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502B1 -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502B1
KR100594502B1 KR1020060003353A KR20060003353A KR100594502B1 KR 100594502 B1 KR100594502 B1 KR 100594502B1 KR 1020060003353 A KR1020060003353 A KR 1020060003353A KR 20060003353 A KR20060003353 A KR 20060003353A KR 100594502 B1 KR100594502 B1 KR 100594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switch
expansion joint
bridge
proximity
op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기
Original Assignee
안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기 filed Critical 안영기
Priority to KR1020060003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교량 강재박스의 마주보는 대향면 모서리부 상에 각각 볼팅고정되어 있되, 마주하는 대향면 좌우양측단에 고정되어 출몰되는 근접누름스위치가 형성되고, 중심측에 고정되어 상하로 출몰되는 이격누름스위치가 형성된 고무판재와; 상기 고무판재에 절첩가능하게 연결설치되어 있되, 상하부 양측에는 절첩축에 의해 축결합되고, 상기 고무판재의 마주하는 대향면에 설치된 근접누름스위치와 이격누름스위치를 가압하는 좌우누름유도바가 형성되며, 좌우누름유도바를 수평방향으로 각각 연결하고 신축이음부의 이격시 이격누름스위치를 가압하는 중심누름판을 갖는 연결바가 형성된 좌우 한쌍의 절첩구와; 교량의 신축이음부가 안전거리 이상 좁아지거나 늘어날 경우에 상기 절첩구에 의해 근접누름스위치와 이격누름스위치 중 하나가 눌려지면 이를 감지하여 신축이음부의 비안전한 상태를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주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교량의 신축이음부가 안전거리 이상 좁아지거나 늘어날 경우에 절첩구에 의해 근접누름스위치 또는 이격누름스위치가 작동되어 비안전한 상태를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이에 따른 조치를 빨리 취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신축이음부가 비안전하게 좁아지는 사태가 발생할 때에는 대향된 고무판재에 의해서 상호간의 마찰로 인한 파손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무판재, 근접누름스위치, 이격누름스위치, 절첩구, 제어부

Description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Safety diagnosis apparatus for elasticity connection part of bridge}
도 1은 본 발명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절취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의 절첩구 장착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의 이격누름스위치를 장착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의 작동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의 절첩구가 수축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의 절첩구가 확장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무판재 21,22 : 근접누름스위치
23,24 : 이격누름스위치 30 : 절첩구
31 : 절첩축 32,33 : 좌우누름유도바
34 : 연결바 35 : 중심누름판
40 : 제어부 50 : 강재박스
본 발명은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신축이음부가 안전거리 이상 좁아지거나 늘어날 경우에 절첩구에 의해 근접누름스위치 또는 이격누름스위치가 작동되어 비안전한 상태를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이에 따른 조치를 빨리 취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신축이음부가 비안전하게 좁아지는 사태가 발생할 때에는 대향된 고무판재에 의해서 상호간의 마찰로 인한 파손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구조는 크게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로 나눌 수 있는데, 상부구조는 하중재하, 온도변화, 콘크리트 크리프, 건조수축, 자연재해, 프리스트레싱 등에 의해 변형이 발생한다. 이러한 변형을 막기 위해, 단위 구간 사이에 최대 5cm, 통상 2~3cm의 신축간격을 두도록 교량상판을 적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단위 구간 사이의 간극에 빗물이 스며들거나 토사 등의 이물질이 개재되면 단위 콘크리트 구간의 신축작용에 무리가 따르게 된다. 특히 겨울철에는 도로에 염화마그네슘을 살포하므로 간극을 통하여 눈이 녹은 물이 유입되어 교량을 부식시킬 뿐만 아니라 교각에 흘러내려 외관을 더럽히게 된다.
또한 신축간격 형성으로 인해 불연속부가 존재하게 되며, 이는 차량의 주행이라는 교량의 주기능에 커다란 장애가 된다.
상기 교량의 불연속부에 이음, 시공되는 이음부 상에는 양측의 핑거 등 이음재 사이 간극을 덮어 막음과 더불어 양측의 주구조 상부에 시공되는 바닥구조들의 수축,이완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도록 보완구조물의 시공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양측 이음재가 드러나도록 바닥구조를 제거하고, 이 이음재 가 표출되도록 바닥구조가 제거된 이음재의 내부에 도로봉합재를 도포하며, 이 도로봉합재가 도포된 이음부의 내부에 입경 8~13mm의 쇄석골재를 도포한다.
