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690B1 - 봉인구 구조 - Google Patents
봉인구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68690B1 KR100968690B1 KR1020080025781A KR20080025781A KR100968690B1 KR 100968690 B1 KR100968690 B1 KR 100968690B1 KR 1020080025781 A KR1020080025781 A KR 1020080025781A KR 20080025781 A KR20080025781 A KR 20080025781A KR 100968690 B1 KR100968690 B1 KR 1009686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locking wire
- locking
- bent
- ja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3—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 G09F3/0305—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 G09F3/0347—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having padlock-type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인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결합홈(21)(21')내측에 직각을 이루어 계단식 배열되는 제1걸림턱(22a)(22b) 및 제2걸림턱(23a)(23b)이 형성된 본체(20)와; 절곡부(33)(33')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평으로 형성되고, 그 절곡부(33)(33')가 누름동작시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밀착되는 록킹와이어(30)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와이어(30)의 절곡부(33)(33')중 일측의 절곡부(33')에 노치부(35)가 구비되는 봉인구 구조를 구비하였다.
또한 종래의 사출구조상 사출을 할 수 없는 본체(20)내측에 직각을 이룰 수 없던 미완성 발명을 직각으로 만들 수 있게 함은 물론 조작이 불가능 하게 열가압 압착하여 본체(20) 하향부를 막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본체(20)의 결합홈(21)(21')에 직각을 이루어 형성된 제1걸림턱(22b) 및 제2걸림턱(23a)들에 록킹와이어(30)의 결합부(34)가 견고히 지지되어 록킹와이어(30)가 쉽게 빠지지 않으며, 누름동작에 의해 결합부(34)가 제1걸림턱(22b) 및 제2걸림턱(23a)에 걸림지지되면서 "딸깍"하는 소리가 발생되어 소리만으로 봉인구(100)의 잠김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노치부(35)가 절단되어 봉인구 (100)가 해제되어도 록킹와이어(30)가 본체(20)에 붙어있으므로 기내용 카트내의 식자재 등이 록킹와이어(30)가 떨어짐으로 인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며, 봉인구 (100)를 조작하려 할시 노치부(35)가 절단되므로 상자의 개폐여부가 확인되고, 이에 따라 상자 내의 내용물이 분실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체, 결합홈, 제1걸림턱, 제2걸림턱, 록킹와이어, 절곡부, 노치부
Description
본 발명 봉인구 구조는 봉인상태가 견고하고, 봉인해제시 일측만이 봉인해제되도록 한 봉인구 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은 물론 본체(20)의 하향부가 막히면서도 제1걸림턱(22a)(22b) 및 제2걸림턱(23a)(23b)이 직각을 이루어 계단식으로 배열될 수 있어 록킹와이어(30)를 체결 후 조작이 불가능하여 도난 방지 및 도난 여부를 쉽게 알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봉인구 구조는, 중심부 양측에 형성되는 결합홈(21)(21')을 가지며, 일면에 색인부를 가지는 직육면체의 본체(20)와; 수평의 누름부(31)와, 상기 누름부양단에 수직연장된 연장부(32)와,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절곡되는 절곡부(33)(33')와, 상기 절곡부(33)(33')에서 연장되어 하향경사지고 상기 본체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부(34)가 형성되는 록킹와이어(30)로 이루어지는 봉인구 구조에 있어서, 결합홈 (21)(21') 내측에 직각을 이루어 계단식으로 배열되는 제1걸림턱(22a)(22b) 및 제2걸림턱(23a)(23b)이 형성된 본체(20)와; 절곡부(33)(33')가 직각 으로 절곡되어 수평으로 형성되고, 그 절곡부가 누름동작시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밀착되는 록킹와이어(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봉인구 구조의 다른 특징은, 상기 록킹와이어의 절곡부(33)(33')중 일측의 절곡부(33')에 노치부(3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체의 결합홈에 직각을 이루어 형성된 제1걸림턱(22a)(22b) 및 제2걸림턱(23a)(23b)들에 록킹와이어(30)의 결합부(34)가 견고히 지지되어 록킹와이어 (30)가 쉽게 빠지지 않으며, 누름동작에 의해 결합부(34)가 제1걸림턱(22a)(22b) 및 제2걸림턱(23a)(23b)에 걸림지지되면서 "딸깍"하는 소리가 발생되어 소리만으로 봉인구의 잠김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노치부(35)가 절단되어 봉인구가 해제되어도 록킹와이어(30)가 본체(20)에 붙어있으므로 기내용 카트내의 식자재 등이 록킹와이어(30)가 떨어짐으로 인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며, 봉인구를 조작하려 할시 노치부(35)가 절단되므로 상자의 개폐여부가 확인되고, 이에 따라 상자 내의 내용물이 분실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로는 보안상자, 화물상자, 기내용 카트 등에 봉인되는 봉인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안상자, 컨테이너 등과 같은 화물상자, 기내용 식자재 카트 등에는 내부에 수납된 물품의 보관 및 분실방지를 위해 봉인구가 체결되어 봉인된다.
