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711B1 -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 Google Patents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711B1
KR101482711B1 KR1020140084286A KR20140084286A KR101482711B1 KR 101482711 B1 KR101482711 B1 KR 101482711B1 KR 1020140084286 A KR1020140084286 A KR 1020140084286A KR 20140084286 A KR20140084286 A KR 20140084286A KR 101482711 B1 KR101482711 B1 KR 101482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hole
main frames
arms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림원
유재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림원, 유재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림원
Priority to KR1020140084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11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articulated arms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for deployment of the blind
    • E04F10/0625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articulated arms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for deployment of the blind whereby the roller is installed on the articulated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11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articulated arms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for deployment of the blind
    • E04F10/061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articulated arms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for deployment of the blind whereby the pivot axis of the articulation is perpendicular to the 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37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bli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44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 E04F10/0651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acting on the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92Front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50/00Machines or articles related to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출입구의 직사광선에 대한 차단 면적을 더욱 넓히기 위해 더블암 구조로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접철암을 일체 상태를 이루도록 하며 기타 복수의 부품을 통합 및 간소화함으로서 조립이 간단하고 제작되는 어닝 장치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전체적으로 어닝 장치의 제작비용 역시 절감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해 제1 및 제2접철암의 길이를 더 길게 할 수 있어 건물 출입구의 직사광선에 대한 차단 면적을 더욱 넓힐 수 있는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foldable awning Apparatus of double arm type}
본 발명은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더블암 방식의 어닝 장치의 부품을 최소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어 건물 출입구의 직사광선에 대한 차단 면적을 더욱 넓게 할 수 있 수 있는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닝 장치는 직사광선 및 비와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건물의 출입구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건물 내부의 일사량 조절기능과 외부의 인테리어 효과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그 사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어닝 장치는 통상 한 개의 메인프레임을 건물의 벽면에 고정하고 관절 형태의 돌출암의 일단부를 메인프레임에 연결하고, 돌출암의 다른쪽 끝은 프론트 프레임에 연결하며, 메인프레임의 위쪽으로 차양막이 권취되어 있는 권취드럼의 좌우 측을 권취 드럼 프레임을 이용하여 메인프레임에 고정하고, 차양막을 펼쳐 프론트프레임에 고정하여 차양막을 접철시키는 싱글암 구조이다.
그런데, 싱글암 구조의 돌출암은 차양막을 펼치는 경우 하중을 단독으로 받게 되므로 차양막을 지지하며 돌출되는 싱글 암의 길이가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어닝 장치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184852호를 제안한 바 있다. 이는 더블암 구조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벽면에 다수의 고정부재에 의해 상하 측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1 메인프레임(1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차양막이 권취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의 전방에 독립적으로 접철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및 제2접철암과,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접철암의 후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접철암의 차양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1 및 제2암고정용 브라켓과,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접철암의 전단부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차양막의 단부가 고정되는 전방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암고정용 브라켓은 제1 및 제2각도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암고정용 브라켓은 제3 및 제4각도조절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각도조절공은 제1 접철암의 각도조절이 용이하도록 곡선형태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각도조절공은 제2 접철암의 각도조절이 용이하도록 곡선형태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접철암의 후단부에는 제1 및 제2힌지공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제1 및 제2연결부재가 체결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에는 상기 제1암고정용 브라켓의 제1 및 제2각도조절공을 관통하여 제1 및 제2 지지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에는 상기 제2암고정용 브라켓의 제3 및 제4각도조절공을 관통하여 제3 및 제4 지지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암고정용 브라켓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각도조절공과 연통되는 제1 내지 제3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어 제1 내지 제3각도조절용 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 등록 특허는 건물의 벽면에 상하 측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을 다수의 고정부재로 고정하고, 제1 및 제2접철암의 차양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한쌍의 제1 및 제2암고정용 브라켓을 사용하며, 제1 및 제2접철암의 후단부에는 제1 및 제2힌지공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제1 및 제2연결부재가 체결되며 많은 지지볼트가 사용되는 구조여서, 전체적으로 어닝 장치의 부품들이 복수로 사용되고 조립이 복잡하여 어닝 장치의 