상기 도포된 쇄석골재의 상부에 양측 이음재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판형상을 이룬 금속판을 설치하되 상기 금속판은 철판, 구리판, 알루미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두께는 3~6mm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로봉합재와 금속판의 접착 및 습기제거를 위해 금속판의 상부에 열을 가한다.
상기 금속판의 상부에서 도로 표면에 이르도록 도로봉합제와 쇄석골재의 혼합제를 두께 2~3mm로 하여 2~3층을 이루도록 도포하며, 상기 도로 봉합제와 쇄석골재의 혼합제 표면에 이르도록 도로봉합제를 도포함으로써 마감처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공된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는 시공이 복잡하고, 이음부에 대하여 일정시간이 흐르면 마모가 심하게 이루어지며, 차량과 신축이음장치가 서로 충격을 받게 되고, 이러한 충격은 차량과 신축이음장치의 내구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량의 신축이음부가 안전거리 이상 좁아지거나 늘어날 경우에 절첩구에 의해 근접누름스위치 또는 이격누름스위치가 작동되어 비안전한 상태를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이에 따른 조치를 빨리 취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신축이음부가 비안전하게 좁아지는 사태가 발생할 때에는 대향된 고무판재에 의해서 상호간의 마찰로 인한 파손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교량 강재박스의 마주보는 대향면 모서리부 상에 각각 볼팅고정되어 있되, 마주하는 대향면 좌우양측단에 고정되어 출몰되는 근접누름스위치가 형성되고, 중심측에 고정되어 상하로 출몰되는 이격누름스위치가 형성된 고무판재와;
상기 고무판재에 절첩가능하게 연결설치되어 있되, 상하부 양측에는 절첩축에 의해 축결합되고, 상기 고무판재의 마주하는 대향면에 설치된 근접누름스위치와 이격누름스위치를 가압하는 좌우누름유도바가 형성되며, 좌우누름유도바를 수평방향으로 각각 연결하고 신축이음부의 이격시 이격누름스위치를 가압하는 중심누름판을 갖는 연결바가 형성된 좌우 한쌍의 절첩구와;
교량의 신축이음부가 안전거리 이상 좁아지거나 늘어날 경우에 상기 절첩구에 의해 근접누름스위치와 이격누름스위치 중 하나가 눌려지면 이를 감지하여 신축 이음부의 비안전한 상태를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주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절취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의 절첩구 장착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의 이격누름스위치를 장착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의 작동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의 절첩구가 수축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의 절첩구가 확장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는, 교량 신축이음부의 양측단과 중심측에 근접누름스위치(21,22)와 이격누름스위치(23)가 장착되고 강재박스(50)의 마주보는 대향면에 각각 고정되는 고무판재(10)와, 고무판재(10)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신축이음부의 틈새가 일정거리 이상으로 좁혀지거나 늘어나면 고무판재(10)의 근접누름스위치(21,22)와 이격누름스위치(23,24)를 작동시키는 절첩구(30)와, 근접누름스위치(21,22)와 이격누름스위치(23,24)가 작동되면 이를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제어부(40)로 구성된다.
상기 고무판재(10)는 교량 상판과 접하는 강재박스(50)의 마주보는 대향면 모서리부 상에 각각 볼팅고정되는 ㄱ자형상의 고무판체로, 마주하는 대향면 좌우양측단에 고정되어 절첩구(30)의 절첩시 출몰되어 작동되는 근접누름스위치(21,22)가 고정결합되고, 내측 중심에 고정되어 절첩구(30)의 확장시 상하로 출몰되어 작동되는 이격누름스위치(23,24)가 각각 고정결합된다.
상기 절첩구(30)는 상기 고무판재(10)에 절첩가능하게 연결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절첩수단으로, 상하부 양측에는 절첩축(31)에 의해 축결합되어, 교량의 신축이음부가 안전거리 이상으로 좁혀질 때, 상기 고무판재(10)의 마주하는 대향면에 설치된 근접누름스위치(21,22)는 좌우누름유도바(32,33)에 의해 가압되고, 신축이음부가 안전이상으로 넓혀질 때, 좌우누름유도바(32,33)를 수평방향으로 각각 연결하고 신축이음부의 이격시 이격누름스위치(23,24)를 가압하는 중심누름판(35)을 갖는 연결바(34)가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40)는 교량의 신축이음부가 안전거리 이상 좁아지거나 늘어날 경우에 상기 좌우 한쌍의 절첩구(30) 좌우누름유도바(32,33)에 의해 근접누름스위치(21,22)와 이격누름스위치(23,24) 중 하나가 눌려지면 이를 감지하여 신축이음부의 비안전한 상태를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준다.