본 발명 봉인구 구조는 보통 보안을 유지하는 상자를 닫아서 봉인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쓰이며, 항공기 식자재 , 기내판매용 상자(화장품등 면세품)의 봉인에 쓰인다.
따라서 주로 여성들이 봉인구 구조를 사용하기 때문에 쉽게 해지가 가능하여야 하며, 해지한 후에 록킹와이어(30)가 날카롭게 부러지지 않아 다칠 염려가 없어 야 한다.
종래의 봉인구 구조는, 도1과 같이 본체(2)와, 록킹와이어(6)로 대분되며, 본체(2)의 중심부 양측에는 결합홈(3)(3')이 형성되며, 결합홈(3)(3')의 내측 일면에는 하측으로 계단식 배열되는 제1걸림턱(4a)(4b), 제2걸림턱(5a)(5b)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걸림턱(4a)(4b) 및 제2걸림턱(5a)(5b)은 도2와 같이 하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록킹와이어(6)는 수평의 누름부(7)와, 상기 누름부(7) 양단에 수직연장된 연장부(8)와, 상기 연장부(8)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절곡되는 절곡부(9)와, 상기 절곡부(9)에서 연장되어 하향경사지고 상기 본체(2)의 결합홈(3)에 결합되는 결합부(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절곡부(9)는 내측방으로 경사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며, 한쌍의 절곡부(9)의 중앙에는 동일하게 노치부(11)가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봉인구 구조는, 록킹와이어(6)의 누름 동작에 의해 도2와 같이 결합부(10)가 결합홈(3)(3') 내의 걸림턱(5a)(4b)들에 각각 걸림지지되어 록킹와이어 (6)가 본체(2)에 잠겨진다.
그런데 종래의 봉인구 구조는 걸림턱(4a)(4b)(5a)(5b)들이 하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므로 걸림턱(5a)(4b)들에 걸림지지되는 록킹와이어(6)의 결합부(10)가 확실히 지지되지 못하며, 이에 따라 본체(2)와 록킹와이어(6)를 억지로 분리하 기 위해 본체(2)를 잡아당기면 록킹와이어(6)의 결합부(10)는 경사진 걸림턱(5a) (4b)들에서 상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것과 같은 작용으로 쉽게 이탈되어 록킹와이어 (6)가 본체(2)로 부터 쉽게 분리되었다.
이에 따라, 보안상자나, 화물상자의 관계자가 아닌 타인이 절도를 위해 봉인구(1)를 조작하기가 쉬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봉인된 봉인구(1)를 해제할시 본체(2)를 파지하여 록킹와이어(6)가 꺽이도록 하측으로 힘있게 누르면 록킹와이어(6)의 한쌍의 절곡부(9)에 동일하게 형성된 노치부(11)가 동시에 절단되면서 도3과 같이 록킹와이어(6)가 본체(2)로 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그런데 종래의 봉인구(1)가 기내용 식자재 카트 등에 봉인되었을시 상술한 바와 같이 봉인을 해제하면 록킹와이어(6)가 본체(2)로부터 완전히 분리됨에 따라 록킹와이어(6)가 수납된 식자재 등에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절단된 록킹와이어(6)에 의해 식자재가 오염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본 발명 봉인구 구조가 발명되기 전에는 도1과 같이 본체(2) 하향부가 막힌 상태로 제작을 하여 제1걸림턱(4a)(4b) 및 제2걸림턱(5a)(5b)이 내측으로 하향경사지게 만드는 정도는 제작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제작은 용이하나 록킹와이어(20)를 해지시 절단하지 않고도 분리가 가능하여 도난이 많이 발생하였고, 또한 절단하지 않고도 해지가 가능하여 도난 여부를 조작하여 인식하기 어려웠다.
