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568B1 -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568B1
KR102616568B1 KR1020230040042A KR20230040042A KR102616568B1 KR 102616568 B1 KR102616568 B1 KR 102616568B1 KR 1020230040042 A KR1020230040042 A KR 1020230040042A KR 20230040042 A KR20230040042 A KR 20230040042A KR 102616568 B1 KR102616568 B1 KR 102616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inspection device
screwed
unit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0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설방재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설방재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설방재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30040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5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01B5/0004Suppo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01B11/16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by means of a grating deformed by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58Wireless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etween a sensor or probe and a control or evaluation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 및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 및 터널과 같은 대상물에 형성되는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점검 및 진단하는 점검 장치의 설치방법로서, 상기 대상물의 이음부 부분에 달라붙은 이물질이나 분진을 제거하도록 된 대상물세척단계와, 상기 대상물의 이음부가 형성된 지면에 안전매트를 배치하는 지면 안전매드 배치단계와, 상기 대상물에 점검 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표시하는 대상물 설치위치 표시단계와, 상기 이음부가 형성된 상기 대상물에 점검 장치를 설치하는 대상물 점검 장치 설치단계와, 상기 대상물에 설치된 상기 점검 장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점검 장치 설치마감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전매트는 튜브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작업중 공구 및 작업자가 떨어지는 것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대상물 점검 장치 설치단계에서는 주시형지속감지안내수단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지속적감지작업안내단계가 더 포함되어, 대상물에 수평프레임과 감지센서 및 송,수신기를 체결하고, 광학점검수단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점검하도록 함과 아울러 위험신호인 감지신호를 송,수신부에 전달하여 신속하게 유지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음부의 손상에 따른 인명피해나 대상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 및 그 설치 방법{Inspection devic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for optically inspecting and diagnosing the safety condition of bridge and tunnel joints}
본 발명은 안전진단 기술 분야 중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 및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에 수평프레임과 감지센서 및 송,수신기를 체결하고, 광학점검수단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점검하도록 함과 아울러 위험신호인 감지신호를 송,수신부에 전달하여 신속하게 유지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음부의 손상에 따른 인명피해나 대상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 및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구조물을 이루는 단위구조물이나 교량의 상부에 사용되는 상부구조물은 블럭형태로 형성되고 상호 연결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단위구조물이나 상부구조물은 일정구간 또는 길이에 맞게 상호 맞닿게 배치되고, 각각의 연결구조물들은 상호 연결되어 고정된다.
참고로 상술한 연결구조물들 이음부는 통상적으로 상기 연결구조물의 맞닿는 부분을 접착하거나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상호 고정시키게 되며, 연결부위에 철판을 배치하고 철판과 단위구조물이나 상부구조물을 연결하며 볼트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이음부는 타 부위에 비해 안정성이 다소 결여되는 구조적 특성상 항상 주위 깊은 체크가 필요시 되는 부위이다.
즉, 이음부의 연결 상태는 이음된 단위구조물이나 상부구조물간의 안전이 직결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최근까지 이러한 이음부는 교량 관리자가 교량 하부 양측에 마련된 작업통로를 따라 수시로 순시하며 육안으로 체크하는 안전 진단 조치가 취해졌다.
