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899B1 -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5899B1 KR101765899B1 KR1020160178200A KR20160178200A KR101765899B1 KR 101765899 B1 KR101765899 B1 KR 101765899B1 KR 1020160178200 A KR1020160178200 A KR 1020160178200A KR 20160178200 A KR20160178200 A KR 20160178200A KR 101765899 B1 KR101765899 B1 KR 1017658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sensor
- coupled
- rods
- ro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01B5/06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height gaug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 G01C9/2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in closed containers partially filled with liquid so as to leave a gas bub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센서가 설치되는 센서봉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함으로써 센서봉의 휨을 최소화하여 바람에 의하여 센서봉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센서의 센싱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장치의 무게중심이 삼각대의 상단지지대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장치가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결과적으로 측정품질이 향상되도록 하고, 센서봉을 서로 슬라이딩 가능한 복수개의 단위봉으로 구성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하도록 하며, 별도의 회전방지수단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너트부재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하게 되도록 하고, 센서봉의 상단에 설치되는 센서의 전선을 센서봉의 상단에서 내부로 인입하고 하단에서 인출함으로써 전선이 바람에 흔들리지 않게 하여 접촉불량 또는 단선에 의하여 측정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수평확인수단을 포함하여 센서봉을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함으로써 센서봉의 상단에 결합된 센서에 의한 교량 지점변위 측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센서가 설치되는 센서봉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함으로써 센서봉의 휨을 최소화하여 바람에 의하여 센서봉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센서의 센싱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장치의 무게중심이 삼각대의 상단지지대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장치가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결과적으로 측정품질이 향상되도록 하고, 센서봉을 서로 슬라이딩 가능한 복수개의 단위봉으로 구성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하도록 하며, 별도의 회전방지수단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너트부재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하게 되도록 하고, 센서봉을 서로 슬라이딩 가능한 복수개의 단위봉으로 구성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하도록 하며, 센서봉의 상단에 설치되는 센서의 전선을 센서봉의 상단에서 내부로 인입하고 하단에서 인출함으로써 전선이 바람에 흔들리지 않게 하여 접촉불량 또는 단선에 의하여 측정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구조물은 준공 후 5년이 경과하면 구조물 안전진단을 실시하여 구조물의 안전성 평가를 한 후 문제점이 없을 경우 관할 감독청으로 관리업무를 이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교량 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해야 하고, 준공 후 일정 기간이 지난 교량에 대해서도 대형사고를 미리 예방하는 차원에서 교량관리가 요구되어 정기적 또는 수시로 교량의 안전성 평가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교량 구조물의 안전성을 점검하기 위하여 별도의 계측장비를 교량 상판 중간지점에 설치하고 시험차량을 운행하여 교량에 작용하는 각종 변위를 측정하고 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교량의 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즉, 교량의 지점변위를 측정하는 측정기는 교량의 저면에 밀착시키고 차량이 통과하는 동안 교량의 변위를 측정하게 된다.
종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0868호(2009.05.27. 등록) "교량의 모멘트 변화 통합 관리시스템"(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은 교량에 설치한 센서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중을 받는 교좌장치의 수직표면에 센서를 설치하여 센서에서 감지된 기계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 시키면, 현장에서도 즉시 확인 가능한 현장용 감시 단말기를 사용 가능토록 하고, 센터로 인터넷 등의 전송망을 이용하여 감시 결과의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하여 주어 각각의 신호를 분석가능하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하며, 상판의 분해 조립 없이 센서의 교체를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1은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지 않아 교량 하부에 측정장치를 설치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측정작업이 종료된 후에 측정장치의 해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서 교량의 점검작업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3779호(2015.01.12. 등록)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이하, '선행기술2'라 함)는 지면에 직립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다리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축이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블록; 상기 승강축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교량의 저면에 접촉되어 교량의 지점변위를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지지블록에 지지되고 결합부에 의해 제1패널 및 제2패널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1패널에 구비되는 고정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동기어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축과 볼트결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착탈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주동기어의 주동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재로 이루어지는 승강조작부;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부재를 관통하여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각형의 축에 설치되고 상기 종동기어에 기어연결되는 구속기어와, 상기 축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의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와, 상기 축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조작홀부로 이루어지는 승강상태유지부를 포함하여 승강축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승강축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승강상태유지부가 구비되므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승강축을 상승시키고 상승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교량의 점검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승강조작부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간단한 작업에 의해조립하고 해체할 수 있는 결합부가 구비되므로 측정장치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교량의 점검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승강조작부의 커버부재의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행하는 착탈부가 구비되므로 측정장치의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교량은 양단의 교대 사이에 복수개의 교각을 설치하고, 교대와 교각, 교각과 교각 사이에 거더와 탄성받침 및 상판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구조물을 설치하게 되는데, 교각과 교각 사이에서는 지면에서 교량 하면까지의 높이가 높고, 교대에 근접한 위치에서는 지면에서 교량 하면까지의 높이가 낮으며, 이들 사이의 높이 차이는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에 이르게 되는바, 선행기술2의 경우 하나의 승강축(나사봉)과 하나의 연장축(파이프)으로 구성되어 있어 지면에서 교량의 저면까지의 높이는 통상 수 미터에서 수 십 미터에 이르는바, 그 높이가 높을 경우 승강축과 연장축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모두 매우 길게 형성하여야 한다.
여기서 승강축은 나사봉으로서 너트부재와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삼각대와 결합된 상태이고, 연장축은 승강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므로 승강축의 길이를 길게 구성할 경우, 승강축의 하단이 삼각대의 하단보다 낮게 되면, 삼각대의 거치가 불가능하게 되고, 승강축의 하단이 삼각대의 하단보다 높게 되면, 삼각대의 거치는 가능하게 되지만 승강축의 상단 높이가 높게 되어 작업자가 승강축의 상단에 연장축의 하단을 연결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승강축의 길이를 길게 구성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선행기술의 경우 삼각대의 높이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연장축의 길이를 수 미터에서 수 십 미터에 이르는 길이로 길게 구성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승강축은 금속제 나사봉으로 구성되고, 연장축은 플라스틱 파이프로 구성되기 때문에 연장축의 길이를 길게 할 경우, 연장축이 바람에 흔들리기 쉽게 되고, 이에 따라 연장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센싱부가 교량의 하면에 정확하게 접촉하지 못하게 되어 측정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삼각대가 거치되는 지면에서 교량 하면까지의 높이가 높은 경우 연장축을 길게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장치 전체의 무게중심이 삼각대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장치가 불안정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측정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동기어와 종동기어가 베벨기어로 구성되어 있어 연장축에 진동이 생기면 종동기어와 주동기어가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구속기어를 포함하는 승강상태유지부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장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센싱부에 연결되는 전선이 연장축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기 때문에 약한 바람에도 전선이 휘날리게 되어 자칫 접촉불량 또는 단선에 의하여 측정이 불가능하게 될 염려가 있다.
