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988B1 -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 - Google Patents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988B1
KR101228988B1 KR1020120086308A KR20120086308A KR101228988B1 KR 101228988 B1 KR101228988 B1 KR 101228988B1 KR 1020120086308 A KR1020120086308 A KR 1020120086308A KR 20120086308 A KR20120086308 A KR 20120086308A KR 101228988 B1 KR101228988 B1 KR 101228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adjustment
pair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통완
Original Assignee
구통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통완 filed Critical 구통완
Priority to KR1020120086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9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11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articulated arms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for deployment of the blind
    • E04F10/061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articulated arms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for deployment of the blind whereby the pivot axis of the articulation is perpendicular to the roller
    • E04F10/062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articulated arms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for deployment of the blind whereby the pivot axis of the articulation is perpendicular to the roller whereby the plane defined by three consecutive articulation points of an articulated arm is not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roller, e.g. to create a saddle type roof construction or to prevent contact between the cloth and the arm s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4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with material fixed on sections of a collapsible frame especially Florentine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37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bli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 E04F10/1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collapsible or extensible; metallic Florentine blinds; awnings with movable parts such as louv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6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arrangements for fastening the blind to the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프링 고정구(140)는, 고정편 바디(143)와, 고정편 바디(143)의 후방측에 연결되어서 암브라켓(120)과 연결되는 연결쇠(144)와, 고정편 바디(143)의 상부면(143a)에서 전방측으로 돌출형성되어서 상부 내측암대(151)에 내삽되는 상부 고정편(141)과, 고정편 바디(143)의 하부면(143b)에서 전방측으로 돌출형성되어서 하부 내측암대(152)에 내삽되는 하부 고정편(14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고정편 바디(143)의 상부면(143a)과 하부면(143b)은 수직 단차 형성되어 있고, 종단 마감구(180)는 마감구 바디(183)와, 마감구 바디(183)의 상부면(183a)에서 후방측으로 돌출형성되어서 상부 외측암대(171)에 내삽되는 상부 삽입편(181)과, 마감구 바디(183)의 하부면(183b)에서 후방측으로 돌출형성되어서 하부 외측암대(172)에 내삽되는 하부 삽입편(18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마감구 바디(183)의 상부면(183a)과 하부면(183b)은 수직 단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암대를 구별하지 않고 생산 제작하고, 이렇게 생산 제작한 암대를 상하로 구별하지 않고 조립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생산성 및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DOUBLE ARM DEVICE FOR SUN ROOF AWNING}
본 발명은 어닝 차양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닝 차양막용 암이 상하 이중구조인 더블 암 형태로 구현된 경우, 이 상하 이중 구조의 암대를 구별하지 않고 생산 제작하고, 이렇게 생산 제작한 암대를 상하로 구별하지 않고 조립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생산성 및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더블 암으로 인하여 하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에도 더블 암의 각도를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닝 차양막은 직사광선이나 비와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건물의 출입구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건물 내부의 일사량 조절기능과 외부의 인테리어 효과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사용 범위가 확대되고, 그 기능과 용도가 다양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어닝 차양막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메인프레임(110)을 다수개의 제1 고정부(120)를 이용하여 건물벽(200) 면에 고정하고, 암 관절(130)을 형성하여 내측 돌출암(170)과 외측 돌출암(180)을 연결하고, 상기 내측 돌출 암(170)의 한쪽 끝은 암지주(140)를 형성하여 메인프레임(110)에 고정하고, 외측 돌출암(180)의 한쪽 끝은 프론트 프레임(100)에 연결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위쪽으로 차양막(160)이 권취되어 있는 권취드럼(150)의 좌우 측을 권취 드럼 프레임(190)을 이용하여 메인프레임(110)에 고정하고, 차양막(160)을 펼치어 프론트 프레임(100)에 고정한다.
상기 차양막(160)의 접철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는 내측 돌출암(170)의 내부에 소정 길이의 인장코일 스프링이 내포되어 있으며, 인장코일 스프링의 한쪽에는 마심와이어가 연결되어 암 관절을 거쳐 외측 돌출암(180)의 중심부분에 고정되어 인장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어닝 암(130a)이 펼쳐진다.
