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55Y1 - 봉인구 구조 - Google Patents

봉인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55Y1
KR200400455Y1 KR20-2005-0023390U KR20050023390U KR200400455Y1 KR 200400455 Y1 KR200400455 Y1 KR 200400455Y1 KR 20050023390 U KR20050023390 U KR 20050023390U KR 200400455 Y1 KR200400455 Y1 KR 2004004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ent
locking wire
jaw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실
Original Assignee
이윤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실 filed Critical 이윤실
Priority to KR20-2005-00233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4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3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 G09F3/0305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 G09F3/0347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having padlock-type sealing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봉인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결합홈(21) 내측에 직각을 이루어 계단식 배열되는 제1걸림턱(22a)(22b) 및 제2걸림턱(23a)(23b)이 형성된 본체(20)와; 절곡부(33)(33')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평으로 형성되고, 그 절곡부(33)(33')가 누름동작시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밀착되는 록킹와이어(30)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와이어(30)의 절곡부(33)(33')중 일측의 절곡부(33')에 노치부(35)가 구비되는 봉인구 구조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본체(20)의 결합홈(21)에 직각을 이루어 형성된 제1걸림턱(22b) 및 제2걸림턱(23a)들에 록킹와이어(30)의 결합부(34)가 견고히 지지되어 록킹와이어(30)가 쉽게 빠지지 않으며, 누름동작에 의해 결합부(34)가 제1걸림턱(22b) 및 제2걸림턱(23a)에 걸림지지되면서 "딸깍"하는 소리가 발생되어 소리만으로 봉인구(100)의 잠김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노치부(35)가 절단되어 봉인구(100)가 해제되어도 록킹와이어(30)가 본체(20)에 붙어있으므로 기내용 카트내의 식자재 등이 록킹와이어(30)가 떨어짐으로 인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며, 봉인구(100)를 조작하려 할시 노치부(35)가 절단되므로 상자의 개폐여부가 확인되고, 이에 따라 상자 내의 내용물이 분실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봉인구 구조 {structure of padlock seal}
본 고안은 봉인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안상자, 화물상자, 기내용 카트 등에 봉인되는 봉인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안상자, 컨테이너 등과 같은 화물상자, 기내용 식자재 카트 등에는 내부에 수납된 물품의 보관 및 분실방지를 위해 봉인구가 체결되어 봉인된다.
종래의 봉인구 구조는, 도1과 같이 본체(2)와, 록킹와이어(6)로 대분되며, 본체(2)의 중심부 양측에는 결합홈(3)(3')이 형성되며, 결합홈(3)(3')의 내측 일면에는 하측으로 계단식 배열되는 제1걸림턱(4a)(4b), 제2걸림턱(5a)(5b)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걸림턱(4a)(4b) 및 제2걸림턱(5a)(5b)은 도2와 같이 하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록킹와이어(6)는 수평의 누름부(7)와, 상기 누름부(7) 양단에 수직연장된 연장부(8)와, 상기 연장부(8)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절곡되는 절곡부(9)와, 상기 절곡부(9)에서 연장되어 하향경사지고 상기 본체(2)의 결합홈(3)에 결합되는 결합부(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절곡부(9)는 내측방으로 경사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며, 한쌍의 절곡부(9)의 중앙에는 동일하게 노치부(11)가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봉인구 구조는, 록킹와이어(6)의 누름 동작에 의해 도2와 같이 결합부(10)가 결합홈(3)(3') 내의 걸림턱(5a)(4b)들에 각각 걸림지지되어 록킹와이어(6)가 본체(2)에 잠겨진다.
그런데 종래의 봉인구 구조는 걸림턱(4a)(4b)(5a)(5b)들이 하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므로 걸림턱(5a)(4b)들에 걸림지지되는 록킹와이어(6)의 결합부(10)가 확실히 지지되지 못하며, 이에 따라 본체(2)와 록킹와이어(6)를 억지로 분리하기 위해 본체(2)를 잡아당기면 록킹와이어(6)의 결합부(10)는 경사진 걸림턱(5a)(4b)들에서 상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것과 같은 작용으로 쉽게 이탈되어 록킹와이어(6)가 본체(2)로 부터 쉽게 분리되었다.
