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744B1 -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점검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점검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744B1
KR102385744B1 KR1020210070416A KR20210070416A KR102385744B1 KR 102385744 B1 KR102385744 B1 KR 102385744B1 KR 1020210070416 A KR1020210070416 A KR 1020210070416A KR 20210070416 A KR20210070416 A KR 20210070416A KR 102385744 B1 KR102385744 B1 KR 102385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direction
expansion joint
expansion
bridg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구조진단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구조진단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구조진단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70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7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01B3/08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extensi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20Slide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신축이음부에 거치하여 육안으로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에 관해 진단할 수 있는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점검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폭 방향 일측 단부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와, 폭 방향 타측 단부에 전후방향으로 상호 마주하고 상측으로 돌출 및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지지가이드부재와, 상기 지지가이드부재의 절곡부위에서 전후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침부재를 포함하는 제1몸체; 및 폭 방향 타측 단부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와, 표면의 폭 방향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부를 향해 형성된 다수의 측정눈금을 포함하는 제2몸체;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1몸체와 신축스프링을 통한 열결을 이루어 한 쌍의 상기 지지가이드부재 사이를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수의 상기 측정눈금 중 폭 방향 타측단에 위치한 측정눈금은 측정 전 상기 지침부재와 폭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게 될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점검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치{Portable safety diagnosis device for safety inspection of bridge expansion joint}
본 발명은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점검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교량의 신축이음부에 거치하여 육안으로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에 관해 진단할 수 있는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점검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신축이음부란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중의 재하, 온도의 변화,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또는 크리프 등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변형을 흡수하기 위해 형성되고, 그 간격은 신축이음량을 계산에 의해 구한 후, 그 계산된 신축이음량에 의해 결정된다.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가 게시되어 있는데,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설치가 어려워 신축 구조물이 아닌 경우에 설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교량의 상판에 설치될 때 교량 상판 자체에 영향을 주어 안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볼트 연결에 의한 감쇠(damping)현상이 발생함에 따른 신축이음부의 이동에 장애를 줄 수도 있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94502호(2006.06.30.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휴대가 편리함은 물론 기존에 시공되어 있는 교량의 신축이음부에도 쉽게 거치하여 적용할 수 있고, 육안으로 정확한 안전진단이 가능함에 따른 신축이음부의 구조상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점검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점검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치는, 폭 방향 일측 단부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와, 폭 방향 타측 단부에 전후방향으로 상호 마주하고 상측으로 돌출 및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지지가이드부재와, 상기 지지가이드부재의 절곡부위에서 전후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침부재를 포함하는 제1몸체; 및 폭 방향 타측 단부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와, 표면의 폭 방향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부를 향해 형성된 다수의 측정눈금을 포함하는 제2몸체;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1몸체와 신축스프링을 통한 열결을 이루어 한 쌍의 상기 지지가이드부재 사이를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수의 상기 측정눈금 중 폭 방향 타측단에 위치한 측정눈금은 측정 전 상기 지침부재와 폭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게 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는 상기 지침부재와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의 바닥면에 교량의 신축이음부에 걸려지는 제1걸림부재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1걸림부재가 걸려지는 상기 신축이음부와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교량의 신축이음부에 걸려지는 제2걸림부재가 측정 전 상기 제1걸림부재와 폭 방향으로 면접촉을 이루는 위치의 바닥면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는 폭 방향 일측면에서부터 내측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신축스프링의 폭 방향 일측단은 상기 제1몸체의 손잡이에 고정되며 타측단은 상기 삽입홈의 형성에 의한 상기 삽입홈의 타측부위에 위치하는 상기 제2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신축될 수 있다.
