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485B1 - 터널의 변위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터널의 변위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485B1
KR102078485B1 KR1020180168083A KR20180168083A KR102078485B1 KR 102078485 B1 KR102078485 B1 KR 102078485B1 KR 1020180168083 A KR1020180168083 A KR 1020180168083A KR 20180168083 A KR20180168083 A KR 20180168083A KR 102078485 B1 KR102078485 B1 KR 102078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d
hinge
measur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356A (ko
Inventor
이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림
Priority to KR1020180168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485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2Driving inclined tunnels or gall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성을 개선하고 내공의 변형과 붕괴위험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터널의 변위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터널의 내벽에 고정설치되며 제1힌지부(1510)와 제2힌지부(1520)를 구비하는 브라켓부(1500), 상기 브라켓부의 제1힌지부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측정부(1300) 및 상기 측정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인접되는 브라켓부의 제2힌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로드부(1200);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호 인접되는 브라켓부의 내벽의 변형에 따른 이동에 의하여 로드부의 초기상태에서 변경된 각도를 감지하여 각도변위신호를 생성하는 터널의 변위측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터널의 변위측정장치{DISPLACEMENT DETERMINATION APPARATUS OF TUNNEL}
본 발명은 터널의 변위측정과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공성을 개선하고 내공의 변형과 붕괴위험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터널의 변위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운행이나 보행을 위하여 산간이나 융기지역 또는 지중에 형성되는 터널은 다수 국민의 안전과 경제에 직결되는 주요 기반시설물들이다. 이런 주요 기반시설물들은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노후화는 물론 주변 개발 등으로 인하여 변형 및 붕괴가 우려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주요 기반시설물들의 효율적인 유지 관리가 요구되는데, 특히 손상 및 붕괴로 인한 피해를 예방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터널과 같은 관통 구조물에 지속적으로 변위를 측정하여 붕괴의 위험을 관측하고 있다.
이러한 터널의 내공 변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LVDT를 이용한 변위 계측법, 경사계를 이용한 변위 계측법, 스트레인 게이지 및 로드셀을 이용한 변위 계측법 등과 같은 접촉식 변위 측정법 등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들을 적용함에 있어서 소정의 센서들을 구조물에 부착할 때 삽입공을 형성하여 센서를 매설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 작업이 매우 어려우며, 지하철과 같은 철도 터널의 경우 지하철이 통과시 발생하는 풍압에 의해서 데이터 오차가 크게 발생하는 등 측정에 있어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변형량을 측정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52083호는 종래기술의 터널 변위측정용 타겟유니트를 개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타켓유니트(500)는 타켓(200)이 단부에 연결되는 타켓밴드(300)가 케이싱(100)의 내측에 내장되는 구성으로 상기 케이싱(100)이 터널(T) 벽면(400)등에 앵커볼트(410)를 통하여 연결될 때 타켓이 터널(T)의 벽면을 따라 노출되거나 케이싱에 수납토록 설치된다.
이러한 타겟에 레이저와 같은 광학적 수단을 통하여 변위량을 측정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매설의 문제점을 그대로 내포하고 있다.
즉, 터널 내부에 소정의 관통공을 천공하고 이에 타겟유니트를 고정배치하여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내벽에 가해지는 손상이 불가피하여 구조적으로도 안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공 과정이 복잡하고 과도한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터널 내부의 오염과 사용에 따른 노후화에 따른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있으며 있이라 정확한 측정이 곤란한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터널의 내공에 대한 변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면서도 공사과정이나 운용과정에서 상시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안전성이 향상되고 경제적인 터널의 변위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널의 내벽에 고정설치되며 양측에 제1힌지부(1510)와 제2힌지부(1520)를 구비하는 브라켓부(1500); 인접되는 브라켓부(1500)의 제2힌지부(152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힌지부재(1100)와, 일측에 힌지부재를 결합하고 통신라인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유통홀이 형성되는 로드커버부(1201)와, 타측에 배치되는 피스톤부(1240)를 구비하는 로드부(1200); 및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 말단에는 상기 브라켓부(1500)의 제1힌지부(15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통신라인이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유통홀을 구비하는 측정커버부가 배치되는 본체(1301)와, 피스톤부(1240)가 삽입되는 일측에 구비되어 피스톤부(1240)의 스트로크 변화를 감지하도록 상기 본체(1301) 내부에 설치되는 길이센서부(1310)와, 상기 측정커버부의 회동에 따른 각도 변화를 감지하도록 상기 본체(1301) 내부에 설치되는 각도센서부(1320)와, 피스톤부의 초기 설치시 스트로크량과 초기값경사를 설정하는 세팅부(1330)를 구비하는 측정부(1300); 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재는 로드커버부에 결합되는 연장부(1110)와 제2힌지부와 볼조인트를 구성하여 브라켓부에 대해 로드부가 3축으로 로드부가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베어링부(1120)를 구비하고, 브라켓부가 배치되는 내벽의 침하가 발생한 경우 로드부와 측정부가 상호 회동되어 로드부 및 측정부의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변위량을 