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0014A -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0014A
KR20140100014A KR1020130012672A KR20130012672A KR20140100014A KR 20140100014 A KR20140100014 A KR 20140100014A KR 1020130012672 A KR1020130012672 A KR 1020130012672A KR 20130012672 A KR20130012672 A KR 20130012672A KR 20140100014 A KR20140100014 A KR 20140100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ower case
fastening
upper cas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신
Original Assignee
김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신 filed Critical 김유신
Priority to KR1020130012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0014A/ko
Publication of KR20140100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6Deformable or tearable wires, strings, or strips; Use of seals, e.g. destructible locking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군가가 제품 케이스를 최초로 열거나, 제품 케이스에 압력을 가하면 제품 케이스가 부분적으로 파쇄될 수 있는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소정 형상의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의 측면에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벽(120)과,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바닥면(110) 또는/및 상기 바닥면(110)과 연접하는 임의의 측벽(120)에 형성되며, 상부방향에서 삽입되는 삽입체와 체결 및 결합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14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소정 물질 또는 제품을 보관하기 위한 소정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100)와;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상단부와 대응되어 조립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바(220)를 구비한 상부 케이스(200)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140)에 체결 및 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바(220)의 일부 또는 전체는 상기 하부 케이스(100) 또는/및 상기 상부 케이스(200)에 일정 압력이 가해지거나, 상기 하부 케이스(100) 또는 상기 상부 케이스(200)가 강제로 분리될 경우 파손된다.

Description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Products Case for Checking Whether it is opend or not}
본 발명은 제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초 제품 출시에 포장 및 보관된 상태를 최초 구매자 이외에 다른 사람이 이미 개폐하였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 케이스는 소정 물질이나 물체 등과 같은 내용물을 포장 및 보관하면서도 외부 충격으로부터 그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제품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소정 물체의 외형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수지로 제조된다.
이러한 제품 케이스는 카드, 휴대폰, 필기도구, 귀금속 등 많은 제품을 포장 및 보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백화점, 할인점, 인터넷 쇼핑몰 등에서 소정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 제품 케이스에 포장 및 보관되는 제품이 최초 포장된 제품이 아니고, 중고 제품이거나 위조 제품인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사회적으로 큰 무리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폐해를 줄이기 위해, 제품 케이스의 외부에 봉인을 하거나, 별도의 포장을 하는 등 제품 케이스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제품 케이스의 개폐여부를 속일 수 있는 방법들도 다양하게 진화되고 있어서 소비자의 불신을 완벽하게 해소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누군가가 제품 케이스를 최초로 열면 제품 케이스의 일부분이 용이하게 파쇄될 수 있는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군가가 제품 케이스를 최초로 열어서 제품 케이스의 특정 부분이 파쇄되어도 제품을 포장 및 보관하는 제품 케이스의 본래의 기능이 유지될 수 있는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제품을 포장 및 보관하기 위해 제품 케이스의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가 최초로 서로 체결 및 결합된 경우,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거나 스며들지 않도록 방수 기능이 강화된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사용자가 상부 케이스나 하부 케이스를 외측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압력을 가하여만 제품 케이스를 최초로 열어볼 수 있는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는, 소정 형상의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의 측면에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벽(120)과,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바닥면(110) 또는/및 상기 바닥면(110)과 연접하는 임의의 측벽(120)에 형성되며, 상부방향에서 삽입되는 삽입체와 체결 및 결합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14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소정 물질 또는 제품을 보관하기 위한 소정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100)와;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상단부와 대응되어 조립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바(220)를 구비한 상부 케이스(200)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140)에 체결 및 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바(220)의 일부 또는 전체는 상기 하부 케이스(100) 또는/및 상기 상부 케이스(200)에 일정 압력이 가해지거나, 상기 하부 케이스(100) 또는 상기 상부 케이스(200)가 강제로 분리될 경우 파손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는, 소정 형상의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의 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벽(120)과, 또는/및 상기 바닥면(110)과 연접하는 임의의 측벽(120)에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 