또한 삼각대를 수평으로 맞춰서 센서봉의 수직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이 경험이나 육감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센서봉이 정확하기 수직으로 설치되지 않아 교량 지점변위 측정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장축의 상단에 센서를 결합함에 있어서 연장축의 상단 외주면에 센서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점착테이프를 감아서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센서의 설치가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센싱부가 설치되는 연장축의 휨을 최소화하여 센싱부의 센싱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장치의 무게중심이 삼각대의 상단지지대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장치가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결과적으로 측정품질이 향상되며, 별도의 승강상태유지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간편하게 되고, 센싱부에 연결되는 전선을 안전하게 유지하여 접촉불량 또는 단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센서봉을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하여 측정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가 설치되는 센서봉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함으로써 센서봉의 휨을 최소화하여 바람에 의하여 센서봉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센서의 센싱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치의 무게중심이 삼각대의 상단지지대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장치가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결과적으로 측정품질이 향상되도록 한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센서봉을 서로 슬라이딩 가능한 복수개의 단위봉으로 구성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하도록 한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회전방지수단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너트부재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하게 되도록 한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센서봉의 상단에 설치되는 센서의 전선을 센서봉의 상단에서 내부로 인입하고 하단에서 인출함으로써 전선이 바람에 흔들리지 않게 하여 접촉불량 또는 단선에 의하여 측정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중앙에 상하로 설치공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상단지지대와, 상기 상단지지대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3개의 다리가 구비된 삼각대; 상기 상단지지대의 설치공에 삽입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승강안내공이 형성된 승강안내관; 상기 승강안내관의 상단에 하단이 결합되며 축받이공이 형성된 축받이관; 상기 승강안내공과 축받이공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서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되는 복수개의 단위나사봉이 구비된 승강나사봉; 상기 축받이공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나사부에 맞물리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너트부재; 상기 축받이관의 상단에 결합되는 마운트; 상기 너트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상기 승강나사봉의 상단에 결합되는 센서봉; 및 상기 센서봉의 상단에 결합되어 교량의 저면에 접촉되어 교량의 지점변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강나사봉의 하단에 결합되어 무게중심을 낮추는 평형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나사봉의 상단과 상기 평형추의 상단에는 각각 연결나사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나사봉의 하단에는 상기 연결나사돌기가 체결되는 연결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봉의 하단에는 상기 연결나사돌기가 체결되는 연결나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너트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웜휠과, 상기 너트부재의 일측에 수평을 이루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축과, 상기 수평축에 결합되어 상기 웜휠에 맞물리는 웜과, 상기 수평축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핸들결합부와, 상기 핸들결합부에 일체로 회전하는 상태와 서로 헛도는 상태로 결합되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삼각대의 상단지지대와 마운트 및 너트부재의 수평상태와 상기 승강안내관과 축받이관의 수직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센서봉을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확인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봉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단위봉과, 상기 단위봉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단위봉을 제외한 단위봉의 상단 외주면에 각각 구비되어 직상방의 단위봉를 고정하는 단위봉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단위봉고정구는 단위봉의 주벽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볼트관통공과, 단위봉의 상단에 씌워지며 볼트관통공이 형성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의 주벽 일측에 상기 볼트관통공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에 체결되어 선단부가 각각 단위봉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조임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임볼트의 선단에는 마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마찰패드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에 의하면, 삼각대가 거치되는 지면에서 교량의 하면까지의 높이에 따라 복수개의 승강나사봉을 연결하고, 최상단의 승강나사봉의 상단에 센서봉을 연결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센서가 설치되는 센서봉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할 수 있어 센서봉의 휨을 최소화되어 센서의 센싱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에 의하면, 최하단의 승강나사봉의 하단에 평형추를 연결하고 있으므로 장치의 무게중심이 삼각대의 상단지지대보다 낮게 위치하게 되어 장치가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결과적으로 측정품질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에 의하면, 센서봉을 서로 슬라이딩 가능한 복수개의 단위봉으로 구성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에 의하면, 승강나사봉에 맞물린 너트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에 웜휠과 웜을 구비함으로써 웜을 회전시키지 않는 한 웜휠이 회전하지 않고 이에 따라 너트부재가 임의로 회전하지 않게 되어 구조가 간단하게 되며 사용이 간편하게 된다.
본 발명의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는 수평확인수단을 더 포함하여 센서봉을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센서봉의 상단에 결합된 센서에 의한 교량 지점변위 측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수평확인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안전지지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측정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교량에 대한 측정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센서봉의 변형예를 보인 것으로,
도 7은 센서봉의 사시도,
도 8은 센서봉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센서봉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센서의 변형예를 보인 것으로,
도 10은 센서봉과 센서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센서봉과 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수평확인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안전지지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측정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교량에 대한 측정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센서봉의 변형예를 보인 것으로,
도 7은 센서봉의 사시도,
도 8은 센서봉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센서봉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센서의 변형예를 보인 것으로,
도 10은 센서봉과 센서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센서봉과 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성요소들을 결합하기 위하여 단순히 볼트가 관통되거나 체결되는 볼트관통공과 볼트체결공(나사홀)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상하로 설치공(111)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상단지지대(110)와, 상기 상단지지대(110)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3개의 다리(120)가 구비된 삼각대(100); 상기 상단지지대(110)의 설치공(111)에 삽입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승강안내공(210)이 형성된 승강안내관(200); 상기 승강안내관(200)의 상단에 하단이 결합되며 축받이공(310)이 형성된 축받이관(300); 상기 승강안내공(210)과 축받이공(310)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410)가 형성되고 서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되는 복수개의 단위나사봉(401, 402, 403)이 구비된 승강나사봉(400); 상기 축받이공(3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나사부(410)에 맞물리는 암나사부(510)를 가지는 너트부재(500); 상기 축받이관(300)의 상단에 결합되는 마운트(600); 상기 너트부재(500)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700); 상기 승강나사봉(4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센서봉(800)과; 상기 센서봉(800)의 상단에 결합되어 교량의 저면에 접촉되어 교량의 지점변위를 측정하는 센서(900); 및 상기 삼각대(100)의 상단지지대(110)와 마운트(600) 및 너트부재(500)의 수평상태와 상기 승강안내관(200)과 축받이관(300)의 수직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센서봉(800)을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확인수단(10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삼각대(100)의 상단지지대(110)의 중앙에는 상기 승강안내관(200)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축받이관(300)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설치공(111)이 형성된다.
상기 3개의 다리(120)는 각각 상단이 상기 상단지지대(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다리(121)와, 상기 상부다리(121)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다리(122)에 의하여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시예에서는 상기 상부다리(110)가 각각 서로 이격된 2개의 부재로 구성되고, 하부다리(120)가 서로 이격된 2개의 부재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통상의 카메라용 또는 측량용 삼각대 중에서 상부다리(110)와 하부다리(120)를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것이라도 채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123은 하부다리(122)의 하단에 결합된 착지부이며, 124은 상부다리(121)의 하단에 결합되는 다리고정구이고, 125는 상기 다리고정구(124)에 체결되어 하부다리(122)를 하부다리(121)에 고정하기 위한 다리고정나사이다.