감지할 수 있는 터널의 변위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환경에 유연하게 적응 가능하며 정확한 터널 변위의 측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터널 내벽의 다양한 원인에 의한 변형에 대하여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으며 정확한 변위의 검출이 가능하므로 구조적인 신뢰성과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접되는 변위측정장치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고 내구성과 작동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터널 변위측정용 타겟유니트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의 변위측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위측정장치에서 측정부측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터널의 변위측정장치에서 힌지부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터널의 변위측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터널의 내벽에 고정설치되며 제1힌지부와 제2힌지부를 구비하는 브라켓부와, 상기 브라켓부의 제1힌지부에서 상하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인접되는 브라켓부의 제2힌지부에 상하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로드부를 포함하는 변위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변위측정장치는 터널의 내벽에서 내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설치되는 예로써 설명되나 반드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터널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터널이란 소정의 구조물 또는 자연물에 형성되는 연통로나 개구 등을 포함하며 지중에 형성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터널의 형태나 용도는 선택적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변위측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터널의 내벽(10)에서 내주방향으로 감싸는 형태로서 변위측정장치(1000)들이 배열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변위측정장치(1000)들은 반드시 내벽(10) 전체를 감쌀 필요는 없으며 변형의 감지가 필요한 일부의 구간 또는 단속적으로 배열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변위측정장치(1000)들은 선택된 간격으로 배열되는데 로드부(1200), 측정부(1300) 및 브라켓부(1500)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변위측정장치(1000)는 인접되는 변위측정장치(1000)에 연결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변위측정장치(1000)는 내벽(10)의 일부분에 대해서만 단일로서 배치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후술될 바와 같은 브라켓부(1500)가 양측으로 배열되어 각각 제1힌지부(1510) 및 제2힌지부(1520)에서 측정부(1300)와 로드부(1200)를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상태에서 우측에 배치되는 변위측정장치(1000)는 터널의 내벽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부(1500)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부(1500)는 일측에 제1힌지부(1510)와 타측에 제2힌지부(152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1힌지부(1510)에서 일측으로 측정부(1300)가 배치되며 이러한 측정부(1300)는 후술될 바와 같이 터널의 변형에 따른 로드부(1200)의 변위를 감지함으로써 지반의 침하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이에 상기 측정부(1300)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로드부(1200)와 결합하며, 측정부(1300)와 로드부(1200)는 전체적으로 긴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측정부(1300) 및/또는 로드부(1200)는 다양한 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균등한 강성을 고려하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정부(1300)에서는 소정의 길이 및/또는 각도의 측정을 위한 센서부들을 포함하게 되고 이러한 센서부에서 생성된 변위신호는 소정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수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변위란 길이 및 각도의 개념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때, 측정부(1300)에서 생성된 길이 및/또는 각도 변위신호를 수집할 수 있도록 각각의 변위측정장치(1000)에서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제어부로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를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나, 경제성과 유지보수성을 고려하면 유선 형태로 각각의 측정부들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로드부(1200)와 측정부(1300)는 중공의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로 통신라인이 관통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측정부(1300)에 구비되는 변위센서부들은 하나의 통신라인을 통하여 외부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변위측정장치(1000)에서는 식별자를 구비하고 변위신호와 함께 식별신호를 제어부로 송출함으로써 어느 지점에서 침하가 발생하였는지를 즉시적으로 식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로드부(1200)는 변위측정장치(1000)의 대략 절반 이상의 길이를 차지하며 내벽의 변형 또는 침하에 따라 기설정된 위치에서 브라켓부(1500)의 이동이 발생한 경우 이에 따라 변경된 길이 및/또는 각도를 감지하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로드부(1200)는 일측에 인접 배치되는 변위측정장치(1000)의 브라켓부(1500)에서 제2힌지부(1520)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브라켓부(1500)는 제1힌지부(1510)와 제2힌지부(1520)를 형성하고 각각 측정부(1300)와 로드부(1200)를 결합하여 상하회동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비교예로써 측정부(1300)와 로드부(1200)가 브라켓부(1500)에 고정배치되는 경우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측정부(1300)와 로드부(1200)를 브라켓부(1500)가 고정하여 변위가 발생한 경우 측정의 정확성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로드부(1200)의 말단이 결합되는 브라켓부(1500) 측의 내벽에서 침하가 발생되고 측정부(1300)가 배치되는 측은 배치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로드부(1200)의 비틀림이나 변형에 따라 침하에 따른 변위량이 