이때, 이상부위를 관리실의 디스플레이어로 표시하여 위치를 확인시켜 주거나, 관리실의 비상벨을 울리고 장소를 표시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량 신축이음부의 강재박스(50) 대향면에 ㄱ자형상의 고무판재(10)를 각각 볼팅고정시킨다.
이때, 고무판재(10)의 좌우 양측단에는 근접누름스위치(21,22)가 대향되게 설치되고, 절첩수축시 좌우누름유도바(32,33)가 근접누름스위치(21,22)를 누를 수 있는 위치에 절첩구(30)를 결합고정시키며, 절첩구(30)가 절첩축(31)을 축으로 확장되었을 때 좌우누름유도바(32,33)를 수평연결하는 연결바(34)의 중심누름판(35)에 맞닿도록 고무판재(10)의 내측 중심위치에서 상하로 출몰되는 이격누름스위치(23,24)를 각각 고정결합시킨다.
이렇게 본 발명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가 교량 신축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절기나 다른 이유로, 교량의 신축이음부가 안전거리 이상으로 좁아지면, 절첩구(30)의 좌우누름유도바(32,33)는 근접누름스위치(21,22)를 누르게 되고, 근접누름스위치(21,,22)는 감지신호를 제어부(40)로 발송하며, 이를 감지한 제어부(40)는 관리실의 관리자에게 빛이나 소리 등으로 비안전한 사실을 알리고, 그 위치를 디스플레이장치로 표시하게 된다. 이에 관리자가 필요한 조치를 빨리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때, 교량의 신축이음부가 비안전하게 좁아지는 사태가 발발하게 되면, 상 기 대향되는 고무판재(10)에 의해서 상호간의 마찰로 파손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동절기나 다른 이유로, 교량의 신축이음부가 안전거리 이상으로 늘어나게 되면, 상기 절첩구(30)의 좌우누름유도바(32,33)는 펼쳐지고, 좌우누름유도바(32,33)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바(34)의 중심누름판(35)은 상하측에서 이격누름스위치(23,24)를 누르게 되고, 이격누름스위치(23,24)는 감지신호를 제어부(40)로 발송하며, 이를 감지한 제어부(40)는 관리실의 관리자에게 빛이나 소리 등으로 교량의 신축이음부가 안전거리 이상으로 늘어난 사실을 알리고, 그 위치를 디스플레이장치로 표시하게 된다. 이에 관리자가 필요한 조치를 빨리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의 신축이음부가 안전거리 이상 좁아지거나 늘어날 경우에 절첩구에 의해 근접누름스위치 또는 이격누름스위치가 작동되어 비안전한 상태를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이에 따른 조치를 빨리 취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신축이음부가 비안전하게 좁아지는 사태가 발생할 때에는 대향된 고무판재에 의해서 상호간의 마찰로 인한 파손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교량 강재박스의 마주보는 대향면 모서리부 상에 각각 볼팅고정되어 있되, 마주하는 대향면 좌우양측단에 고정되어 출몰되는 근접누름스위치가 형성되고, 중심측에 고정되어 상하로 출몰되는 이격누름스위치가 형성된 고무판재와;
    상기 고무판재에 절첩가능하게 연결설치되어 있되, 상하부 양측에는 절첩축에 의해 축결합되고, 상기 고무판재의 마주하는 대향면에 설치된 근접누름스위치와 이격누름스위치를 가압하는 한쌍의 좌우누름유도바가 형성되며, 좌우누름유도바를 수평방향으로 각각 연결하고 신축이음부의 이격시 이격누름스위치를 가압하는 중심누름판을 갖는 연결바가 형성된 좌우 한쌍의 절첩구와;
    교량의 신축이음부가 안전거리 이상 좁아지거나 늘어날 경우에 상기 절첩구에 의해서 근접누름스위치와 이격누름스위치 중 하나가 눌려지면 이를 감지하여 신축이음부의 비안전한 상태를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주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
KR1020060003353A 2006-01-12 2006-01-12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 KR100594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353A KR100594502B1 (ko) 2006-01-12 2006-01-12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353A KR100594502B1 (ko) 2006-01-12 2006-01-12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4502B1 true KR100594502B1 (ko) 2006-06-30

Family

ID=3718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353A KR100594502B1 (ko) 2006-01-12 2006-01-12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450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743B1 (ko) 2009-04-06 2009-08-05 한국시설기술주식회사 교량 강교 상부 켄틸레버 구간의 판스프링형 처짐진단장치
CN102535331A (zh) * 2010-12-10 2012-07-04 成都市新筑路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铁路桥梁梁端的密封结构
CN106284063A (zh) * 2016-10-18 2017-01-04 单国珠 曲线模数式阻尼减振多向变位伸缩装置和方法