이러한 삼각대(100)는 통상적인 카메라용 삼각대 또는 측량용 삼각대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강안내관(200)과 축받이관(300)은 일체로 형성하거나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축받이관(300)은 상기 상단지지대(110)를 밑에서 위로 관통하는 볼트(미도시)를 축받이관(300)의 하면에 태핑나사로 형성된 나사홀(미도시)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단지지대(110)의 상면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받이관(300)은 승강안내관(200)과 일체를 이루고 있으므로 승강안내관(200)은 축받이관(300)과 함께 상단지지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승강나사봉(400)은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이 상승하여 하단이 승강안내관(200)의 하단 부근에 이르렀을 때,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의 하단에 두 번째 단위나사봉(402)의 상단을 연결하는 식으로 계속하여 필요한 만큼의 단위나사봉을 연결하게 되는바,
상기 삼각대(100)가 거치되는 지면에서 삼각대(100)의 상단지지대(110)까지의 높이가 1.2m ~ 1.4m 정도임을 감안하여 각 단위나사봉(401, 402, 403)의 길이를 1m 정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승강나사봉(400)을 구성하는 단위나사봉(401, 402, 403)을 최대 3개로 예시하고 있으나, 삼각대(100)가 거치되는 지면에서 교량의 저면까지의 거리에 따라서 추가로 준비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단위나사봉(401, 402, 403)은 전장에 걸쳐서 수나사부(410)가 형성되는바, 환봉을 가공하여 전장에 걸쳐서 수나사부(310)를 형성하거나 시중품인 전산볼트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위나사봉(401, 402, 403)에 형성되는 수나사부(410)는 단위나사봉(401, 402, 403)을 연결하였을 때 일련하여 연결되는 나선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위나사봉(401, 402, 403)의 수나사부(310)와 너트부재(500)의 암나사부(510)는 삼각나사, 사다리꼴나사 또는 사각나사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나사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둥근나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위나사봉(401, 402, 403)은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상단에 형성되는 연결나사돌기(420) 및, 하단에 형성되는 연결나사홈(430)이 구비된다.
서로 연결된 복수개의 단위나사봉(401, 402, 403)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단위나사봉(401)의 연결나사돌기(420)에는 후술하는 센서봉(800)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나사홀(810)이 체결된다.
상기 승강나사봉(40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단위나사봉(401, 402, 403)은 환봉이나 파이프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위나사봉(401, 402, 403)을 환봉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연결나사돌기(420)와 연결나사홈(430)을 단위나사봉(401, 402, 403)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절삭 가공에 의하여 직접 형성할 수 있으며, 단위나사봉(401, 402, 403)을 파이프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연결나사돌기(420)가 형성된 플럭을 단위나사봉(401, 402, 403)의 상단에 삽입 고정하고, 연결나사홈(430)이 형성된 하단플럭을 단위나사봉(401, 402, 403)의 하단에 삽입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승강나사봉(400)의 하단에는 연직하방으로 하중을 부가하여 승강나사봉(400)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평형추(44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평형추(440)는 승강나사봉(400)을 구성하는 단위나사봉 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단위나사봉의 하단에 결합된다.
예컨대, 도 6의 (a)와 같이 1개의 단위나사봉(401)을 사용한 경우에는 단위나사봉(401)의 하단에, 도 6의 (b)와 같이 3개의 단위나사봉(401, 402, 403)을 사용한 경우에는 단위나사봉(403)의 하단에, 도 6의 (c)와 같이 2개의 단위나사봉(401, 402)을 사용한 경우에는 단위나사봉(402)의 하단에 평형추(440)를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평형추(440)는 그 상단에 연결나사돌기(441)를 형성하여 상기 단위나사봉(401, 402, 403)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나사홈(430)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승강나사봉(400)의 하단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너트부재(500)는 상기 축받이관(300)의 축받이공(310)의 내주면과 너트부재(500)의 외주면에 원주를 따라 링홈(R1, R2)을 형성하고, 상기 링홈(R1, R2)에 C-링(R)을 끼우는 것에 의하여 상기 축받이관(300)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수평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부재(500)는 상기 축받이관(300)의 축받이공(310)과의 사이에 베어링(미도시)을 삽입하여 상기 축받이관(300)으로부터 임의로 이탈하지 않으면서 수평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너트부재(500)를 회전시켜 너트부재(500)의 암나사부(510)에 수나사부(410)가 맞물려 있는 승강나사봉(400)을 승강시킬 때 승강나사봉(400)이 너트부재(500)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연직선상에서 승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나사봉(400)의 외주면 일측에는 키홈(450)이 전장에 걸쳐서 형성되고, 상기 승강안내관(200)의 내주면 일측에는 키(460)가 관통되어 내측단부가 상기 키홈(450)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키홈(450)의 내경은 상기 승강나사봉(400)의 수나사부(410)의 골경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460)는 상기 승강안내관(200)의 주벽에 형성된 나사홀(461)에 체결되는 볼트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키(460)를 구성하는 볼트는 렌치볼트(wrench bolt)라고도 하는 육각소켓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나사홀(461)의 외측단부, 즉 승강안내관(200)의 외주측 단부는 육각소켓볼트의 머리부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지는 머리삽입홈(미도시)으로 형성하여 키(460)를 구성하는 볼트의 머리부가 승강안내관(20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홈(450)은 상기 승강나사봉(400)을 구성하는 단위나사봉(401, 402, 403)에 각각 형성되며, 이들 단위나사봉(401, 402, 403)을 연결하였을 때 상하로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운트(600)는 하나의 판체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마운트본체(610, 62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운트본체(610, 620)의 접합단에는 상기 축받이관(30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반원형 결합공(630, 640)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마운트본체(610, 620)의 일측에는 서로 맞물리는 단차를 가지는 연결부(611, 621)이 형성되고, 상기 마운트본체(620)의 연결부(621)에 형성된 볼트관통공(622)에 연결볼트(613)를 밑에서 위로 관통시켜 마운트본체(610)의 연결부(611)에 형성된 나사홀(612)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호 회동 가능함과 아울러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운트(600)는 상기 마운트본체(610, 620)의 측면을 관통하는 볼트(미도시)를 상기 축받이관(300)의 외주면에 조이는 것에 의하여 축받이관(300)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마운트(600)는 하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하단이 마운트본체(610, 620)의 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65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650)는 하단을 관통하는 볼트(미도시)를 마운트본체(610, 620)의 측면에 형성된 나사홀(미도시)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마운트본체(610, 6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커버(650)는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나사봉(400)이 관통하는 관통공(651)과, 전면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회전수단(700)의 수평축(720)의 선단부가 관통되는 절개부(652)가 구비된다.
상기 절개부(652)는 후술하는 회전수단(700)의 수평축(720)이 마운트본체(610)에서 수평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커버(650)를 결합 및 탈거할 수 있도록 하단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650)는 전후좌우벽 하단부를 따라 볼트(미도시)를 관통시켜 마운트본체(610, 620)의 전후좌우면에 형성된 나사홀(미도시)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마운트본체(610, 6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회전수단(700)은 상기 너트부재(500)의 상단에 결합된 웜휠(710)과, 상기 너트부재(500)의 일측에 수평을 이루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축(720)과, 상기 수평축(720)에 결합되며 상기 웜휠(710)에 맞물리는 웜(730)과, 상기 수평축(720)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핸들결합부(740)와, 상기 핸들결합부(740)에 탈착 가능한 핸들(7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웜휠(710)은 너트부재(50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너트부재(500)의 상면에 하단을 용접이나 나사결합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웜휠(710)은 너트부재(500)와 함께 축받이관(300)에 의하여 수평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웜휠(710)의 중심부에는 상기 너트부재(500)의 암나사부(510)와 동축을 이루며 승강나사봉(400)이 승강 가능하게 관통되는 관통공(71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711)은 상기 수나사부(4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승강나사봉(400)의 수나사부(410)과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평축(720)은 상기 마운트(600)의 상면에 돌출 설치되며 축받이공(722)을 가지는 전후 한 쌍의 축받이편(7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수평축(720)의 외주면과 축받이공(722) 사이에는 메탈부시 또는 베어링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수평축(720)의 선단부는 상기 커버(650)의 절개부(652)를 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핸들결합부(740)는 정사각형 단면의 봉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핸들(750)은 상기 핸들결합부(740)에 겉으로 끼워질 수 있는 정사각형 단면의 수평축결합공(752)이 형성된 헤드부(751)와, 상기 헤드부(751)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레버부(753)와, 상기 레버부(753)의 단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7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핸들(750)은 통상적인 크랭크형 핸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도록 손잡이부(754)를 접을 수 있는 접이식 핸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봉(800)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에 연결나사홀(810)이 형성되어, 이 연결나사홀(810)과 상기 승강나사봉(400)의 연결나사돌기(420)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승강나사봉(400)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강나사봉(400)이 복수개를 연결하여 설치된 경우 센서봉(800)의 연결나사홀(810)은 최상단에 위치하는 승강나사봉(401)의 연결나사돌기(420)에 체결된다.