방향에서 삽입되는 삽입체와 탄성적으로 체결 및 결합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체결부(14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소정 물질 또는 물체를 보관하기 위한 소정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100)와; 상기 상부 케이스(200)의 상단부와 대응되도록 조립되며, 상기 제1 체결부(140)와 탄성적으로 체결 및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체결부(230)를 구비한 상부 케이스(200)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체결부(140) 및 또는 상기 제2 체결부(230)의 일부 또는 전체는 상기 하부 케이스(100) 또는/및 상기 상부 케이스(200)에 일정 압력이 가해지거나, 상기 하부 케이스(100) 또는 상기 상부 케이스(200)가 강제로 분리될 경우 파손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는, 소정 형상의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의 측면에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벽(120)과, 상기 측벽(120)의 상단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단턱부(130)와,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바닥면(110) 또는/및 상기 바닥면(110)과 연접하는 임의의 측벽(120)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방향에서 삽입되는 삽입체를 수용하여 체결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18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소정 물질 또는 제품을 보관하기 위한 소정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100)와;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턱부(130)에 조립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210)와, 상기 상부 케이스(200)의 절곡부(210)의 내측 끝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바(220)를 구비한 상부 케이스(200)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180)에 체결 및 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바(220)는 상기 하부 케이스(100) 또는/및 상기 상부 케이스(200)에 일정 압력이 가해지거나, 상기 하부 케이스(100) 또는 상기 상부 케이스(200)가 강제로 분리될 경우 파손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누군가가 최초 출시된 제품 케이스를 최초로 열거나, 제품 케이스에 소정 압력을 가하면 제품 케이스의 일부가 파쇄된다. 따라서, 제품 케이스를 볼 수 있는 어떤 사람이라도 제품 케이스의 개폐 여부를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누군가가 제품 케이스를 최초로 열거나, 제품 케이스에 압력을 가하여 제품 케이스가 부분적으로 파쇄된 경우에도, 특정 제품을 포장 및 보관하는 제품 케이스의 본래의 기능을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최초 구매자는 자신이 최초 구매자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면서도 제품을 보관 할 수 있도록 제품 케이스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제품을 포장 및 보관하기 위해 제품 케이스의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가 최초로 서로 체결 결합된 경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연접부분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거나 스며들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품 케이스를 이용하여 포장 및 보관된 제품을 가지고 수영이나 목욕 등 물속에서 활동하여도 방수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부 케이스를 하부 케이스로부터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압력을 가하여만 제품 케이스를 최초로 열어볼 수 있다. 그 이유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이격 공간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조립 및 결합 되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상부 케이스의 특정 부분에 압력을 가하는 방식이 아니라 그 반대 개념이 적용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최초 체결 및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의 하부 케이스의 내부에 격벽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최초 체결 및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케이스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의 조립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최초 체결 및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하부 케이스(100),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에 개폐가능하도록 조립 및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200), 하부 케이스(100) 및 상부 케이스(200) 사이에 밀착 삽입되는 방수용 실(seal)(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의 형상이 직사각형체의 형상을 갖으나, 삼각형체, 정사각형체, 6각형체, 8각형체 등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특히 상부 케이스(200)의 형상이 하부 케이스(100)의 형상과 대칭되는 형상뿐만 아니라 비대칭 형상도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된 재질 또한 제품의 원형을 보존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 수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케이스(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바닥면(110)과, 바닥면(110)의 측면에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측벽(120)과, 측벽(120)의 상단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 단턱부(130)와, 하부 케이스(100)의 바닥면(110)과 임의의 측벽(120)이 연접하는 부분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 형상의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부방향에서 삽입되는 삽입체를 수용하여 체결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부(14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소정 물질 또는 제품을 포장 및 보관하기 위한 직사각형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체결부(140)가 하부 케이스(100)의 측벽(120) 중 장측벽의 내부 표면과 바닥면(110)이 연접하는 부분에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하부 케이스(100)에 총 4개의 체결부(140)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으나, 그 위치 및 수량에 대한 제한은 없다.