그러나, 이러한 육안 체크 방식의 안전 진단은 정확한 체크를 이루기에는 비효과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94502호(2006.06.30.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물에 수평프레임과 감지센서 및 송,수신기를 체결하고, 광학점검수단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점검하도록 함과 아울러 위험신호인 감지신호를 송,수신부에 전달하여 신속하게 유지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음부의 손상에 따른 인명피해나 대상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 및 그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교량 및 터널과 같은 대상물에 형성되는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점검 및 진단하는 점검 장치의 설치방법로서, 상기 대상물의 이음부 부분에 달라붙은 이물질이나 분진을 제거하도록 된 대상물세척단계와, 상기 대상물의 이음부가 형성된 지면에 안전매트를 배치하는 지면 안전매드 배치단계와, 상기 대상물에 점검 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표시하는 대상물 설치위치 표시단계와, 상기 이음부가 형성된 상기 대상물에 점검 장치를 설치하는 대상물 점검 장치 설치단계와, 상기 대상물에 설치된 상기 점검 장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점검 장치 설치마감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전매트는 튜브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작업중 공구 및 작업자가 떨어지는 것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대상물 점검 장치 설치단계에서는 주시형지속감지안내수단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지속적감지작업안내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교량 및 터널과 같은 대상물에 형성되는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점검 및 진단하는 점검 장치로서, 상기 대상물의 이음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대상물에 연결된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면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감지센서들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송신하는 송,수신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프레임에는 상기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확인하도록 광학점검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광학점검수단은, 상기 수평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대상물의 이음부에 빛을 조사하도록 된 램프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대상물의 이음부에 밀착되는 측정자부재와, 상기 수평프레임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측정자를 촬영하도록 된 측정카메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정카메라는 상기 측정자와 상기 대상물의 이음부를 촬영한 촬영정보를 상기 송,수신기에 전달하여 송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 및 그 설치 방법은 대상물에 수평프레임과 감지센서 및 송,수신기를 체결하고, 광학점검수단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점검하도록 함과 아울러 위험신호인 감지신호를 송,수신부에 전달하여 신속하게 유지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음부의 손상에 따른 인명피해나 대상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의 주시지속감지안내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의 주시지속감지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의 주시지속감지안내수단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의 주시지속감지안내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의 주시지속감지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의 주시지속감지안내수단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점검 장치법라 명명함)는 교량 및 터널과 같은 대상물(100)에 형성되는 이음부(200)의 안전상태를 점검 및 진단하는 점검 장치(10)로서, 이에 이와같은 점검 장치(10)는 수평프레임(20)과 감지센서(30)들과 송,수신기(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프레임(20)은 상기 대상물(100)의 이음부(200)를 덮으면서 상기 대상물(100)에 부착되거나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대상물(100)은 블럭 또는 구조물들이 상호 나사체결 또는 모르타르 및 접착제에 의해 연결되며, 연결되는 부분에 슬릿구조의 이음부(200)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20)은 연결되는 블럭 또는 구조물들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이음부(200)를 덮으면서 고정된다.
상기 감지센서(30)는 상기 대상물(100)에 연결된 상기 수평프레임(20)의 전면부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감지센서(30)는 상기 수평프레임(20)의 전면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부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감지센서(30)는 위치감지센서(30)이며 상기 이음부(200)가 점차 벌어지면서 상기 수평프레임(20)이 상기 대상물(100)에서 분리되거나 이동시 이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30)는 상기 수평프레임(20)이 이동시 이를 감지하여 위험신호인 감지신호를 상기 송,수신부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수평프레임(20)은 상기 수평프레임(20)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감지센서(3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게 된다.
즉, 상기 감지센서(30)가 상기 이음부(20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게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프레임(20)에는 상기 이음부(200)의 안전상태를 확인하도록 광학점검수단(50)이 더 마련된다.
상기 광학점검수단(50)은, 상기 수평프레임(20)의 외면에 나사체결되거나 부착되어 상기 대상물(100)의 이음부(200)에 빛을 조사하도록 된 램프(51)와, 상기 수평프레임(20)의 상면에 일단이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대상물(100)의 이음부(200)에 밀착되는 측정자부재(52)와, 상기 수평프레임(20)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측정자부재(52)를 촬영하도록 된 측정카메라(53)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정카메라(53)는 상기 측정자와 상기 대상물(100)의 이음부(200)를 촬영한 촬영정보를 상기 송,수신기(40)에 전달하여 송신하도록 된다.
즉, 상기 측정카메라(53)가 촬영하여 송신한 측정자부재(52)와 이음부(200)의 촬영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측정자부재(52)에 의해 상기 이음부(200)의 간격의 수치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이음부(200)의 간격(폭)이 벌어지거나 벌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신속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정자부재(52)는 긴 바구조로 형성되고 눈금이 표시된 자이다.
상기 측정자부재(52)는 투명의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램프(51)는 LED램프이다.
