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2935B1 - 광역 지반 변위계측 및 경보 장치 - Google Patents

광역 지반 변위계측 및 경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935B1
KR100522935B1 KR10-2003-0010992A KR20030010992A KR100522935B1 KR 100522935 B1 KR100522935 B1 KR 100522935B1 KR 20030010992 A KR20030010992 A KR 20030010992A KR 100522935 B1 KR100522935 B1 KR 100522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cement
ground
temporary facility
steel wir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0240A (ko
Inventor
한만엽
Original Assignee
한만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만엽 filed Critical 한만엽
Priority to KR10-2003-0010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2935B1/ko
Publication of KR20030040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10Wheel alignment
    • G01B2210/30Reference markings, reflector, scale or other passive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시설 공사시 발생하는 주변 지반침하 및 굴착된 지반의 붕괴를 사전에 방지할 목적으로 발명된 지반변위 계측 및 과다변위를 경고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띠장에 강선이나 막대 등을 적절한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고정 시킨 후, 변위계와 전기적 장치 등을 이용하여 지반의 변위량을 계측하고, 현장여건에 따라 미리 정해진 변형량이 발생하면 그 발생된 정도에 따라 적절한 신호를 발생하여 경보를 해 줌으로써 굴착된 지반의 붕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의 개념 및 부재의 상세를 제시하였다.