이에 따라, 보안상자나, 화물상자의 관계자가 아닌 타인이 절도를 위해 봉인구(1)를 조작하기가 쉬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봉인된 봉인구(1)를 해제할시 본체(2)를 파지하여 록킹와이어(6)가 꺽이도록 하측으로 힘있게 누르면 록킹와이어(6)의 한쌍의 절곡부(9)에 동일하게 형성된 노치부(11)가 동시에 절단되면서 도3과 같이 록킹와이어(6)가 본체(2)로 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그런데 종래의 봉인구(1)가 기내용 식자재 카트 등에 봉인되었을시 상술한 바와 같이 봉인을 해제하면 록킹와이어(6)가 본체(2)로부터 완전히 분리됨에 따라 록킹와이어(6)가 수납된 식자재 등에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절단된 록킹와이어(6)에 의해 식자재가 오염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봉인상태가 견고하고, 봉인해제시 일측만이 봉인해제되도록 한 봉인구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봉인구 구조는, 중심부 양측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가지며, 일면에 색인부를 가지는 직육면체의 본체와; 수평의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양단에 수직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에서 연장되어 하향경사지고 상기 본체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록킹와이어로 이루어지는 봉인구 구조에 있어서, 결합홈 내측에 직각을 이루어 계단식 배열되는 제1걸림턱 및 제2걸림턱이 형성된 본체와; 절곡부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평으로 형성되고, 그 절곡부가 누름동작시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밀착되는 록킹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봉인구 구조의 다른 특징은, 상기 록킹와이어의 절곡부중 일측의 절곡부에 노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체의 결합홈에 직각을 이루어 형성된 제1걸림턱 및 제2걸림턱들에 록킹와이어의 결합부가 견고히 지지되어 록킹와이어가 쉽게 빠지지 않으며, 누름동작에 의해 결합부(34)가 제1걸림턱 및 제2걸림턱에 걸림지지되면서 "딸깍"하는 소리가 발생되어 소리만으로 봉인구의 잠김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노치부가 절단되어 봉인구가 해제되어도 록킹와이어가 본체에 붙어있으므로 기내용 카트내의 식자재 등이 록킹와이어가 떨어짐으로 인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며, 봉인구를 조작하려 할시 노치부가 절단되므로 상자의 개폐여부가 확인되고, 이에 따라 상자 내의 내용물이 분실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 봉인구 구조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봉인구의 봉인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로써, 본 고안 봉인구 구조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와, 록킹와이어(30)로 대분된다.
먼저, 본체(20)는 중심부 양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결합홈(21)(21')을 가진다.
그리고 결합홈(21)의 중심측 일측면에는 계단식으로 배열되는 제1걸림턱(22a)(22b), 제2걸림턱(23a)(23b)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제1걸림턱(22a)(22b), 제2걸림턱(23a)(23b)은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도5와 같이 직각을 이루어서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20)의 외부 일면에는 일련번호 등이 기재되는 색인부(24)를 가진다.
록킹와이어(30)는, 상단에 수평의 누름부(31)가 형성되고, 그 양단에는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는 연장부(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연장부(32)의 하측에는 그 하단에서 연장되어 절곡되는 절곡부(33)(33')가 형성되는바, 그 절곡부(33)(33')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직각을 이루어 수평으로 절곡형성되며, 록킹와이어(30)의 누름 동작시 절곡부(33)(33')는 본체(20)의 상단에 밀착되어 록킹와이어(30)가 하측으로 더 내려가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절곡부(33)(33') 각각의 하측에는 그 단부에서 연장되어 하향경사지는 결합부(34)가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부(34)는, 길게 연장형성되는 제1결합부(34a)와, 제1결합부(34a)보다 짧게 형성되는 제2결합부(34c)로 이루어지며, 이들 각각의 하단에는 결합홈(21)의 제1걸림턱(22a)(22b) 및 제2걸림턱(23a)에 걸림지지되는 걸림쇠(34b)(34d)가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한쌍의 절곡부(33)(33')중 일측의 절곡부(33')에는 노치부(35)가 형성되는바, 이는 일측의 절곡부(33')에만 형성되며 절곡부(33')와 결합부(34)를 잇는 절곡부(33')의 모서리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봉인구 구조는, 보안상자, 화물상자 등의 상자를 봉인하는데 사용되며, 항공기의 기내판매용 제품이나, 기내식으로 제공되는 식자재 등이 담겨진 카트를 봉인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록킹와이어(30)의 결합부(34)가 본체(20)의 결합홈(21)에 결합되어지는바, 긴 길이의 제1결합부(34a)는 대응되는 결합홈(21)의 제1걸림턱(22a)에 걸림쇠(34b)가 걸림지지되고, 짧은 길이의 제2결합부(34c)는 그 하부가 대응되는 결합홈(21')의 단부에 살짝 끼워진 상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자를 봉인할시 록킹와이어(30)의 제2결합부(34c)를 결합홈(21)에서 분리하고 제2결합부(34c)를 상자의 잠금고리에 끼워서 봉인구(100)를 잠금고리에 결속한다.
