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932Y1 - 교량 상판 신축이음 안전진단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상판 신축이음 안전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932Y1
KR200443932Y1 KR2020090000430U KR20090000430U KR200443932Y1 KR 200443932 Y1 KR200443932 Y1 KR 200443932Y1 KR 2020090000430 U KR2020090000430 U KR 2020090000430U KR 20090000430 U KR20090000430 U KR 20090000430U KR 200443932 Y1 KR200443932 Y1 KR 2004439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ridge
expansion
diagno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용
Original Assignee
(주)한국해외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해외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한국해외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090000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9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9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40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65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square- or rectangular-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 신축이음부에서 이격되어 마주보는 교량 강재박스의 선단면 중간부와 좌우측 선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기립된 박스체로, 전방측은 개방되어 중심측에 상하부로 장홈을 갖되 중심측에 원형공을 갖는 전면마감판이 고정결합되고, 상단면에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좌우측에 고정된 고정브라켓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신축진단박스와; 볼트형상으로 하단에는 누름버튼이 형성되고, 상기 신축진단박스의 체결공에 나사결합되는 외측나사부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자료획득 시스템이 프로그램된 관리자 컴퓨터와 연결되는 연결선이 형성되는 누름스위치와; 판스프링으로 양측단에는 상기 신축진단박스의 전면마감판 원형공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는 상하부볼을 갖되 상부볼과 상기 누름스위치 사이에는 상부스프링이 형성되고, 하부볼과 신축진단박스 저면 사이에는 하부스프링이 각각 위치되어 장공을 통해 몸체가 활형으로 휘어지는 탄성판이 형성되어 교량 신축이음부의 신축시 마주보는 강재박스와 탄성판이 접촉되면 상부볼이 신축진단박스 내부에서 상승되어 누름스위치의 누름버튼을 누르는 활형판스프링과; 상기 신축진단박스가 고정결합된 교량 강재박스 선단면에서 신축진단박스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고무판재를 구비하는 교량 상판 신축이음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교량의 신축이음부가 안전거리 이하로 좁아질 경우에 활형판스프링에 의해 누름스위치가 작동되어 비안전한 상태를 자료획득 시스템이 프로그램된 관리자 컴퓨터로 자동을 통보되어 관리자가 이에 따른 조치를 빨리 취하도 록 유도할 수 있고, 신축이음부가 비안전하게 좁아지는 사태가 발생할 때에는 고무판재에 의해서 상호간의 마찰로 인한 파손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신축진단박스, 누름스위치, 활형판스프링

Description

교량 상판 신축이음 안전진단장치{Safety diagnosis apparatus for expansion joint of sleeve bridge}
본 고안은 교량 상판 신축이음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신축이음부가 안전거리 이하로 좁아질 경우에 활형판스프링에 의해 누름스위치가 작동되어 비안전한 상태를 자료획득 시스템이 프로그램된 관리자 컴퓨터로 자동을 통보되어 관리자가 이에 따른 조치를 빨리 취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신축이음부가 비안전하게 좁아지는 사태가 발생할 때에는 고무판재에 의해서 상호간의 마찰로 인한 파손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교량 상판 신축이음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구조는 크게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로 나눌 수 있는데, 상부구조는 하중재하, 온도변화, 콘크리트 크리프, 건조수축, 자연재해, 프리스트레싱 등에 의해 변형이 발생한다. 이러한 변형을 막기 위해, 단위 구간 사이에 최대 5cm, 통상 2~3cm의 신축간격을 두도록 교량상판을 적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단위 구간 사이의 간극에 빗물이 스며들거나 토사 등의 이물질이 개 재되면 단위 콘크리트 구간의 신축작용에 무리가 따르게 된다. 특히 겨울철에는 도로에 염화마그네슘을 살포하므로 간극을 통하여 눈이 녹은 물이 유입되어 교량을 부식시킬 뿐만 아니라 교각에 흘러내려 외관을 더럽히게 된다.
