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034Y1 -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034Y1
KR200379034Y1 KR20-2004-0034939U KR20040034939U KR200379034Y1 KR 200379034 Y1 KR200379034 Y1 KR 200379034Y1 KR 20040034939 U KR20040034939 U KR 20040034939U KR 200379034 Y1 KR200379034 Y1 KR 200379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ridge
ground
grounding
meas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평
이창선
Original Assignee
김길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평 filed Critical 김길평
Priority to KR20-2004-0034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0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0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08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of brid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수직면과 수평면을 보유토록 절곡형성되어 있되, 수직면 중앙부위에는 힌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공의 인접 부위에는 표시눈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눈금 상,하부에는 별도의 외부 자료획득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접지 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수평면에는 교량 상판 하부에 연결 고정을 취할 수 있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설치구와; 상기, 고정 설치구의 힌지공에 연결 설치할 수 있는 힌지축이 후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접지구가 일체로 구비된 접지바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일측에는 후면에 접지구가 구비된 지시침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감지 표시구와; 하부는 상기, 접지바의 입,출입이 가능토록 형성되어 있되, 전 후방 일정 부위에는 별도의 외부 자료획득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접지구가 접촉시 감지신호를 송출해 줄 수 있는 접지단자가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는 교량 상판 하부에 연결 고정을 취할 수 있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본 고안을 통해 교량 상판의 신축 이음부 간격 및 처짐 변화를 항상 체크하여 신속한 안전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이에 따른 대형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a measuring device for safety testing on a part offlexible coupling in bridge}
본 고안은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상판의 신축 이음부 하부에 설치하여 교량 상판의 신축 이음부 간격이 안전 수치 이상 신축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또한 처짐 현상이 발생될 시 이를 교량 관리자에게 신속히 알려주어 안전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함에 따라 대형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구조물 중 교량은 다수의 상판이 강거 박스 상에 안치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판의 연결부위에는 계절 변화에 의한 외부 온도 변화에 의해 구조물이 신축되는 현상에 자체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일정 폭의 신축 이음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신축이음부는 그 변화량이 안전 수치이상으로 변화할 경우 교량의 안전과 직결되므로 수시로 점검하고 체크할 필요가 있다.
참고로, 이러한 신축 이음부의 간격 체크는 지금까지 교량 관리자가 교량 하부 양측에 마련된 작업통로를 따라 별개의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주기적인 측정을 하는 방식을 취하였으므로 효과적인 교량 안전진단을 취할 수 없었음은 물론이고 관리자의 안전 사고의 위험성을 항상 내포하고 있었으며, 더불어 관리상의 불편한 문제점 많았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고안이 속속 등장하고 있는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도 5b는 종래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안은 도로 구조물 및 교량의 안전진단용 측정시스템(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65797호)인데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사이의 공간(R)에 설치되고, 표면에 눈금(2a)이 표기된 눈금판(2)을 일측 상판(T1)의 끝단부측면에 고정구(1)로써 좌,우 길이방향으로 고정하며, 끝단부에 지시침(4a)이 형성된 지시판(4)을 타측 상판(T2)의 끝단부 측면에 고정구(3)로써 좌우길이 방향으로 고정하며, 눈금판(2)과 지시판(4)이 상하에 위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안전진단용 측정시스템은 관리자가 현장에서 직접 체크를 하여야만 가능한 관계로 이 역시 작업상의 비안전한 문제와 불편한 문제점이 많았다.
