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586A -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586A
KR20140001586A KR1020120069538A KR20120069538A KR20140001586A KR 20140001586 A KR20140001586 A KR 20140001586A KR 1020120069538 A KR1020120069538 A KR 1020120069538A KR 20120069538 A KR20120069538 A KR 20120069538A KR 20140001586 A KR20140001586 A KR 20140001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deformation
vehicle
managemen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민
김지훈
김민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연구소
최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연구소, 최선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연구소
Priority to KR1020120069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1586A/ko
Publication of KR20140001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5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01G19/0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for weighing during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58Wireless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etween a sensor or probe and a control or evaluation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탄성 교량받침장치로 이루어진 교량의 변형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과도한 변형시 이를 관리자에게 인지시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교량에 구비되는 각 탄성 교량받침장치에 변형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변형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수신저장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는 교량관리단말기와, 상기 교량관리단말기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틀 저장관리하고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교량관리서버 및 관리자가 상기 교량관리서버와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교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한 관리자단말기로 구성한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을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성 교량받침장치에 변형감지센서를 구비하고 교량관리단말기가 상기 변형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수집하여 네트워크로 교량관리서버로 전송하여서 관리자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교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탄성 교량받침장치의 상태를 관리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교량의 탄성 교량받침장치의 관리가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An wireless instrumentation management system of a bridge had elastomeric bridge bearing devices}
본 발명은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에 구비되는 탄성 교량받침장치에 변형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변형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수신저장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는 교량관리단말기와, 상기 교량관리단말기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틀 저장관리하고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교량관리서버 및 관리자가 상기 교량관리서버와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교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한 관리자단말기로 구성한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을 구비하여 탄성 교량받침장치로 이루어진 교량의 변형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과도한 변형시 이를 관리자에게 인지시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온도에 따른 신축과 차량의 진행과정에 발생하는 진동등에 의한 길이방향의 변형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교각과 상판 사이에 교량을 받쳐주는 교량받침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교량받침장치는 고정 교량받침장치와 가동 교량받침장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판의 신축 발생시 가동 교량받침장치가 슬라이딩동작에 의하여 길이방향 변형를 흡수하였다.
여기서, 상기 가동 교량방침장치는 롤러로 이루어진 것과 슬라이딩 결합된 판으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었다.
한편, 교량의 설계에 있어서 내진설계의 강화에 따라 교량받침장치가 길이방향과 상하 방향의 변형에 대하여도 이를 흡수 완충할 수 있게 한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 교량받침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탄성 교량받침장치는 상 하부에 결속플랜지를 형성한 사각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탄성 교량받침장치는 설계치 이상의 변형시 피로에 의한 파손이 발생할 수 있어 주기적으로 관리자가 교각에 내려가 그 상태를 시각적으로 관찰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탄성 교량받침장치의 관리가 일정주기로 이루어지는 시각적인 관찰에 의하여 이루어져 그 피로상태의 정확한 파악이 이루어지지 않고 교량이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의 이의 파악이 이루어지지 않아 교량의 안전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탄성 교량받침장치가 사용된 교량의 상기 탄성 교량받침장치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교량에 구비되는 각 탄성 교량받침장치에 변형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변형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수신저장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는 교량관리단말기와, 상기 교량관리단말기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틀 저장관리하고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교량관리서버 및 관리자가 상기 교량관리서버와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교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한 관리자단말기로 구성한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을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성 교량받침장치에 변형감지센서를 구비하고 교량관리단말기가 상기 변형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수집하여 네트워크로 교량관리서버로 전송하여서 관리자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교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탄성 교량받침장치의 상태를 관리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교량의 탄성 교량받침장치의 관리가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교량의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관리단말기의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관리서버의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과정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로 과적차단관리부를 구비한 것을 보인 예시도.