또한 신축간격 형성으로 인해 불연속부가 존재하게 되며, 이는 차량의 주행이라는 교량의 주기능에 커다란 장애가 된다.
상기 교량의 불연속부에 이음, 시공되는 이음부 상에는 양측의 핑거 등 이음재 사이 간극을 덮어 막음과 더불어 양측의 주 구조 상부에 시공되는 바닥구조들의 수축,이완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도록 보완구조물의 시공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양측 이음재가 드러나도록 바닥구조를 제거하고, 이 이음재 가 표출되도록 바닥구조가 제거된 이음재의 내부에 도로봉합재를 도포하며, 이 도로봉합재가 도포된 이음부의 내부에 입경 8~13mm의 쇄석골재를 도포한다.
상기 도포된 쇄석골재의 상부에 양측 이음재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판형상을 이룬 금속판을 설치하되 상기 금속판은 철판, 구리판, 알루미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두께는 3~6mm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로봉합재와 금속판의 접착 및 습기제거를 위해 금속판의 상부에 열을 가한다.
상기 금속판의 상부에서 도로 표면에 이르도록 도로봉합제와 쇄석골재의 혼합제를 두께 2~3mm로 하여 2~3층을 이루도록 도포하며, 상기 도로 봉합제와 쇄석골재의 혼합제 표면에 이르도록 도로봉합제를 도포함으로써 마감처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공된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는 시공이 복잡하고, 이음부에 대하여 일정시간이 흐르면 마모가 심하게 이루어지며, 차량과 신축이음장치가 서로 충격을 받게 되고, 이러한 충격은 차량과 신축이음장치의 내구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량의 신축이음부가 안전거리 이하로 좁아질 경우에 활형판스프링에 의해 누름스위치가 작동되어 비안전한 상태를 자료획득 시스템이 프로그램된 관리자 컴퓨터로 자동을 통보되어 관리자가 이에 따른 조치를 빨리 취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신축이음부가 비안전하게 좁아지는 사태가 발생할 때에는 고무판재에 의해서 상호간의 마찰로 인한 파손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교량 상판 신축이음 안전진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교량 신축이음부에서 이격되어 마주보는 교량 강재박스의 선단면 중간부와 좌우측 선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기립된 박스체로, 전방측은 개방되어 중심측에 상하부로 장홈을 갖되 중심측에 원형공을 갖는 전면마감판이 고정결합되고, 상단면에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좌우측에 고정된 고정브라켓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신축진단박스와;
볼트형상으로 하단에는 누름버튼이 형성되고, 상기 신축진단박스의 체결공에 나사결합되는 외측나사부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자료획득 시스템이 프로그램된 관리자 컴퓨터와 연결되는 연결선이 형성되는 누름스위치와;
판스프링으로 양측단에는 상기 신축진단박스의 전면마감판 원형공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는 상하부볼을 갖되 상부볼과 상기 누름스위치 사이에는 상부스프링이 형성되고, 하부볼과 신축진단박스 저면 사이에는 하부스프링이 각각 위치되어 장공을 통해 몸체가 활형으로 휘어지는 탄성판이 형성되어 교량 신축이음부의 신축시 마주보는 강재박스와 탄성판이 접촉되면 상부볼이 신축진단박스 내부에서 상승되어 누름스위치의 누름버튼을 누르는 활형판스프링과;
상기 신축진단박스가 고정결합된 교량 강재박스 선단면에서 신축진단박스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고무판재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교량의 신축이음부가 안전거리 이하로 좁아질 경우에 활형판스프링에 의해 누름스위치가 작동되어 비안전한 상태를 자료획득 시스템이 프로그램된 관리자 컴퓨터로 자동을 통보되어 관리자가 이에 따른 조치를 빨리 취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신축이음부가 비안전하게 좁아지는 사태가 발생할 때에는 고무판재에 의해서 상호간의 마찰로 인한 파손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일 실시 예인 교량 상판 신축이음 안전진단장치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일 실시 예인 교량 상판 신축이음 안전진단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일 실시 예인 교량 상판 신축이음 안전진단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일 실시 예인 교량 상판 신축이음 안전진단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평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교량 상판 신축이음 안전진단장치는, 교량 신축이음부(50)의 강재박스(51) 선단면에 고정결합되는 신축진단박스(10)와, 신축진단박스(10)에 결합되어 활형스프링(30)에 의해 작동되는 누름스위치(20)와, 신축이음부(40)의 신축 근접시 누름스위치(20)를 작동시키는 활형판스프링(30)과, 신축이음부(40)의 신축 근접시 신축력을 흡수감소시키는 고무판재(40)로 구성된다.