또한, 통행량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하는 신축 이음부의 간격 체크의 이상유무를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이 기술이 적용된 부위에 관리자를 24시간 내내 상주시켜 변화상태를 체크하여야 하므로 사실 현장에서 실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는 고안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안은 상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실용신안출원번호제 20-2003-0036268호)인데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110)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상판(120) 사이에 장착되며, 양측에 지지바의 일단이 수납되는 수납홈(150)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에 연결되는 고정바(180)에 지지되는 제 1 감지바(210)와 그 일측에 힌지(220)로서 연결되는 제 2 감지바(230)로 구성되며, 상기 제 1,2 감지바(210),(230)의 일단에 러버재로 이루어진 접지블록(270)이 각각 힌지(270a)로서 연결되는 감지바(200); 및 상기 감지바(200)의 승하강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에 장착되는 기판(310)과 상기 기판상에 연결되는 제어기(500) 및 상기 제어기(500)와 연결되는 접지스위치(330), 상기 감지바(200)에 연결되는 접지단자(340)로 이루어지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실시간으로 교량의 신축 이음부에 대한 신축량 측정이 가능함에 따라 현장 측정이 불필요하여 효과적인 교량 안전진단을 취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유지 관리상의 안전성과 관리상의 편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고안의 취지는 좋으나 신축상태 모두의 변화에 대한 측정을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더불어 교량 안전에 해가될 설치 형태를 취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복수의 교량 상판의 신축 이음부 사이에 위치하여 이 신축 이음부의 공간이 안전거리 이상 확대될 신장 동작시에만 연동하여 링크된 접지블록과 감지바가 접지스위치를 접지스위치 면에 하향 이동시키며 안전 경고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지, 신축 이음부의 공간이 안전거리 이상 축소될 축소 동작시에는 아무런 안전 경고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구조상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복수의 교량 상판 신축 이음부 사이에 설치하여야지만 작동 가능한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안전거리 이상 교량 상판의 신축 이음부가 축소될 시 자체 파손은 물론이고 교량 신축이음부의 파손현상을 부축일 우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교량 상판의 신축 이음부 하부에 설치하여 교량 상판의 신축 이음부 간격이 안전 수치 이상 신축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또한 처짐 현상이 발생될 시 이를 교량 관리자에게 신속히 알려주어 안전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함에 따라 대형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수직면과 수평면을 보유토록 절곡형성되어 있되, 수직면 중앙부위에는 힌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공의 인접 부위에는 표시눈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눈금 상,하부에는 별도의 외부 자료획득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접지 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수평면에는 교량 상판 하부에 연결 고정을 취할 수 있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설치구와; 상기, 고정 설치구의 힌지공에 연결 설치할 수 있는 힌지축이 후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접지구가 일체로 구비된 접지바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일측에는 후면에 접지구가 구비된 지시침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감지 표시구와; 하부는 상기, 접지바의 입,출입이 가능토록 형성되어 있되, 전 후방 일정 부위에는 별도의 외부 자료획득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접지구가 접촉시 감지신호를 송출해 줄 수 있는 접지단자가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는 교량 상판 하부에 연결 고정을 취할 수 있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의 요부 구성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면(11)과 수평면(12)을 보유토록 절곡형성되어 있되, 수직면 중앙부위에는 힌지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공(13)의 인접 부위에는 표시 눈금(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눈금(14) 상,하부에는 별도의 외부 자료획득시스템(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접지 단자(15)가 형성되어 있고, 수평면(12)에는 교량 상판(1) 하부에 연결 고정을 취할 수 있는 나사공(16)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설치구(1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설치구(10)의 전면에는 힌지공(13)에 연결 설치할 수 있는 힌지축(21)이 후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접지구(22a)가 일측 하부에 일체로 구비된 접지바(23)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일측에는 후면에 또다른 접지구(22b)가 설치되어 있는 지시침(25)이 구비되어 있는 감지 표시구(2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설치구(10)의 타측에는 하부가 상기, 접지바(23)의 입,출입이 가능토록 형성되어 있되, 전 후방 일정 부위에는 별도의 외부 자료획득시스템(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접지구(22a)가 접촉시 감지신호를 송출해 줄 수 있는 접지 단자(31)가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공(32)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는 교량 상판(1) 하부에 연결 고정을 취할 수 있는 나사공(33)이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 연결구(30)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 연결구(30)에 형성된 가이드공(32)은 입구 부위는 상하 내경이 다소 크고 내측은 이보다 점차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지 표시구(20)의 접지바(23) 일측 하부에 형성된 접지구(22a)는 회동 가능하되, 출몰 동작이 가능한 탄성볼(26)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설치방법과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도 4b, 도 4c는 본 고안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먼저, 설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 또는 나사를 이용하여 신축 이음부를 형성하고 있는 일측 상판(1) 하부에 고정 설치구(10)를 체결 고정하고, 이 고정 설치구(10)에 감지 표시구(20)를 힌지 연결한 후 상기 감지 표시구(20)와 연동 가능하게 스위치 연결구(30)를 연결하여 타측 상판(1)에 체결 고정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 표시구(20)와 스위치 연결구(30)를 연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기 위해서는 스위치 연결구(30) 하부에 마련된 가이드공(32)에 상기 감지 표시구(20)의 접지바(23)를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참고로, 상기 고정 설치구(10)와 스위치 연결구(30)에 구비되어 있는 접지 단자(15),(31)는 교량(1)을 지탱하고 있는 강거 박스 내부에 마련된 배선라인을 따라 관리자가 위치해 있는 컴퓨터에 프로그램된 자료획득시스템(40)과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하면 된다.