Description

광역 지반 변위계측 및 경보 장치 {Instrumentation for the ground displacement and alarm system for wide area}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을 건설하고자 할 때, 원 구조물이 건설되는 동안 굴착된 지반의 붕괴를 막기 위하여 설치되는 가시설의 거동을 측정하고,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종래에는 지중에 설치되는 가시설 및 주변 지반에 토압계, 경사계, 변형량계 등의 다양한 센서를 설치하여 계측함으로써 가시설의 안전성 여부를 판단하던 것을, 굴착지반 전면에 걸친 광범위한 면적의 변위를 포괄적으로 계측함으로써, 과다한 변위가 발생할 경우에는 이상 변위에 대한 경보를 울리도록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가시설의 안전성을 대폭 증대시킨 광역 지반 변위 계측 및 경보 장치에 대한 기술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지반의 굴착 및 가시설의 설치가 진행되는 동안, 가시설의 뒤편에는 토압계와 같은 센서가 설치되며, 가시설 자체에는 가시설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측정하는 로드셀이나 변형율을 측정하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요소 요소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굴착된 지반 주변에 주요 구조물이 있어서 보다 다양한 계측이 필요한 경우에는 지반이 이완되는 것을 측정하기 위한 경사계가 가시설의 뒤편에 설치되어 지반의 거동을 측정할 수 있으며, 지하수위의 변동이 예상되거나 수압이 문제가 되는 경우에는 간극수압계가 설치된다. 또한 지표면의 침하량을 계측하기 위한 센서로서 지표면을 따라 측정점을 매설하여 지반의 침하량을 계측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계측장비들은 모두 측정장치가 설치된 부분에서의 국부적인 측정값을 제공하고 있으며, 굴착면 전체의 변형거동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에 언급된 다양한 측정값들을 모두 모아서 전체적으로 종합 분석하여야만 전체적인 지반의 거동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측정장치들은 계측을 위한 복잡한 전자장비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상시 계측이 어렵기 때문에 인력에 의한 간헐적인 측정이 이루어 지는 것이 대부분이고, 측정된 데이터의 분석에도 시간이 걸리며,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국부적인 계측만이 가능하고, 복잡한 전자장비가 있어야만 계측이 되며, 측정값 등에 근거하여 현재의 지반 상태를 알고자 할 경우에는 상당한 시간과 전문지식이 필요한 종래의 굴착된 지반의 거동 계측을, 굴착된 전단면에서 동시 계측이 가능하며, 측정장치가 단순하고, 계측된 값으로부터 바로 가시설의 안전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광역 지반 변위 계측 및 경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역 지반 변위계측 및 경보 장치가 가시설에 설치된 형상을 보여주는 개념도로서, 막대 변위계와 강선 변위계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들 계측 장치들은 상호 독립적인 장치이다.
막대 변위계는 강재나 알루미늄, 복합재료 등 적절한 강성을 갖고 있는 다양한 막대(6) 형태의 부재를 띠장이나 수직파일과 같은 가시설의 주요부재(8)에 짧은 보조재(9)와 막대고정장치(4)를 이용하여 부착하고 다른 한쪽 끝에는 변위를 계측하고, 표시하며, 전기적인 장치에 의하여도 변위상태를 동시에 계측하고, 계측정도에 따라 적절한 경보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가시설의 주요 부재(8)가 변형을 일으킬 경우에 변형량을 측정하고 경보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강선 변위계는 강선(3)과 양단의 정착장치(1)및 중간부에 다수의 변위계측장치(2)를 기존의 띠장이나 수직파일과 같은 가시설의 주요 부재(8)에 설치하여, 가시설 작업시 발생하는 가시설 구조물의 변위를 측정하고, 이상 변위시에는 경보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a는 도 1에 제시된 강선 정착장치(1)의 일 실시예로서, 가시설의 띠장(10)에 강선정착 받침부(12)와 정착장치(13) 및 길이조정용 스쿠루(11)를 이용하여 강선(14)을 설치한 모습이다.
도 2b는 도 1에 제시된 강선 정착장치(1)에 다른 실시예으로, 도 2a의 스크루(11) 대신에 제1정착받침(16)와 고정용 볼트(15)를 이용하여 강선(14)의 양단을 띠장(10)에 설치한 단면도이다. 강선을 양단에 고정하는 도구는 매우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므로 그런 방법들을 모두 제시할 수는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2가지 정도를 제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제시된 변위 계즉 장치(2)의 일실시예로서, 띠장에 고정된 변위계측용 제1정착받침(16)과 이 받침에 고정된 전기 접점(26)들이 있으며, 강선(14)에 고정된 제2정착받침(17)에 설치된 전기접점(25)이 있다. 이 접점(25, 26)으로 부터 표시등의 연결단자(27)까지 전선(30)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접점에는 각기 다른 표시등(28)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강선(14)과 띠장(10)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동하게 되면, 각기 다른 위치의 전기 접점(25, 26)들이 서로 닿게 되어, 띠장(10)과 강선(14)의 변화된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다른 표시등(28)이 들어오도록 만든 장치이다.
과토압이 작용하거나 지하수위의 상승, 띠장의 지지력 상실 등으로 인하여 띠장(10)이 밀려나올 경우, 눈금판(18)위의 전기접점(26)은 띠장(10)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제2정착받침(17)의 전기접점(25)는 이동하지 않으므로 전기접점이 서로 접촉하게 되면 전기가 통하게 되므로, 표시등(28)의 불이 들어오게 된다. 이때 표시등(28)의 색은 청, 녹, 황, 빨강 등의 다양한 색깔이 있어서 띠장의 휨 정도를 표시하는데, 띠장의 휘어짐이 큰 경우에는 빨강색 표시등(28)과 경고음발생장치(29)가 동시에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가시설 작업자는 램프의 색깔 변화와 싸이렌 소리를 통해 지반의 변위에 신속히 대처 할 수 있다. 막대 변위계에서도 똑같은 변위 계측, 경보 장치를 갖추고 있다.
도 4는 도 3에 제시된 변위 계즉 장치(2)를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로서, 지시바늘(19)과 눈금판(18)을 통하여 강선(14)과 띠장(10)의 상대적인 위치를 표시한다. 띠장에 고정되는 제1정착받침(16)과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볼트(15)가 있으며, 강선에 고정된 제2정착받침(17)에는 표시등(28)과 경고음발생장치(29)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지시바늘(19)은 고정용 볼트(23)을 사용하여 제2정착받침(17)에 고정되어 있는데, 고정용 구멍이 길다란 틈(22)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처음 설치후 바늘의 위치를 조정하여, 초기 변위의 위치를 영점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는 도1에서 제시된 막대 변위계의 단부정착장치(4)의 단면도로서, 제1정착받침(16)과 고정볼트(15)는 강선의 정착장치와 유사하지만, 막대(20)와 제1정착받침(16)을 핀(21)등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지반의 변위에 따라 띠장의 상대적인 변형 정도를 계측하게 한다.
도 6은 도 1에서 제시된 막대 변위계의 중앙부 정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띠장에 연결된 보조재(9)에 고정되는 제1정착받침(16)과 이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15)가 도시되어 있으며, 막대 변위계(20)의 중간부분도 역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핀(21)으로 연결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지반의 계측은 국부적인 계측만이 가능하고, 복잡한 전자장비가 있어야만 계측이 되며, 측정값을 분석하기 위한 상당한 시간과 전문지식이 필요한데 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반의 변형 계측 및 경보장치는 굴착지반 전면에 걸친 광범위한 면적의 변위를 포괄적으로 계측할 수 있으며, 측정값의 판독이 현장에서 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측정값을 바탕으로 현장의 위험도를 즉시 판단 경보함으로써, 가시설의 안전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역 지반 변위계측 및 경보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강선 변위계의 정착장치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강선 변위계의 정착장치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강선 변위계의 계측 및 경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강선 변위계의 계측 및 경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막대 변위계의 단부 정착 장치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막대 변위계의 중앙부 정착 장치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강선 정착장치 2 : 변위 계측장치
삭제
10 : (가시설의)띠장 14 : 강선16 : 제1정착받침 17 : 제2정착받침18 : 눈금판 19 : 지시바늘25,26 : 접점 28 : 표시등
삭제
삭제
삭제

Claims (4)