여기서, 상기 수평프레임(20)에는 지지브라켓(60)의 하단부를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브라켓(60)에는 밀착탄성코일스프링(70)의 일단을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밀착탄성코일스프링(70)의 타단에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가압패드(80)를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밀착탄성코일스프링(70)과 상기 탄성가압패드(8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측정자부재(52)를 상기 대상물(100)(이음부(200))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측정자부재(52)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수평프레임(20)에서 상기 측정자부재(52)가 분리시 상기 측정자부재(52)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평프레임(20)에는 송풍팬을 더 나사체결하여, 상기 송풍팬의 바람이 상기 측정자부재(52)에 공급되어, 상기 측정자부재(52)의 표면의 먼지나 분진을 탈거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측정카메라(53)로 촬영시 상기 측정자부재(52)의 눈금이 먼지나 분진에 의해 거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20)에는 상면에 승강실린더를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승강실린더의 승강축에 상기 측정자부재(52)를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승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측정자부재(52)가 승강하면서 이음부의 간격(폭)을 측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교량 및 터널과 같은 대상물에 형성되는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점검 및 진단하는 점검 장치의 설치방법은 상기 대상물의 이음부 부분에 달라붙은 이물질이나 분진을 제거하도록 된 대상물세척단계(S1)와, 상기 대상물의 이음부가 형성된 지면에 안전매트를 배치하는 지면 안전매드 배치단계(S2)와, 상기 대상물에 점검 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팬이나 도료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대상물 설치위치 표시단계(S3)을 거치게 된다.
이후, 상기 이음부가 형성된 상기 대상물에 점검 장치를 설치하는 대상물 점검 장치 설치단계(S4)와, 상기 대상물에 설치된 상기 점검 장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점검 장치 설치마감단계(S5)를 거침으로써, 일련의 과정을 마치게 된다.
상기 안전매트는 튜브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작업중 공구 및 작업자가 떨어지는 것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대상물 점검 장치 설치단계(S4)에서는 주시지속감지안내수단(90)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주시지속감지안내단계(S4-1)가 더 포함된다.
상기 주시지속감지안내수단(90)은, 대상물에 나사체결되거나 지면에 배치되는 연결고정모듈유닛(91)과,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의 상면부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가이드샤프트(92)와, 상기 가이드샤프트(92)에 관통되게 끼움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샤프트(92)를 따라 안내되는 제1패널이송모듈(931)과 제2패널이송모듈(932)과 제3패널이송모듈(933)로 이루어진 이송모듈부(93)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932)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932)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승강안내유닛(943)으로 이루어진 승강안내부(94)와,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1회전모듈유닛(951-1)이 나사체결된 제1회전안내유닛(951)들과, 제2패널이송모듈(932)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2회전모듈유닛(952-1)이 나사체결된 제2회전안내유닛(952)들과, 제3패널이송모듈(933)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3회전모듈유닛(953-1)이 나사체결된 제3회전안내유닛(953)들로 이루어진 회전안내부(95)와, 상기 제1회전모듈유닛(951-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회전모듈유닛(952-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회전모듈유닛(95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상황촬영유닛(963)들로 이루어진 상황촬영부(96)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승강안내부(94) 및 상기 회전안내부(9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의 촬영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97)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97)에서 전달되는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의 촬영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부(98)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97)의 신호를 전달받아 음성을 안내하거나 알람을 발생시키는 상태안내스피커(99)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은 금속재로 형성된 패널구조로 이루어지며, 지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과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932)과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패널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샤프트(92)에 관통되게 끼움되도록 이송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상기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3승강안내유닛(943)은 실린더이며, 상기 제1회전안내유닛(951)과 상기 제2회전안내유닛(952)과 제3회전안내유닛(953)은 모터이며,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은 카메라이다.
