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750B1 - 스마트 센서 볼트 및 이것이 결합된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센서 볼트 및 이것이 결합된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750B1
KR102410750B1 KR1020210191757A KR20210191757A KR102410750B1 KR 102410750 B1 KR102410750 B1 KR 102410750B1 KR 1020210191757 A KR1020210191757 A KR 1020210191757A KR 20210191757 A KR20210191757 A KR 20210191757A KR 102410750 B1 KR102410750 B1 KR 102410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bolt
circuit board
cover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남
Priority to KR1020210191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etermining value of torque or twisting moment for tightening a nut or other member which is similarly 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1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is other than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46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is other than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screws and nuts, screw-gears or c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센서 볼트 및 이것이 결합된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조물에 장착되는 볼트를 통해 각종 데이터를 측정하여 외부기기로 무선 전송하고, 이러한 볼트를 교량에 장착하여 교량을 안전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 센서 볼트 및 이것이 결합된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센서 볼트는, 구조물에 나사 결합되고, 내부에 장착홈이 형성된 볼트본체와; 상기 장착홈에 내장되는 배터리와; 상기 장착홈에 내장되고,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된 안테나와;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된 센서와; 상기 장착홈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안테나는 상기 센서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외부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센서 볼트 및 이것이 결합된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 Smart sensor bolt and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management of bridge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스마트 센서 볼트 및 이것이 결합된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조물에 장착되는 볼트를 통해 각종 데이터를 측정하여 외부기기로 무선 전송하고, 이러한 볼트를 교량에 장착하여 교량을 안전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 센서 볼트 및 이것이 결합된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온도에 따른 신축과 차량의 진행과정에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한 길이방향의 변형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교각과 상판 사이에 교량을 받쳐주는 교량받침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교량받침장치는 고정 교량받침장치와 가동 교량받침장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량상판의 신축 발생시 가동 교량받침장치가 슬라이딩 동작에 의하여 길이방향 변형를 흡수하였다.
여기서, 상기 가동 교량방침장치는 롤러로 이루어진 것과 슬라이딩 결합된 판으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었다.
한편, 교량의 설계에 있어서 내진설계의 강화에 따라 교량받침장치가 길이방향과 상하 방향의 변형에 대하여도 이를 흡수 완충할 수 있게 한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 교량받침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탄성 교량받침장치는 상 하부에 결속플랜지를 형성한 사각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탄성 교량받침장치는 설계치 이상의 변형시 피로에 의한 파손이 발생할 수 있어 주기적으로 관리자가 교각에 내려가 그 상태를 시각적으로 관찰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탄성 교량받침장치의 관리가 일정주기로 이루어지는 시각적인 관찰에 의하여 이루어져 그 피로상태의 정확한 파악이 이루어지지 않고, 교량이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이루어지지 않아 교량의 안전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량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센서 등을 교량받침장치의 외부에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는데, 위와 같이 센서를 외부에 별도로 설치하게 되면 교량 작업시 파손될 우려가 있고, 이물질의 유입에 의해 오작동이 될 수 있는 등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등록특허 10-0700805 공개특허 10-2014-000158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물에 체결된 볼트 내부 및/또는 외부의 각종 데이터를 측정하고 이를 외부기기에 무선 전송하여 구조물 및 볼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고, 센서를 볼트에 장착함으로서 센서의 파손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센서 볼트 및 이것이 결합된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센서 볼트는, 구조물에 나사 결합되고, 내부에 장착홈이 형성된 볼트본체와; 상기 장착홈에 내장되는 배터리와; 상기 장착홈에 내장되고,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된 안테나와;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된 센서와; 상기 장착홈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안테나는 상기 센서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외부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면서 나사 결합된다.
상기 볼트본체에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볼트본체를 상기 구조물에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는 오프(OFF)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상기 회로기판에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볼트본체를 상기 구조물에 체결하면 상기 스위치가 온(ON)되면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상기 회로기판에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볼트본체의 나사산이 형성된 면 또는 볼트머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를 상기 구조물에 체결하였을 때 상기 스위치가 온된다.
상기 센서는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GPS, 가속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제1센서로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는 하단이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센서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2센서의 상단을 통해 상기 볼트본체 외부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상기 제2센서는 레이저센서, 카메라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센서는 상기 구조물에 대향하는 타구조물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측정한다.