CN111809515A (zh) * 2020-08-11 2020-10-23 成都市长大路桥科技有限公司 一种梳齿型伸缩装置
CN112880544A (zh) * 2021-01-13 2021-06-01 马洲 一种道路工程用桥梁伸缩缝报警设备
KR102385744B1 (ko) 2021-05-31 2022-04-14 주식회사 한국구조진단연구원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점검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치
KR102616568B1 (ko) 2023-03-27 2023-12-21 주식회사 건설방재기술연구원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2565A (ja) 1998-06-18 2000-01-07 Shigeki Yamazaki 変位検出装置
KR20030058816A (ko) * 2002-01-02 2003-07-07 주식회사 광국실업 교량 신축 계측장치
KR200342894Y1 (ko) 2003-11-20 2004-02-19 비앤티엔지니어링(주) 교량용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KR200379034Y1 (ko) 2004-12-09 2005-03-18 김길평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2565A (ja) 1998-06-18 2000-01-07 Shigeki Yamazaki 変位検出装置
KR20030058816A (ko) * 2002-01-02 2003-07-07 주식회사 광국실업 교량 신축 계측장치
KR200342894Y1 (ko) 2003-11-20 2004-02-19 비앤티엔지니어링(주) 교량용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KR200379034Y1 (ko) 2004-12-09 2005-03-18 김길평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743B1 (ko) 2009-04-06 2009-08-05 한국시설기술주식회사 교량 강교 상부 켄틸레버 구간의 판스프링형 처짐진단장치
CN102535331A (zh) * 2010-12-10 2012-07-04 成都市新筑路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铁路桥梁梁端的密封结构
CN102535331B (zh) * 2010-12-10 2014-10-15 成都市新筑路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铁路桥梁梁端的密封结构
CN106284063A (zh) * 2016-10-18 2017-01-04 单国珠 曲线模数式阻尼减振多向变位伸缩装置和方法
CN111809515A (zh) * 2020-08-11 2020-10-23 成都市长大路桥科技有限公司 一种梳齿型伸缩装置
CN112880544A (zh) * 2021-01-13 2021-06-01 马洲 一种道路工程用桥梁伸缩缝报警设备
CN112880544B (zh) * 2021-01-13 2022-09-09 马洲 一种道路工程用桥梁伸缩缝报警设备
KR102385744B1 (ko) 2021-05-31 2022-04-14 주식회사 한국구조진단연구원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점검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치
KR102616568B1 (ko) 2023-03-27 2023-12-21 주식회사 건설방재기술연구원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4502B1 (ko)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
CN104018425B (zh) 一种快速更换桥梁伸缩缝装置及其安装方法
JP2007046365A (ja) 橋梁の継手部構造
CN109930480A (zh) 暗锚悬臂梁式梳齿型桥梁伸缩装置
CN105603871A (zh) 桥梁伸缩单元构件及桥梁伸缩装置
AU2010236054B2 (en) A small movement bridge and pavement jointing system
JP6432157B2 (ja) 道路橋用伸縮装置
US11359367B2 (en) Joint filling profile
CN203603050U (zh) 用于倒t盖梁上的伸缩装置
KR100700947B1 (ko) 신축이음장치의 고무씰 보호부재
KR101195774B1 (ko) 교량용 또는 지하차보도용 신축 이음장치
KR100746564B1 (ko)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CN106638290B (zh) 一种桥梁型钢伸缩缝的嵌缝装置
KR200443932Y1 (ko) 교량 상판 신축이음 안전진단장치
JP2003013408A (ja) 道路橋側壁の止水カバー及び道路橋継目部の止水構造
JP4827612B2 (ja) 壁高欄の伸縮間隙被覆構造
KR100398509B1 (ko) 도로, 교량 또는 구조물의 이음매 시공방법
KR100724304B1 (ko) 교량 신축이음구간의 안전진단장치 설치구조
CN206396628U (zh) 一种桥梁型钢伸缩缝的嵌缝装置
CN116856272B (zh) 一种用于桥梁变形的现浇止水装置及其施工方法
KR200253539Y1 (ko) 스테인레스 강을 이용한 교량 슬래브의 중앙분리대조인트 누수덮개
KR101024688B1 (ko) 교량 슬래브에 대한 안전진단 기능을 갖는 교좌장치
ITMI20040460U1 (it) Dispositivo per sormontare un giunto di un'opera edilizia
CN208395654U (zh) 一种桥梁伸缩缝修补加固结构
RU49836U1 (ru) Деформационный ш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