제작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는 제1 및 제2접철암이 개별적으로 접철되는 구조여서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더블암 방식을 채용하면서도 부품을 최소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접철암이 일체로 접철되는 구조여서 내구성이 증대되어 돌출 암의 길이를 더욱 길게 형성할 수 있는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를 제공함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에 상하 측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상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구비되어 차양막이 권취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제1및 제2 메인프레임의 전방에 서로 독립적으로 접철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및 제2접철암과,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접철암의 후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접철암의 차양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암고정용 브라켓과,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접철암의 전단부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차양막의 단부가 고정되는 전방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접철암은 제1 내측돌출암과 제1 외측 돌출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접철암은 제2 내측돌출암과 제2 외측 돌출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내측돌출암의 후단부에는 제1 마감구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내측돌출암의 전단부에는 제2 마감구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외측돌출암의 후단부에는 제3 마감구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외측돌출암의 전단부에는 제4 마감구가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은 체결용 볼트로 건물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하 측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건물의 벽면에 밀착되며 체결용 볼트가 체결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면에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이 안착되는 제1 및 제2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을 지지하는 체결용 볼트가 체결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의 양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상측과 하측로 형성되며, 상단에 형성된 지지부에 차양막이 권취되는 권취드럼의 양단이 고정되는 드럼 고정용 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은 제1 및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프레임 연결구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고정용 브라켓은 몸체의 전방 상하측에 제1 및 제2각도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후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의 측면이 안착되는 제1 및 제2안착부가 형성되어 제1 및 제2안착부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에 볼트를 관통시켜 너트로 체결하여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1마감구에는, 몸체 전방에는 상기 제1힌지핀이 힌지결합되는 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후방에는 제1 및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암고정용 브라켓의 제1 및 제2각도조절공을 관통하여 제1 및 제2 지지볼트가 체결되는 연결부재가 제1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암고정용 브라켓에는 상기 제1각도조절공과 연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각도조절용 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각도조절공은 상기 제1 및 제2 접철암의 각도조절이 용이하도록 곡선형태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각도조절공은 원형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내지 제3마감구에는 힌지공이 형성되어 제2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돌출암은 제1 암 연결구에 의해 일체로 지지되며; 상기 제1 및 제2 외측 돌출암은 제2 암 연결구에 의해 일체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출입구의 직사광선에 대한 차단 면적을 더욱 넓히기 위해 더블암 구조로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접철암을 일체 상태를 이루도록 하며 기타 복수의 부품을 통합 및 간소화함으로서 조립이 간단하고 제작되는 어닝 장치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더블암 타입의 어닝 장치를 제작시 부품을 최소화함은 물론 조립이 간단해 전체적으로 어닝 장치의 제작비용 역시 절감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해 제1 및 제2접철암의 길이를 더 길게 할 수 있어 건물 출입구의 직사광선에 대한 차단 면적을 더욱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의 후반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의 전반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암고정용 브라켓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접철암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더블암 구조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1)는 건물의 벽면(2)에 고정 설치되어 수평으로 차양막(122)을 펴거나 접어 차양 또는 비막이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1)는 건물의 벽면(2)에 상하 측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과, 상기 제1 메인프레임(110)의 상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구비되어 차양막(122)이 권취되는 권취드럼(120)과, 상기 제1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의 전방에 서로 독립적으로 접철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및 제2접철암(130,140)과,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접철암(130,140)의 후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접철암(130,140)의 차양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암고정용 브라켓(150)과,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접철암(130,140)의 전단부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차양막(122)의 단부가 고정되는 전방프레임(16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은 체결용 볼트(171)로 건물의 벽면(2)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70)에 의해 상하 측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사각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70)는 건물의 벽면(2)에 밀착되며 체결용 볼트(171)가 체결되는 고정공(172a)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172)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72)의 전면에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이 안착되는 제1 및 제2안착부(173,174)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173,174)에는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을 지지하는 체결용 볼트(175)가 체결되는 다수의 고정공(173a,174a)이 형성된다.