그런데, 위와 같은 일반적인 어닝 암 장치의 경우에는, 내측 돌출암(170)과 외측 돌출암(180)이 모두 단일의 싱글 암 구조로 되어 있어서, 길이가 최대 약 3.5 M로 한정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길이를 3.5 M 이상으로 길게 할 경우 차양막(160)의 하중과 암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뒤틀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싱글 구조의 어닝 암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된 기술이 본원발명의 출원인에 의해서 실용신안출원 제20-2011-0003737호로 출원되어서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5545호로 공개된 "더블 암 구조의 어닝 시스템"이 알려져 있고, 그 상세 기술은 위 공개공보에 상술되어 있으므로 기술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출원인에 의해서 출원되어서 공개된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5545호에 의한 "더블 암 구조의 어닝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통상적으로 내측 암대와 외측 암대를 관절 연결하는 암 관절은, 비가 오는 경우에도 천막이 어닝에 달라 붙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대략 8 도 정도 굴절 형성되어 있어서 위에 있는 암대와 아래에 있는 암대의 길이가 달라진다.
따라서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5545호에 의한 "더블 암 구조의 어닝 시스템"은 위에 설치되는 암대와 아래에 설치되는 암대를 구별하여 일일이 다른 길이로 제단하여 설치해야 했으므로 생산성 및 조립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5545호에 의한 "더블 암 구조의 어닝 시스템"의 경우에는, 암이 상하의 이중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암이 받는 하중이 매우 커서 암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난이했고, 그 결과 차양막의 각도를 조절하지 못하는 고정식만을 주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의 목적은,
첫째, 고정편 바디의 상부면이 고정편 바디의 하부면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 형성되도록 고정편 바디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수직 단차 형성하여 고정편 바디의 상부면과 하부면 경계에 제1 수직 단차면이 형성되도록 하고, 마감구 바디의 상부면이 마감구 바디의 하부면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 형성되도록 마감구 바디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수직 단차 형성되어서 마감구 바디의 상부면과 하부면 경계에는 제2 수직 단차면이 형성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한 쌍의 상부 내측암대와 하부 내측암대를 구분하지 않고, 또한 상부 외측암대와 하부 내측암대를 구분하지 않고 가공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한 쌍의 내측암대와 외측암대를 각각 구분없이 스프링 고정구와 더블 암 관절의 상하부 후방 관절편 사이, 또 더블 암 관절의 상하부 전방 관절편과 종단 마감구 사이에 삽입 체결할 수 있어서 생산성 및 조립 작업성이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둘째, 다단 조절이 가능한 제1 조절홈에 의해서 1차적으로 스프링 고정구의 각도를 대략적으로 조절하고 조절장공과 스토퍼에 의해서 2차적으로 정확하게 스프링 고정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큰 하중을 받고 있는 더블 암 장치에 대해서도 스프링 고정구의 각도를 용이하고도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상부 후방 관절편과 하부 후방 관절편에 개재되는 스페이서를 채택함으로써, 한 쌍의 상하부 내측암대 상호 간 그리고 한 쌍의 상하부 외측암대 상호간에 일정간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는, 벽체에 고정되는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는 암브라켓과, 상기 암브라켓에 체결되어서 인장코일스프링을 걸기 위한 스프링 고정구와, 상부 내측암대와 하부 내측암대가 상하로 이격되도록 후방측이 상기 스프링 고정구에 연결된 한 쌍의 내측암대와, 상부 외측암대와 하부 외측암대가 상하로 이격되어서 상기 내측암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외측암대와, 상부 후방 관절편과 하부 후방 관절편이 각각 한 쌍의 내측암대의 전방측에 삽입되고 상부 전방 관절편과 하부 전방 관절편이 각각 한 쌍의 외측암대의 후방측에 삽입되어서 상기 내측암대와 외측암대를 연결하고 상부 후방 관절편과 하부 후방 관절편는 각각 상부 전방 관절편과 하부 전방 관절편에 연결핀에 의해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더블 암관절과, 상기 한 쌍의 외측 암대의 전방측에 연결되는 종단 마감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고정구는, 고정편 바디와, 상기 고정편 바디의 후방측에 연결되어서 상기 암브라켓과 연결되는 연결쇠와, 인장코일스프링을 걸기 위한 상부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편 바디의 상부면에서 전방측으로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상부 내측암대에 내삽되어서 상부 내측암대를 연결고정하는 상부 고정편과, 인장코일스프링을 걸기 위한 하부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고정편으로부터 아래로 이격되어서 상기 고정편 바디의 하부면에서 전방측으로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하부 내측암대에 내삽되어서 하부 내측암대를 연결고정하는 하부 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 고정구의 연결쇠에는 상부 연결쇠공과 하부 연결쇠공이 각각 상하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브라켓은, 브라켓 바디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하도록 상기 