또한, 체결부(140)의 형상도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 예에서는 가운데에 사각형의 중공부가 형성된 사각 기둥체가 사용되고 있지만 그 형상에 대한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또한, 체결부(140)가 하부 케이스(100)의 임의의 측벽(120)과 바닥면(110)이 접하는 부분에서 측벽(120)과 바닥면(1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바닥면(110)과 독립적으로 측벽(1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그 반대로 측벽(120)과 독립적으로 바닥면(1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중공부가 형성된 체결부(140)에 형성된 중공부의 내벽에는 체결바(220)의 걸림부(221)와 잠금 결합되도록 형성된 잠금홀(141)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잠금홀(141)의 형상은 체결바(220)가 걸리도록 중공부의 일측 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었으나, 체결부(140)에 형성된 중공부의 내벽이 부분적으로 잠금용 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부 케이스(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00)의 상단부에 형성된 단턱부(130)에 대응되어 조립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210)와, 상부 케이스(200)의 절곡부(210)의 내측 끝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바(22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에서 제품 케이스의 전체 형상이 직사각형 조립체이므로, 절곡부(210)는 90도의 절곡각을 갖도록 형성되었으나, 상부 케이스(110)의 전체적인 형상에 따라 절곡각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바(220)는 하부 케이스(100)의 체결부(14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그 형성 위치 및 그 수량 또한 하부 케이스(100)의 체결부(140)와 체결 및 결합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수량, 위치가 다양하게 바꿀 수 있다.
여기서, 체결바(220)의 끝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고리 형상의 걸림부(221)가 형성되며, 체결바(220)의 걸림부(221)의 형상 또한 체결부(140)의 잠금홀(141)과 체결 및 결합되는 다양한 암수 체결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방수용 실(seal)(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00)의 단턱부(130)를 따라 전체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에 놓여지며, 하부 케이스(100)의 체결부(140)에 상부 케이스(200)의 체결바(220)이 체결 및 결합될 때 그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의 하부 케이스의 내부에 격벽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격벽부(150)는 하부 케이스(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하부 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서 체결부(140)를 제품 또는 내용물로부터 구분 또는 분리하기 위해 하부 케이스(100)의 바닥면(110)에서 상부 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격벽부(150)는 제품의 형상 및 재료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특정 내용물 또는 제품을 하부 케이스(100)의 내부에 넣은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100)의 단턱부(130)에 방수용 실(300)을 고정하고, 상부 케이스(200)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200)의 상부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00)에서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바(220)의 걸림부(221)가 상응하는 하부 케이스(100)의 체결부(140)에 형성된 잠금홀(141)에 각각 체결 및 결합된다.
따라서, 하부 케이스(100) 또는/및 상부 케이스(200)에 일정 압력이 가해지거나, 누군가가 하부 케이스(100) 또는 상부 케이스(200)를 강제로 분리할 경우, 체결바(220)의 일부가 용이하게 파손된다. 도 1의 하단부에 표시된 도면부호 221a는 사용자가 상부 케이스(200)와 하부 케이스(100)를 분리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200) 또는 하부 케이스(100)를 서로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소정 압력을 가했을 때 체결바(220)의 걸림부(221)가 파쇄된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
<제2 실시 예>
도 4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최초 체결 및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하부 케이스(100),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에 개폐가능하도록 조립 및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200), 하부 케이스(100) 및 상부 케이스(200) 사이에 밀착 삽입되는 방수용 실(seal)(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의 형상이 직사각형체의 형상을 갖으나, 삼각형체, 정사각형체, 6각형체, 8각형체 등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특히 상부 케이스(200)의 형상이 하부 케이스(100)의 형상과 대칭되는 형상뿐만 아니라 비대칭 형상도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된 재질 또한 제품의 원형을 보존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 수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케이스(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바닥면(110)과, 바닥면(110)의 측면에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측벽(120)과, 측벽(120)의 상단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 단턱부(130)와, 하부 케이스(100)의 바닥면(110) 중 임의의 측벽(120)이 연접하는 부분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 방향에서 삽입되는 삽입체와 탄성적으로 체결 및 결합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체결부(14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소정 물질 또는 제품을 포장 및 보관하기 위한 직사각형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제1 체결부(140)가 하부 케이스(100)의 측벽(120) 중 장측벽의 내부 표면과 바닥면(110)이 연접하는 부분에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하부 케이스(100)에 총 4개의 체결부(140)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으나, 그 위치 및 수량에 대한 제한은 없다.