상기 연결나사홀(810)은 파이프로 구성된 센서봉(800)의 내주면에 나사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연결나사홀(810)이 형성된 플럭을 센서봉(800)의 하단에 삽입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센서(900)는 상기 센서봉(800)의 상단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상단으로 센싱부(910)가 돌출된다. 상기 센서(900)를 센서봉(800)의 상단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통상적인 어떠한 방법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특정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센서(900)는 측정프로그램이 설치된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의 컴퓨터(미도시)에 연결하여 측정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900)는 전원공급과 측정신호전달을 위한 전선을 통하여 배터리(미도시)와 컴퓨터(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는 상기 마운트본체(610, 620)의 상면에 장착하거나 커버(660)의 상면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전선(920)은 상기 커버(65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전선가이드(930)에 의하여 안내 및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가이드(930)는 상하 한 쌍의 가이드롤러(931)와, 상기 커버(650)의 상면에 고정되는 브래킷(933)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931)를 브래킷(93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934)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롤러(931)는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전선(920)의 외경에 대응하는 반원형 안내홈(932)이 형성된 홈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래킷(933)은 커버(650)의 상면에 용접 또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센서(900)는 센서봉(800)의 상단에 직접 삽입 설치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센서봉(8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센서소켓(820)에 삽입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센서소켓(820)은 상기 센서봉(800)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단이 개방된 슬리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센서(900)가 삽입되는 소켓본체(821)와, 상기 소켓본체(821)의 주벽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선(920)이 인출되는 전선인출공(8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봉(800)과 소켓본체(821)을 결합하기 위하여 센서봉(800)의 상단에 나사돌기(831)가 형성된 플럭(830)을 삽입하고, 소켓본체(821)의 하단에 상기 나사돌기(831)에 대응하는 암나사부(841)가 형성된 플럭(840)을 삽입하여 나사돌기(831)와 암나사부(842)에 의하여 나사체결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900)가 센서봉(800)의 상단에 결합된 소켓(820)에 삽입 설치되므로 센서(900)의 설치가 견고하게 되고, 전선(920)은 상단에서는 소켓본체(821)의 주벽에 형성된 전선인출공(822)을 통해 인출되고 하단에서는 전선가이드(930)에 의하여 지지 및 가이드되므로 바람에 의하여 전선이 바람에 흔들리지 않게 되어 접촉불량 또는 단선에 의하여 측정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전선(920)이 한가닥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전원용 전선과 신호전달용 전선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과정에서는 전원용 전선과 신호전달용 전선을 하나의 절연피복 내에 삽입하여 배선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수평확인수단(1000)은 가장 간편한 예로서 상기 커버(650)의 상면에 수평계를 장착하는 구조로 제작하여 시험해 보았는바, 이러한 경우, 커버(650)는 정밀도를 요하는 구성요소가 아니고, 웜휠(510)과 웜(530) 등의 구성요소를 보호하고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얇은 철판을 절곡하여 제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삼각대(100)의 상단지지대(110)와 마운트(600)의 수평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승강나사봉(300) 및 센서봉(700)의 수직도를 확인할 수 없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평확인수단(1000)은 상기 마운트(600)의 일측 마운트본체(620)의 상면에 하단이 결합되는 수직지지대(1010)와, 상기 수직지지대(1010)의 상단면에 상기 마운트본체(620)의 상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좌우수평장공(1021)과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전후수평장공(1022)가 구비되는 수평계본체(1020)와, 상기 좌우수평장공(1021) 내에 설치되며 중간부를 기준으로 좌우대칭으로 표시되는 좌우수평확인선(1031)이 구비되는 좌우수평투명관(1030)과, 상기 전후수평장공(1022) 내에 설치되며 중간부를 기준으로 전후대칭으로 표시되는 전후수평확인선(1041)이 구비되는 전후수평투명관(1040)과, 상기 좌우수평투명관(1030) 내에 좌우수평확인기포(1051)가 형성되도록 주입되는 좌우수평확인액체(1050)와, 상기 전후수평투명관(1040) 내에 전후수평확인기포(1061)가 형성되도록 주입되는 전후수평확인액체(1060) 및, 상기 커버(650)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계본체(1020)가 커버(650)의 상면에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수평계돌출공(10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확인수단(1000)은 마운트본체(620)의 상면에 수직지지대(1010)를 직각으로 설치하고, 수직지지대(1010)의 상단에 수평계본체(1020)를 마운트본체(620)의 상면에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하는 것이므로 수평확인수단(1000)에 의하여 마운트본체(620)의 수평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운트본체(620)에 대한 수직지지대(1010)의 설치는 마운트본체(620)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관통공(1011)을 밑에서 위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볼트(1013)를 상기 복수개의 볼트관통공(1011)에 대응하여 수직지지대(1010)의 하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트체결공(1012)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삼각대(100)의 상단지지대(110)와 마운트본체(610, 620)을 포함하는 마운트(600)는 평행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승강안내관(200)과 축받이관(300)은 상단지지대(110)는 상단지지대(110)에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고, 너트부재(500)는 축받이관(300)에 삽입 설치되는 것이므로 마운트본체(620)의 수평을 확인하는 것에 의하여 수직지지대(1010)의 수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는 3개의 다리(120)를 서로 연결함과 아울러 다리(120)를 지나치게 벌리게 되는 경우에도 다리(120)가 미끄러지거나 주저앉는 일이 없이 안정된 자세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지지수단(11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안전지지수단(1100)은 상기 3개의 다리(120)의 하부다리(122)의 하단에 걸리는 고리(1110)와, 상기 고리(1110)에 일단이 연결된 체인(1120)과, 상기 체인(1120) 사이에 연결되는 턴버클(1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리(1110)는 도시예와 같이 타원형 고리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후크형으로 형성하여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체인(1120)은 복수개의 고리가 연결된 루프형 체인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리(120)를 크게 벌렸을 때에도 다리(120)들을 연결지지할 수 있도록 여유 있는 길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턴버클(1130)은 일단에 상기 체인(1120)이 연결되는 체인연결구(1141)가 결합된 오른나사봉(1140)과, 일단에 상기 체인(1120)이 연결되는 체인연결구(1151)가 결합된 왼나사봉(1150)과, 일단에 상기 오른나사봉(1140)에 맞물리는 암나사부(1161)가 구비되고, 타단에 상기 왼나사봉(1150)에 맞물리는 암나사부(1162)가 구비된 버클핸들(1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인연결구(1141, 1151)는 체인(1120)을 구성하는 고리가 삽입되는 체인삽입홈(1144, 1154)이 형성되고, 핀삽입공(1145, 1155)이 형성된 분할편(1143, 1153)을 가지는 연결구본체(1142, 1152)와, 상기 핀삽입공(1145, 1155)에 끼워지는 체인이탈방지핀(1161, 1171)과, 상기 체인이탈방지핀(1161, 1171)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핀이탈방지링(1162, 117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인이탈방지핀(1161, 1171)는 머리부가 구비되며, 상기 핀이탈방지링(1162, 1172)가 끼워지는 링삽입공(1163, 1173)이 구비된다.
