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664Y1 - 지퍼를 갖는 용기 - Google Patents

지퍼를 갖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664Y1
KR200468664Y1 KR2020110005076U KR20110005076U KR200468664Y1 KR 200468664 Y1 KR200468664 Y1 KR 200468664Y1 KR 2020110005076 U KR2020110005076 U KR 2020110005076U KR 20110005076 U KR20110005076 U KR 20110005076U KR 200468664 Y1 KR200468664 Y1 KR 2004686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pper
support
hook
connecting rod
bran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0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660U (ko
Inventor
이병국
서나래
차규환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20201100050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664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6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6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6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6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용기는, 내부에 수납공간과 외부와 통하는 개구부를 갖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제1 지퍼부, 및 상기 수납부의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 지퍼부와 결합되는 제2 지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퍼부는 상기 수납부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제1 연결대, 및 상기 제1 연결대로부터 분기된 삽입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지퍼부는 상기 수납부의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제2 연결대, 및 상기 제2 연결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삽입부와 체결되고, 상기 삽입부와 체결되는 부분 중 일부분이 상기 삽입부와 이격되어 공극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퍼를 갖는 용기{CONTAINER WITH ZIPPER}
본 고안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분말 형상의 제품을 지퍼로 수납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는 제품의 특성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그 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발효성 식품은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되지 않도록 보관 및 포장될 수 있고, 분말 형상의 제품은 마개 대신에 지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보관 및 포장될 수 있다.
한편, 분말 형상의 제품이 지퍼형식의 용기에 보관되어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지퍼가 다수의 삽입부들 및 이들과 일대일 대응하는 다수의 수용부들이 촘촘하게 체결되므로, 분말이 삽입부 및 수용부 사이에 유입되어 지퍼의 개폐 동작에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분말 형상의 제품을 지퍼로 수납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용기는, 내부에 수납공간과 외부와 통하는 개구부를 갖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제1 지퍼부, 및 상기 수납부의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 지퍼부와 결합되는 제2 지퍼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지퍼부는, 상기 수납부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제1 연결대, 및 상기 제1 연결대로부터 분기된 삽입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지퍼부는 상기 수납부의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제2 연결대, 및 상기 제2 연결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삽입부와 체결되고, 상기 삽입부와 체결되는 부분 중 일부분이 상기 삽입부와 이격되어 공극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지퍼 형식의 용기를 이용하여 분말 형상의 내용물을 보관 및 사용하더라도, 지퍼부의 삽입부 및 이와 결합되는 결합부에 공극이 형성되어 분말이 지퍼부에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지퍼를 이용하여 용기를 반복하여 개폐하더라도, 지퍼부의 작동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제1 지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1의 제2 지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c는 도 1의 제1 지퍼부와 제2 지퍼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통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다만,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변형될 수도 있다. 오히려, 아래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에 의해 개시된 기술 사상을 보다 명확히 하고 나아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청구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한편, 하기 실시예와 함께 제시된 도면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서 다소 간략화 되거나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용기(100)는 수납부(30) 및 지퍼부(8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100)는 그 내부에 분말형태의 내용물을 포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30)는 그 내부에 수납공간 및 외부와 통하는 개구부(45)를 갖는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납부(30)는 파우치(pouch)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편의상, 상기 수납부(30)를 제1 수납부(10) 및 제2 수납부(20)로 구분하면, 상기 제1 및 제2 수납부들(10, 20)은 상기 지퍼부(80)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45)가 닫히거나, 서로 분리되어 상기 개구부(45)가 열릴 수 있다.