이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재(170)는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의 좌우 양측에 하나씩 구비하여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이 일체로 조립된 상태로 건물의 벽면(2)에 수평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의 양단에는 드럼 고정용 브라켓(180)이 각각 구비되어 차양막(122)이 권취되는 권취드럼(120)의 양단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드럼 고정용 브라켓(180)은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부(182,183)가 상측과 하측로 형성되며, 상단에 형성된 지지부(184)에 차양막(122)이 권취되는 권취드럼(120)의 양단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권취드럼(120)에 권취되어 있는 차양막(122)의 일측은 전방프레임(160)에 고정되며, 상기 권취드럼(120)에는 핸들(미도시됨)을 이용한 수동 접철 방법과 모터(미도시됨)를 이용한 자동 접철 방법의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어 풀리고 감김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은 프레임 연결구(19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더욱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연결구(190)는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이 끼워지는 제1 및 제2관통공(192,193)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준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에는 상기 제1 및 제2접철암(130,140)의 차양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암고정용 브라켓(150)이 일체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암고정용 브라켓(150)은 몸체(151)의 전방 상하측에 제1 및 제2각도조절공(152,153)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51)의 후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의 측면이 안착되는 제1 및 제2안착부(154,155)가 형성되어 제1 및 제2안착부(154,155)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156)에 볼트(157)를 관통시켜 너트(157a)로 체결하여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각도조절공(152)은 제1 및 제2 접철암(130,140)의 각도조절이 용이하도록 곡선형태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각도조절공(153)은 단순한 원형공의 형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접철암(130,140)의 후단부에는 제1 마감구(200)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제1마감구(200)는 몸체(201)의 전방에 상기 제1 및 제2접철암(130,140)의 후단에 삽입 연결되는 제1 및 제2삽입부(202,203)가 형성되고, 몸체(201)에는 힌지공(204)이 형성되어 제1힌지핀(205)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연결부재(210)가 체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210)의 몸체(211) 전방에는 제1힌지핀(205)이 힌지결합되는 힌지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211)의 후방에는 제1 및 제2관통공(213,214)이 형성되어 상기 암고정용 브라켓(150)의 제1 및 제2각도조절공(152,153)을 관통하여 제1 및 제2 지지볼트(158,159)가 체결된다. 물론 상기 제1 및 제2 지지볼트(158,159)의 단부에는 지지너트(158a,159a)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암고정용 브라켓(150)에는 상기 제1각도조절공(152)과 연통되는 체결공(152a)이 형성되어 각도조절용 볼트(152b)가 체결된다. 즉 각도조절용 볼트(152b)를 조이거나 푸는 과정을 통해 각도조절용 볼트(152b)의 단부가 제1각도조절공(152)에 위치하는 제1지지볼트(158)의 측면을 가압하는 힘을 조절하여 암고정용 브라켓(150)에서 제1 및 제2접철암(130,140)의 수평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접철암(130,140)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접철암(130)은 제1 내측돌출암(131)과 제1 외측 돌출암(1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접철암(140)은 제2 내측돌출암(141)과 제2 외측 돌출암(14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내측돌출암(131,141)의 후단부에는 제1 마감구(200)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내측돌출암(131,141)의 전단부에는 제2 마감구(220)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외측돌출암(132,142)의 후단부에는 제3 마감구(230)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외측돌출암(132,142)의 