또한, 제1 체결부(140)의 형상도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 예에서는 사각 체결바가 사용되고 있지만 그 형상에 대한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또한, 제1 체결부(140)가 하부 케이스(100)의 임의의 측벽(120)과 바닥면(110)이 접하는 부분에서 바닥면(1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제1 체결부(140)가 하부 케이스(100)의 임의의 측벽(1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체결부(140)의 끝단부에는 제2 체결부(230)와 탄성적으로 체결 및 결합되도록 일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용 돌기(151)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 케이스(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00)의 상단부에 형성된 단턱부(130)에 대응되어 조립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210)와, 상부 케이스(200)의 절곡부(210)의 내측 끝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제1 체결부(140)와 탄성적으로 체결 및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체결부(23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서는 제품 케이스의 전체 형상이 직사각형 조립체이므로, 절곡부(210)는 90도의 절곡각을 갖도록 형성되었으나, 상부 케이스(110)의 전체적인 형상에 따라 절곡각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서 제2 체결부(230)는 하부 케이스(100)의 제1 체결부(14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그 형성 위치 및 그 숫자 또한 하부 케이스(100)의 제1 체결부(140)와 체결 및 결합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그 형상, 수량 및 위치가 다양하게 바꿀 수 있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제2 체결부(230)의 끝단부에는 제1 체결부(140)의 체결용 돌기(151)와 탄성적으로 체결 및 결합되도록 일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용 돌기(231)가 형성된다.
또한, 체결바(220)의 걸림부(221)와 체결부(140)의 잠금홀(141)이 탄성적으로 체결 및 결합되는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방수용 실(seal)(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00)의 단턱부(130)를 따라 전체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에 놓여지며, 하부 케이스(100)의 체결부(140)에 상부 케이스(200)의 체결바(220)이 체결 및 결합될 때 그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특정 내용물 또는 제품을 하부 케이스(100)의 내부에 넣은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100)의 단턱부(130)에 방수용 실(300)을 고정하고, 상부 케이스(200)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200)의 상부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00)에서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체결부(230)의 걸림용 돌기(231)가 하부 케이스(100)의 제1 체결부(140)에 형성된 체결용 돌기(151)와 탄성적으로 각각 체결 및 결합된다.
따라서, 하부 케이스(100) 또는/및 상부 케이스(200)에 일정 압력이 가해지거나, 누군가가 하부 케이스(100) 또는 상부 케이스(200)를 강제로 분리할 경우, 제1 체결부(140) 및/또는 제2 체결부(230)의 일부가 용이하게 파손된다. 도 4의 하단부에 표시된 도면부호 231a는 사용자가 상부 케이스(200)와 하부 케이스(100)를 분리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200) 또는 하부 케이스(100)를 서로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소정 압력을 가했을 때 제2 체결부(230)의 걸림용 돌기(231)가 파쇄된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
<제3 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케이스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의 조립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네 번째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하부 케이스(100),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에 개폐가능하도록 조립 및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하부 케이스(1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형상의 바닥면(110)과, 바닥면(110)의 측면에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벽(120)과, 측벽(120)의 상단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단턱부(130)와, 하부 케이스(100)의 임의의 측벽(120)의 내부에 상부방향에서 삽입되는 삽입체를 수용하여 체결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18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소정 물질 또는 제품을 보관하기 위한 소정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상부 케이스(2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0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턱부(130)에 대응되어 조립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210)와, 상부 케이스(200)의 절곡부(210)의 내측 끝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바(220)를 구비한다.
