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변위량의 도출에 의해 교량받침(200)에 있어 상부판(220) 및 하부판(230)의 이상거동이 측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교량받침에 있어 상부판(220) 및 하부판(230)의 변위량이 특정지점에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교량받침이 교량구조물에서 접합부분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추정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접합부분에서 콘크리트의 부분적 깨짐, 접합부분에서 교량받침(200)에 있어 상부판(220) 또는 하부판(230)의 절곡, 틀어짐 등이 추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제 1센서(421) 및 제 3센서(423)에 의해 각 측정지점에서 교량받침(200)의 상부판(220) 하면까지 거리 및 교량받침(200)의 하부판(230) 상면까지 거리가 각각 측정되도록 하여 측정지점에 따른 교량받침(200)에 있어 상부판(220) 및 하부판(230)의 변위량을 도출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변위량의 도출에 의해 교량받침(200)에 있어 상부판(220) 및 하부판(230)의 이상거동 여부가 모니터링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이상거동은 상부판(220) 및 하부판(230)의 절곡 등으로 추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센서(422) 및 상기 제 4센서(424)에 의해 각 측정지점에서 교량받침(200)의 몸체부(210) 상단부 측면까지 거리 및 교량받침(200)의 몸체부(210)하단부 측면까지 거리가 각각 측정되도록 하여 측정지점에 따른 교량받침(200)의 몸체부(210) 변위량을 도출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변위량의 도출에 의해 교량받침(200)에 있어 몸체부(210) 자체의 이상거동 여부가 모니터링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실시 예에 의해 교량자체의 이상거동의 유무, 교량받침(200)의 이상거동 유무가 모니터링 되는 것은 물론 교량받침(200)의 이상거동에 있어서도 몸체부(210)의 이상거동, 상부판(220) 및 하부판(230)의 이상거동 등이 좀더 구체적으로 모니터링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부(3)의 슬라이드와 상기 센서부(4)의 센서(421 등)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421 등)에 의한 센싱값을 분석하는 제어부(5)가 더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5)로부터 상기 센서(421 등)가 센싱한 값 및 이를 분석한 결과를 전달받아 현시하는 모니터부(6)가 더 포함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어부(5)에 의해 분석한 결과는 다양하게 도출될 수 있는 바, 예로 각 센서(421 등)에서 센싱된 값을 전달받아 각 변위량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이상거동으로 해당 측정위치에서 경고신호를 도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이상거동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교량자체의 이상거동, 교량받침의 이상거동, 교량과 교량받침 접합부에서 이상거동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종봉(42)의 상단에는 상기 제 1센서(421) 및 상기 제 2센서(422)가 구성된 제 1센서블럭(44)이 체결되며, 상기 종봉(42)의 하단에는 상기 제 3센서(423) 및 상기 제 4센서(424)가 구성된 제 2센서블럭(45)이 체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 2종봉(43)의 상단에는 상기 제 5센서(431) 및 상기 제 6센서(432)가 구성된 제 3센서블럭(46)이 체결되며, 상기 제 2종봉(43)의 하단에는 상기 제 7센서(433) 및 상기 제 8센서(434)가 구성된 제 4센서블럭(47)이 체결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각 센서블럭(44 등)을 종봉(42) 및 제 2종봉(43)의 양단에 체결되도록 하는데, 도면에서는 종봉(42) 및 제 2종봉(43)의 내부에 전기라인이 구성되고 도면번호가 도시된 바는 없으나 각 단자의 끼움에 의해 각 센서블럭(44 등)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 경우도 종봉(42) 및 제 2종봉(43)은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됨은 당연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각 센서블럭(44 등)에 통신부가 내재되도록 하여 각 센서블럭(44 등)에서 각 센서(421 등)에 전기적 인가가 가능하도록 하고 센싱값을 제어부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어느 센서블럭에서 이상 발생시 해당 센서블럭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제 9센서(481), 제 10센서(482) 및 제 11센서(483)가 구성된 제 5센서블럭(48)이 상기 횡봉(41)의 단부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몸체부(210)의 노출이 작은 타입의 교량받침(200)에 있어 상부판(220), 하부판(230)의 변위 등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본 발명의 장치 2 : 받침대