전단부에는 제4 마감구(240)가 일체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2 내지 제3마감구(220,230)에는 힌지공(222,232)이 형성되어 제2힌지핀(224)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이때, 제1 및 제2 외측 돌출암(132,142)은 내부에 제1 및 제2스프링 고정부(133,143)가 구비되어 제1 및 제2 인장코일 스프링(134,144)이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인장코일 스프링(134,144)의 한쪽 끝에 제1 및 제2와이어(135,145)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돌출 암(131,141)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135,145)의 타단부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접철암(130,140)의 제1 및 제2 내측 돌출 암(131,141)과 제1 및 제2 외측 돌출 암(132,142)은 펼쳐짐 각도가 최대 170°정도로 하여 제1 및 제2접철암(130,140)의 접철을 원활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돌출암(131,141)은 제1 암 연결구(250)에 의해 일체로 지지되어 더욱 견고하면서도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돌출암(130,14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서로 간의 간섭이 없는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암 연결구(250)는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돌출암(131,141)이 끼워지는 제1 및 제2관통공(252,25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외측 돌출암(132,142)은 제2 암 연결구(260)에 의해 일체로 지지되어 더욱 견고하면서도 상기 제1 및 제2 외측 돌출암(132,142)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서로 간의 간섭이 없는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암 연결구(160)는 상기 제1 및 제2 외측 돌출암(132,142)이 끼워지는 제1 및 제2관통공(162,16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1 및 제2인장코일 스프링(135,145)의 복원력에 의해 제1 및 제2접철암(130,140)이 펼쳐지면서 차양막(122)이 펼쳐지며, 상기 권치 드럼(120)이 회전수단에 의해 감기는 경우 차양막(122)이 권취드럼(120)에 감기면서 제1 및 제2접철암(130,140)을 접게 되어 전방프레임(160)이 당겨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접철암(130,140)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외측돌출암(132,142)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제4 마감구(240)의 전단부에는 힌지공(242)이 형성되어 제3힌지핀(244)이 체결되며 상기 제3힌지핀(244)은 상기 전방프레임(160)에 설치되는 힌지브라켓(270)에 체결된다.
한편, 상기 힌지브라켓(270)은 전방프레임(160)의 적당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전방프레임(160)의 후측 또는 하측 가이드공(162,163)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브라켓(270)에 고정되는 가이드너트(275)가 끼워져 상기 힌지브라켓(270)이 적당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힌지브라켓(270)을 전방프레임(160)의 적절한 위치에 볼트로 직접 고정함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브라켓(270)을 후측가이드공(162)에 고정하면 전방프레임(160) 하측의 공간이 확보됨은 물론 미관이 수려해지고, 힌지브라켓(270)을 하측 가이드공(163)에 고정하면 차양막(122)이 펼쳐지거나 접히는 경우 차양막(122)과의 간섭이 방지되므로 설치자에 의해 적절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프레임(160)의 상측에는 차양막(122)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홈(164)이 형성되어 쫄대(164a) 등을 이용해 차양막(122)의 단부를 전방프레임(160)에 일체로 고정시켜 준다.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160)의 전반부에는 빗물받이(165)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홈(166)이 전방프레임(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빗물받이(165)를 고정홈(166)에 끼우면 빗물이 차양막(122)을 타고 흐르는 경우 빗물받이(165)의 안내홈(166a)을 따라 안내되므로 빗물이 전방프레임(160)의 전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빗물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전방프레임(160)의 전방으로 차양막(122)을 노출할 필요가 없어 전체적으로 어닝 장치(1)를 심플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더블암 구조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의 작동 예를 설명한다.