상기 지퍼부(80)는 제1 지퍼부(40), 제2 지퍼부(50), 및 지퍼홀더(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지퍼부(40)는 상기 개구부(45)와 인접한 제1 수납부(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2 지퍼부(50)는 상기 개구부(45)와 인접한 제2 수납부(20)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퍼홀더(60)는 상기 제1 및 제2 지퍼부(40, 50)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지퍼부(40)의 다수의 삽입부들 및 상기 제2 지퍼부(50)의 다수의 수용부들을 일대일 대응하여 서로 결합시키거나, 결합을 해체시킨다. 상기 지퍼부(80)의 구조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2a 내지 도 2c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2a는 도 1의 제1 지퍼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1의 제2 지퍼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2c는 도 1의 제1 지퍼부와 제2 지퍼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2a 및 도 2c를 참조하면, 제1 지퍼부 (40)는 제1 연결대(41) 및 상기 제1 연결대(41)로부터 분기된 다수의 삽입부들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다수의 삽입부들의 구조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다수의 삽입부들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제1 삽입부(A1)의 구조를 그 예로서 설명하고, 나머지 삽입부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제1 연결대(41)는 제1 수납부(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삽입부(A1)는 상기 제1 연결대(41)로부터 분기된다.
상기 제1 삽입부(A1)는 지지부(42), 제1 후크부(44), 제2 후크부(43) 및 돌출부(46)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42)는 상기 제1 연결대(41)의 길이 방향인 제1 방향(D1)과 수직인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연결대(41)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제1 및 제2 후크부들(44, 43)과 상기 돌출부(46)를 상기 제1 연결대(41)에 지지시킨다.
상기 제1 후크부(44)는 상기 제2 후크부(43) 보다 용기(도 1의 100)의 수납공간과 인접하고, 상기 제1 후크부(44)는 상기 지지부(42)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경사진 제4 방향(D4)으로 분기된 후크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후크부(44) 및 제1 수용부(B1)의 제1 걸림부(54) 간의 체결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D2)과 나란한 중심선(CL)을 정의하면, 상기 제2 후크부(43)는 상기 중심선(CL)에 대하여 상기 제1 후크부(44)와 마주하여 제1 수용부(B1)의 제2 걸림부(57)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2 후크부(43)는 상기 지지부(42)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경사진 제3 방향(D3)으로 분기된 후크 형상을 갖는다.
한편, 상기 제1 후크부(44)가 분기된 제4 방향(D4)은 상기 중심선(CL)과 예각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1 후크부(44)와 제1 걸림부(54)가 서로 체결 시, 용기의 수납공간의 압력에 의해 그 체결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예각은 약 65도 내지 약 80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후크부(43)가 분기된 제3 방향(D3)은 상기 중심선(CL)과 둔각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2 후크부(43)와 제2 걸림부(57)가 서로 체결 시, 사용자가 용기의 외부 방향에서 용기를 보다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둔각은 약 105도 내지 약 120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6)는 상기 중심선(CL) 상에서 상기 제1 삽입부(A1)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돌출부(46)에서 상기 중심선(CL) 상에 있는 부분은 각진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삽입부(A1)가 제1 수용부(B1)의 제1 및 제2 걸림부들(54, 57) 사이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제1 지퍼부(50)는 제2 연결대(51) 및 상기 제2 연결대(51)로부터 분기된 다수의 수용부들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다수의 수용부들의 구조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다수의 수용부들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제1 수용부(B1)의 구조를 그 예로서 설명하고, 나머지 수용부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제2 연결대(51)는 제2 수납부(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수용부(B1)는 상기 제2 연결대(51)로부터 분기된다.
상기 제1 수용부(B1)는 제1 절곡부(52), 제2 절곡부(56), 제1 걸림부(54), 및 제2 걸림부(57)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들(52, 56) 각각은 상기 걸림부(54)로부터 분기되되,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들(52, 56) 사이에 제1 및 제2 후크부들(44, 43)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들(52, 56)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된다.