여기서, 체결바(220)의 일측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탄성 걸림돌기(223)가 형성되며, 탄성 걸림돌기(223)는 하부 케이스(100)의 내벽에 슬라이딩 접촉될 때는 탄성적으로 수축된 형상을 유지하고, 체결부(180)의 체결 및 결합된 상태에서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탄성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세 번째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특정 내용물 또는 제품을 하부 케이스(100)의 내부에 넣은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200)를 하부 케이스(100)의 상단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200)의 상부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00)에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체결바(220)의 탄성 걸림돌기(223)가 하부 케이스(100)의 측벽(120)의 내부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부(180)와 각각 체결 및 결합된다.
따라서, 하부 케이스(100) 또는/및 상부 케이스(200)에 일정 압력이 가해지거나, 누군가가 하부 케이스(100) 또는 상부 케이스(200)를 강제로 분리할 경우, 상부 케이스의 체결바(220)의 탄성 걸림돌기(223)이 용이하게 파손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실시예 보다 상대적으로 밀폐성은 떨어지지만, 최초 개폐자가 개폐 여부를 더욱 확실하게 판단 할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하부 케이스 110 : 바닥면
120 : 측벽 130 : 단턱부
140 : 체결부 150 : 격벽부
160 : 수용부 180 : 체결부
200 : 상부 케이스 210 : 절곡부
220 : 체결바 230 : 체결부
250 : 핀 손잡이부 300 : 방수용

Claims (9)

  1. 소정 형상의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의 측면에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벽(120)과,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바닥면(110) 또는/및 상기 바닥면(110)과 연접하는 임의의 측벽(120)에 형성되며, 상부방향에서 삽입되는 삽입체와 체결 및 결합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14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소정 물질 또는 제품을 보관하기 위한 소정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100)와;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상단부와 대응되어 조립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바(220)를 구비한 상부 케이스(200)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140)에 체결 및 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바(220)의 일부 또는 전체는 상기 하부 케이스(100) 또는/및 상기 상부 케이스(200)에 일정 압력이 가해지거나, 상기 하부 케이스(100) 또는 상기 상부 케이스(200)가 강제로 분리될 경우 파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100)와 상기 상부 케이스(200)이 조립되기 위해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 삽입되는 방수용 실(seal)(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수용 공간에서 상기 체결부(140)를 구분 또는 분리하기 위해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바닥면(110)에서 상부 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격벽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220)의 끝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고리 형상의 걸림부(221)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가 형성된 상기 체결부(140)의 내벽에는 상기 걸림부(221)와 잠금 결합되도록 형성된 잠금홀(1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
  5. 소정 형상의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의 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벽(120)과, 또는/및 상기 바닥면(110)과 연접하는 임의의 측벽(120)에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 방향에서 삽입되는 삽입체와 탄성적으로 체결 및 결합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체결부(14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소정 물질 또는 물체를 보관하기 위한 소정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100)와;
    상기 상부 케이스(200)의 상단부와 대응되도록 조립되며, 상기 제1 체결부(140)와 탄성적으로 체결 및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체결부(230)를 구비한 상부 케이스(200)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체결부(140) 및 또는 상기 제2 체결부(230)의 일부 또는 전체는 상기 하부 케이스(100) 또는/및 상기 상부 케이스(200)에 일정 압력이 가해지거나, 상기 하부 케이스(100) 또는 상기 상부 케이스(200)가 강제로 분리될 경우 파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100)와 상기 상부 케이스(200)이 조립되기 위해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 삽입되는 방수용 실(seal)(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140)의 끝단부에는 상기 제2 체결부(230)와 탄성적으로 체결 및 결합되도록 일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용 돌기(15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230)의 끝단부에는 상기 체결용 돌기(151)와 탄성적으로 체결 및 결합되도록 일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용 돌기(2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