상기 안테나는 상기 커버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커버의 하면에 부착된 상기 안테나에 연결되는 연결선이 돌출되어 있되, 상기 커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커버가 하강할 때, 상기 연결선의 상단은 상기 커버와 함께 회전하는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센서 볼트가 결합된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교각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1구조물과; 교량상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2구조물과; 상기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 사이에 배치되는 교량받침대와; 상기 교량받침대를 상기 제1구조물 또는 제2구조물에 결합시키는 상술한 스마트 센서 볼트와; 상기 스마트 센서 볼트에 내장된 센서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받아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정보를 수신받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마트 센서 볼트 및 이것이 결합된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센서 볼트는 구조물에 체결되어 볼트 내부 및/또는 외부의 각종 데이터를 측정하고 이를 외부기기에 무선 전송하여 구조물 및 볼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볼트를 교량에 장착할 경우, 진동 등의 외력 작용시 교량 하부에서 교량을 지지하는 교량받침대의 상태 및 볼트의 상태를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어, 교량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센서가 볼트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를 장착하기만 하면 센서의 장착되어 이루어져 설치가 용이하고, 센서가 볼트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시 센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센서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오작동 또는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 볼트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 볼트의 조립과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 볼트가 결합된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 볼트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 볼트의 구조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 볼트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 볼트의 조립과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 볼트가 결합된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센서 볼트(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본체(11)와, 배터리(12)와, 회로기판(13)과, 안테나(14)와, 커버(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본체(11)는 제1구조물(3a)에 나사 결합되고, 내부에 장착홈(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구조물(3a)은 교량, 교각과 연결되는 구조물 이외에 다양한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본체(11)는 상기 제1구조물(3a)뿐만 아니라, 제2구조물(3b)에 체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상기 제1구조물(3a)과 제2구조물(3b)은 서로 대향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도 3에서 교량상판(1)과 교각(2) 사이에는 교량받침대(3)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교량받침대(3)는 제1구조물(3a) 및 제2구조물(3b)과 본 발명의 스마트 센서 볼트(10)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 제1구조물(3a)은 교각(2)의 상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구조물(3a)의 상부에는 제2구조물(3b)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구조물(3b)은 교량상판(1)의 하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센서 볼트(10)는 이러한 상기 제1구조물(3a) 및/또는 제2구조물(3b)에 나사 결합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 센서 볼트(10)는 교량에 사용되는 것 이외에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2)는 상기 장착홈(11a)에 내장된다.
상기 회로기판(13)은 상기 배터리(12)의 상부에서 상기 장착홈(11a)에 내장되고, 상기 배터리(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안테나(14)는 상기 회로기판(13)과 연결되어, 게이트웨이(30) 또는 관리서버(35) 등의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한다.
상기 센서는 상기 회로기판(13)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회로기판(13)을 통해 상기 배터리(12)의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고,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상기 안테나(14)를 통해 외부기기로 전송된다.
이러한 상기 센서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센서는 상기 회로기판(13)에 장착되는 GPS, 가속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제1센서(15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센서(15a)는 상기 볼트본체(11)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어도 데이터를 측정하는데 거의 문제가 없다.
그리고 상기 센서는 하단이 상기 회로기판(13)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커버(16)를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센서(15b)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2센서(15b)는 상기 커버(16)를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단을 통해, 상기 볼트본체(11) 외부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러한 상기 제2센서(15b)는 레이저센서, 카메라센서, 온습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이저센서, 카메라센서 등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센서(15b)는 상기 제1구조물(3a)에 대향하는 상기 제2구조물(3b)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제2센서(15b)는 상기 제1구조물(3a)과 제2구조물(3b) 상호간의 상하 이격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고, 수평 이동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제1센서(15a) 또는 제2센서(15b) 중 어느 하나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본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센서(15a)와 제2센서(15b)를 모두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커버(16)는 상기 장착홈(11a)을 덮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16)는 상기 장착홈(11a)에 덮으면서 상기 볼트본체(11)에 다양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16)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11a)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16)는 상기 장착홈(11a)에 회전 삽입되면서 나사 결합된다.
상기 안테나(14)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테나(14)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16)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회로기판(13)에는 상기 커버(16)의 하면에 부착된 상기 안테나(14)에 연결되는 연결선(13a)이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커버(16)가 하강할 때, 상기 연결선(13a)의 상단은 상기 커버(16)와 함께 회전하는 상기 안테나(14)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선(13a)이 상기 안테나(14)와 상기 회로기판(13)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커버(16)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연결선(13a)이 꼬이지 않고 상기 회로기판(13)과 상기 안테나(14)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2)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1구조물(3a)과, 교량상판(1)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2구조물(3b)과, 상기 제1구조물(3a)과 제2구조물(3b) 사이에 배치되는 교량받침대(3)와, 상기 교량받침대(3)를 상기 제1구조물(3a) 및/또는 제2구조물(3b)에 결합시키는 스마트 센서 볼트(10)와, 상기 스마트 센서 볼트(10)에 내장된 센서(15a,15b)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받아 관리서버(35)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30)와, 상기 게이트웨이(30)로부터 정보를 수신받는 관리서버(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센서(15a)와 제2센서(15b)는 상기 볼트(10)에 내장된 상기 배터리(12)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게이트웨이(30)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로등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립 및 작동과정 등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볼트본체(11)의 장착홈(11a)에 배터리(12)를 삽입하고, 그 위에 상기 회로기판(13)을 배치한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13)에는 상기 제1센서(15a) 및/또는 제2센서(15b)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13)에는 상기 연결선(13a)이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커버(16)를 상기 장착홈(11a)의 상부에 배치한 후, 상기 커버(16)를 회전시켜 상기 장착홈(11a)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커버(16)의 하면에는 상기 안테나(14)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커버(1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안테나(14)도 함께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상기 커버(1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안테나(14)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안테나(14)는 하부에 배치된 상기 연결선(13a)과 연결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안테나(14)는 상기 회로기판(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그 후 상기 커버(16)의 상기 제2센서(15b) 사이의 빈공간에 실링제(17)를 도포하여 상기 장착홈(11a)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킨다.