이렇게 설치된 본 고안은 실사용시 신축 이음부를 형성하고 있는 상판(1)간의 유격이 안전 수치 이상 확대될 경우에는 상기 접지바(23)의 접지구(22a)가 가이드공(32)의 입구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해 오는 가운데 접지 단자(31)와 스위칭되어 이러한 위험 감지 신호를 관리자의 컴퓨터에 프로그램 되어 있는 자료획득시스템(40)에 송출하여 신축 이음부의 이상 상태를 통보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접지구(24)는 회동이 가능한 탄성볼(26)로 제작되어 있어, 크기가 다른 가이드공(32)의 내경에 반응하며 가이드공(32)의 입구 방향으로 이동시에는 하향 돌출되는 동작을 취하여 상기 접지 단자(31)와의 스위칭 동작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판(1)간의 유격이 안전 수치 이상 축소될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바(23)의 접지구(22a)가 가이드공(32)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해 오는 가운데 타측 접지 단자(31)와 스위칭되어 이러한 위험 감지 신호를 관리자의 컴퓨터에 프로그램 되어 있는 자료획득시스템(40)에 송출하여 신축 이음부의 이상 상태를 통보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 설치구(10)가 연결 설치된 상판(1)에 처짐 현상이 안전 수치 이상 발생할 경우에는 감지 표시구(20)가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일측에 위치한 지시침(25)을 하향 이동시켜 이러한 변위 동작을 통한 지시침(25)의 후면에 마련된 접지구(22b)와 표시 눈금(14)의 하부에 위치된 접지 단자(15)와의 스위칭을 도모하여 이러한 위험 감지 신호를 관리자의 컴퓨터에 프로그램 되어 있는 자료획득시스템(40)에 송출하여 신축 이음부의 이상 상태를 통보하게 된다.
또한, 스위치 연결구(30)가 연결 설치된 상판(1)에 처짐 현상이 안전 수치 이상 발생할 경우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표시구(20)가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일측에 위치한 지시침(25)을 상향 이동시켜 이러한 변위 동작을 통한 지시침(25)의 후면에 마련된 접지구(22b)와 표시눈금(14)의 상부에 위치된 접지 단자(15)와의 스위칭을 도모하여 이러한 위험 감지 신호를 관리자의 컴퓨터에 프로그램 되어 있는 자료획득시스템(40)에 송출하여 신축 이음부의 이상 상태를 통보하게 된다.