측정 전 상기 신축스프링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몸체의 손잡이와 상기 제2몸체의 폭 방향 일측면은 면접촉을 이루고,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교량 신축이음부 사이에서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상기 손잡이를 놓게 되면 상기 신축스프링이 신장되면서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여 휴대가 편리함은 물론 기존에 시공되어 있는 교량의 신축이음부에도 쉽게 거치하여 적용될 수 있고, 육안으로 정확한 안전진단이 가능하게 됨에 따른 신축이음부의 구조상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사전에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점검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치의 적용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점검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점검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구성과 이들 구성에 따른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겠으며, 종래와 동일 내지 동일 범주에 있는 기술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교량의 신축이음부에 거치하여 육안으로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에 관해 진단할 수 있는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점검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편리하게 휴대하다가 안전점검시, 폭 방향으로 마주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교량의 신축이음부(1)에 쉽게 거치하여 안전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몸체(1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그 종단면 형상이 "ㄴ"과 유사한 형상으로, 폭 방향 일측 단부에 손잡이(11)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폭 방향 타측 단부에 전후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가이드부재(12)가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가이드부재(12)의 절곡부위에서 전후방향 내측으로 지침부재(13)가 돌출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손잡이는(11) 작업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폭 방향 일측면이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지가이드부재(12)는 전후방향에 따른 종단면이 "ㄱ"과 유사한 형상으로 절곡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침부재(13)는 "▲"와 유사하게 후술하는 측정눈금(22)을 향하는 부위가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용이하게 측정눈금(22)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10)는 상기 지침부재(13)와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의 바닥면에 교량의 신축이음부(1)에 걸려지는 제1걸림부재(14)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안전점검시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교량의 신축이음부(1) 중 일측의 신축이음부(1)에 걸려져 고정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몸체(2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제1몸체(10)와 마찬가지로 그 종단면이 "ㄴ"과 유사한 형상으로, 상기 제1몸체(10)와 신축스프링(S)을 통한 연결을 이루어 전후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상기 지지가이드부재(12) 사이를 폭 방향으로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10)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몸체(20)도, 폭 방향 타측 단부에 손잡이(21)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표면의 폭 방향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을 향해 다수의 측정눈금(22)이 형성되며, 안전점검을 위한 측정 전 상기 측정눈금(22) 중 폭 방향 타측단에 위치한 측정눈금(22)은 상기 지침부재(13)와 폭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21)도 제1몸체(10)의 손잡이와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폭 방향 타측면이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측정눈금(22)은 대략적으로 10 내지 15㎝ 정도의 길이를 이룰 수 있도록 다수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20)는 상기 제1걸림부재(14)가 걸려지는 상기 신축이음부(1)와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교량의 신축이음부(1)에 걸려지는 제2걸림부재(24)가 안전점검을 위한 측정 전 상기 제1걸림부재(14)와 폭 방향으로 면접촉을 이루는 위치의 바닥면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걸림부재(24)는, 안전점검시 작업자가 상기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의 손잡이(11,21)를 파지한 채,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신축이음(1)부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안전진단장치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11,21)를 놓게 되면, 폭 방향 타측의 신축이음부(1)에 걸려져 고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교량 신축이음부(1)의 안전점검시, 작업자는 상기 제1걸림부재(14)가 폭 방향 일측의 신축이음부(1)에 걸려지도록 한 상태에서, 손잡이(11,21)를 놓게 됨으로써, 압축되어 있던 상기 신축스프링(S)의 신장과 함께, 상기 제2걸림부재(24)가 폭 방향 타측의 신축이음부(1)에 걸려지게 됨에 따른, 한 쌍의 신축이음부(1) 사이 간격을 측정하여 안전점검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2몸체(20)는 폭 방향 일측면에서부터 내측으로 삽입홈(23)이 형성되고, 상기 신축스프링(S)의 폭 방향 일측단은 상기 제1몸체(10)의 손잡이(11)에 고정되며, 타측단은 상기 삽입홈(23)의 형성에 의한 상기 삽입홈(23)의 타측부위에 위치하는 상기 제2몸체(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신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는, 안전점검을 수행하기 위한 측정 전, 상기 신축스프링(S)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23)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몸체(10)의 손잡이(11)와 상기 제2몸체(20)의 폭 방향 일측면은 면접촉을 이루고,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신축이음부(1) 사이에서 상기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의 상기 손잡이(11,21)를 놓게 되면 상기 신축스프링(S)이 신장되면서 상기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점검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치의 구성을 통해, 그 구조가 간단하여 휴대가 편리함은 물론 기존에 시공되어 있는 교량의 신축이음부에도 쉽게 거치하여 적용할 수 있고, 작업자의 육안으로 정확한 안전진단이 가능하게 됨에 따른 신축이음부의 구조상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사전에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 교량 신축이음부
10 : 제1몸체 11 : 손잡이
12 : 지지가이드부재 13 : 지침부재
14 : 제1걸림부재 20 : 제2몸체
21 : 손잡이 22 : 측정눈금
23 : 삽입홈 24 : 제2걸림부재
S : 신축스프링

Claims (4)

  1. 폭 방향 일측 단부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와, 폭 방향 타측 단부에 전후방향으로 상호 마주하고 상측으로 돌출 및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지지가이드부재와, 상기 지지가이드부재의 절곡부위에서 전후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침부재를 포함하는 제1몸체; 및
    폭 방향 타측 단부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와, 표면의 폭 방향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부를 향해 형성된 다수의 측정눈금을 포함하는 제2몸체;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1몸체와 신축스프링을 통한 열결을 이루어 한 쌍의 상기 지지가이드부재 사이를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수의 상기 측정눈금 중 폭 방향 타측단에 위치한 측정눈금은 측정 전 상기 지침부재와 폭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게 되되,
    상기 제1몸체는 상기 지침부재와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의 바닥면에 교량의 신축이음부에 걸려지는 제1걸림부재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1걸림부재가 걸려지는 상기 신축이음부와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교량의 신축이음부에 걸려지는 제2걸림부재가 측정 전 상기 제1걸림부재와 폭 방향으로 면접촉을 이루는 위치의 바닥면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는 폭 방향 일측면에서부터 내측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신축스프링의 폭 방향 일측단은 상기 제1몸체의 손잡이에 고정되며 타측단은 상기 삽입홈의 형성에 의한 상기 삽입홈의 타측부위에 위치하는 상기 제2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신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점검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측정 전 상기 신축스프링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몸체의 손잡이와 상기 제2몸체의 폭 방향 일측면은 면접촉을 이루고,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교량 신축이음부 사이에서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상기 손잡이를 놓게 되면 상기 신축스프링이 신장되면서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점검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치.