전달되지 못하고 실제보다 작은 변위량을 측정부(1300)가 변위신호로써 발생하거나 변위가 없는 것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념과 같이 브라켓부(1500)에서 로드부(1200)와 측정부(1300)는 상하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지반침하나 내공의 변형 등의 요인에 의하여 변이가 발생한 경우 로드부(1200) 및/또는 측정부(1300)에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고 변위량을 그대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 변위감지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변위측정장치(1000)들이 터널의 내벽을 따라 배열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일직선상으로 배열되지 않는바, 이를 위하여 각도 및/또는 길이의 초기상태 설정을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에 대한 측정부(1300)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위측정장치에서 측정부측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브라켓부(1500)는 저부(도 2의 도시상태에서 상측)에 내벽(10)과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1530)를 구비하며,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부(1500)는 일측에 제1힌지부(1510)와 타측에 제2힌지부(1520)를 구비하며, 각각 측정부(1300)와 로드부(1200)를 상하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구조적 안정성을 고려하여 상기 브라켓부(1500)는 측면상 대략 장방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단 모서리측에 제1힌지부(1510)와 제2힌지부(1520)를 구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부(1300)는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301)와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부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로드부(1200)가 측정부(1300)의 일측 내주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경우가 나타난다.
터널의 다양한 형상과 체결 환경에 따라 설치의 유연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로드부(1200)는 일측의 제1로드(1210)와 이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로드(12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로드(1210)와 제2로드(1220)의 결합부위에는 길이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조정부(123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로드(1210)가 제2로드(1220)에 대해 인입출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조정부(1230)가 인입출된 위치를 고정하고 고정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로드부(1200)는 일부가 측정부(13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피스톤부(1240)를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부(1240)의 위치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측정부(1300)의 일측에는 길이센서부(13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길이센서부(1310)는 로드부(1200)의 스트로크 변화를 감지하여 길이의 신축에 따른 변화에 대하여 길이변위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1300)는 로드부(1200)와 함께 브라켓부(1500)의 위치 변화에 따른 각도를 형성하며 이의 측정을 위하여 각도센서부(132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각도센서부(1320)는 디지털 경사계일 수 있으며 내벽의 변형에 따라 어느 하나 이상의 브라켓부(1500)에서 위치의 이동이 발생한 경우 이에 따라 로드부(1200) 및/또는 측정부(1300)에서 회동이 발생하고 각도센서부(1320)는 이러한 회동에 따른 경사를 감지하여 각도변위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 측정부(1300)를 구비하는 센서부들은 상술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길이센서부(1310) 및 각도센서부(1320)에서 생성된 길이변위신호 및 각도변위신호는 제어부(미도시)에서 수집되어 각각의 위치에서 발생된 변위에 따라 터널 내벽의 변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입체적인 형상의 감지를 위하여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변위측정장치(1000)의 연결체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측정된 변위에 따라 소정의 위치에서 내벽(10)의 변형이 비정상적으로 발생한 경우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관리자에게 붕괴 위험에 대한 경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부(1300)는 초기 설치시 배열되는 내벽(10)과의 위치관계에 따라 초기값경사와 로드부(1200)의 길이 및 위치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초기값세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초기값경사에 대하여 각도변위가 발생한 경우 이를 터널 내벽의 변형으로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측정부(1300)에는 세팅부(1330)를 포함하며 상기 세팅부(1330)는 초기값경사를 결정하는 요소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피스톤부(1240)의 초기 설치시 스트로크량도 상기 세팅부(1330)에 의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측정부(1300)의 타측 말단에는 개방된 개구를 덮도록 측정커버부(참조번호 미표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측정커버부는 측정부(1300)의 말단에서 내부에 배치되는 부재 및 전기소자들을 보호하며 제1힌지부(1510)와 힌지결합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커버부는 통신라인이 관통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된 측정부측을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제2로드(1220)로부터 연장되는 피스톤부(1240)는 길이센서부(1310)측으로 삽입되어 변화되는 스트로크를 감지하여 길이변위를 측정하도록 하고, 각도센서부(1320)는 로드부(1200)와 측정부(1300)가 양측으로 배치되는 브라켓부(1500)의 상대적인 위치관계의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각도를 측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로드부(1200) 및 측정부(1300)가 브라켓부(1500)에 대해 각각 힌지결합되기 때문에 스트레스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되어 정확하게 길이변화 및 각도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은 상기와 같다.