이렇게 조립된 본 발명의 볼트(10)는 상기 제1구조물(3a) 및 제2구조물(3b)에 장착되어 제1구조물(3a) 및 제2구조물(3b)을 다른 구조체 또는 물건 등에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센서(15a)는 GPS, 가속도센서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볼트(10)의 위치, 유동 등의 데이터를 측정한다.
상기 제2센서(15b)는 상기 커버(16)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단을 통해 외부의 각종 데이터를 측정한다.
상기 제1센서(15a) 및 제2센서(15b)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는 상기 안테나(14)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30)로 전송되고, 게이트웨이(30)는 이러한 데이터를 관리서버(35)에 전송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상기 관리서버(35)에 전송된 데이터를 통해 상기 볼트(10)의 상태, 교량의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센서 볼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교량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조물, 장비 등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센서(15a,15b) 등이 상기 볼트본체(11)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를 장착하기만 하면 센서(15a,15b)의 장착되어 이루어져 설치가 용이하고, 센서(15a,15b)가 볼트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시 센서(15a,15b)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센서(15a,15b)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오작동 또는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 볼트(10)의 구조도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12)와 회로기판(13)을 연결하는 스위치(1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스위치(18)는 상기 볼트본체(11)에 장착되어, 상기 배터리(12)와 상기 회로기판(13)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18)는 상기 볼트본체(11)의 나사산이 형성된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본체(11)를 상기 제1구조물(3a)에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18)는 오프(OFF)되어 상기 배터리(12)의 전원이 상기 회로기판(13)에 인가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본체(11)를 상기 제1구조물(3a)에 체결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18)가 온(ON)되면서 상기 배터리(12)의 전원이 상기 회로기판(13)에 인가된다.
이러한 상기 스위치(18)는 기계적인 구조로 작동될 수도 있고, 센싱을 통해 작동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스위치(18)를 통해 상기 볼트본체(11)가 상기 제1구조물(3a)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12)의 전원이 상기 회로기판(13)에 인가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볼트본체(11)를 상기 제1구조물(3a)에 체결하기 전이나 분리하였을 때, 배터리(12)의 에너지가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 볼트(10)의 구조도이다.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18)의 장착위치에 차이가 있다.
상기 스위치(18)는 상기 볼트본체(11)에 형성된 볼트(10)머리의 하부에 형성되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18)를 상기 제1구조물(3a)에 체결하였을 때 상기 스위치(18)가 온(ON)된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2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스마트 센서 볼트 및 이것이 결합된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 교량상판, 2 : 교각, 3 : 교량받침대, 3a : 제1구조물, 3b : 제2구조물,
10 : 볼트,
11 : 볼트본체,11a : 장착홈,
12 : 배터리,
13 : 회로기판, 13a : 연결선,
14 : 안테나, 15a: 제1센서, 15b : 제2센서,
16 : 커버
17 : 실링제
18 : 스위치
30 : 게이트웨이,
35 : 관리서버.

Claims (9)

  1. 구조물에 나사 결합되고, 내부에 장착홈이 형성된 볼트본체와;
    상기 장착홈에 내장되는 배터리와;
    상기 장착홈에 내장되고,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된 안테나와;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된 센서와;
    상기 장착홈을 덮는 커버와;
    상기 볼트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배터리와 상기 회로기판을 연결하여 전원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안테나는 상기 센서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외부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볼트본체를 상기 구조물에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는 오프(OFF)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상기 회로기판에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볼트본체를 상기 구조물에 체결하면 상기 스위치가 온(ON)되면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상기 회로기판에 인가되도록 하며,
    상기 센서는 하단이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2센서의 상단을 통해 상기 볼트본체 외부의 데이터를 수집하며,
    상기 안테나는 상기 커버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커버의 하면에 부착된 상기 안테나에 연결되는 연결선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커버가 하강할 때, 상기 연결선의 상단은 상기 커버와 함께 회전하는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센서 볼트.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면서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센서 볼트.