브라켓 바디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장착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 바디의 하측에는 제1 조절홈이 전후방 방향으로 복수로 순차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 바디의 상측 전방에는 조절장공이 전후방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연결쇠공과 복수의 제1 조절홈 중의 어느 하나를 연결 체결하는 제1 조절볼트 및 제1 조절너트와, 상기 상부 연결쇠공과 상기 조절장공을 연결 체결하는 제2 조절볼트 및 제2 조절너트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제1 조절볼트가 상기 하부 연결쇠공과 상기 복수의 제1 조절홈 중의 어느 것을 체결하는 것인가에 따라서 상기 스프링 고정구의 각도를 1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조절장공의 전후방 방향의 어느 위치에서 상기 하부 연결쇠공이 제2 조절볼트 및 제2 조절너트와 체결되는 것인가에 따라서 스프링 고정구의 각도를 2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는, 상기 고정편 바디의 상부면이 상기 고정편 바디의 하부면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 형성되도록 상기 고정편 바디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수직 단차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종단 마감구는, 마감구 바디와, 상기 마감구 바디의 상부면에서 후방측으로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상부 외측암대에 내삽되어서 상부 외측암대를 연결고정하는 상부 삽입편과, 상기 마감구 바디의 하부면에서 후방측으로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하부 외측암대에 내삽되어서 하부 외측암대를 연결고정하는 하부 삽입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감구 바디의 상부면이 상기 마감구 바디의 하부면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 형성되도록 상기 마감구 바디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수직 단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는, 상기 조절장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브라켓 바디의 정면에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조임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임공에 나사체결되고 상기 제2 조절볼트를 조여서 제2 조절너트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스토퍼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는, 상기 다수의 제1 조절홈의 배치는 순차적으로 후방 상향으로 원호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는, 상기 연결핀에 외삽되는 스페이서공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후방 관절편과 하부 후방 관절편에 개재되어서 상기 한 쌍의 상부 후방 관절편과 하부 후방 관절편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스페이서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고정편 바디의 상부면이 고정편 바디의 하부면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 형성되도록 고정편 바디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수직 단차 형성하여 고정편 바디의 상부면과 하부면 경계에 제1 수직 단차면이 형성되도록 하고, 마감구 바디의 상부면이 마감구 바디의 하부면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 형성되도록 마감구 바디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수직 단차 형성되어서 마감구 바디의 상부면과 하부면 경계에는 제2 수직 단차면이 형성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한 쌍의 상부 내측암대와 하부 내측암대를 구분하지 않고 또한 상부 외측암대와 하부 내측암대를 구분하지 않고 가공 제작할 수 있고 동시에 한 쌍의 내측암대와 외측암대를 각각 구분없이 스프링 고정구와 더블 암 관절의 상하부 후방 관절편 사이, 또 더블 암 관절의 상하부 전방 관절편과 종단 마감구 사이에 삽입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 결과 생산성 및 조립 작업성이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다단 조절이 가능한 제1 조절홈에 의해서 1차적으로 스프링 고정구의 각도를 대략적으로 조절하고 조절장공과 스토퍼에 의해서 2차적으로 정확하게 스프링 고정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큰 하중을 받고 있는 더블 암 장치에 대해서 스프링 고정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부 후방 관절편과 하부 후방 관절편에 개재되는 스페이서를 채택함으로써, 한 쌍의 상하부 내측암대 상호 간 그리고 한 쌍의 상하부 외측암대 상호간에 일정간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를 채용한 어닝 차양막의 주요부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의 내측암대 및 외측암대의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에 있어서 암브라켓(120)과 스프링 고정구의 분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에 있어서 상하 내측암대(151, 152)가 스프링 고정구의 상하부 고정편(141, 142)에 삽입된 상태의 요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에 있어서 상하 외측암대(171, 172)가 종단 마감구의 상하부 삽입구(181, 182)에 삽입된 상태의 요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에 있어서 연결핀(165)과 스페이서(166)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스프링 고정구의 각도를 조절하는 동작도이다.