브라켓부(1500)의 저부에 형성되는 체결부(1530)는 내벽(10)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설치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의 변위측정장치에서 힌지부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로드부(1200)는 중공의 로드본체(1210)를 구비하고 일단에 로드커버부(12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커버부(1201)는 일측에 힌지부재(1100)를 결합하면서 내부에 이물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할 수 있는데, 측정커버부와 마찬가지로 센서부들과 연결된 통신라인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유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로드커버부(1201)는 제1힌지부(1510)와 직접 힌지결합되는 제1커버부(1330)와 달리 힌지부재(1100)를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차이가 있다.
힌지부재(1100)는 로드커버부(1201)에 체결되는 연장부(1110)와 제2힌지부(1520)에 힌지결합되는 베어링부(11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1110)와 베어링부(1120)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인데, 경우에 따라 추가적으로 베어링부재가 소정의 원주 내측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마찰력을 저감하는 기능을 수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어링부재는 볼조인트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브라켓부(1500)의 제2힌지부(1520)에 대해 로드부(1200)가 3축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렇게 볼베어링이 적용되는 경우 상하방향의 변형에 대한 대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측방향으로의 움직임에도 대응이 가능하므로 측정부(1300)에서 정확한 변위검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특히 터널에 있어서는 변형이 다양한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힌지결합의 개념에 부가하여 상기 볼조인트 방식의 결합은 로드부(1200)의 변형을 억제하고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므로 정확한 측정의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변위측정장치에 따라, 터널 내벽의 다양한 원인에 의한 변형에 대하여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으며 정확한 변위의 검출이 가능하므로 구조적인 신뢰성과 안전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인접되는 변위측정장치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고 내구성과 작동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0...변위측정장치 1100...힌지부재
1110...연장부 1120...베어링부
1200...로드부 1201...로드커버부
1210...제1로드 1220...제2로드
1230...조정부 1240...피스톤부
1300...측정부 1301...본체
1310...길이센서부 1320...각도센서부
1330...세팅부 1500...브라켓부
1510...제1힌지부 1520...제2힌지부
1530...체결부

Claims (1)

  1. 터널의 내벽에 고정설치되며 양측에 제1힌지부(1510)와 제2힌지부(1520)를 구비하는 브라켓부(1500);
    인접되는 브라켓부(1500)의 제2힌지부(152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힌지부재(1100)와, 일측에 힌지부재를 결합하고 통신라인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유통홀이 형성되는 로드커버부(1201)와, 타측에 배치되는 피스톤부(1240)를 구비하는 로드부(1200); 및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 말단에는 상기 브라켓부(1500)의 제1힌지부(15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통신라인이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유통홀을 구비하는 측정커버부가 배치되는 본체(1301)와, 피스톤부(1240)가 삽입되는 일측에 구비되어 피스톤부(1240)의 스트로크 변화를 감지하도록 상기 본체(1301) 내부에 설치되는 길이센서부(1310)와, 상기 측정커버부의 회동에 따른 각도 변화를 감지하도록 상기 본체(1301) 내부에 설치되는 각도센서부(1320)와, 피스톤부의 초기 설치시 스트로크량과 초기값경사를 설정하는 세팅부(1330)를 구비하는 측정부(1300); 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재는,
    로드커버부에 결합되는 연장부(1110)와 제2힌지부와 볼조인트를 구성하여 브라켓부에 대해 로드부가 3축으로 로드부가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베어링부(1120)를 구비하고, 브라켓부가 배치되는 내벽의 침하가 발생한 경우 로드부와 측정부가 상호 회동되어 로드부 및 측정부의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변위량을 감지할 수 있는 터널의 변위측정장치.