상기 신축진단박스(10)는 교량 신축이음부(40)에서 이격되어 마주보는 교량 강재박스(51)의 선단면 중간부와 좌우측 선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기립된 박스체로, 전방측은 개방되어 중심측에 상하부로 장홈(13)을 갖되 중심측에 원형공(14)을 갖 는 전면마감판(12)이 고정결합되고, 상단면에는 체결공(11)이 형성되며, 좌우측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5)에 의해 강재박스(51) 선단면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누름스위치(20)는 볼트형상으로, 하단에는 누름버튼(21)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신축진단박스(10)의 체결공(11)에 나사결합되는 외측나사부(22)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체결고정되며, 상단에는 누름버튼(21)의 작동시 이 신호를 자료획득 시스템이 프로그램된 관리자 컴퓨터(도시않음)로 전송시키는 연결선(23)이 형성된다.
상기 활형판스프링(30)은 판스프링으로, 양측단에는 상기 신축진단박스(10)의 전면마감판(12) 원형공(14)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는 상하부볼(32,32a)을 각각 갖되, 상부볼(32)과 상기 누름스위치(20) 사이에는 상부스프링(33)이 형성되고, 하부볼(32a)과 신축진단박스(10) 저면 사이에는 하부스프링(33a)이 각각 위치되어 장공(13)을 통해 몸체가 활형으로 휘어지는 탄성판(31)이 형성되어 교량 신축이음부(50)의 신축시 마주보는 대향측의 강재박스(51)와 탄성판(31)이 접촉되면 상부볼(32)이 탄성판(31)과 상하부스프링(33,33a)의 탄성으로 신축진단박스(10) 내부에서 상승되어 누름스위치(20)의 누름버튼(21)을 눌러 작동시킨다.
상기 고무판재(40)는 상기 신축진단박스(10)가 고정결합된 교량 강재박스(51) 선단면에서 신축진단박스(1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브라켓(15)에 의해 고정결합되어 교량 신축이음부(50)의 신축근접시 그 충격을 흡수감소시킨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교량 강재박스(51)의 선단면에 고정된 신축진단박스(10)의 장공(13)을 통해 돌출된 활형판스프링(30)의 탄성판(31)이 신축이음 부(50) 대향면의 강재박스(51)가 신축근접되면 이 신축력에 의해 활형스프링(30)의 상부볼(32)은 탄성에 의해 누름스위치(20) 하단의 누름버튼(21)을 눌러, 연결선(23)을 통해 저료획득 시시템이 프로그랩된 관리자 컴퓨터로 이 신호를 송출시키면, 관리자는 이에 대처하여 교량 상판(52)이나 강재박스(51)의 변형 및 이상 여부를 확인하여 그에 따른 조치를 바로 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 일 실시 예인 교량 상판 신축이음 안전진단장치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일 실시 예인 교량 상판 신축이음 안전진단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일 실시 예인 교량 상판 신축이음 안전진단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일 실시 예인 교량 상판 신축이음 안전진단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축진단박스 11 : 체결공
12 : 전면마감판 13 : 장공
14 : 원형공 15 : 고정브라켓
20 : 누름스위치 21 : 누름버튼
22 : 외측나사부 23 : 연결선
30 : 활형판스프링 31 : 탄성판
32 : 상부볼 32a : 하부볼
33 : 상부스프링 33a: 하부스프링
40 : 고무판재
50 : 신축이음부 51 : 교량 강재박스
52 : 교량 상판

Claims (1)

  1. 교량 신축이음부에서 이격되어 마주보는 교량 강재박스의 선단면 중간부와 좌우측 선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기립된 박스체로, 전방측은 개방되어 중심측에 상하부로 장홈을 갖되 중심측에 원형공을 갖는 전면마감판이 고정결합되고, 상단면에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좌우측에 고정된 고정브라켓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신축진단박스와;