상기 오른나사봉(1140)과 왼나사봉(1150)에는 길이조절이 완료된 후 조절된 길이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임너트(1146, 1156)가 체결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에 의하여 교량의 지점변위를 측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준비과정으로서 삼각대(100), 승강안내관(200), 축받이관(300), 너트부재(500), 마운트(600) 및 회전수단(700)을 구성하는 웜휠(710), 수평축(720), 웜(730)을 조립한 상태로 준비함과 아울러 승강나사봉(400)은 지면에서 교량의 측정부위, 즉 교량의 하면까지의 높이를 고려하여 복수개의 단위나사봉(401, 402, 403...)을 준비하고, 상단에 센서(900)가 결합된 센서봉(800)을 준비한다.
준비된 복수개의 단위나사봉(401, 402, 403...) 중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을 승강안내관(200)의 승강안내공(210)을 통과시켜 수나사부(410)가 너트부재(500)의 암나사부(510)에 맞물리도록 함과 아울러 수평축(720)의 핸들결합부(740)에 결합한 핸들(750)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수평축(720)와 웜(7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웜(730)에 맞물린 웜휠(7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웜휠(710)에 결합된 너트부재(5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너트부재(500)의 암나사부(510)와 이에 맞물린 수나사부(410)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단위나사봉(401)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암나사부(510)와 수나사부(410) 사이에는 마찰력이 작용하게 되어 너트부재(500)의 회전력이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에 전달되는데,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의 외주면에는 전장에 걸쳐서 키홈(450)이 형성되어 있고 승강안내관(200)의 주벽에는 키(46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이 너트부재(500)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상승하게 된다.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의 상단이 커버(650)의 상면에서 돌출되면 핸들(750)의 돌림동작을 멈춘다.
이때,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의 상단 높이는 삼각대(100)의 높이와 커버(220)의 높이 및 작업자의 신장을 감안하여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의 상단에 센서봉(800)을 결합하는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준비된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를 측정하고자 하는 교량(10)의 하부로 운반하여 삼각대(100)의 다리(120)를 펼쳐서 거치한다(도 6 참조).
삼각대(100)를 거치함에 있어서는 삼각대(100)의 다리(120)를 벌리고 상부다리(121)와 하부다리(122)로 이루어지는 각 다리(120)의 길이를 조절하여 원하는 높이와 수평을 맞춘다.
이때, 상기 수평확인수단(1000)에 의하여 수평을 확인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즉, 삼각대(100)의 다리(120)를 조절하여 수평을 맞추는 과정에서 수직지지대(1010)의 상단면에 결합되어 커버(650)의 상면에서 돌출된 수평계본체(1020)에 설치된 좌우수평투명관(1030)의 좌우수평확인선(1031)과 좌우수평확인유체(1050)의 좌우수평확인기포(1051)에 의하여 좌우방향 수평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전후수평투명관(1040)의 전후수평확인선(1041)과 전후수평확인액체(1060)의 전후수평확인기포(1061)에 의하여 전후방향 수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수평계본체(1020)는 마운트(600)의 마운트본체(620)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마운트본체(620)는 삼각대(100)의 상단지지대(110)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승강안내관(200)과 축받이관(300)은 삼각대(100)의 상단지지대(110)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너트부재(500)는 축받이관(300)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나사봉(400)은 승강안내관(200)에 승강안내됨과 아울러 너트부재(500)에 맞물려 있고, 센서봉(800)은 승강나사봉(40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수평확인수단(1000)에 의하여 수직지지대(1010)의 상단면의 수평을 확인하는 것에 의하여 삼각대(100)의 상단지지대(110)와 마운트(600)의 수평상태와, 승강안내관(200)과 축받이관(300)의 수직상태와, 너트부재(500)의 수평상태와, 승강나사봉(400)와 센서봉(800)의 수직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센서봉(800)을 정확하게 수직으로 맞출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센서봉(800)의 상단에 결합된 센서(900)에 의한 교량의 지점변위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삼각대(100)가 거치된 상태에서,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의 상단의 연결나사봉(420)에 센서봉(800) 하단의 연결나사홀(810)을 체결하여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의 상단에 센서봉(800)이 결합되도록 한다(도 1 참조).
이때, 센서봉(700)의 상단에 결합된 센서(800)의 상단이 교량(200)의 저면에 접촉하지 않은 경우에는 핸들(550)을 돌려서 수평축(720)과 웜(730)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웜(730)에 맞물린 웜휠(7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웜휠(710)에 결합된 너트부재(5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너트부재(500)의 암나사부(510)와 이에 맞물린 수나사부(410)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이 상승하게 되고,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의 상단에 결합된 센서봉(800)이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과 승강안내관(200)에는 각각 키홈(450)과 키(46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이 너트부재(500)와 함께 회전하지 않게 되어 수나사부(410)와 암나사부(510)에 의한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의 상승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6의 (a) 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대(100)가 거치된 지면에서 교량(10)의 하면까지의 높이에 따라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과 이에 결합된 센서봉(800)만으로 센서(900)의 센싱부(910)가 교량(10)의 하면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단위나사봉(402, 403...)을 추가로 연결할 필요가 없다.
한편,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과 이에 결합된 센서봉(800)만으로는 센서(900)의 센싱부(910)가 교량(10)의 하면에 접촉하지 않는 경우, 단위나사봉(402) 또는 단위나사봉(402, 403...)을 추가로 연결함으로써 도 6의 (b) 및 도 6의 (c) 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900)의 센싱부(910)가 교량(10)의 하면에 접촉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단위나사봉(401, 402, 403...)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이 상승하여 그 하단이 삼각대(100)의 상단지지대(110)의 하면에 근접하였을 때, 두 번째 단위나사봉(402)을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두 번째 단위나사봉(402) 상단의 연결나사돌기(420)를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 하단의 연결나사홈(430)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과 두 번째 단위나사봉(402)을 연결하고, 세 번째 단위나사봉(403)을 두 번째 단위나사봉(402)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세 번째 단위나사봉(402) 상단의 연결나사돌기(420)를 두번째 단위나사봉(402) 하단의 연결나사홈(430)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두 번째 단위나사봉(402)와 세 번째 단위나사봉(403)을 연결한다.