도 7 은 도 6 에 따른 제어 과정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로 상판수직변형발전기와 솔라셀을 구비한 것을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교량에 구비되는 탄성 교량받침장치의 관리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용이하고 효율적이며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탄성 교량받침장치(1)가 구비된 교량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탄성 교량받침장치(1)의 변형을 감시 관리할 수 있게 한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은 각 탄성 교량받침장치(1)에 변형감지센서(11)를 구비하고, 상기 변형감지센서(11)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수신저장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는 교량관리단말기(20)와, 상기 교량관리단말기(20)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틀 저장관리하고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교량관리서버(30) 및 관리자가 상기 교량관리서버(30)와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교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한 관리자단말기(40)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변형감지센서(11)와 교량관리단말기(20)와의 네트워크는 무선네트워크로 구성하고, 상기 변형감지센서(11) 측에는 감지된 데이터를 무선전송할 수 있게 한 무선전송모듈(12)을 구비하며, 상기 무선전송모듈(12)의 전원공급을 위하여 2차 전지로 이루어진 전원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부(13)에 충전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판의 진동에 따른 수직변형에 의하여 발전되는 상판수직변형발전기(14)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판수직변형발전기(14)는 상판 측에 구비된 발전승강대와 래크피니언 전동결속되면 교각 측에 구비되는 발전모터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부(13)로 전원을 충전하는 솔라셀(15)로 추가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무선전송모듈(12)은 무선랜과 이동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교량관리단말기(20)는 변형감지센서(11)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데이터저장관리부(21)와, 상기 변형감지센서(11)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교량관리서버(30)로 전송하는 서버전송관리부(22)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교량관리서버(30)는 교량관리단말기(20) 및 관리자단말기(40)의 접속을 제어하는 접속관리서버부(31)와, 교량관리단말기(2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데이터저장관리서버부(32)와, 교량관리단말기(20)에서 전송된 데이터가 설계에 따른 주의, 경고, 위험 등의 단계를 넘지 않았는지를 비교검증하는 변형량비교검증서버부(33)와, 상기 변형량비교검증서버부(33)에서의 변형량 비교검증이 주의, 경고, 위험과 같은 설정 한계를 넘어서면 관리자에게 위험을 전송하는 위험상황전송서버부(34)로 구성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교량의 양측 진입부 측에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여 교량관리단말기(20)로 네트워크 전송하는 차량감지센서(51)를 구비하고, 교량의 양측 첫 번째 교각과 두 번째 교각 사이에 차량감지센서(51)에 감지된 차량의 과적차량으로 판명시 차량주행을 차단하는 차량차단구(52)와 차량을 촬영하는 촬영장치(5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며, 교량관리단말기(20)에는 상기 차량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의 진입 후 첫 번째 교각의 변형감지센서(11)에서 입력되는 변형량의 변형가 과적차량으로 판단시 상기 차량차단구(52)와 촬영장치(53) 중 어느 하나 이상구비되는 것을 동작시키는 과적차단관리부(23)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 교량받침장치(1)가 구비된 교량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탄성 교량받침장치(1)의 변형을 감시 관리할 수 있게 한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을 구비하되, 상기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은 각 탄성 교량받침장치(1)에 변형감지센서(11)를 구비하고, 상기 변형감지센서(11)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수신저장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는 교량관리단말기(20)와, 상기 교량관리단말기(20)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틀 저장관리하고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교량관리서버(30) 및 관리자가 상기 교량관리서버(30)와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교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한 관리자단말기(40)로 구성한 본 발명은 탄성 교량받침장치(1)의 변형량 데이터를 교량관리단말기(20)과 교량관리서버(30)가 저장관리하는 변형량 데이터저장과정(110)과, 교량관리서버(30)가 입력되는 변형감지센서(11)에서 입력되는 변형량이 주위, 경고, 위험으로 단계로 비교 검증하여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위험상황전송과정(120)을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변형량 데이터저장과정(110)은 탄성 교량받침장치(1)에 구비된 변형감지센서(11)가 감지한 데이터를 교량관리단말기(20)의 데이터저장관리부(21)가 자체 저장관리하고, 서버전송관리부(22)의 교량관리서버(30)로 전송하여 저장관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위험상황전송과정(120)은 교량관리서버(30)의 변형량비교검증서버부(33)가 교량관리단말기(20)에서 전송된 데이터가 설계에 따른 주의, 경고, 위험 등의 단계를 넘지 않았는지를 비교검증하고, 상기 변형량비교검증서버부(33)에서의 변형량 비교검증이 주의, 경고, 위험과 같은 설정 한계를 넘어서면 위험상황전송서버부(34)가 관리자에게 위험을 전송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교량을 진입하는 차량의 교량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과적차량일 경우 이를 차단 또는 단속할 수 있게 한 과적차단과정(130)이 추가로 이루어지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과적차단과정(130)은 차량감지센서(51)를 통하여 교량을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고, 교량의 양측 첫 번째 교각과 두 번째 교각 사이에 차량감지센서(51)에 입력되는 변형량을 비교감지하여 감지된 차량의 과적 유무를 판단하며, 감지된 차량이 과적차량으로 판명시 차량주행을 차단하는 차량차단구(52)와 차량을 촬영하는 촬영장치(5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차단 또는 촬영하여 과적 차량의 교량 주행을 차단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변형감지센서(11)와 무선전송모듈(12)에 전원을 구비하는 전원부(13)에 상판수직변형발전기(14)와 솔라셀(15)을 구비함으로써 변형감지센서(11)의 외부전원 공급 없이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1 : 탄성 교량받침장치
11 : 변형감지센서 12 : 무선전송모듈
13 : 전원부
14 : 상판수직변형발전기 15 : 솔라셀
20 : 교량관리단말기
21 : 데이터저장관리부 22 : 서버전송관리부
23 : 과적차단관리부
30 : 교량관리서버
31 : 접속관리서버부 32 : 데이터저장관리서버부
33 : 변형량비교검증서버부 34 : 위험상황전송서버부
40 : 관리자단말기
51 : 차량감지센서 52 : 차량차단구
53 : 촬영장치
110 : 데이터저장과정
120 : 위험상황전송과정
130 : 과적차단과정

Claims (5)

  1. 탄성 교량받침장치(1)가 구비된 교량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탄성 교량받침장치(1)의 변형을 감시 관리할 수 있게 한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을 구비하되.