건물의 벽면(2)에 고정 설치되어 수평으로 차양막(122)을 회전수단의 구동으로 인해 펼치는 경우 권취드럼(120)에 권취된 차양막(122)이 풀리게 되는데 이 경우 제1 및 제2접철암(130,140)은 제1 및 제2인장코일 스프링(134,144)의 복원력에 의해 펼쳐지면서 전방프레임(160)은 전방으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차양막(122)이 펼쳐지면서 제1 및 제2접철암(130,140)이 최대 허용 각(예를 들어, 170°)만큼 펼쳐지게 되어 차양막(122)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차양막(122)을 접는 경우에는 회전수단을 구동시켜 권취드럼(120)을 회전시켜 차양막(122)을 감게되고 그에 따라 전방프레임(160)이 당겨지면서 제1 및 제2접철암(130,140) 역시 접히게 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접철암(130,140)은 일체로 조립된 상태를 이루고 있어, 사용자 또는 설치 시공자가 설치 환경이나 요구에 따라 제1각도조절용 볼트(152b)를 조이거나 푸는 과정을 통해 제1 및 제2접철암(130,140)의 수평각도를 한번에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어닝 장치 2: 건물 벽면
110: 제1 메인프레임 112: 제2 메인프레임
122: 차양막 120: 권취드럼
130: 제1접철암 131: 제1 내측돌출암
132: 제1 외측 돌출암 140: 제2접철암
141: 제2 내측돌출암 142: 제2 외측 돌출암
150: 암고정용 브라켓 160: 전방프레임
170: 고정부재 180: 드럼 고정용 브라켓
190: 프레임 연결구 200: 제1 마감구
210: 연결부재 220: 제2 마감구
230: 제3 마감구 240: 제4 마감구
250: 제1 암 연결구 260: 제2 암 연결구

Claims (9)

  1. 건물의 벽면(2)에 상하 측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과, 상기 제1 메인프레임(110)의 상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구비되어 차양막(122)이 권취되는 권취드럼(120)과, 상기 제1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의 전방에 서로 독립적으로 접철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및 제2접철암(130,140)과,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접철암(130,140)의 후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접철암(130,140)의 차양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암고정용 브라켓(150)과,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접철암(130,140)의 전단부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차양막(122)의 단부가 고정되는 전방프레임(160)으로 이루어지는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제1접철암(130)은 제1 내측돌출암(131)과 제1 외측 돌출암(1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접철암(140)은 제2 내측돌출암(141)과 제2 외측 돌출암(14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내측돌출암(131,141)의 후단부에는 제1 마감구(200)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내측돌출암(131,141)의 전단부에는 제2 마감구(220)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외측돌출암(132,142)의 후단부에는 제3 마감구(230)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외측돌출암(132,142)의 전단부에는 제4 마감구(240)가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은 체결용 볼트(171)로 건물의 벽면(2)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70)에 의해 상하 측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170)는 건물의 벽면(2)에 밀착되며 체결용 볼트(171)가 체결되는 고정공(172a)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172)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72)의 전면에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이 안착되는 제1 및 제2안착부(173,174)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173,174)에는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을 지지하는 체결용 볼트(175)가 체결되는 고정공(173a,17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의 양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부(182,183)가 상측과 하측로 형성되며, 상단에 형성된 지지부(184)에 차양막(122)이 권취되는 권취드럼(120)의 양단이 고정되는 드럼 고정용 브라켓(18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은 제1 및 제2관통공(192,193)이 형성되는 프레임 연결구(190)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고정용 브라켓(150)은 몸체(151)의 전방 상하측에 제1 및 제2각도조절공(152,153)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51)의 후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의 측면이 안착되는 제1 및 제2안착부(154,155)가 형성되어 제1 및 제2안착부(154,155)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156)에 볼트(157)를 관통시켜 너트(157a)로 체결하여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2)에 고정되고;