그리고 제2결합부(34c)를 다시 대응되는 결합홈(21')에 최초 상태로 끼운 후, 록킹와이어(30)의 상단 누름부(31)를 눌러서 결합부(34)가 본체(20)에 완전히 결합 되도록 하여 상자를 봉인한다.
여기서, 누름부(31)를 누르면 도6과 같이 대응 결합홈(21)의 제1걸림턱(22a)에 걸림쇠(34b)가 지지되었던 제1결합부(34a)가 하측으로 눌러지면서 제1걸림턱(22a) 하측의 제2걸림턱(23a)에 걸림쇠(34b)가 걸림지지되고, 제2결합부(34c)는 누름부(31)가 눌러지면서 대응 결합홈(21')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하부의 걸림쇠(34d)가 제1걸림턱(22b)에 걸림지지된다.
이때, 제1결합부(34a)와 제2결합부(34c)가 각각에 대응되는 결합홈(21)의 제2걸림턱(23a) 및 제1걸림턱(22b)에 지지될시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지지되며, 이는 제1걸림턱(22a)(22b) 및 제2걸림턱(23a)(23b)들이 직각을 이루어 형성됨에 따라 제1결합부(34a) 및 제2결합부(34c)의 걸림쇠(34b)(34d)가 걸림턱(22b)(23a)들의 상부측 면에서 벗어나서 제2걸림턱(23a) 및 제1걸림턱(22b)에 탄성적으로 부딪히면서 소리가 나게 되는 것이고, 그 소리만으로도 록킹와이어(30)가 본체(20)에 확실히 잠겨진 것을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절곡부(33)(33')는 본체(20)의 상단에 밀착되면서 록킹와이어(30)가 더이상 하측으로 눌러지지 않도록 제한된다.
이에 따라, 절곡부(33)(33')는 록킹와이어(30)의 스톱퍼 역할을 하면서 제1결합부(34a) 및 제2결합부(34c)가 각각에 대응되는 제2걸림턱(23a) 및 제1걸림턱(22b)에 정확히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1결합부(34a) 및 제2결합부(34c)가 대응되는 걸림턱(23a)(22b)들에서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록킹와이어(30)가 본체(20)에 잠겨진 상태에서 봉인된 상자의 내용물 확인을 위해 관계자가 상자를 개봉할시는 본체(20)를 파지한 후 록킹와이어(30)가 꺽이도록 누르면 도7과 같이 제2결합부(34c)와 절곡부(33') 사이의 노치부(35)가 부러지면서 록킹와이어(30)가 절단되어 상자의 봉인이 해제된다.
이때, 노치부(35)는 일측의 절곡부(33')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록킹와이어(30)의 일측만이 절단되며, 이에 따라 록킹와이어(30)는 일측의 제1결합부(34a)에 의해 본체(20)에 붙어있는 상태로 봉인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기내용 식자재 카트 등에 봉인된 본 고안에 따른 봉인구(100)를 해제할시 록킹와이어(30)가 본체(20)에 붙은 상태로 절단되므로 봉인된 상태에서 봉인구를 해제하면 록킹와이어가 본체로 부터 완전히 절단되어 식자재에 절단된 록킹와이어가 떨어져서 식자재를 오염시켰던 종래의 문제가 해결된다.
한편, 봉인된 상태의 상자를 관계자가 아닌 타인이 개봉할시 록킹와이어(30)를 분리하고자 본체(20)를 하측으로 당겨도 록킹와이어(30)의 결합부(34)가 직각을 이루어 형성된 제1걸림턱(22a)(22b) 및 제2걸림턱(23a)(23b)에 확실히 지지되어 이탈되지 못하므로 록킹와이어(30)는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봉인구(100)를 흔적없이 개봉하기 위해 록킹와이어(30)의 결합부(34)를 본체(20)의 하측으로 노출시켜서 조작하려 하여도 록킹와이어(30)의 스톱퍼 역할을 하는 절곡부(33)(33')에 의해 록킹와이어(30)가 더이상 하측으로 눌러지지 않으므로 조작이 어려우며, 절곡부(33)(33')를 도구를 사용하여 억지로 피려고 하여도 절곡부(33)(33')에 변형이 생기면서 일측의 노치부(35)가 절단되어 조작여부가 확실히 드러나게 된다.