    상기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은 각 탄성 교량받침장치(1)에 변형감지센서(11)를 구비하고, 상기 변형감지센서(11)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수신저장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는 교량관리단말기(20)와, 상기 교량관리단말기(20)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틀 저장관리하고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교량관리서버(30) 및 관리자가 상기 교량관리서버(30)와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교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한 관리자단말기(4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감지센서(11)와 교량관리단말기(20)와의 네트워크는 무선네트워크로 구성하고, 상기 변형감지센서(11) 측에는 감지된 데이터를 무선전송할 수 있게 한 무선전송모듈(12)을 구비하며, 상기 무선전송모듈(12)의 전원공급을 위하여 2차 전지로 이루어진 전원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부(13)에 충전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판의 진동에 따른 수직변형에 의하여 발전되는 상판수직변형발전기(14)와, 솔라셀(15)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송모듈(12)은 무선랜과 이동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관리단말기(20)는 변형감지센서(11)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데이터저장관리부(21)와, 상기 변형감지센서(11)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교량관리서버(30)로 전송하는 서버전송관리부(22)로 구성하고,
    상기 교량관리서버(30)는 교량관리단말기(20) 및 관리자단말기(40)의 접속을 제어하는 접속관리서버부(31)와, 교량관리단말기(2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데이터저장관리서버부(32)와, 교량관리단말기(20)에서 전송된 데이터가 설계에 따른 주의, 경고, 위험 등의 단계를 넘지 않았는지를 비교검증하는 변형량비교검증서버부(33)와, 상기 변형량비교검증서버부(33)에서의 변형량 비교검증이 주의, 경고, 위험과 같은 설정 한계를 넘어서면 관리자에게 위험을 전송하는 위험상황전송서버부(3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교량의 양측 진입부 측에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여 교량관리단말기(20)로 네트워크 전송하는 차량감지센서(51)를 구비하고, 교량의 양측 첫 번째 교각과 두 번째 교각 사이에 차량감지센서(51)에 감지된 차량의 과적차량으로 판명시 차량주행을 차단하는 차량차단구(52)와 차량을 촬영하는 촬영장치(5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며, 교량관리단말기(20)에는 상기 차량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의 진입 후 첫 번째 교각의 변형감지센서(11)에서 입력되는 변형량의 변형가 과적차량으로 판단시 상기 차량차단구(52)와 촬영장치(53) 중 어느 하나 이상구비되는 것을 동작시키는 과적차단관리부(2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
KR1020120069538A 2012-06-28 2012-06-28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 KR201400015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538A KR20140001586A (ko) 2012-06-28 2012-06-28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538A KR20140001586A (ko) 2012-06-28 2012-06-28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586A true KR20140001586A (ko) 2014-01-07

Family

ID=50139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538A KR20140001586A (ko) 2012-06-28 2012-06-28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1586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74912A (zh) * 2015-02-08 2015-04-29 张朝利 一种高架桥变形定量监测系统及其预测方法
CN104947582A (zh) * 2015-07-01 2015-09-30 湖南大学 一种基于桥梁板式支座改进的智能称重支座
GB2533818A (en) * 2015-01-05 2016-07-06 Bae Systems Plc Mobile bridge apparatus
US10202729B2 (en) 2015-01-05 2019-02-12 Bae Systems Plc Mobile bridge module
CN109883307A (zh) * 2019-03-13 2019-06-14 中铁山桥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构件拱度检测的方法
KR101997492B1 (ko) * 2019-01-28 2019-07-08 웰테크(주) 디지털 이동량 게이지가 적용된 교량 받침
EP3929357A1 (en) 2020-06-26 2021-12-29 Fundación Tecnalia Research & Innov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nsorized elastomeric support and sensorized elastomeric support
KR102394319B1 (ko) 2022-01-06 2022-06-07 주식회사 동남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IT202000030800A1 (it) * 2020-12-15 2022-06-15 Laboratorio Di Innovazione S R L Sistema di “appoggi intelligenti” per strutture di ponti o viadotti e metodo relativo per il calcolo del peso dei veicoli in transito