상기 제1 걸림부(54)는 상기 제1 절곡부(52)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걸림부(57)은 상기 제2 절곡부(56)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걸림부들(54, 57)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걸림부(54)가 연장되는 방향은 지지부(42)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제2 방향(D2)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약 40도 내지 약 50도로 회전된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2 걸림부(52)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제2 방향(D2)을 기준으로 시계방향(D2)으로 약 40도 내지 약 50도 회전된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1 삽입부(A1) 및 제2 수용부(B1)가 결합된 상태를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c를 참조하면, 제1 지퍼부(40)의 제1 삽입부(A1) 및 제2 지퍼부(50)의 제1 수용부(B1)가 상호 간에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후크부들(44, 43)과 돌출부(46)는 제1 및 제2 걸림부들(54, 57)들 사이로 삽입된다. 이 때, 앞서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각진 형상의 돌출부(46)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후크부들(44, 43)이 상기 제1 및 제2 걸림부들(54, 57) 사이로 보다 용이하게 가이드 되어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및 제2 절곡부들(52, 56) 내부에 상기 제1 및 제2 후크부들(44, 43)이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걸림부들(54, 57) 및 상기 제1 및 제2 후크부들(44, 43)이 일대일 대응하여 체결된다.
한편, 앞서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및 제2 걸림부들(54, 57)의 형상에 의해, 상기 제1 걸림부(54)는 상기 제1 연결대(41) 및 상기 지지부(42)와 접촉되는 동시에 지지부(42)가 제1 연결대(41)로부터 분기되는 부분과 이격되어 제1 공극(53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걸림부(57)는 상기 제1 연결대(41) 및 상기 지지부(42)와 접촉되는 동시에 지지부(42)가 제1 연결대(41)로부터 분기되는 부분과 이격되어 제2 공극(53B)이 형성된다.
또한, 앞서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및 제2 후크부들(54, 53)의 형상에 의해, 상기 제1 걸림부(54)는 상기 지지부(42)로부터 상기 제1 후크부(54)가 분기되는 부분과 이격되어 제3 공극(58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부(57)는 상기 지지부(42)로부터 상기 제2 후크부(43)가 분기되는 부분과 이격되어 제4 공극(58B)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공극(53A), 상기 제2 공극(53B), 상기 제3 공극(58A) 및 상기 제4 공극(58B) 각각은 빈 공간으로 정의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지퍼부들(40, 50)이 상호 결합 시, 상기 제1 내지 제4 공극들(53A, 53B, 58A, 58B)에 의해 수납부(도 1의 30)에 수납된 분말 형상의 내용물이 상기 제1 및 제2 지퍼부들(40, 50) 사이에 끼는 현상이 최소화된다.
즉, 일반적으로 분말 형상의 내용물을 수납하는 지퍼 형식의 수납부는 상기 내용물이 지퍼부에 끼여 지퍼부의 작동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지퍼부들(40, 5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제1 내지 제4 공극(53A, 53B, 58A, 58B)이 형성되므로, 분말 형상의 내용물이 상기 제1 및 제2 지퍼부들(40, 50) 측으로 제공되더라도, 상기 내용물은 상기 제1 내지 제4 공극(53A, 53B, 58A, 58B)을 통해 다시 외부로 빠져나가 상기 내용물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지퍼부들(40, 50)의 작동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의 청구범위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0: 수납부 60: 지퍼부
40: 제1 지퍼부 50: 제2 지퍼부
A1: 제1 삽입부 B1: 제1 수용부
44: 제1 후크부 43: 제2 후크부
52: 제1 절곡부 56: 제2 절곡부
54: 제1 걸림부 57: 제2 걸림부
46: 돌출부 53A: 제1 공극
53B: 제2 공극 58A: 제3 공극
58B: 제4 공극 100: 용기

Claims (8)

  1. 내부에 수납공간 및 외부와 통하는 개구부를 갖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제1 지퍼부; 및
    상기 수납부의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 지퍼부와 결합되는 제2 지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퍼부는,
    상기 수납부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제1 연결대;
    상기 제1 연결대로부터 분기된 삽입부;
    상기 제1 연결대로부터 분기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끝단의 확장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퍼부는,
    상기 수납부의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제2 연결대; 및
    상기 제2 연결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삽입부와 체결되고, 상기 삽입부와 체결되는 부분 중 일부분이 상기 삽입부와 이격되어 공극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의 측부는 내측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수용부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단면상에서 그 중심이 각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퍼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분기되어 후크 형상을 갖는 제1 후크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분기되어 후크 형상을 갖고,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후크부와 마주하는 제2 후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퍼부는,