KR1020210070416A 2021-05-31 2021-05-31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점검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치 KR102385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416A KR102385744B1 (ko) 2021-05-31 2021-05-31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점검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416A KR102385744B1 (ko) 2021-05-31 2021-05-31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점검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744B1 true KR102385744B1 (ko) 2022-04-14

Family

ID=81211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416A KR102385744B1 (ko) 2021-05-31 2021-05-31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점검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7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21737A (zh) * 2022-11-11 2023-03-21 灌南畅安交通工程有限公司 一种公路桥梁工程伸缩缝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630839B1 (ko) * 2023-04-26 2024-01-29 주식회사 디에스기술원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
KR102636520B1 (ko) 2023-03-28 2024-02-14 (주)장맥엔지니어링 교량 거더의 신축이동량 측정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816A (ko) * 2002-01-02 2003-07-07 주식회사 광국실업 교량 신축 계측장치
KR20040024717A (ko) * 2002-09-16 2004-03-22 배석동 교량의 신축량 측정계
KR20040111306A (ko) * 2004-12-09 2004-12-31 김길평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KR100594502B1 (ko) 2006-01-12 2006-06-30 안영기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
KR100917659B1 (ko) * 2009-03-09 2009-09-18 한세이엔씨(주) 교량 구조물 신축 이음새 안전진단장치
KR200451212Y1 (ko) * 2009-06-30 2010-12-02 인천도시가스주식회사 신축이음관 변위량 측정장치
KR101995787B1 (ko) * 2019-01-23 2019-07-03 (주)광명기술단 교량받침의 변형량 계측기구
CN212620457U (zh) * 2020-07-31 2021-02-26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狭小空间的长度测量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816A (ko) * 2002-01-02 2003-07-07 주식회사 광국실업 교량 신축 계측장치
KR20040024717A (ko) * 2002-09-16 2004-03-22 배석동 교량의 신축량 측정계
KR20040111306A (ko) * 2004-12-09 2004-12-31 김길평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KR100594502B1 (ko) 2006-01-12 2006-06-30 안영기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
KR100917659B1 (ko) * 2009-03-09 2009-09-18 한세이엔씨(주) 교량 구조물 신축 이음새 안전진단장치
KR200451212Y1 (ko) * 2009-06-30 2010-12-02 인천도시가스주식회사 신축이음관 변위량 측정장치
KR101995787B1 (ko) * 2019-01-23 2019-07-03 (주)광명기술단 교량받침의 변형량 계측기구
CN212620457U (zh) * 2020-07-31 2021-02-26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狭小空间的长度测量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21737A (zh) * 2022-11-11 2023-03-21 灌南畅安交通工程有限公司 一种公路桥梁工程伸缩缝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CN115821737B (zh) * 2022-11-11 2023-09-15 灌南畅安交通工程有限公司 一种公路桥梁工程伸缩缝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636520B1 (ko) 2023-03-28 2024-02-14 (주)장맥엔지니어링 교량 거더의 신축이동량 측정 장치
KR102630839B1 (ko) * 2023-04-26 2024-01-29 주식회사 디에스기술원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5744B1 (ko)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점검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치
KR101695323B1 (ko) 교량 안전진단시 교좌장치 변위계측을 위한 이동량 측정장치
KR102219789B1 (ko) 보상형 기계적 테스트 시스템
US4607531A (en) Torsional-axial extensometer with additional restraint to limit unnecessary movements
WO1998016795A2 (en) Extensometer structure
JP3628331B2 (ja) 伸び計
KR101589977B1 (ko) 철도교량에 작용하는 열차의 시제동 하중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KR101971886B1 (ko) 고속철도용 레일 체결장치의 체결스프링 특성 시험 장치 및 시험 방법
KR101566297B1 (ko) 기설정된 변형률-변위 계수를 이용하여 실측 변형률을 변위로 추정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RU2578662C1 (ru) Способ испыта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на изгиб с кручением при статическом и кратковременном динамическом воздействии
KR100463072B1 (ko) 교량의 신축량 측정계
RU2535645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характеристик изгибной жесткости протяженных объектов с помощью кривизномера
KR100585336B1 (ko) 교량 캔틸레버 안전진단장치
US2543429A (en) Extensometer
KR101809604B1 (ko) 교량 변위 다축 측정장치
US3372582A (en) Cable tension indicator
JP7057187B2 (ja) 梁の損傷評価方法
JP2002071322A (ja) 線状センサ部材の敷設具及び線状センサ部材の敷設方法及び構造物の変位検出装置
KR200323994Y1 (ko) 교량의 신축량 측정계
RU2806404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упругих постоянных разномоду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Hicke et al. Vibration Monitoring of Large-Scale Bridge Model using Distributed Acoustic Sensing
JP3165156U (ja) 伸び計
KR102573814B1 (ko) 경사 상승형 자착식 균열 게이지
SU10814A1 (ru) Прибор дл измерени деформаций
KR102074664B1 (ko) 선박용 그레이팅의 안전성 시험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