KR1020180168083A 2018-12-24 2018-12-24 터널의 변위측정장치 KR102078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083A KR102078485B1 (ko) 2018-12-24 2018-12-24 터널의 변위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083A KR102078485B1 (ko) 2018-12-24 2018-12-24 터널의 변위측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455A Division KR20180057155A (ko) 2016-11-22 2016-11-22 터널의 변위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356A KR20190000356A (ko) 2019-01-02
KR102078485B1 true KR102078485B1 (ko) 2020-02-19

Family

ID=6502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083A KR102078485B1 (ko) 2018-12-24 2018-12-24 터널의 변위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4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8763A (zh) * 2019-07-11 2019-10-11 中国水利水电建设工程咨询北京有限公司 多平台台车式斜井扩挖方法
KR102105117B1 (ko) * 2019-09-06 2020-04-27 (주)에이티맥스 터널 변위 측정용 타겟 유니트
KR102158136B1 (ko) 2019-11-13 2020-09-21 (주)스마트 제어계측 지하 터널 탐사 차량
CN111337505B (zh) * 2020-03-30 2023-05-02 重庆金交劲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隧道检测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644B1 (ko) 1999-03-17 2001-05-15 이호현 2차원 터널 내공측정 센서기구장치
KR200305156Y1 (ko) 2002-10-25 2003-02-25 주식회사 동우지오시스템 2차원 터널 내공 측정 센서기구장치
KR200399594Y1 (ko) 2005-06-24 2005-10-26 주식회사 지티씨 엔지니어링 2차원 터널 변형 자동계측장치
KR101521843B1 (ko) 2014-09-17 2015-05-21 (주)성진지오텍 3차원 변위 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161B1 (ko) * 2005-11-28 2008-01-21 이금석 광섬유격자센서를 이용한 내공변위 및 천단침하 측정장치
KR100821622B1 (ko) * 2006-06-27 2008-04-15 이근호 내공 변위 측정 시스템
KR101179667B1 (ko) * 2010-06-28 2012-09-05 (주)대동계측 크랙 측정기
KR101635808B1 (ko) * 2014-08-19 2016-07-04 주식회사 바이텍코리아 지반 변위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644B1 (ko) 1999-03-17 2001-05-15 이호현 2차원 터널 내공측정 센서기구장치
KR200305156Y1 (ko) 2002-10-25 2003-02-25 주식회사 동우지오시스템 2차원 터널 내공 측정 센서기구장치
KR200399594Y1 (ko) 2005-06-24 2005-10-26 주식회사 지티씨 엔지니어링 2차원 터널 변형 자동계측장치
KR101521843B1 (ko) 2014-09-17 2015-05-21 (주)성진지오텍 3차원 변위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356A (ko) 2019-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485B1 (ko) 터널의 변위측정장치
US7751657B2 (en) Inclinometer system
US10472793B2 (en) Method of monitoring subsurface concrete structures
KR20180057155A (ko) 터널의 변위측정장치
KR100734390B1 (ko) 2차원 터널 변형 자동계측장치
US20110178730A1 (en) Flexible Pipe Fatigue Monitoring Below the Bend Stiffener of a Flexible Riser
KR20060136002A (ko) 2차원 터널 변형 자동계측장치
KR101688045B1 (ko) 내부변위 및 간극수압 통합 계측기
US10060249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pressure exerted by earth material
JP2020519798A (ja) トンネル用プレキャストセグメントならびにそのようなプレキャストセグメントを作製および監視する方法
KR102043702B1 (ko) 터널 변위 계측장치
KR20230098119A (ko) 접촉식 탐촉자를 이용한 tbm 디스크커터 마모도 측정장치
KR102354658B1 (ko) 교량 받침 변형량 및 교량받침부 변위량 측정 장치
JP6793404B2 (ja) 排水処理坑の変位計測装置,土塊移動監視装置及び排水処理坑監視装置
KR10204495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변위량 측정기
JP2001304853A (ja) リンク型変位計
KR101810221B1 (ko) 침목 침하감지장치
Batten et al. Use of vibrating wire strain gauges to measure loads in tubular steel props supporting deep retaining walls
KR200399594Y1 (ko) 2차원 터널 변형 자동계측장치
JP4043568B2 (ja) 原位置孔底三軸圧縮試験法
US20150069814A1 (en) Face equipment comprising hose levels placed on the shield support frames of said face equipment
KR20110136140A (ko) 터널의 내공 변위 계측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공 변위 계측방법
Małkowski et al. Automatic monitoring system designed for controlling the stability of underground excavation
KR20120005611A (ko) 스파이럴형 락볼트를 이용한 지중변위 측정장치
KR101302575B1 (ko) 지중변위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