    상기 수납부의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제2 연결대;
    상기 제2 연결대와 결합되는 제1 절곡부;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절곡부와 대칭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절곡부와 함께 상기 제1 및 제2 후크부들을 수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후크부들과 체결되는 제2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로부터 상기 지지부를 향해 연장된 제1 걸림부; 및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걸림부와 대칭하는 형상을 갖는 제2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연결대로부터 상기 지지부가 분기되는 부분에 제1 공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연결대로부터 상기 지지부가 분기되는 부분에 제2 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 각각과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과 형성하는 각은 40도 내지 5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1 후크부가 분기되는 부분과 이격되어 제3 공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2 후크부가 분기되는 부분과 이격되어 제4 공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부는 상기 제2 후크부 보다 상기 수납공간과 인접하고, 상기 제1 후크부가 분기된 방향은 상기 지지부의 길이 방향과 예각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후크부가 분기된 방향은 상기 지지부의 길이 방향과 둔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삭제
KR2020110005076U 2011-06-08 2011-06-08 지퍼를 갖는 용기 KR2004686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076U KR200468664Y1 (ko) 2011-06-08 2011-06-08 지퍼를 갖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076U KR200468664Y1 (ko) 2011-06-08 2011-06-08 지퍼를 갖는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660U KR20120008660U (ko) 2012-12-18
KR200468664Y1 true KR200468664Y1 (ko) 2013-08-27

Family

ID=51399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076U KR200468664Y1 (ko) 2011-06-08 2011-06-08 지퍼를 갖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66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585Y1 (ko) 2017-06-09 2017-10-23 우창억 기능성 지퍼의 결합구조
KR20240012811A (ko) * 2022-07-21 2024-01-30 주식회사 스탠드팩 세이프 가드 지퍼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207A (ja) * 2000-03-28 2001-11-13 Illinois Tool Works Inc <Itw> 雌の形状を貫通する開口を有する再閉止可能な容器のためのジッパー
JP2007190324A (ja) * 2006-01-23 2007-08-02 C I Kasei Co Ltd 嵌合具および嵌合具付き袋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207A (ja) * 2000-03-28 2001-11-13 Illinois Tool Works Inc <Itw> 雌の形状を貫通する開口を有する再閉止可能な容器のためのジッパー
JP2007190324A (ja) * 2006-01-23 2007-08-02 C I Kasei Co Ltd 嵌合具および嵌合具付き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660U (ko) 201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588B1 (ko) 포장용 종이상자
KR200468664Y1 (ko) 지퍼를 갖는 용기
KR101982299B1 (ko)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
JPWO2016151812A1 (ja) ヒンジリッド付き箱型パッケージを収納する収納ケース
US8839491B2 (en) Handle assembly for an airtight container
US11325769B2 (en) Cushioning packaging material
CN105383790A (zh) 系链
KR200419374Y1 (ko) 뚜껑을 보관할 수 있는 포장용기
KR20120001358U (ko) 종이팩용 봉입부 잠금장치
US9868576B2 (en) Plastic package with an open reminder
KR200477098Y1 (ko) 덮개에 스토퍼가 부가된 포장용 케이스
CN207417448U (zh) 磁碟包装盒
KR101289408B1 (ko) 접이식 포장 상자
KR200488246Y1 (ko) 포장용 파우치
KR200453254Y1 (ko) 이탈방지고리가 구비된 포장용 박스
KR200477901Y1 (ko) 종이포장용기
KR20140100014A (ko)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
KR200447521Y1 (ko) 포장용 상자
CN209973001U (zh) 包装盒及茶叶礼盒
KR20180115370A (ko) 지퍼팩용 지퍼
CN218259196U (zh) 包装盒
KR200492438Y1 (ko) 서적 포장용 박스
KR200489029Y1 (ko) 상품 포장용 상자
KR20150068751A (ko) 포장용 상자
KR200400455Y1 (ko) 봉인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