도 9는 종래기술에 의한 일반적이 싱글 암 구조의 어닝 차양막의 개랙적인 구성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향에 대해서 정의하면, 전방측은 차양막이 있는 방향이고, 후방측이란 벽체(W1)가 있는 방향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는, 벽체(W1)에 고정되는 한 쌍의 수평봉으로 이루어지는 메인프레임(110)에 장착되는 암브라켓(120)과, 암브라켓(120)에 체결되어서 인장코일스프링(도 1, 도 2 도시 참조, 도면번호 미병기)을 걸기 위한 스프링 고정구(140)와, 상부 내측암대(151)와 하부 내측암대(152)가 상하로 이격되도록 후방측이 상기 스프링 고정구(140)에 연결된 한 쌍의 내측암대(151, 152)와, 상부 외측암대(171)와 하부 외측암대(172)가 상하로 이격되어서 상기 내측암대(151, 152)에 연결되는 한 쌍의 외측암대(171, 172)와, 상부 후방 관절편(161a)과 하부 후방 관절편(162a)이 각각 한 쌍의 내측암대(151, 152)의 전방측에 삽입되고 상부 전방 관절편(161b)과 하부 전방 관절편(162b)이 각각 한 쌍의 외측암대(171, 172)의 후방측에 삽입되어서 상기 내측암대(151, 152)와 외측암대(171, 172)를 연결하고 상부 후방 관절편(161a)과 하부 후방 관절편(162a)은 각각 상부 전방 관절편(161b)과 하부 전방 관절편(162b)에 연결핀(165)에 의해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더블 암관절(160)과, 상기 한 쌍의 외측암대(171, 172)의 전방측에 연결되는 종단 마감구(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고정구(140)는, 고정편 바디(143)와, 상기 고정편 바디(143)의 후방측에 연결되어서 상기 암브라켓(120)과 연결되는 연결쇠(144)와, 인장코일스프링을 걸기 위한 상부 고정홈(141a)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편 바디(143)의 상부면(143a)에서 전방측으로 돌출형성되어서 상부 내측암대(151)에 내삽되어서 상부 내측암대(151)를 연결고정하는 상부 고정편(141)과, 인장코일스프링을 걸기 위한 하부 고정홈(142a)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고정편(141)으로부터 아래로 이격되어서 고정편 바디(143)의 하부면(143b)에서 전방측으로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하부 내측암대(152)에 내삽되어서 하부 내측암대(152)를 연결고정하는 하부 고정편(14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 고정구(140)에 한 쌍의 상하부 고정편(141, 142)을 돌출 형성하여 한 쌍의 상하부 내측암대(151, 152)에 각각 별개로 고정삽입할 수 있으므로, 이중으로 구성된 내측암대(151, 152)를 서포트하는 힘이 강해져서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종단 마감구(180)는, 마감구 바디(183)와, 상기 마감구 바디(183)의 상부면(183a)에서 후방측으로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상부 외측암대(171)에 내삽되어서 상부 외측암대(171)를 연결고정하는 상부 삽입편(181)과, 상기 마감구 바디(183)의 하부면(183b)에서 후방측으로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하부 외측암대(172)에 내삽되어서 하부 외측암대(172)를 연결고정하는 하부 삽입편(18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종단 마감구(180)에 한 쌍의 상하부 삽입편(181, 182)을 후방으로 돌출 형성하여 한 쌍의 상하부 외측암대(171, 172)에 각각 별개로 삽입 고정함으로써, 이중으로 구성된 외측암대(171, 172)를 서포트하는 힘이 강해져서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 바디(143)의 상부면(143a)이 상기 고정편 바디(143)의 하부면(143b)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 형성되도록 상기 고정편 바디(143)의 상부면(143a)과 하부면(143b)은 수직 단차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편 바디(143)의 상부면(143a)과 하부면(143b) 경계에는 제1 수직 단차면(143c)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마감구 바디(183)의 상부면(183a)이 상기 마감구 바디(183)의 하부면(183b)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 형성되도록 상기 마감구 바디(183)의 상부면(183a)과 하부면(183b)은 수직 단차 형성되어 있어서 마감구 바디(183)의 상부면(183a)과 하부면(183b) 경계에는 제2 수직 단차면(183c)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적으로 비가 오는 경우에도 천막이 어닝에 달라붙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상하부 후방 관절편(161a, 162a)은 약 4 도 정도 상방으로 굴절 형성되어 있고, 상하부 전방 관절편(161b, 162b)도 약 4 도 정도 상방으로 굴절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상부 내측암대(151)의 길이를 하부 내측암대(152)의 길이보다 길게 제작하고 상부 외측암대(171)의 길이를 하부 외측암대(172)의 길이보다 길게 제작하여야 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원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스프링 고정구(140)와 더블 암 관절(160) 사이에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 내측암대(151)와 하부 내측암대(152)를 구분하지 않고 제작 가공하여도 되고, 한 쌍의 내측암대(151, 152)를 구분하지 않고 스프링 고정구(140)의 상하부 고정편(141, 142)과 더블 암 관절(160)의 상하부 후방 관절편(161a, 162a) 끼워서 삽입 체결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상부 외측암대(171)와 하부 외측암대(172)를 구분하지 않고 가공 제작할 수 있고, 또한 한 쌍의 외측암대(171, 172)를 구분없이 더블 암 관절의 상하부 전방 관절편과 종단 마감구 사이에 삽입 체결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생산성 및 조립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는 