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496Y1 - 봉인용 채결구 - Google Patents

봉인용 채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496Y1
KR200173496Y1 KR2019990019517U KR19990019517U KR200173496Y1 KR 200173496 Y1 KR200173496 Y1 KR 200173496Y1 KR 2019990019517 U KR2019990019517 U KR 2019990019517U KR 19990019517 U KR19990019517 U KR 19990019517U KR 200173496 Y1 KR200173496 Y1 KR 2001734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ealing
opened
coupling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진
Original Assignee
이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진 filed Critical 이도진
Priority to KR2019990019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4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4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4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76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 A45C13/1092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of the socket-and-pi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품이 수납되어 봉인된 케이스(10)가 타인에 의해 개폐되었는가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된 봉인용 채결구(1)에 관한 것으로, 배달이나 보관 등의 목적으로 내용물을 수납시켜 주는 케이스(10)에 노치부(5)가 형성되어 있는 봉인용 채결구(1)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봉인된 케이스(10)를 타인이 개폐를 시키기 위해 봉인용 채결구(10)의 일단을 잡아당기게 되는데 이때, 상기 노치부(5)에 인장력이 가해지게 되어 봉인용 채결구(1)가 분리되게 되어 봉인되어 있던 케이스(10)의 개폐여부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게 되고, 봉인된 케이스(10)의 개폐여부를 확인하게 됨에 따라 케이스(10)에 수납되어 있던 내용물의 분실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봉인용 채결구{A Fastner For Sealing A Container}
본 고안은 봉인용 채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품이 수납되어 봉인된 케이스가 타인에 의해 개폐되었는가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된 봉인용 채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량의 우편물 등은 운반이나 보관을 하기 위해 박스형태의 케이스에 수납을 시켜 보관이나 운반을 하게 되는데 이때, 케이스가 타인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의 입구를 자물쇠 등을 사용하여 봉인하여 주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케이스의 입구를 봉인시켜 주는 자물쇠는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쉽게 열거나 닫히게 되어 타인에 의해 봉인되어 있던 케이스가 개폐되었는가를 확인을 할 수가 없게 되고, 케이스가 개폐되었는가를 확인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내용물의 분실여부를 파악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봉인된 케이스의 개폐여부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된 봉인용 채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의 개폐여부를 육안으로 확인을 하게 되어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던 내용물의 분실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된 봉인용 채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량의 우편물이나 물품 등을 수납하여 보관하거나 운반을 하는데 사용되는 박스형태의 케이스에 있어서, 세모꼴 형태로 이루어져 상단 중앙부로부터 하측방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밑면 중앙부로부터 하측방으로 연장되어 연장된 외측면에 마주하는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은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선단으로부터 하측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는 색인부와; 밑면에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의 내부 상단에 외측방으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캡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를 봉인시켜주는 특징이 있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봉인용 채결구의 외관구성을 보이는 분리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결합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5 - 본 고안에 따른 작용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봉인용 채결구 2 ; 결합부
3 ; 홈 4 ; 연장부
5 ; 노치부 6 ; 색인부
7 ; 캡 8 ; 삽입홈
9 ; 걸림턱 10 ; 케이스
11 ; 연결고리
이와 같은 본 고안 봉인용 채결구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일 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봉인용 채결구(1)의 외관구성을 보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A - A'선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의 봉인용 채결구(1)는 상부에 세모꼴 형태의 결합부(2)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결합부(2)는, 상단 중앙부로부터 하측방으로 일부가 절개되어 홈(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2)의 하측에는 연장부(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연장부(4)는, 결합부(2)의 하측 중앙부에서 하측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연장된 외측면 선택적인 위치에는 마주하는 노치(Notch, 5)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형성된 연장부(4)의 하단부에는 색인부(6)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색인부(6)는, 연장부(4)의 하단에서부터 하측방으로 연장되면서 양 측방으로 넓게 연장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2)에는 외부에서 캡(7)이 결합되는데 이 캡(7)은, 밑면에 결합부(2)의 크기보다 작게 삽입홈(8)이 밑면에서부터 상측으로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8)의 내부 상단부가 외측방으로 연장되어 걸림턱(9)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봉인용 채결구(1)를 내용물을 수납시켜 운반이나 보관을 하게 되는 케이스(10)의 연결고리(11)에 결합을 시켜 사용을 하게 되는데 이때,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연결고리(11)에 상기 결합부(2)를 결합시킨 후 상기 캡(7)을 연결고리(11)의 외측에서 결합부(2)에 결합시켜 케이스(10)를 봉인시켜 주게 된다.
상기 결합부(2)에 캡(7)이 결합되는 것은, 캡(7)의 밑면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8)에 결합부(2)의 상단부가 삽입되면서 결합부(2)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3)에 의해 결합부(2)가 중앙부로 양 측방이 수축되어 크기가 작은 삽입홈(8)에 삽입이 되게 되고, 삽입홈(8)에 완전하게 결합부(2)가 삽입이 되게 되면 삽입홈(8)의 상단부에서 원래의 상태로 복원이 되면서 밑면 양측 밑면이 걸림턱(9)에 지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 연장부(4)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색인부(6)에는 상기 케이스(10)에 수납되는 내용물의 분류기호나 주소 등을 표시하여 케이스(10)에 수납되어 있는 내용물의 내용을 알아볼 수 있는데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봉인된 케이스(10)를 타인이 열고자 할 때는 상기 결합부(2)를 캡(7)으로부터 인출을 시키고자 캡(7)이나 색인부(6)를 잡아당기게 되는데 이때, 상기 결합부(2)는 삽입홈(8)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9)에 밑면이 지지되어 있어서 외부로의 인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잡아당길 때의 힘 즉, 인장력이 상기 결합부(2)와 색인부(6)를 연결하여 주고 있는 연장부(4)에 가해지게 되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부(4)에 형성되어 있는 노치부(5)가 분리되게 되어 케이스(10)를 관리하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은 봉인용 채결구(1)의 상태를 보면서 봉인된 케이스(10)의 개폐여부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케이스(10)의 개폐여부를 육안으로 확인을 할 수 있게 되어 내용물의 분실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면상에 미설명부호 '12'는 상기 캡(7)의 상부를 밀폐시켜 주는 커버(12)이며, '13'은 상기 캡(7)의 사용시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시켜 주기 위한 미끄럼방지돌기(13)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 봉인용 채결구(1)에 의하면, 배달이나 보관 등의 목적으로 내용물을 수납시켜 주는 케이스(10)에 노치부(5)가 형성되어 있는 봉인용 채결구(1)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봉인된 케이스(10)를 타인이 개폐를 시키기 위해 봉인용 채결구(10)의 일단을 잡아당기게 되는데 이때, 상기 노치부(5)에 인장력이 가해지게 되어 봉인용 채결구(1)가 분리되게 되어 봉인되어 있던 케이스(10)의 개폐여부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게 되고, 봉인된 케이스(10)의 개폐여부를 확인하게 됨에 따라 케이스(10)에 수납되어 있던 내용물의 분실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다량의 우편물이나 물품 등을 수납하여 보관하거나 운반을 하는데 사용되는 박스형태의 케이스에 있어서,
    세모꼴 형태로 이루어져 상단 중앙부로부터 하측방으로 홈(3)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2)와;
    상기 결합부(2)의 밑면 중앙부로부터 하측방으로 연장되어 연장된 외측면에 마주하는 노치부(5)가 형성되어 있은 연장부(4)와;
    상기 연장부(4)의 선단으로부터 하측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는 색인부(6)와;
    밑면에 상기 결합부(2)가 삽입되는 삽입홈(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8)의 내부 상단에 외측방으로 걸림턱(9)이 형성되어 있는 캡(7)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10)를 봉인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용 채결구.
KR2019990019517U 1999-09-13 1999-09-13 봉인용 채결구 KR2001734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517U KR200173496Y1 (ko) 1999-09-13 1999-09-13 봉인용 채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517U KR200173496Y1 (ko) 1999-09-13 1999-09-13 봉인용 채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496Y1 true KR200173496Y1 (ko) 2000-03-15