  1. 굴착된 지반을 지지하는 가시설의 변형을 계측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측 대상인 가시설의 양단부측에 양단이 일체로 고정되도록 정착되고 상기 가시설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강선(14)과,
    상기 가시설과 강선(14)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가시설과 강선 사이에 가변 발생되는 휨 변위량을 계측하며 그 상대적 휨 변위량에 따라 각각의 신호가 단계별로 표시하도록 중간부에 다수개가 설치되는 계측장치(2)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지반 변위 계측 및 경보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장치는 상기 가시설의 띠장(10)과 강선(14)에 각각 일체로 고정되도록 정착되는 제 1,2정착받침(16)(17)과,
    상기 제 2정착받침(17)의 일측에 설치되고 단부에 접점(25)이 마련된 지시바늘(19)과,
    상기 제 1정착받침(16)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가시설의 띠장(10)의 휨 발생시 연동되며 상기 지시바늘(19)의 단부와 접촉됨에 따라 표시등(28)측으로 전류가 인가되도록 일측에 다수개의 접점(26)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전면에 다수개의 표시눈금이 인쇄된 눈금판(18)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지반 변위 계측 및 경보장치.
  4. 삭제
KR10-2003-0010992A 2003-02-21 2003-02-21 광역 지반 변위계측 및 경보 장치 KR100522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992A KR100522935B1 (ko) 2003-02-21 2003-02-21 광역 지반 변위계측 및 경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992A KR100522935B1 (ko) 2003-02-21 2003-02-21 광역 지반 변위계측 및 경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175U Division KR200317261Y1 (ko) 2003-02-21 2003-02-21 광역 지반 변위계측 및 경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240A KR20030040240A (ko) 2003-05-22
KR100522935B1 true KR100522935B1 (ko) 2005-10-20

Family

ID=29578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992A KR100522935B1 (ko) 2003-02-21 2003-02-21 광역 지반 변위계측 및 경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29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953B1 (ko) 2006-11-14 2007-02-27 한국씨엠이엔지(주) 연약지반의 침하 진단 시설물
KR101223296B1 (ko) 2010-07-06 2013-01-17 이창남 로드셀과 강선의 탄성변형량을 활용하는 거리변화 상시측정방법
KR102118335B1 (ko) 2019-11-22 2020-06-03 대한민국 토지이용과 공간분석을 이용한 지반변위 안전지역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906B1 (ko) * 2005-05-24 2007-04-06 한만엽 비접촉식 원격 변위 계측 시스템 및 변위 계측 방법
KR102034291B1 (ko) * 2018-03-27 2019-10-1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진 및 충격하중에 의한 거푸집 붕괴 경고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953B1 (ko) 2006-11-14 2007-02-27 한국씨엠이엔지(주) 연약지반의 침하 진단 시설물
KR101223296B1 (ko) 2010-07-06 2013-01-17 이창남 로드셀과 강선의 탄성변형량을 활용하는 거리변화 상시측정방법
KR102118335B1 (ko) 2019-11-22 2020-06-03 대한민국 토지이용과 공간분석을 이용한 지반변위 안전지역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240A (ko)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54156A1 (en) Strain measuring and monitoring device
US20110265547A1 (en) Sensor, methods of calibrating a sensor, methods of operating a sensor
CN105890829B (zh) 一种对比隧道测力锁脚锚管测试性能的装置及测试方法
KR100784985B1 (ko) 구조물 경사측정용 센서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거동모니터링 시스템
CN108020167A (zh) 一种基于光纤光栅的固定式测斜仪器
CN115479711B (zh) 一种地下工程三维应力的硬壳包体应力计及监测系统
KR100522935B1 (ko) 광역 지반 변위계측 및 경보 장치
KR100430026B1 (ko) 비탈면 계측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비탈면 거동 데이터수집 방법
KR101317635B1 (ko) 불연속면 변위 자동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CN111855027A (zh) 一种桥梁结构中桥面板和新建承台的应力监测方法
KR10204495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변위량 측정기
JP3534659B2 (ja) トンネルひび割れ検知方法及び装置
KR20120050938A (ko) 벤딩 센서 장치
CN106770481B (zh) 桥梁吊索监测传感器
KR200317261Y1 (ko) 광역 지반 변위계측 및 경보 장치
CN110849719B (zh) 基于光纤感测技术的受力杆件压缩和拉伸变形的监测方法
CN111608213A (zh) 一种基坑支护桩水平位移的测量方法及装置
CN207675135U (zh) 一种基于光纤光栅的固定式测斜仪器
CN211596854U (zh) 一种顶管工作井水平变形测量系统
CA2751278A1 (en) Strain measuring and monitoring device
JP3766602B2 (ja) 片持ち状又は門型状構造物の疲労診断方法及び診断システム並びに該診断に用いる振幅計測器
KR100413007B1 (ko) 전기식 동적 토압계
JP5952641B2 (ja) 歪センサ及び歪センサシステム
KR102595495B1 (ko) 지반거동 계측장치
JP5214493B2 (ja) 構造物内中詰材の計測方法、計測装置および水中構造物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