    상기 제1마감구(200)에는, 몸체(211) 전방에는 제1힌지핀(205)이 힌지결합되는 힌지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211)의 후방에는 제1 및 제2관통공(213,214)이 형성되어 상기 암고정용 브라켓(150)의 제1 및 제2각도조절공(152,153)을 관통하여 제1 및 제2 지지볼트(158,159)가 체결되는 연결부재(210)가 제1힌지핀(205)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암고정용 브라켓(150)에는 상기 제1각도조절공(152)과 연통되는 체결공(152a)이 형성되어 각도조절용 볼트(152b)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각도조절공(152)은 상기 제1 및 제2 접철암(130,140)의 각도조절이 용이하도록 곡선형태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각도조절공(153)은 원형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지 제3마감구(220,230)에는 힌지공(222,232)이 형성되어 제2힌지핀(224)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돌출암(131,141)은 제1 암 연결구(250)에 의해 일체로 지지되며;
    상기 제1 및 제2 외측 돌출암(132,142)은 제2 암 연결구(260)에 의해 일체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KR1020140084286A 2014-07-07 2014-07-07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KR101482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286A KR101482711B1 (ko) 2014-07-07 2014-07-07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286A KR101482711B1 (ko) 2014-07-07 2014-07-07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711B1 true KR101482711B1 (ko) 2015-01-21

Family

ID=5259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286A KR101482711B1 (ko) 2014-07-07 2014-07-07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71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8007A1 (ko) * 2015-09-15 2017-03-23 김연태 기능성 어닝
KR101744699B1 (ko) * 2015-09-15 2017-06-09 김연태 기능성 어닝
KR20180076998A (ko) 2017-09-04 2018-07-06 구통완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
KR102084220B1 (ko) 2019-07-02 2020-03-03 (주)주원창호 접이식 어닝의 틸팅 방지장치
KR102258783B1 (ko) * 2021-01-12 2021-05-28 하성수 전기자동차 충전소용 다기능 그늘막
KR20230037162A (ko) * 2021-09-09 2023-03-16 박범석 어닝 시스템 조립체
KR20230078176A (ko)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극동어닝산업 어닝의 롤 지지구 보호 커버
KR102658920B1 (ko) * 2023-08-28 2024-04-17 김반디 자동 어닝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988B1 (ko) * 2012-08-07 2013-02-01 구통완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988B1 (ko) * 2012-08-07 2013-02-01 구통완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8007A1 (ko) * 2015-09-15 2017-03-23 김연태 기능성 어닝
KR101744699B1 (ko) * 2015-09-15 2017-06-09 김연태 기능성 어닝
KR20180076998A (ko) 2017-09-04 2018-07-06 구통완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
KR102084220B1 (ko) 2019-07-02 2020-03-03 (주)주원창호 접이식 어닝의 틸팅 방지장치
KR102258783B1 (ko) * 2021-01-12 2021-05-28 하성수 전기자동차 충전소용 다기능 그늘막
KR20230037162A (ko) * 2021-09-09 2023-03-16 박범석 어닝 시스템 조립체
KR102648681B1 (ko) * 2021-09-09 2024-03-15 박범석 어닝 시스템 조립체
KR20230078176A (ko)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극동어닝산업 어닝의 롤 지지구 보호 커버
KR102658920B1 (ko) * 2023-08-28 2024-04-17 김반디 자동 어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711B1 (ko)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US9797157B2 (en) Canopy with detachable awning
KR200479452Y1 (ko) 차량용 어닝
KR101184852B1 (ko) 더블암 구조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KR101345274B1 (ko) 스카이 어닝
EP3140488B1 (en) Screen device
US20070084568A1 (en) Window blind structure
KR20120017406A (ko) 출입구, 아치형 입구 및 그 밖의 유사한 것에 대한 걷힘가능한 커버링
KR101541253B1 (ko) 각동 어닝
US10253561B2 (en) Vertical blind assembly
WO2017132776A1 (fr) Ombrières modulaires pouvant etre équipées d'un toit retractable, procédés de fabrication, procédés d'assemblage et utilisations correspondantes
KR20170127867A (ko) 이중원단을 갖는 스카이 어닝의 이동부재
KR101831493B1 (ko) 버티칼 어닝장치
IE20040627A1 (en) A sunshade
KR101407657B1 (ko) 파라솔
KR20180020837A (ko) 스쿠터용 접이식 차양막
KR101228988B1 (ko)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
KR101804788B1 (ko)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
KR102087159B1 (ko) 조립형 텐트
KR20180076998A (ko)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
US11131112B2 (en) Expandable canopy tent frame
JP2007327322A (ja) 日除け装置
KR200406921Y1 (ko) 텐트
KR101819387B1 (ko) 하이브리드 어닝장치
KR20140122071A (ko) 햇빛 차양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