3 : 슬라이드부 4 : 센서부

Claims (9)

  1. 교량 하부구조물에 안치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부;
    상기 슬라이드부에서 교량 하부구조물과 교량 상부구조물 사이로 돌출되도록 장착되며 교량 상부구조물 하면과 교량 하부구조물 상면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가 포함되는 센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에서 교량 하부구조물과 교량 상부구조물 사이로 돌출되도록 장착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횡봉과, 상기 횡봉에서 직각으로 장착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종봉과, 상기 종봉의 상단에 구성되어 상방향거리를 측정하는 제 1센서와, 상기 제 1센서 하부에 구성되어 측방향거리를 측정하는 제 2센서와, 상기 종봉의 하단에 구성되어 하방향거리를 측정하는 제 3센서와, 상기 제 3센서 상부에 구성되어 측방향거리를 측정하는 제 4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변형량 및 교량받침부 변위량 측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슬라이드와 상기 센서부의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에 의한 센싱값을 분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센서가 센싱한 값 및 이를 분석한 결과를 전달받아 현시하는 모니터부;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변형량 및 교량받침부 변위량 측정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센서는 교량 상부구조물 하면까지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제 2센서는 교량받침의 상단부 측면까지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제 3센서는 교량 하부구조물 상면까지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제 4센서는 교량받침의 하단부 측면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변형량 및 교량받침부 변위량 측정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봉에는 상기 종봉과 이격되면서 위치가 조절되도록 장착되고, 그 길이가 조절되는 제 2종봉이 더 구성되며,
    상기 제 2종봉의 상단에 구성되어 상방향거리를 측정하는 제 5센서와, 상기 제 5센서 하부에 구성되어 측방향거리를 측정하는 제 6센서와, 상기 제 2종봉의 하단에 구성되어 하방향거리를 측정하는 제 7센서와, 상기 제 7센서 상부에 구성되어 측방향거리를 측정하는 제 8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변형량 및 교량받침부 변위량 측정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센서는 교량받침 상부판 하면까지 거리를 측정하고, 제 2센서는 교량받침의 몸체부 상단부까지 거리를 측정하며, 제 3센서는 교량받침의 하부판 상면까지 거리를 측정하고, 제 4센서는 교량받침의 몸체부 하단부까지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제 5센서는 교량 상부구조물 하면까지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제 6센서는 교량받침의 상부판 측면까지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제 7센서는 교량 하부구조물 상면까지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제 8센서는 교량받침의 하부판 측면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변형량 및 교량받침부 변위량 측정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봉의 상단에는 상기 제 1센서 및 상기 제 2센서가 구성된 제 1센서블럭이 체결되며, 상기 종봉의 하단에는 상기 제 3센서 및 상기 제 4센서가 구성된 제 2센서블럭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변형량 및 교량받침부 변위량 측정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종봉의 상단에는 상기 제 5센서 및 상기 제 6센서가 구성된 제 3센서블럭이 체결되며, 상기 제 2종봉의 하단에는 상기 제 7센서 및 상기 제 8센서가 구성된 제 4센서블럭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변형량 및 교량받침부 변위량 측정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교량 하부구조물에 안치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 상부에서 양측에 회전공이 형성되는 슬라이드판과, 상기 회전공에 삽입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연동을 하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회전봉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회전봉이 관통하며 상기 나사산에 대향하는 나사골이 형성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회전봉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판에서 슬라이드가 이루어지는 슬라이드구와, 상기 센서부가 장착되는 장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변형량 및 교량받침부 변위량 측정 장치.