    볼트형상으로 하단에는 누름버튼이 형성되고, 상기 신축진단박스의 체결공에 나사결합되는 외측나사부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자료획득 시스템이 프로그램된 관리자 컴퓨터와 연결되는 연결선이 형성되는 누름스위치와;
    판스프링으로 양측단에는 상기 신축진단박스의 전면마감판 원형공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는 상하부볼을 갖되 상부볼과 상기 누름스위치 사이에는 상부스프링이 형성되고, 하부볼과 신축진단박스 저면 사이에는 하부스프링이 각각 위치되어 장공을 통해 몸체가 활형으로 휘어지는 탄성판이 형성되어 교량 신축이음부의 신축시 마주보는 강재박스와 탄성판이 접촉되면 상부볼이 신축진단박스 내부에서 상승되어 누름스위치의 누름버튼을 누르는 활형판스프링과;
    상기 신축진단박스가 고정결합된 교량 강재박스 선단면에서 신축진단박스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고무판재를 구비하는 교량 상판 신축이음 안전진단장치.
KR2020090000430U 2009-01-14 2009-01-14 교량 상판 신축이음 안전진단장치 KR200443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430U KR200443932Y1 (ko) 2009-01-14 2009-01-14 교량 상판 신축이음 안전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430U KR200443932Y1 (ko) 2009-01-14 2009-01-14 교량 상판 신축이음 안전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932Y1 true KR200443932Y1 (ko) 2009-03-26

Family

ID=4134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430U KR200443932Y1 (ko) 2009-01-14 2009-01-14 교량 상판 신축이음 안전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9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4502B1 (ko)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장치
CN207331445U (zh) 一种用于桥梁伸缩缝的防水盖板
KR101810453B1 (ko) 도포방수제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방수 시공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신축이음장치
KR200443932Y1 (ko) 교량 상판 신축이음 안전진단장치
KR100558373B1 (ko) 교량의 신축이음 장치
KR102051614B1 (ko) 교량용 핑거조인트 장치
KR100676949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N109183610A (zh) 桥梁伸缩缝装置
JP6432157B2 (ja) 道路橋用伸縮装置
CN208415092U (zh) 一种公路桥梁伸缩缝
CN207633208U (zh) 梳齿式桥梁伸缩装置
KR20010075743A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CN109554960B (zh) 一种道床板弹性限位装置及其安装方法
CN106284062A (zh) 桥梁伸缩单元构件及桥梁伸缩装置
CN206328675U (zh) 一种桥梁伸缩缝结构
US20180127927A1 (en) Curbstone and stop
KR200334267Y1 (ko) 이물질 유입 차단용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0466001B1 (ko) 교량의 신축연결장치
KR101486487B1 (ko) 교각의 부식 방지가 가능한 교량
KR101560189B1 (ko)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JP4827612B2 (ja) 壁高欄の伸縮間隙被覆構造
KR20190012428A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방수구조
KR200369565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451461Y1 (ko) 비배수용 신축이음장치
KR200253539Y1 (ko) 스테인레스 강을 이용한 교량 슬래브의 중앙분리대조인트 누수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