참고로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교량 상판의 신축 이음부 하부에 설치하여 교량 상판의 신축 이음부 간격이 안전 수치 이상 신축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또한 처짐 현상이 발생될 시 이를 교량 관리자에게 신속히 알려주어 안전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함에 따라 대형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장 실사를 통한 측정이 불필요하여 안전하고도 편리하게 신속한 교량 안전 진단을 취할 수 있어 관리상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대폭 향상 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효과 등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의 요부 구성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4a, 도 4b, 도 4c는 본 고안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a,도 5b는 종래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판 2 : 강거 박스
10 : 고정 설치구 11 : 수직면
12 : 수평면 13 : 힌지공
14 : 표시 눈금 15 : 접지 단자
20 : 감지 표시구 21 : 힌지축
22a,22b : 접지구 23 : 접지바
24 : 접지구 25 : 지시침
26 : 탄성볼
30 : 스위치 연결구 31 : 접지 단자
32 : 가이드공 33 : 나사공
40 : 자료획득시스템

Claims (2)

  1. 교량 상판(1) 신축 이음부 간격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여 이를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줄 수 있도록 제작된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있어서,
    수직면(11)과 수평면(12)을 보유토록 절곡형성되어 있되, 수직면 중앙부위에는 힌지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공(13)의 인접 부위에는 표시 눈금(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눈금(14) 상,하부에는 별도의 외부 자료획득시스템(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접지 단자(15)가 형성되어 있고, 수평면(12)에는 교량 상판(1) 하부에 연결 고정을 취할 수 있는 나사공(16)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설치구(10)와;
    상기, 고정 설치구(10)의 힌지공(13)에 연결 설치할 수 있는 힌지축(21)이 후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접지구(22a)가 일체로 구비된 접지바(23)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일측에는 후면에 또다른 접지구(22b)가 구비된 지시침(2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감지 표시구(20)와;
    하부는 상기, 접지바(23)의 입,출입이 가능토록 형성되어 있되, 전 후방 일정 부위에는 별도의 외부 자료획득시스템(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접지구(22a)가 접촉시 감지신호를 송출해 줄 수 있는 접지 단자(31)가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공(32)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는 교량 상판(1) 하부에 연결 고정을 취할 수 있는 나사공(33)이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 연결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연결구(30)에 형성된 가이드공(32)은 입구 부위는 상하 내경이 다소 크고, 내측은 이보다 점차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지 표시구(20)의 접지바(23) 일측 하부에 형성된 접지구(24)는 회동 가능하되, 출몰 동작이 가능한 탄성볼(2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KR20-2004-0034939U 2004-12-09 2004-12-09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KR200379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939U KR200379034Y1 (ko) 2004-12-09 2004-12-09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939U KR200379034Y1 (ko) 2004-12-09 2004-12-09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319A Division KR100479677B1 (ko) 2004-12-09 2004-12-09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034Y1 true KR200379034Y1 (ko) 2005-03-18

Family

ID=43680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939U KR200379034Y1 (ko) 2004-12-09 2004-12-09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03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502B1 (ko) 2006-01-12 2006-06-30 안영기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
KR100804683B1 (ko) 2007-08-22 2008-02-18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교량용 안전진단시스템
KR100885423B1 (ko) * 2008-07-02 2009-02-27 재단법인 한국재난연구원 회동식 측정봉을 이용한 교량 박스거더의 안전진단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502B1 (ko) 2006-01-12 2006-06-30 안영기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
KR100804683B1 (ko) 2007-08-22 2008-02-18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교량용 안전진단시스템
KR100885423B1 (ko) * 2008-07-02 2009-02-27 재단법인 한국재난연구원 회동식 측정봉을 이용한 교량 박스거더의 안전진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9677B1 (ko)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KR20010067185A (ko) 접지시스템 감시장치
KR101280292B1 (ko) 수변전설비의 멀티센서를 이용한 이상감지장치
KR200379034Y1 (ko)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CN108808284A (zh) 带gps功能的验电接地线挂及接地测量装置
CN104297677A (zh) 一种用于固定gis隔离开关行程测量传感器的固定装置
KR100636897B1 (ko) 교량 신축이음부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KR100742154B1 (ko)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
KR20040064253A (ko) 와이어를 이용한 교량상판의 안전진단장치
CA2992379A1 (en) Monitoring the structural health of columns and like structures
CN209055584U (zh) 高压带电显示装置
KR100857154B1 (ko)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
US10365293B2 (en) Monitoring the structural health of columns and like structures
CN206919933U (zh) 一种绝缘子串拉力及倾角传感器一体化结构件
KR102410750B1 (ko) 스마트 센서 볼트 및 이것이 결합된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CN203772205U (zh) 桥梁位移测量装置
CN108195531A (zh) 一种用于梁式桥倾覆危险监测和报警的设备
KR100540007B1 (ko) 교량 기초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KR100904984B1 (ko)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구간의 시계추형 안전진단장치
KR100565848B1 (ko) 교량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안전진단장치
KR200342894Y1 (ko) 교량용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KR20040083406A (ko) 교량상판 안전진단용 변형측정장치
KR100661053B1 (ko) 교량 안전진단용 변위측정장치 설치구조
CN109540221A (zh) 一种墙体裂缝综合监测预警系统
CN220732136U (zh) 具有故障信息采集装置的电气二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