그리하여 본 발명인은 20-2005-0023390 호를 출원하여 상기의 단점을 해소하고자 본체(20) 내부에 제1걸림턱(22a)(22b)및 제2걸림턱(23a)(23b)을 직각으로 제작하여 록킹와이어(30)를 절단하지 않고는 해지시키지 못하게 하려 하였으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출원인이 출원당시에는 본체(20) 하향부에 사출구멍(24) 없이 제1걸림턱(22a)(22b) 및 제2걸림턱(23a)(23b)을 수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서술하였으나 실제로는 하향부에 사출구멍(24)이 없이는 제1걸림턱 (22a)(22b) 및 제2걸림턱(23a)(23b)을 직각으로 제작할 수가 없었다.
즉
상상속의
발명인 미완성 발명으로 판단되어 발명인 스스로 포기한바 있다.
이에 사출구멍을 뚫어 제작해 보았으나 이 역시 제작은 가능하나 록킹와이어(
30)의
조작이 가능하여 도난,
분실여부를
인식하기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 봉인구 구조는 종래의 치명적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상속의 발명을 실현가능한 발명으로 만들고자 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1.봉인구 구조의 본체 하향부를 밀봉 하지 아니한 상태로 제작하였을 경우 본체 내부는 제1 걸림턱 및 제2걸림턱이 수직으로 제작가능하나 본체와 결합한 록킹와이어가 하향부에 돌출되어 결합후에 록킹와이어를 조작하여 상자의 개폐여부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상자의 개페여부의 조작을 방지하여야 한다.
2. 봉인구 구조의 본체 하향부를 밀봉하여 제작할 경우 본체 내부의 제1걸림턱 및 제2걸림턱이 내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제작할 수는 있으나 본 발명 봉인구 구조가 추구하는 바대로 제1걸림턱 및 제2걸림턱이 수직으로 제작자체가 불가능(사출구조상) 하므로 봉인구 구조의 본체 하향부를 밀봉하지 않고 제작이 가능하여야 한다.
3. 봉인구 구조의 이용형태상 록킹와이어 가 본체에 쉽게 들어가고 해지시 잘 부러져야 한다.
4. 봉인구 구조의 이용형태상 록킹와이어를 해지한 경우 끝부분이 날카롭지 않아 사용자가 다칠 염려가 없어야 한다.
본 발명 봉인구 구조의 과제해결수단은 봉인구(100)를 흔적없이 개봉하기 위해 록킹와이어(30)의 결합부(34)를 본체(20)의 하측으로 노출시켜서 조작하려 하여도 록킹와이어(30)의 스톱퍼 역할을 하는 절곡부(33)(33')에 의해 록킹와이어 (30)가 더이상 하측으로 눌러지지 않으므로 조작이 어려우며, 절곡부(33)(33')를 도구를 사용하여 억지로 피려고 하여도 절곡부(33)(33')에 변형이 생기면서 일측의 노치부(35)가 절단되어 조작여부가 확실히 드러나게 된다.
이에 따라, 타인이 봉인구(100)를 조작하려 할시 노치부(35)가 절단되므로 상자의 개폐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상자의 개폐여부를 확인하게 됨에 따라 상자 내에 수납되어 있던 내용물의 분실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사출할때에 사출구멍(24)을 뚫어 본체(20) 내부의 제1걸림턱 (22a)(22b) 및 제2 걸림턱 (23b)(23b)을 직각으로 제작하고, 그 후 열가압 프레스로 압착 하여 본체 (20) 하향부의 사출구멍(24)을 막아 도난방지 및 도난조작여부를 쉽게 인식 할 수 있도록 한다 .