또한, 상기 제1회전모듈유닛(951-1)과 상기 제2회전모듈유닛(952-1)과 제3회전모듈유닛(953-1)은 원형 또는 사각의 패널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은 상기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상기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3승강안내유닛(943)의 구동에 의해 높이를 변경할 수 있으며, 지면이나 지상의 현장상황이나 위험요소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97)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송,수신부(98)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상태안내스피커(99)를 제어하여 음성을 송출시키거나 알람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상기 촬영정보를 통해 현상의 위험상황을 인지한 후 상기 상태안내스피커(99)를 통해 위험신호를 송출하여 현장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97)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송,수신부(98)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승강안내부(94) 및 상기 회전안내부(95)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점검 장치 20 : 수평프레임
30 : 감지센서 40 : 송,수신기
50 : 광학점검수단 51 : 램프
52 : 측정자부재 53 : 측정카메라
60 : 브라켓 70 : 밀착탄성코일스프링
80 : 탄성가압패드
90 : 주시지속감지안내수단 91 : 연결고정모듈유닛
92 : 가이드샤프트 93 : 이송모듈부
931 : 제1패널이송모듈 932 : 제2패널이송모듈
933 : 제3패널이송모듈 94 : 승강안내부
941 : 제1승강안내유닛 942 : 제2승강안내유닛
943 : 제3승강안내유닛 95 : 회전안내부
951 : 제1회전안내유닛 951-1 : 제1회전모듈유닛
952 : 제2회전안내유닛 952-1 : 제2회전모듈유닛
953 : 제3회전안내유닛 953-1 : 제3회전모듈유닛
96 : 상황촬영부 961 : 제1상황촬영유닛
962 : 제2상황촬영유닛 963 : 제3상황촬영유닛
97 : 제어부 98 : 송,수신부
99 : 상태안내스피커
100 : 대상물 200 : 이음부

Claims (2)

  1. 교량 및 터널과 같은 대상물에 형성되는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점검 및 진단하는 점검 장치의 설치방법로서,
    상기 대상물의 이음부 부분에 달라붙은 이물질이나 분진을 제거하도록 된 대상물세척단계;
    상기 대상물의 이음부가 형성된 지면에 안전매트를 배치하는 지면 안전매드 배치단계;
    상기 대상물에 점검 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표시하는 대상물 설치위치 표시단계;
    상기 이음부가 형성된 상기 대상물에 점검 장치를 설치하는 대상물 점검 장치 설치단계; 및
    상기 대상물에 설치된 상기 점검 장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점검 장치 설치마감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전매트는 튜브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작업중 공구 및 작업자가 떨어지는 것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대상물 점검 장치 설치단계에서는 주시지속감지안내수단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주시지속감지안내단계가 더 포함되는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의 설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점검 장치는,
    상기 대상물의 이음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대상물에 연결된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면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감지센서들; 및
    상기 수평프레임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송신하는 송,수신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프레임에는 상기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확인하도록 광학점검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광학점검수단은,
    상기 수평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대상물의 이음부에 빛을 조사하도록 된 램프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대상물의 이음부에 밀착되는 측정자부재와,
    상기 수평프레임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측정자를 촬영하도록 된 측정카메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정카메라는 상기 측정자와 상기 대상물의 이음부를 촬영한 촬영정보를 상기 송,수신기에 전달하여 송신하도록 되고,
    상기 주시지속감지안내수단은, 연결고정모듈유닛과,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의 상면부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가이드샤프트와,
    상기 가이드샤프트에 관통되게 끼움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샤프트를 따라 안내되는 제1패널이송모듈과 제2패널이송모듈과 제3패널이송모듈로 이루어진 이송모듈부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승강안내유닛과, 제1패널이송모듈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승강안내유닛과,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승강안내유닛으로 이루어진 승강안내부와,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1회전모듈유닛이 나사체결된 제1회전안내유닛들과, 제2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2회전모듈유닛이 나사체결된 제2회전안내유닛들과, 제3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3회전모듈유닛이 나사체결된 제3회전안내유닛들로 이루어진 회전안내부와,
    상기 제1회전모듈유닛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상황촬영유닛들과, 상기 제2회전모듈유닛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상황촬영유닛들과, 상기 제3회전모듈유닛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상황촬영유닛들로 이루어진 상황촬영부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승강안내부 및 상기 회전안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며, 제1상황촬영유닛들과 제2상황촬영유닛들과 제3상황촬영유닛들의 촬영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제1상황촬영유닛들과 제2상황촬영유닛들과 제3상황촬영유닛들의 촬영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음성을 안내하거나 알람을 발생시키는 상태안내스피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의 설치 방법.