이때, 단위나사봉(401, 402, 403)에 형성된 키홈(450)을 모두 일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승강나사봉(400)의 단위나사봉(401, 402, 403)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단의 연결나사돌기(420)를 하단의 연결나사홈(430)에 완전히 체결하였을 때 키홈(450)이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키홈(450)을 일치시키는 작업을 하지 않고서도 복수개의 단위나사봉(401, 402, 403)을 연결하였을 때 키홈(450)이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에 두 번째 단위나사봉(402)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승동작에 의하여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의 하단이 너트부재(500)의 하단을 지나는 순단 두 번째 단위나사봉(402)의 수나사부(410)이 너트부재(500)의 암나사부(510)에 맞물리게 되며,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이 너트부재(500)를 벗어나기 전까지는 첫 번째 및 두 번째 단위나사봉(401, 402)의 수나사부(410)가 너트부재(500)의 암나사부(510)에 동시에 맞물린 상태로 되어 첫 번째 및 두 번째 단위나사봉(401, 402)이 연결된 상태로 상승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두 번째 단위나사봉(402)과 세 번째 단위나사봉(403) 및 이후의 단위나사봉들 간의 동작도 위와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필요한 단위나사봉(401, 402, 403...)의 연결이 완료되면, 최하단의 단위나사봉, 즉 하나의 단위나사봉(401)만 사용한 경우에는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의 하단에, 두개의 단위나사봉(401, 402)을 사용한 경우에는 두 번째 단위나사봉(402)의 하단에, 세개의 단위나사봉(401, 402, 403)을 사용한 경우에는 세 번째 단위나사봉(403)의 하단에 평형추(440)를 결합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무게 중심이 삼각대(100)의 상단지지대(110)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측정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최하단의 단위나사봉(401, 402, 403...)의 하단에 대한 평형추(440)의 결합은 단위나사봉(401, 402, 403...)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나사홈(430)에 평형추(440)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나사돌기(441)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삼각대(100)가 거치된 지면에서 교량(10)의 하면까지의 높이에 따라 복수개의 단위나사봉(401, 402, 403)들을 연결함으로써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의 상단에 연결된 센서봉(800)의 상단에 설치된 센서(900)가 상승하여 센싱부(910)가 교량(10)의 하면에 접촉하여 교량의 지점변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센서(900)에 의하여 측정된 측정신호는 전선(920)을 통하여 컴퓨터에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900)에 의한 교량의 지점변위 측정정보를 활용함으로써 교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삼각대(100)를 거치함에 있어서는 안전지지수단(1000)을 이용하여 3개의 다리(120)를 서로 연결하여 다리(120)가 지나치게 벌어진 상태에서도 삼각대(100)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즉, 3개의 다리(120)를 벌려서 삼각대(100)를 지면에 거치함에 있어서 하부다리(122)에 걸린 고리(1110)에 체인(1120)을 걸고 체인(1120)을 연결하는 턴버클(1130)에 의하여 체인(1120)와 턴버클(1130)을 포함한 전체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3개의 다리(120)가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체인(1120)와 턴버클(1130)을 포함하는 전체 길이를 조절함에 있어서는 턴버클(1130)의 버클핸들(1160)을 돌리면, 양단의 암나사부(1161, 1162)와 오른나사봉(1140)과 왼나사봉(1150)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오른나사봉(1140)과 왼나사봉(115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버클핸들(1130)을 돌리는 방향에 따라서 오른나사봉(1140)과 왼나사봉(115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턴버클(11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는 턴버클(1130)의 양단에 연결된 체인(1120)을 포함하는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3개의 다리(120)가 벌어진 각도에 대응하여 체인(1120)와 턴버클(1130)을 포함하는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3개의 다리(120)이 지나치게 벌어진 경우에도 다리(120)가 미끄러지거나 주저앉는 일이 없이 삼각대(100)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삼각대(100)가 지면에 대하여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거치됨에 따라 교량 지점변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체인(1120)과 턴버클(1130)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체인(1120)을 구성하는 타원형 고리를 체인연결구(1141, 1151)의 체인삽입홈(1144, 1154)에 삽입하고, 핀삽입공(145, 1155)에 체인이탈방지핀(1161, 1171)을 끼우고, 체인이탈방지핀(1161, 1171)의 링삽입공(1163, 1173)에 핀이탈방지링(1162, 1172)을 끼움으로써 체인(1120)이 턴버클(1130)에 임의 이탈됨이 없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체인(1120)과 턴버클(1130)을 분리함에 있어서는 체인이탈방지핀(1161,1171)의 링삽입공(1163, 1173)에서 핀이탈방지링(1162, 1172)을 인출하고, 체인이탈방지핀(1161, 1171)을 핀삽입공(1145, 1155)에서 인출하여 체인(1120)을 체인삽입홈(1144, 1154)에서 인출함으로써 체인(1120)과 턴버클(1130)을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는 삼각대(100)가 거치되는 지면에서 교량(10)의 하면까지의 높이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단위나사봉(401, 402, 403...)으로 이루어지는 승강나사봉(400)을 연결하고, 첫 번째 단위나사봉(401)에 센서봉(800)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센서봉(800)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센서봉(800)의 휨과 이로 인한 측정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개의 단위나사봉(401, 402, 403...)이 연결된 상태에서 최하단의 단위나사봉의 하단에는 평형추(440)를 결합함으로써 전체적인 무게중심이 삼각대(100)의 상단지지대(110)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장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측정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승강나사봉(400)에 맞물린 너트부재(500)을 회전시키는 수단으로서 너트부재(500)가 결합된 웜휠(710)과 웜휠(710)에 맞물리는 웜(730)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승강나사봉(400)에 연결된 센서봉(800)에 진동이 생기더라도 웜휠(710)은 웜(730)이 회전하지 않는 한 회전하지 않게 되어 별도의 구속기어를 포함하는 승강상태유지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간편하게 된다.
또한 수평확인수단(1000)에 의하여 센서봉(900)을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센서봉(800)의 상단에 결합된 센서(900)에 의한 교량 지점변위 측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삼각대(100)를 거치함에 있어서는 안전지지수단(1000)에 의하여 3개의 다리(120)를 연결함으로써 삼각대(100)가 지면에 대하여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어 교량의 지점변위 측정이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센서봉(800)의 변형예를 보인 것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센서봉(800)을 서로 탈착 및 슬라이딩 가능한 복수개의 단위봉(801, 802, 803, 804, 805)에 의하여 신축식으로 구성한 것이다.
즉, 삼각대(100)가 거치되는 지면에서 교량(10)의 하면에 이르는 높이에 따라 단위봉(801, 802, 803, 804, 805)의 길이를 신축시킴으로써 교량의 지점변위 측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보관 및 운반시에는 복수개의 단위봉(801, 802, 803, 804, 805)의 길이를 최대한으로 수축시킴으로써 간편하게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단위봉(801, 802, 803, 804, 805)은 직상방에 위치하는 단위봉이 직하방에 위치하는 단위봉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단위봉(801, 802, 803, 804, 805) 중 직상방에 위치하는 단위봉의 외경이 직하방에 위치하는 단위봉의 내경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공차를 가지도도록 구성된다.
단위봉(801, 802, 803, 804, 805)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단위봉(805)을 제외한 단위봉(801, 802, 803, 804)의 상단 외주면에는 직상방의 단위봉(802, 803, 804, 805)을 고정하기 위한 단위봉고정구(850)가 구비된다.