그리하여 본체(20) 내부에 제1걸림턱(22a)(22b) 및 제2걸림턱(23a)(23b)을 직각으로 제작함과 동시에 하향부의 사출구멍(24)을 막을 수 있어 도난 조작이 불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 봉인구 구조의 효과로는
1. 제1걸림턱(22a)(22b) 및 제2 걸림턱(23a)(23b)을 본체(20) 하향부를 막지 않고도 제작을 할 수 있으므로 걸림턱의 경사를 직각 또는 외측방향으로 더욱 경사지게 제작이 가능하므로 록킹와이어(30)를 부러뜨리지 않고는 도난 여부를 조작할 수 없다.
2. 록킹와이어(30)를 본체(20)와 결합 후에는 본체(20) 하향부가 열가압 프레스에 의한 압착으로 사출구멍(24)이 막히므로 록킹와이어(30)를 조작하여 빼낼 수 없으므로 도난을 방지함은 물론 쉽게 체크가 가능하다.
3. 여성이 주로 사용하므로 본체(20) 내부에 록킹와이어(30)를 삽입할 경우 쉽게 삽입이 가능하도록 최소의 힘만으로 삽입이 가능하다.
4. 도1과 같이 종래의 내측으로 하향지게 경사진 걸림턱(4a)(4b)(5a)(5b)들과 달리 도5의 제1걸림턱(22a)(22b)과 제2걸림턱(23a)(23b)의 경우 쉽게는 들어가나 절대 빠지지 않도록 직각으로 형성됨은 물론 일측에만 노치부(34)가 형성되어 기내용 식자재 카트 등에 봉인된 봉인구(100)를 해제할시 록킹와이어(30)가 본체 (20)에 붙은 상태로 절단되므로 봉인된 상태에서 봉인구를 해제하면 록킹와이어가 본체로 부터 완전히 절단되어 식자재에 절단된 록킹와이어가 떨어져서 식자재를 오염시켰던 종래의 문제가 해결된다.
5. 도7과 같이 노치부(35)에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직각으로 록킹와이어(30)를 제작하여 록킹와이어(30)를 본체(20)에 삽입할 경우 더이상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 봉인구구조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봉인구 구조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 이고,
도 3은 종래의 봉인구 구조에 따른 봉인구의 작용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4 는 본 발명 봉인구 구조로서 사출구멍이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봉인구 구조로서 사출구멍이 있는 상태의 본체의 하단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봉인구 구조의 사출 후 열가압 프레스로 열가압 한 후의 본체의 하단부분 확대사시도 이고,
도 7은 본 발명 봉인구 구조의 사출 후 열가압 프레스로 열가압 한 후의 봉인구의 봉인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 봉인구 구조의 사출 후 열가압 프레스로 열가압 한 후의 본체와 봉인구를 결속시키기 전의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이다.
본 발명 봉인구 구조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와, 록킹와이어 (30)로 대분된다.
먼저, 본체(20)는 중심부 양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결합홈(21)(21')을 가진다.
그리고 결합홈(21)의 중심측 일측면에는 계단식으로 배열되는 제1걸림턱 (22a)(22b), 제2걸림턱(23a)(23b)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제1걸림턱(22a)(22b), 제2걸림턱(23a)(23b)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도5와 같이 직각을 이루어서 형성될 수 있도록 본체(20)의 하향부에 사출구멍(24)을 뚫어서 제작한다.
그 후 봉인구 구조가 쓰이는 각종 화물상자나 식자재 카트등의 도난 방지 및 도난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사출구멍(24)을 열가압 프레스로 160~180℃로 1~2초간 압착 하여 구멍을 막는다.
그리고 본체(20)의 외부 일면에는 일련번호 등이 기재되는 색인부(25)를 가진다.