이에 따라, 타인이 봉인구(100)를 조작하려 할시 노치부(35)가 절단되므로 상자의 개폐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상자의 개폐여부를 확인하게 됨에 따라 상자 내에 수납되어 있던 내용물의 분실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봉인구 구조에 의하면, 본체(20)의 결합홈(21)에 직각을 이루어 형성된 제1걸림턱(22b) 및 제2걸림턱(23a)들에 록킹와이어(30)의 결합부(34)가 견고히 지지되어 록킹와이어(30)가 쉽게 빠지지 않으며, 누름동작에 의해 결합부(34)가 제1걸림턱(22b) 및 제2걸림턱(23a)에 걸림지지되면서 "딸깍"하는 소리가 발생되어 소리만으로 봉인구(100)의 잠김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노치부(35)가 절단되어 봉인구(100)가 해제되어도 록킹와이어(30)가 본체(20)에 붙어있으므로 기내용 카트내의 식자재 등이 록킹와이어(30)가 떨어짐으로 인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며, 봉인구(100)를 조작하려 할시 노치부(35)가 절단되므로 상자의 개폐여부가 확인되고, 이에 따라 상자 내의 내용물이 분실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봉인구 구조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봉인구 구조에 따른 봉인구의 작용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 봉인구 구조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봉인구의 봉인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봉인구가 봉인해제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본체 21,21' ; 결합홈
22a,22b ; 제1걸림턱 23a,23b ; 제2걸림턱
24 ; 색인부 30 ; 록킹와이어
31 ; 누름부 32 ; 연장부
33,33' ; 절곡부 34 ; 결합부
34a ; 제1결합부 34b,34d ; 걸림쇠
34c ; 제2결합부 35 ; 노치부

Claims (2)

  1. 중심부 양측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가지며, 일면에 색인부를 가지는 직육면체의 본체와; 수평의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양단에 수직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에서 연장되어 하향경사지고 상기 본체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록킹와이어로 이루어지는 봉인구 구조에 있어서,
    결합홈(21)(21') 내측에 직각을 이루어 계단식 배열되는 제1걸림턱(22a)(22b) 및 제2걸림턱(23a)(23b)이 형성된 본체(20)와;
    절곡부(33)(33')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평으로 형성되고, 그 절곡부(33)(33')가 누름동작시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밀착되는 록킹와이어(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구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와이어(30)의 절곡부(33)(33')중 일측의 절곡부(33')에 노치부(3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구 구조.
KR20-2005-0023390U 2005-08-12 2005-08-12 봉인구 구조 KR2004004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390U KR200400455Y1 (ko) 2005-08-12 2005-08-12 봉인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390U KR200400455Y1 (ko) 2005-08-12 2005-08-12 봉인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5Y1 true KR200400455Y1 (ko) 2005-11-08

Family

ID=43701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390U KR200400455Y1 (ko) 2005-08-12 2005-08-12 봉인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690B1 (ko) * 2008-03-20 2010-07-07 이윤실 봉인구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690B1 (ko) * 2008-03-20 2010-07-07 이윤실 봉인구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7315A (en) Circuit breaker block out
TWM528535U (zh) 連接器
KR200400455Y1 (ko) 봉인구 구조
US20070040395A1 (en) Padlock seal
EP3438385B1 (en) Lock for transportable containers, such as trunks, suitcases, cases, trolleys and the like
KR200486311Y1 (ko) 안전 잠금 용기
KR100968690B1 (ko) 봉인구 구조
KR102208458B1 (ko) 포장용기의 덮개 결합구조체
JP2005163872A (ja) ロック機構とこれを用いた蓋付きの箱及びパネル付きのラック
KR200419374Y1 (ko) 뚜껑을 보관할 수 있는 포장용기
KR200468664Y1 (ko) 지퍼를 갖는 용기
JP2017168288A (ja) 端子カバー
CN106677631B (zh) 一种行李箱锁扣
JP2984268B1 (ja) 蓋付き収納容器のロック装置
KR200173496Y1 (ko) 봉인용 채결구
CN213567443U (zh) 一种防伪防晃插扣
JP2000238817A (ja) 蓋付合成樹脂製容器
US7448627B2 (en) Packaging structure and method
CN211970296U (zh) 一种防盗礼品包装盒
JP2004175427A (ja) ワイヤーレス段ボールケース
JP6453511B1 (ja) 容器キャップ、及びボトル容器
CN209921971U (zh) 一种防盗锁扣
JP5320935B2 (ja) カートン
JP5339376B2 (ja) 菓子容器
JP2008223881A (ja) 樹脂成形品のロック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