  8. 소정 형상의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의 측면에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벽(120)과, 상기 측벽(120)의 상단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단턱부(130)와,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바닥면(110) 또는/및 상기 바닥면(110)과 연접하는 임의의 측벽(120)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방향에서 삽입되는 삽입체를 수용하여 체결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18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소정 물질 또는 제품을 보관하기 위한 소정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100)와;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턱부(130)에 대응되어 조립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210)와, 상기 상부 케이스(200)의 절곡부(210)의 내측 끝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바(220)를 구비한 상부 케이스(200)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180)에 체결 및 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바(220)는 상기 하부 케이스(100) 또는/및 상기 상부 케이스(200)에 일정 압력이 가해지거나, 상기 하부 케이스(100) 또는 상기 상부 케이스(200)가 강제로 분리될 경우 파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220)의 일측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탄성 걸림돌기(223)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 걸림돌기(223)는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내벽에 슬라이딩 접촉될 때는 탄성적으로 수축된 형상을 유지하고, 상기 체결부(180)의 체결 및 결합된 상태에서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
KR1020130012672A 2013-02-05 2013-02-05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 KR20140100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672A KR20140100014A (ko) 2013-02-05 2013-02-05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672A KR20140100014A (ko) 2013-02-05 2013-02-05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014A true KR20140100014A (ko) 2014-08-14

Family

ID=51746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672A KR20140100014A (ko) 2013-02-05 2013-02-05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00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779B1 (ko) * 2014-11-28 2015-01-19 주식회사 대성건설이엔지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CN114030731A (zh) * 2020-10-17 2022-02-11 深圳市摩码赢联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伪扣体结构的包装盒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779B1 (ko) * 2014-11-28 2015-01-19 주식회사 대성건설이엔지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CN114030731A (zh) * 2020-10-17 2022-02-11 深圳市摩码赢联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伪扣体结构的包装盒
CN114030731B (zh) * 2020-10-17 2024-05-10 深圳市摩码赢联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伪扣体结构的包装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0703B1 (en) Pill container
US20180229545A1 (en) Paint brush storage and protection device
US20120067889A1 (en) Padlock container structure
US9567141B2 (en) Container with a child-proof lock
KR20140100014A (ko)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
EP3438385B1 (en) Lock for transportable containers, such as trunks, suitcases, cases, trolleys and the like
CN110464099A (zh) 餐具便携盒
KR101982803B1 (ko) 다중 밀폐구조를 가지는 방수팩
US10035636B1 (en) Framed display packaging for a product
JP4799110B2 (ja) キャップ
JP2011131913A (ja) 機能拡張したウェットティッシュ等の容器
KR200387534Y1 (ko) 인조손톱 케이스
JP4989717B2 (ja) 包装容器
KR200468664Y1 (ko) 지퍼를 갖는 용기
JP2007314230A (ja) 包装用箱
JP3205205U (ja) 包装用容器
TWM572353U (zh) Housing box
GB2413315A (en) Container having an opening means
JP6370555B2 (ja) ティッシュケース
KR101004997B1 (ko) 디스플레이가 용이한 포장용 상자
KR200447521Y1 (ko) 포장용 상자
KR20090028888A (ko) 포장용 상자
JP3218819U (ja) 袋物用口金及び袋物
KR100737423B1 (ko) 분리형 손잡이부가 장착된 인조손톱 보관용기
KR200472549Y1 (ko) 출입 통제용 rf카드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