록킹와이어(30)는, 상단에 수평의 누름부(31)가 형성되고, 그 양단에는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는 연장부(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연장부(32)의 하측에는 그 하단에서 연장되어 절곡되는 절곡부(33)(33')가 형성되는바, 그 절곡부(33)(33')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직각 을 이루어 수평으로 절곡형성되며, 록킹와이어(30)의 누름 동작시 절곡부(33)(33')는 본체(20)의 상단에 밀착되어 록킹와이어(30)가 하측으로 더 내려가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절곡부(33)(33') 각각의 하측에는 그 단부에서 연장되어 하향경사지는 결합부(34)가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부(34)는, 길게 연장형성되는 제1결합부(34a)와, 제1결합부(34a)보다 짧게 형성되는 제2결합부(34c)로 이루어지며, 이들 각각의 하단에는 결합홈 (21)의 제1걸림턱(22a)(22b) 및 제2걸림턱(23a)에 걸림지지되는 걸림쇠(34b)(34d)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한쌍의 절곡부(33)(33')중 일측의 절곡부(33')에는 노치부(35)가 형성되는바, 이는 일측의 절곡부(33')에만 형성되며 절곡부(33')와 결합부(34)를 잇는 절곡부(33')의 모서리부에 형성된다.
록킹와이어(30)의 결합부(34)가 본체(20)의 결합홈(21)에 결합되어지는바, 긴 길이의 제1결합부(34a)는 대응되는 결합홈(21)의 제1걸림턱(22a)에 걸림쇠(34b)가 걸림지지되고, 짧은 길이의 제2결합부(34c)는 그 하부가 대응되는 결합홈(21')의 단부에 살짝 끼워진 상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본 발명 봉인구 구조는, 보안상자, 화물상자 등의 상자를 봉인하는데 사용되며, 항공기의 기내판매용 제품이나, 기내식으로 제공되는 식자재 등이 담겨진 카트를 봉인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자를 봉인할시 록킹와이어(30)의 제2 결합부(34c)를 결합홈(21)에서 분리하고 제2결합부(34c)를 상자의 잠금고리에 끼워서 봉인구(100)를 잠금고리에 결속한다.
그리고 제2결합부(34c)를 다시 대응되는 결합홈(21')에 최초 상태로 끼운 후, 록킹와이어(30)의 상단 누름부(31)를 눌러서 결합부(34)가 본체(20)에 완전히 결합 되도록 하여 상자를 봉인한다.
여기서, 누름부(31)를 누르면 도6과 같이 대응 결합홈(21)의 제1걸림턱(22a)에 걸림쇠(34b)가 지지되었던 제1결합부(34a)가 하측으로 눌러지면서 제1걸림턱 (22a) 하측의 제2걸림턱(23a)에 걸림쇠(34b)가 걸림지지되고, 제2결합부(34c)는 누름부(31)가 눌러지면서 대응 결합홈(21')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하부의 걸림쇠(34d)가 제1걸림턱(22b)에 걸림지지된다.
이때, 제1결합부(34a)와 제2결합부(34c)가 각각에 대응되는 결합홈(21)의 제2걸림턱(23a) 및 제1걸림턱(22b)에 지지될시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지지되며, 이는 제1걸림턱(22a)(22b) 및 제2걸림턱(23a)(23b)들이 직각을 이루어 형성됨에 따라 제1결합부(34a) 및 제2결합부(35)의 걸림쇠(34b)(34d)가 걸림턱(22b)(23a)들의 상부측 면에서 벗어나서 제2걸림턱(23a) 및 제1걸림턱(22b)에 탄성적으로 부딪히면서 소리가 나게 되는 것이고, 그 소리만으로도 록킹와이어(30)가 본체(20)에 확실히 잠겨진 것을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절곡부(33)(33')는 본체(20)의 상단에 밀착되면서 록킹와이어 (30)가 더이상 하측으로 눌러지지 않도록 제한된다.
이에 따라, 절곡부(33)(33')는 록킹와이어(30)의 스톱퍼 역할을 하면서 제1 결합부(34a) 및 제2결합부(35a)가 각각에 대응되는 제2걸림턱(23a) 및 제1걸림턱 (22b)에 정확히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1결합부(34) 및 제2결합부(35)가 대응되는 걸림턱(23a)(22b)들에서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록킹와이어(30)가 본체(20)에 잠겨진 상태에서 봉인된 상자의 내용물 확인을 위해 관계자가 상자를 개봉할때에는 본체(20)를 파지한 후 록킹와이어 (30)가 꺽이도록 누르면 도7과 같이 제2결합부(35)와 절곡부 (33') 사이의 노치부 (36)가 부러지면서 록킹와이어(30)가 절단되어 상자의 봉인이 해제된다.