상기 단위봉고정구(850)는 단위봉(801, 802, 803, 804)의 주벽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볼트관통공(851)과, 단위봉(801, 802, 803, 804)의 상단에 씌워지며 볼트관통공(853)이 형성되는 고정링(852)과, 상기 고정링(852)의 주벽 일측에 상기 볼트관통공(851, 853)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너트부(854)와, 상기 너트부(854)에 체결되어 선단부가 각각 단위봉(802, 803, 804, 805)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조임볼트(8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너트부(854)는 고정링(82)의 주벽에 직접 암나사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너트부(854)에 대한 조림볼트(855)의 체결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고정링(82)을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경우, 도시예와 같이 너트부(854)는 고정링(852)의 주벽에 너트(854a)를 매설하는 것에 의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링(852)의 주벽에는 너트(854a)가 매설되는 부분에 융기부(854b)가 형성된다.
또한 고정링(852)을 금속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너트(854a)를 고정링(852)에 용접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조임볼트(855)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돌릴 수 있도록 손잡이가 달린 소위 '나사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임볼트(855)의 선단과 단위봉(802, 803, 804, 805)의 외주면 간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조임볼트(855)의 선단에 마찰력이 큰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의 마찰패드(856)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임볼트(855)의 선단에 마찰패드(856)를 결합하기 위하여 조임볼트(855)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홈(855a)에 마찰패드(856)에 형성된 결합돌기(856a)를 삽입함과 아울러 결합홈(855a)와 결합돌기(856a) 사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센서봉(800)은 삼각대(100)가 거치되는 지면에서 교량(10)의 하면까지의 높이에 따라 단위봉(802, 803, 804, 805)을 각각 단위봉(801, 802, 803, 804)로부터 상방으로 슬라이딩시켜 단위봉(801, 802, 803, 804, 805)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고, 단위봉고정구(850)에 의하여 단위봉(802, 803, 804, 805)을 단위봉(801, 802, 803, 804)에 각각 고정함으로써 단위봉(801, 802, 803, 804, 805) 전체가 원하는 길이의 센서봉(800)을 이루도록 할 수 있으므로 지면에서 교량(10)의 하면에 이르는 높이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단위봉고정구(850)에 의하여 단위봉(802, 803, 804, 805)을 각각 단위봉(801, 802, 803, 804)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조임볼트(855)를 조임방향으로 돌리면, 너트부(854)와의 나사작용으로 조임볼트(855)가 전진하여 조임볼트(855)의 선단부가 단위봉(802, 803, 804, 805)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조임볼트(855)의 선단에는 밀착패드(856)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조임볼트(855)의 선단부와 단위봉(802, 803, 804, 805)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각각 단위봉(801, 802, 803, 804)와 단위봉(802, 803, 804, 805)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단위봉(801, 802, 803, 804)에 각각 단위봉(802, 803, 804, 805)이 고정된 상태에서 조임볼트(855)를 풀림방향으로 돌리면 조임볼트(855)가 후퇴하여 선단부가 단위봉(802, 803, 804, 805)의 외주면에서 이격되므로 단위봉(802, 803, 804, 805)을 각각 단위봉(801, 802, 803, 804)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센서봉(800)을 보관 또는 운반하는 경우에는 단위봉(802, 803, 804, 805)을 슬라이딩시켜 각각 단위봉(801, 802, 803, 804)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단위봉(801, 802, 803, 804, 805)에 의한 센서봉(800)의 전체 길이를 최대한으로 짧게 함으로써 간편하게 보관 또는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도 10 및 도 11은 센서의 변형예를 보인 것이다.
본 변형예에 의한 센서(900)는 링형으로 형성된 링형 전달체(941)와, 상기 링형 전달체(941)의 상단에 결합되어 교량(10)의 하면에 접촉하는 접촉부(942)와, 상기 링형 전달체(941)의 하단에 결합된 센싱부(943)와, 상기 센싱부(943)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센서봉(80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나사봉(944)을 포함하는 링형 변위계(940)를 사용한다.
상기 링형 전달체(941)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접촉부(942)가 교량(10)의 하면에 접촉하여 발생된 변위량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하단에 결합된 센싱부(943)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센싱부(943)에는 센싱값을 전송하기 위한 전선(920)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결합나사봉(944)의 중심부에 전선(920)이 통과할 수 있는 전선통과홀(945)을 형성함으로써 전선(920)이 센서봉(800)의 내부를 통하여 배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나사봉(944)은 센서봉(800)의 상단에 나사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센서봉(800)의 상단 내주면에는 결합나사봉(944)에 대응하는 나사부(811)가 형성된다.
본 변형예에 의한 링형 변위계(940)는 접촉부(942)가 교량(10)의 하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교량(10)의 지점변위가 발생하면 그 변위량에 따라 링형 전달체(941)이 탄성적으로 변형을 일으키면서 변위량을 센싱부(943)에 전달하게 되며, 센싱부(943)은 변위량을 센싱하여 전선(920)을 통해 센싱값을 전송하게 된다.
본 변형에에서는 상기 센서(900)로서 응답특성이 양호한 링형 변위계(940)를 사용함으로써 교량(10)의 지점변위를 보다 정확하고 안정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삼각대 110: 상단지지대
120: 다리 200: 승강안내관
300: 축받이관 400: 승강나사봉
500: 너트부재 600: 마운트
700: 회전수단 800: 센서봉
900: 센서 1000: 수평확인수단
1100: 안전지지수단
120: 다리 200: 승강안내관
300: 축받이관 400: 승강나사봉
500: 너트부재 600: 마운트
700: 회전수단 800: 센서봉
900: 센서 1000: 수평확인수단
1100: 안전지지수단
Claims (2)
- 중앙에 상하로 설치공(111)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상단지지대(110)와, 상기 상단지지대(110)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3개의 다리(120)가 구비된 삼각대(100);
상기 상단지지대(110)의 설치공(111)에 삽입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승강안내공(210)이 형성된 승강안내관(200);
상기 승강안내관(200)의 상단에 하단이 결합되며 축받이공(310)이 형성된 축받이관(300);
상기 승강안내공(210)과 축받이공(310)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410)가 형성된 승강나사봉(400);
상기 축받이공(3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나사부(410)에 맞물리는 암나사부(510)를 가지는 너트부재(500);
상기 축받이관(300)의 상단에 결합되는 마운트본체(610, 620)와, 하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하단이 마운트본체(610, 620)의 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650)를 포함하는 마운트(600);
상기 너트부재(500)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700);
상기 승강나사봉(4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센서봉(800)와;
상기 센서봉(800)의 상단에 결합되어 교량의 저면에 접촉되어 교량의 지점변위를 측정하는 센서(900); 및,