KR1020210032615A 2021-03-12 2021-03-12 교량 받침 변형량 및 교량받침부 변위량 측정 장치 KR102354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615A KR102354658B1 (ko) 2021-03-12 2021-03-12 교량 받침 변형량 및 교량받침부 변위량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615A KR102354658B1 (ko) 2021-03-12 2021-03-12 교량 받침 변형량 및 교량받침부 변위량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658B1 true KR102354658B1 (ko) 2022-01-24

Family

ID=8005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615A KR102354658B1 (ko) 2021-03-12 2021-03-12 교량 받침 변형량 및 교량받침부 변위량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6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788B1 (ko) 2023-03-03 2023-10-16 주식회사 태일종합건축사사무소 안전진단을 위한 교량 받침의 이동량 측정장치
KR102652606B1 (ko) 2023-06-14 2024-03-29 주식회사 정우엔지니어링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시 사용 가능한 교량받침 수직 및 수평변위 측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222B1 (ko) 2018-08-02 2018-12-03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솔루션 교량 받침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장치 및 시스템
KR102002965B1 (ko) * 2019-02-22 2019-07-23 (주)상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교량의 탄성받침 유지 보수용 변형률 측정장치
KR102149309B1 (ko) * 2020-02-28 2020-08-28 이상범 휴대용 탄성받침 변형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222B1 (ko) 2018-08-02 2018-12-03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솔루션 교량 받침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장치 및 시스템
KR102002965B1 (ko) * 2019-02-22 2019-07-23 (주)상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교량의 탄성받침 유지 보수용 변형률 측정장치
KR102149309B1 (ko) * 2020-02-28 2020-08-28 이상범 휴대용 탄성받침 변형 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788B1 (ko) 2023-03-03 2023-10-16 주식회사 태일종합건축사사무소 안전진단을 위한 교량 받침의 이동량 측정장치
KR102652606B1 (ko) 2023-06-14 2024-03-29 주식회사 정우엔지니어링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시 사용 가능한 교량받침 수직 및 수평변위 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4658B1 (ko) 교량 받침 변형량 및 교량받침부 변위량 측정 장치
KR101522193B1 (ko) 교량의 상부 구조물 변위 측정장치
US7751657B2 (en) Inclinometer system
KR101226280B1 (ko) 철도 지반 침하 및 구조물 변형에 따른 레일 변위량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일 변위량 자동 계측 장치
KR20190118405A (ko) 변형 가능한 센서 케이스를 갖는 변위 측정장치, 이를 이용한 레일 변위 측정장치 및 변위량 계측 시스템
CN1900650B (zh) 一种带有高度监测装置的浮置道床
KR102078485B1 (ko) 터널의 변위측정장치
KR20190081052A (ko) 교량 안전진단 기능을 갖는 교좌장치
CN112378507B (zh) 一种基于运动补偿的计算机视觉结构振动监测方法
KR20180057155A (ko) 터널의 변위측정장치
Inaudi et al. Monitoring of a concrete arch bridge during construction
KR10204495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변위량 측정기
KR101968531B1 (ko) 교량의 처짐 계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1513227B1 (ko) 비탈면, 댐, 제방 및 교량의 변위 측정을 위한 변위측정 센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N213335939U (zh) 一种桥梁支座的检测装置
KR100879601B1 (ko)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토목 구조물의 변형 측정 장치 및 그방법
Ye et al. Condition assessment of bridge structures based on a liquid level sensing system: Theory, verification and application
KR100942991B1 (ko) 축 및 전단하중계측이 가능한 스페리칼 교좌장치
GB2364124A (en) Load measuring device
KR20050100086A (ko) 침하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하 측정 보강 시스템
KR200239172Y1 (ko) 계측용 교좌장치
Inaudi et al. Long-gage sensor topologies for structural monitoring
Panuntun et al. Bridge displacement estimation using tiltmeter data
KR100807128B1 (ko) 안전진단 계측물과 낙하 방지물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안전진단방법
KR102410750B1 (ko) 스마트 센서 볼트 및 이것이 결합된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