이때, 노치부(36)는 일측의 절곡부(33')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록킹와이어 (30)의 일측만이 절단되며, 이에 따라 록킹와이어(30)는 일측의 제1결합부(34)에 의해 본체(20)에 붙어있는 상태로 봉인이 해제된다 .
이에 따라, 기내용 식자재 카트 등에 봉인된 본 고안에 따른 봉인구(100)를 해제할시 록킹와이어(30)가 본체(20)에 붙은 상태로 절단되므로 봉인된 상태에서 봉인구를 해제하면 록킹와이어가 본체로 부터 완전히 절단되어 식자재에 절단된 록킹와이어가 떨어져서 식자재를 오염시켰던 종래의 문제가 해결된다.
한편, 봉인된 상태의 상자를 관계자가 아닌 타인이 개봉할시 록킹와이어(30)를 분리하고자 본체(20)를 하측으로 당겨도 록킹와이어(30)의 제1결합부(34)와 제2결합부(35)가 직각을 이루어 형성된 제1걸림턱(22a)(22b) 및 제2걸림턱(23a)(23b)에 확실히 지지되어 이탈되지 못하므로 록킹와이어(30)는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봉인구(100)를 흔적없이 개봉하기 위해 록킹와이어(30)의 제1결합부(34)와 제2결합부(35)를 본체(20)의 하측으로 노출시켜서 조작하려 하여도 록킹와이어(30) 의 스톱퍼 역할을 하는 절곡부(33)(33')에 의해 록킹와이어(30)가 더이상 하측으로 눌러지지 않으므로 조작이 어려우며, 절곡부(33)(33')를 도구를 사용하여 억지로 피려고 하여도 절곡부(33)(33')에 변형이 생기면서 일측의 노치부(36)가 절단되어 조작여부가 확실히 드러나게 된다.
이에 따라, 타인이 봉인구(100)를 조작하려 할시 노치부(36)가 절단되므로 상자의 개폐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상자의 개폐여부를 확인하게 됨에 따라 상자 내에 수납되어 있던 내용물의 분실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봉인구 구조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 이다.
도 3은 종래의 봉인구 구조에 따른 봉인구의 작용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 봉인구 구조로서 사출구멍이 있는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봉인구 구조로서 사출구멍이 있는 상태의 본체의 하단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봉인구 구조의 사출 후 열가압 프레스로 열가압 한 후의 본체의 하단부분 확대사시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 봉인구 구조의 사출 후 열가압 프레스로 열가압 한 후의 봉인구의 봉인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 봉인구 구조의 사출 후 열가압 프레스로 열가압 한 후의 본체와 봉인구를 결속시키기 전의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본체 21,21' ; 결합홈
22a,22b ; 제1걸림턱 23a,23b ; 제2걸림턱
24: 사출구멍 25 ; 색인부
30 ; 록킹와이어 31 ; 누름부
30 ; 록킹와이어 31 ; 누름부
32 ; 연장부 33,33' ; 절곡부
34 ; 결합부 34a ; 제1결합부
34b,34d ; 걸림쇠 34c ; 제2결합부
35 ; 노치부
Claims (3)
- 삭제
- 중심부 양측에 형성되는 결합홈(21)(21')을 가지며,결합홈(21)(21')의 내측에 직각을 이루어 계단식 배열되는 제1걸림턱 (22a) (22b) 및 제2걸림턱(23a)(23b)이 양방향 대칭으로 형성된 본체(20)가 구비되고 일면에 색인부(25)를 가지는 직육면체의 본체(20)가 구비되고 수평의 누름부(31), 상기 누름부(31)양단에 수직연장된 연장부(32)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32)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절곡되는 절곡부(33)(33')와, 상기 절곡부(33)(33')에서 연장되어 하향경사지고 상기 본체의 결합홈(21(21')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34a)와 제2결합부(34c)구비되어 형성되는 록킹와이어(30)가 구비되고 절곡부(33)(33')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평으로 형성되고, 그 절곡부(33) (33')가 누름동작시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밀착되는 록킹와이어(30)로 이루어지는 봉인구 구조에 있어서,상기 본체(20)가 제작가능하도록 사출구멍(24)이 본체(20)의 하향부에 구비되고, 사출 후 사출구멍(24)을 열가압 프레스로 160~180℃로 1~2초간 압착 하여 구멍을 막아 록킹와이어(30)를 본체(20)와 결합 후 조작이 불가능하게 하여 도난여부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구 구조.