  2. 삭제
KR1020230040042A 2023-03-27 2023-03-27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102616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0042A KR102616568B1 (ko) 2023-03-27 2023-03-27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0042A KR102616568B1 (ko) 2023-03-27 2023-03-27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568B1 true KR102616568B1 (ko) 2023-12-21

Family

ID=89320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0042A KR102616568B1 (ko) 2023-03-27 2023-03-27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5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502B1 (ko) 2006-01-12 2006-06-30 안영기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
KR101693759B1 (ko) * 2016-11-29 2017-0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로드셀이 구비된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교량 안전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9868B1 (ko) * 2019-06-20 2019-10-08 주식회사 슈파스디자인 교량의 신축 이음새 모니터링용 표면멀티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모니터링 방법
KR102381258B1 (ko) * 2021-11-15 2022-03-30 에스티건설 주식회사 클라우드 및 IoT 센싱 기반 교량 받침부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12735B1 (ko) * 2022-10-21 2023-03-23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림 공동주택 건축물의 지하주차장 우수유입 방지 장치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502B1 (ko) 2006-01-12 2006-06-30 안영기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
KR101693759B1 (ko) * 2016-11-29 2017-0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로드셀이 구비된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교량 안전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9868B1 (ko) * 2019-06-20 2019-10-08 주식회사 슈파스디자인 교량의 신축 이음새 모니터링용 표면멀티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모니터링 방법
KR102381258B1 (ko) * 2021-11-15 2022-03-30 에스티건설 주식회사 클라우드 및 IoT 센싱 기반 교량 받침부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12735B1 (ko) * 2022-10-21 2023-03-23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림 공동주택 건축물의 지하주차장 우수유입 방지 장치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87504C (zh) 具有外部标记的升运带
CN106092036A (zh) 一种模板支撑架变形远程实时监测系统和方法
KR101352070B1 (ko) 휴대용 영상 점검 시스템
ES2959933T3 (es) Sistemas y métodos de inspección de contrapeso de ascensor automático
CN101726449B (zh) 无损检测装置
JP2016084579A (ja) 構造物のたわみ量分布監視方法及び監視装置
CN102243063A (zh) 一种混凝土桥梁底面裂缝检测装置
KR101179929B1 (ko) 교량 안전진단장치
KR102616568B1 (ko) 교량과 터널 이음부의 안전상태를 광학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점검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101337896B1 (ko) 압광소재를 이용한 구조물의 균열 안전진단장치 및 그 방법
ATE533940T1 (de) Verfahren zur ausrichtung einer komponente in windrichtung und sensor zur bestimmung der fehlausrichtung der komponente in bezug auf die windrichtung
CN210286364U (zh) 一种电梯曳引轮滑移量检测装置
CN106770481B (zh) 桥梁吊索监测传感器
JP2001039690A (ja) 構造物点検車
KR10256470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폭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KR102036881B1 (ko) 지표변위 열화상 계측장비
KR100591454B1 (ko) 교량 난간의 내구력 측정용 안전진단장치
KR100549297B1 (ko) 광학적 감시수단을 갖는 교량 안전진단장치
KR100359386B1 (ko) 비젼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의 결함조사 방법 및 장치
JP4580829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バランス調整方法
JP2011126710A (ja) ワイヤロープの伸び検査装置及びワイヤロープの伸び検査方法
KR20190119273A (ko) 타워크레인 마스트 상하 자동볼팅 장치
CN211060848U (zh) 基于分布式光纤监测的可视化检测装置
KR102523370B1 (ko) 원자력발전소 엠베드와 슬리브 중심 측량을 위한 거치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량방법
CN208059807U (zh) 地铁限界激光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