  3. 삭제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볼트본체의 나사산이 형성된 면 또는 볼트머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를 상기 구조물에 체결하였을 때 상기 스위치가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센서 볼트.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GPS, 가속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제1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센서 볼트.
  6. 삭제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는 레이저센서, 카메라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센서는 상기 구조물에 대향하는 타구조물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센서 볼트.
  8. 삭제
  9. 교각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1구조물과;
    교량상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2구조물과;
    상기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 사이에 배치되는 교량받침대와;
    상기 교량받침대를 상기 제1구조물 또는 제2구조물에 결합시키는 청구항1, 청구항2, 청구항4, 청구항5 또는 청구항7 중 어느 한 항의 스마트 센서 볼트와;
    상기 스마트 센서 볼트에 내장된 센서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받아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정보를 수신받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센서 볼트가 결합된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10191757A 2021-12-29 2021-12-29 스마트 센서 볼트 및 이것이 결합된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10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757A KR102410750B1 (ko) 2021-12-29 2021-12-29 스마트 센서 볼트 및 이것이 결합된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757A KR102410750B1 (ko) 2021-12-29 2021-12-29 스마트 센서 볼트 및 이것이 결합된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750B1 true KR102410750B1 (ko) 2022-06-22

Family

ID=82216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757A KR102410750B1 (ko) 2021-12-29 2021-12-29 스마트 센서 볼트 및 이것이 결합된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7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8637A (ja) * 1997-10-15 1999-04-30 Yoshihiro Funayama センサーボルト
KR100700805B1 (ko) 2004-11-15 2007-03-27 주식회사 브이테크 계측용 광섬유센서가 일체로 내장결합된 교량받침
KR20140001586A (ko) 2012-06-28 2014-01-07 주식회사 비엠연구소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
JP2015215226A (ja) * 2014-05-09 2015-12-03 オムロン株式会社 状態検出装置
JP2021121818A (ja) * 2015-03-31 2021-08-26 株式会社NejiLaw 通電路付部材及び通電路のパターニング方法、部材変化計測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8637A (ja) * 1997-10-15 1999-04-30 Yoshihiro Funayama センサーボルト
KR100700805B1 (ko) 2004-11-15 2007-03-27 주식회사 브이테크 계측용 광섬유센서가 일체로 내장결합된 교량받침
KR20140001586A (ko) 2012-06-28 2014-01-07 주식회사 비엠연구소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
JP2015215226A (ja) * 2014-05-09 2015-12-03 オムロン株式会社 状態検出装置
JP2021121818A (ja) * 2015-03-31 2021-08-26 株式会社NejiLaw 通電路付部材及び通電路のパターニング方法、部材変化計測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060B1 (ko) 교량 상판의 이탈방지를 위한 교좌를 갖춘 교량
US10203349B2 (en) Monitoring the structural health of columns
KR102021085B1 (ko) 교량 안전진단 기능을 갖는 교좌장치
KR101543368B1 (ko) 건축 및 토목구조물용 하이브리드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상태 진단시스템
CN101660898B (zh) 一种光纤光栅路面应变传感器
US6608558B2 (en) Damper device for building, and monitor and control system for damper device
KR102359717B1 (ko) 스마트 맨홀 덮개
KR102410750B1 (ko) 스마트 센서 볼트 및 이것이 결합된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54658B1 (ko) 교량 받침 변형량 및 교량받침부 변위량 측정 장치
CN103486935B (zh) 一种高度变化测量记录装置及应用
JP2015530577A (ja) モニタデバイスのためのリアルタイム構造測定(rtsm)
KR100479677B1 (ko)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KR102108115B1 (ko) 교량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용 상황 진동 감지 전자식 멀티 센서 모듈
JP7136621B2 (ja) 水噴霧ヘッド
WO2021005468A1 (en) Device for the detection of physical parameters related to the displacement or deformation of an external element to be monitored
CA2992379A1 (en) Monitoring the structural health of columns and like structures
CN110671989A (zh) 一种基于桥梁顶升智能双位移传感器的控制系统
KR102394319B1 (ko)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27050B1 (ko) 송전선 변이측정모듈을 구비한 선로 감시진단 장치
KR200239172Y1 (ko) 계측용 교좌장치
CN210486948U (zh) 一种接触网补偿装置状态监测及预警终端
KR200379034Y1 (ko)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KR200239375Y1 (ko) 계측용 교좌장치
KR200342894Y1 (ko) 교량용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KR20200025721A (ko) 교량변위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