- 제2항에 있어서,상기 록킹와이어(30)의 절곡부(33)(33')중 일측의 절곡부(33')에만 노치부 (35)가 구비되어 봉인 해제시에 일측만이 봉인해제되어 록킹와이어(30)가 수납된 식자재등에 떨어지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구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5781A KR100968690B1 (ko) | 2008-03-20 | 2008-03-20 | 봉인구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5781A KR100968690B1 (ko) | 2008-03-20 | 2008-03-20 | 봉인구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0538A KR20090100538A (ko) | 2009-09-24 |
KR100968690B1 true KR100968690B1 (ko) | 2010-07-07 |
Family
ID=41358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5781A KR100968690B1 (ko) | 2008-03-20 | 2008-03-20 | 봉인구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68690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70001923A (ko) * | 1985-08-01 | 1987-03-28 | 요꼬야마 료오지 | 반도체 패키지의 봉인방법 및 장치 |
US4893853A (en) | 1989-01-24 | 1990-01-16 | E. J. Brooks Company | Padlock-type security seal |
KR20040000455A (ko) * | 2001-05-25 | 2004-01-03 | 시우 파이 로케 | 틸팅형 컨테이너를 갖는 바지선 |
KR200400455Y1 (ko) * | 2005-08-12 | 2005-11-08 | 이윤실 | 봉인구 구조 |
KR20080003520A (ko) * | 2006-07-03 | 2008-01-08 | 박한용 | 렌즈 포장용 봉투의 자동 봉인 장치 |
-
2008
- 2008-03-20 KR KR1020080025781A patent/KR10096869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70001923A (ko) * | 1985-08-01 | 1987-03-28 | 요꼬야마 료오지 | 반도체 패키지의 봉인방법 및 장치 |
US4893853A (en) | 1989-01-24 | 1990-01-16 | E. J. Brooks Company | Padlock-type security seal |
KR20040000455A (ko) * | 2001-05-25 | 2004-01-03 | 시우 파이 로케 | 틸팅형 컨테이너를 갖는 바지선 |
KR200400455Y1 (ko) * | 2005-08-12 | 2005-11-08 | 이윤실 | 봉인구 구조 |
KR20080003520A (ko) * | 2006-07-03 | 2008-01-08 | 박한용 | 렌즈 포장용 봉투의 자동 봉인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0538A (ko) | 2009-09-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38330A (en) | Safety snap buckle having blocking action | |
KR100475493B1 (ko) | 높은 안전성의 버클 조립체 | |
US4214349A (en) | Tie wrap | |
JP6379003B2 (ja) | チャイルドレジスタンス機能付チャック及びチャック付包装袋 | |
US5991985A (en) | Safety snap buckle | |
US6832417B1 (en) | Safety snap hook | |
US8418325B2 (en) | Device and method for the connection and the locking of two parts and ball bar | |
US5207315A (en) | Circuit breaker block out | |
CN108974623B (zh) | 一种带有新型防伪锁扣的包装盒 | |
KR100968690B1 (ko) | 봉인구 구조 | |
US20070040395A1 (en) | Padlock seal | |
EP3346456A1 (en) | Tamper-evident seal for electricity meters | |
KR200400455Y1 (ko) | 봉인구 구조 | |
US533743A (en) | Purse-frame | |
JP3980947B2 (ja) | 連結具 | |
US20180159273A1 (en) | Locking connector | |
JP2005291381A (ja) | 連結具 | |
AU2014360669B2 (en) | Zipper lock | |
KR200475909Y1 (ko) | 놀이용 카드 케이스 | |
JP2017539072A (ja) | コンセントアダプタ | |
WO2019049759A1 (ja) | 装身具などの止め具 | |
JP2004164940A (ja) | コネクタ | |
JP2984268B1 (ja) | 蓋付き収納容器のロック装置 | |
US3611514A (en) | Closure lock | |
CN106490769A (zh) | 锁止插扣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