KR102410750B1 (ko) 2021-12-29 2022-06-22 주식회사 동남 스마트 센서 볼트 및 이것이 결합된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CN117387463A (zh) * 2023-12-12 2024-01-12 云南正浩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中小跨桥梁水上结构竖向位移测量装置及测量方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3818B (en) * 2015-01-05 2021-03-03 Bae Systems Plc Mobile bridge apparatus
EP3242972B1 (en) 2015-01-05 2020-07-15 BAE Systems PLC Mobile bridge apparatus
GB2533818A (en) * 2015-01-05 2016-07-06 Bae Systems Plc Mobile bridge apparatus
US10190936B2 (en) 2015-01-05 2019-01-29 Bae Systems Plc Mobile bridge apparatus
US10202729B2 (en) 2015-01-05 2019-02-12 Bae Systems Plc Mobile bridge module
CN104574912A (zh) * 2015-02-08 2015-04-29 张朝利 一种高架桥变形定量监测系统及其预测方法
CN104947582A (zh) * 2015-07-01 2015-09-30 湖南大学 一种基于桥梁板式支座改进的智能称重支座
KR101997492B1 (ko) * 2019-01-28 2019-07-08 웰테크(주) 디지털 이동량 게이지가 적용된 교량 받침
CN109883307A (zh) * 2019-03-13 2019-06-14 中铁山桥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构件拱度检测的方法
EP3929357A1 (en) 2020-06-26 2021-12-29 Fundación Tecnalia Research & Innov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nsorized elastomeric support and sensorized elastomeric support
IT202000030800A1 (it) * 2020-12-15 2022-06-15 Laboratorio Di Innovazione S R L Sistema di “appoggi intelligenti” per strutture di ponti o viadotti e metodo relativo per il calcolo del peso dei veicoli in transito
WO2022130114A1 (en) * 2020-12-15 2022-06-23 Laboratorio Di Innovazione S.R.L. System of bridge bearings
KR102410750B1 (ko) 2021-12-29 2022-06-22 주식회사 동남 스마트 센서 볼트 및 이것이 결합된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94319B1 (ko) 2022-01-06 2022-06-07 주식회사 동남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CN117387463A (zh) * 2023-12-12 2024-01-12 云南正浩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中小跨桥梁水上结构竖向位移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117387463B (zh) * 2023-12-12 2024-02-13 云南正浩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中小跨桥梁水上结构竖向位移测量装置及测量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1586A (ko)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
US20240170740A1 (en) Smart battery management systems
KR101196802B1 (ko) 안전모 및 그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KR101663579B1 (ko) 배터리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83587B1 (ko) 초고압 지중 송전선로 감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US20100174417A1 (en) Power supply system,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power supply control program employed in power supply system
KR101839364B1 (ko) 태양광 발전 종합 안전진단 관리 시스템
US20130257440A1 (en) Relay Welding Detector of Battery System and Battery System Which Uses the Detector
KR101911334B1 (ko) 태양광 모듈 모니터링 시스템
JP2012084459A (ja) 複数組電池の電圧監視装置
KR20150089638A (ko) 컨택터 수명 도달 판단 장치 및 방법
CN206696653U (zh) 一种城区井盖状态在线监视系统
KR102535065B1 (ko) 전기차 충전기를 위한 스마트 전기안전시스템
KR20150132129A (ko) 이상 진단 장치
KR101353387B1 (ko) 변위센서를 이용한 통신 구조물 안전상태 감시 시스템
WO2017171281A2 (ko) Lpwa(low-power wide-area) 네트워크 기반의 지하시설물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맨홀 커버
KR100853100B1 (ko) 전차선 및 자동 장력조정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JP6495509B2 (ja) 遠隔状態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RU2019131027A (ru)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для секции или компонента трубопровод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углеводородов, проложенного на опасном участке
KR102536187B1 (ko) 태양광 발전의 분산형 에너지 저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시스템
CN110686726A (zh) 一种用于装配式梁桥的可移动式快速化监测系统
CN206891597U (zh) 输电线路线夹温度安全预警系统
KR20140084812A (ko) 에너지 저장장치용 전지상태 원격 감시 장치, 웹 모니터링 시스템
EP3695885A1 (en) System for monitoring a fall arrest device
WO2015040483A1 (es) Método y sistema de evaluación de la integridad estructural de torres de celosía o reticulad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