Family

ID=19588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517U KR200173496Y1 (ko) 1999-09-13 1999-09-13 봉인용 채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4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6415A (en) Security seal and tag holder
US7029178B2 (en) Zip-lock closure
US4682688A (en) Secured container and locking device for same
AR036267A1 (es) Disposicion de cierre dosificador inviolable para un envase
GB2463472A (en) Container with tamper-evident seal
US20050141787A1 (en) Snap on envelope
ES2227681T3 (es) Precinto de seguridad.
US20060171608A1 (en) Reclosable bag with multiple openings
KR200173496Y1 (ko) 봉인용 채결구
AU2005200150B2 (en) Closable container
ES2199695B2 (es) Una bolsa o envoltura con dispositivo de cierre.
GB2163707A (en) Security tie
KR200419374Y1 (ko) 뚜껑을 보관할 수 있는 포장용기
KR200400455Y1 (ko) 봉인구 구조
EP0762977B1 (en) Security box having sliding closure
JP3893528B2 (ja) 商品収納容器
KR200194267Y1 (ko) 봉인용 타이밴드
JP5339376B2 (ja) 菓子容器
EP2461308B1 (en) Seal
KR20240012811A (ko) 세이프 가드 지퍼백
KR950000008Y1 (ko) 쇼핑백용 손잡이
US946208A (en) Stopper-fastener.
KR100856586B1 (ko) 포장용 봉지
CN2391839Y (zh) 一种一次性防伪瓶
WO2023198492A1 (fr) Colis comprenant un scellé secable et scell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