상기 삼각대(100)의 상단지지대(110)와 마운트(600) 및 너트부재(500)의 수평상태와 상기 승강안내관(200)과 축받이관(300)의 수직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센서봉(800)을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확인수단(1000); 포함하여 구성되는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나사봉(400)의 하단에 결합되어 무게중심을 낮추는 평형추(4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나사봉(400)은 서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되는 복수개의 단위나사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단위나사봉의 상단과 상기 평형추(440)의 상단에는 각각 연결나사돌기(420, 441)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단위나사봉의 하단에는 상기 연결나사돌기(420, 441)가 체결되는 연결나사홈(430)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봉(800)의 하단에는 상기 연결나사돌기(420)가 체결되는 연결나사홀(810)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나사봉(40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단위나사봉의 외주면 일측에 전장에 걸쳐서 형성되는 키홈(450)과, 상기 승강안내관(200)의 내주면 일측에 관통되어 내측단부가 상기 키홈(450)에 삽입되는 키(46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나사돌기(420)와 연결나사홈(430)에 의하여 단위나사봉을 연결하였을 때 키홈(450)이 상하로 일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수단(700)은, 상기 너트부재(500)의 상면에 결합되는 웜휠(710)과, 상기 너트부재(500)의 일측에 수평을 이루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축(720)과, 상기 수평축(720)에 결합되어 상기 웜휠(710)에 맞물리는 웜(730)과, 상기 수평축(720)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핸들결합부(740)와, 상기 핸들결합부(740)에 일체로 회전하는 상태와 서로 헛도는 상태로 결합되는 핸들(75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확인수단(1000)은 상기 수평확인수단(1000)은 상기 마운트(600)의 일측 마운트본체(620)의 상면에 하단이 결합되는 수직지지대(1010)와, 상기 수직지지대(1010)의 상단면에 상기 마운트본체(620)의 상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좌우수평장공(1021)과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전후수평장공(1022)가 구비되는 수평계본체(1020)와, 상기 좌우수평장공(1021) 내에 설치되며 중간부를 기준으로 좌우대칭으로 표시되는 좌우수평확인선(1031)이 구비되는 좌우수평투명관(1030)과, 상기 전후수평장공(1022) 내에 설치되며 중간부를 기준으로 전후대칭으로 표시되는 전후수평확인선(1041)이 구비되는 전후수평투명관(1040)과, 상기 좌우수평투명관(1030) 내에 좌우수평확인기포(1051)가 형성되도록 주입되는 좌우수평확인액체(1050)와, 상기 전후수평투명관(1040) 내에 전후수평확인기포(1061)가 형성되도록 주입되는 전후수평확인액체(1060) 및, 상기 커버(650)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계본체(1020)가 커버(650)의 상면에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수평계돌출공(107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서봉(800)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단위봉(801, 802, 803, 804, 805)과, 상기 단위봉(801, 802, 803, 804, 805)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단위봉(805)을 제외한 단위봉(801, 802, 803, 804)의 상단 외주면에 각각 구비되어 직상방의 단위봉(802, 803, 804, 805)를 고정하는 단위봉고정구(8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단위봉고정구(850)는 단위봉(801, 802, 803, 804)의 주벽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볼트관통공(851)과, 단위봉(801, 802, 803, 804)의 상단에 씌워지며 볼트관통공(853)가 형성되는 고정링(852)과, 상기 고정링(852)의 주벽 일측에 상기 볼트관통공(851, 853)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너트부(854)와, 상기 너트부(854)에 체결되어 선단부가 각각 단위봉(802, 803, 804, 805)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조임볼트(85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임볼트(855)의 선단에는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마찰패드(856)가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조임볼트(855)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홈(855a)에 마찰패드(856)에 형성된 결합돌기(856a)가 삽입됨과 아울러 결합홈(855a)와 결합돌기(856a)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8200A KR101765899B1 (ko) | 2016-12-23 | 2016-12-23 |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8200A KR101765899B1 (ko) | 2016-12-23 | 2016-12-23 |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65899B1 true KR101765899B1 (ko) | 2017-08-10 |
Family
ID=5965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8200A KR101765899B1 (ko) | 2016-12-23 | 2016-12-23 |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589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6926B1 (ko) * | 2017-12-05 | 2018-04-19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트렌치 단면 기준선 설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트렌치 단면 분석 방법 |
KR20230007247A (ko) * | 2021-07-05 | 2023-01-12 | 박진일 | 동시 설치 가능한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6739Y1 (ko) | 2001-04-17 | 2001-10-26 | (주) 한국건설안전기술단 | 다리나 고가도로의 처짐을 측정하는 장치 |
KR101170898B1 (ko) * | 2012-05-04 | 2012-08-03 | (주)백산엔지니어링 | 변위 측정장치 |
KR101483779B1 (ko) * | 2014-11-28 | 2015-01-19 | 주식회사 대성건설이엔지 |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
-
2016
- 2016-12-23 KR KR1020160178200A patent/KR1017658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6739Y1 (ko) | 2001-04-17 | 2001-10-26 | (주) 한국건설안전기술단 | 다리나 고가도로의 처짐을 측정하는 장치 |
KR101170898B1 (ko) * | 2012-05-04 | 2012-08-03 | (주)백산엔지니어링 | 변위 측정장치 |
KR101483779B1 (ko) * | 2014-11-28 | 2015-01-19 | 주식회사 대성건설이엔지 |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6926B1 (ko) * | 2017-12-05 | 2018-04-19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트렌치 단면 기준선 설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트렌치 단면 분석 방법 |
WO2019112324A1 (ko) * | 2017-12-05 | 2019-06-13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트렌치 단면 기준선 설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트렌치 단면 분석 방법 |
US11487044B2 (en) | 2017-12-05 | 2022-11-01 |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s And Mineral Resources | Trench cross-section reference line setting device and trench cross-section analysis method using the same |
KR20230007247A (ko) * | 2021-07-05 | 2023-01-12 | 박진일 | 동시 설치 가능한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 |
KR102578272B1 (ko) | 2021-07-05 | 2023-09-12 | 박진일 | 동시 설치 가능한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65900B1 (ko) |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 |
KR101765886B1 (ko) |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 |
KR101765890B1 (ko) | 정밀측정이 가능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 |
KR101599903B1 (ko) | 교량 현장 재하 시험을 위한 변위계 설치 시스템 | |
KR101655424B1 (ko) | 교량 상부구조물 진동변위 측정용 장치 | |
KR101765887B1 (ko) | 측정정밀도 향상을 위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 |
US8402837B1 (en) | System for field testing helical piles | |
KR101765899B1 (ko) | 측정이 간편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 |
EP3124843A1 (en) | Method for installing a stationary support in a planned position | |
CN109306813B (zh) | 电力线杆纠偏矫正装置 | |
KR102014325B1 (ko) | 변위량 계측부재를 구비한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 | |
CN107036522B (zh) | 一种中小跨桥梁水上结构竖向位移测量装置和方法 | |
US10392879B2 (en) | Tong assembly with torque measurement | |
KR101947022B1 (ko) | 스트링긴장력조절수단을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장치 | |
CN106178317A (zh) | 安全绳锚固件 | |
CN104594397B (zh) | 可拆卸式管桩抗弯试验装置 | |
KR101403476B1 (ko) | 통합기준점 및 국가수준점의 수준 측량용 높낮이 조절 장치 | |
CN105974228A (zh) | 一种sf6充气柜测试专用工具 | |
JP2017090397A (ja) | 測定装置 | |
CN208419906U (zh) | 一种光纤光栅梁式水平错动传感器 | |
CN203807004U (zh) | 桁架臂和工程机械 | |
CN113932760A (zh) | 一种堆石坝内部变形监测管道装置及系统 | |
CN115117784B (zh) | 紧线系统 | |
CN220230502U (zh) | 一种坡度测量仪 | |
JP6239240B2 (ja) | 荷重測定計取り付け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