차양막(193)을 설치하기 위해서, 메인프레임(110)은 프레임 브라켓(111)에 의해서 벽체(W1)에 고정되어 있고, 메인프레임(110)에 드럼 지지부재(191a)를 상방으로 설치하고, 드럼 지지부재(191a)에 지지되어서 권취드럼(191)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며, 종단 마감구(180)에는 프런트 프레임(192)을 설치하며, 일단이 권취드럼(191)에 권취되고 타단이 프런트 프레임(192)에 고정되도록 차양막(193)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인장코일 스프링의 한쪽 끝에는 상하부 외측암대(171, 172)의 내부에서 종단되도록 마심와이어(도 2 도시 참조, 도면부호 미병기)가 구비되어 있음은 종래기술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고정구(140)의 연결쇠(144)에는 상부 연결쇠공(144a)과 하부 연결쇠공(144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브라켓(120)은, 대략 4 각의 링 형태의 브라켓 바디(121)와,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장착하도록 상기 브라켓 바디(121)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장착편(122)으로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 바디(121)의 하측에는 제1 조절홈(123)이 전후방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복수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 바디(121)의 상측 전방에는 조절장공(124)이 전후방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연결쇠공(144b)과 복수의 제1 조절홈(123)의 어느 한 곳을 연결 체결하는 제1 조절볼트(131) 및 제1 조절너트(131a)와, 상기 상부 연결쇠공(144a)과 상기 조절장공(124)을 연결 체결하는 제2 조절볼트(132) 및 제2 조절너트(132a)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조절홈(123) 중에서 몇 번째 제1 조절홈(123)과 상기 하부 연결쇠공(144b)이 제1 조절볼트(131)에 의해서 체결되는 것인지에 따라서 스프링 고정구(140)의 각도를 1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조절장공(124)의 전후방 방향의 어느 위치에서 상기 상부 연결쇠공(144a)이 제2 조절볼트(132) 및 제2 조절너트(132a)와 체결되는 것인가에 따라서 스프링 고정구(140)의 각도를 2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조절볼트(131)와 제1 조절너트(131a)에 의해서 제1 조절홈(123)의 적당한 곳과 하부 연결쇠공(144b)을 체결하여서 1차적으로 스프링 고정구(140)의 각도(따라서 차양막의 각도)를 대략적으로 조절하고, 제2 조절볼트(132)와 제2 조절너트(132a)에 의해서 조절장공(124)과 상부 연결쇠공(144a)을 연결함으로써 2차적으로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의 더블 암 구조와 같이 암대(151, 152, 171, 172)들이 큰 힘을 받더라도 그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공(124)에 연통되도록 상기 브라켓 바디(121)의 정면에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조임공(1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임공(125)에 나사체결되어서 상기 제2 조절볼트(132)를 조여서 견고하게 고정하는 스토퍼(133)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조절장공(124)과 상부 연결쇠공(144a) 간의 체결을 더욱더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조절홈(123)의 배치는 순차적으로 후방 상향으로 갈수록 원호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스프링 고정구(140)의 각도를 더욱더 용이하게 기울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공(124)은 하방으로 오목하게(즉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165)에 외삽되는 스페이서공(166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후방 관절편(161a)과 하부 후방 관절편(162a)에 개재되어서 상기 한 쌍의 상부 후방 관절편(161a)과 하부 후방 관절편(162a)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스페이서(166)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한 쌍의 상하부 내측암대(151, 152) 상호 간과, 그리고 한 쌍의 상하부 외측암대(171, 172) 상호간에 일정간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 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7에는 1차적으로 스프링 고정구(140)의 대략적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가 도시되어 있다.
최초에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서 두 번째 위치의 제1 조절홈(123)에 제1 조절볼트(131)가 위치한 상태에서, 제1 조절볼트(131)와 제1 조절너트(131a)의 나사 체결을 풀어서 제1 조절볼트(131)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서 네 번째 위치한 제1 조절홈(123)과 하부 연결쇠공(144b)을 맞춘 후에 하부 연결쇠공(144b)과 전방에서 네 번째의 제1 조절홈(123)을 제1 조절볼트(131)와 제1 조절너트(131a)로 체결하면, 스프링 고정구(140)가 도 7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내외측암대(151, 152, 171, 172)가 하방으로 기울어지면서 차양막(193)이 아래로 기울어지게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 연결쇠공(144b)을 제1 조절홈(123)의 적절한 위치에 얼라인하여 제1 조절볼트(131)와 제1 조절너트(131a)로 각도를 대략적으로 조절하는 이유는, 본 발명이 더블 암 구조를 채택하고 있고 더블 암 구조는 하중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는 하부 연결쇠공(144b)과 연결 고정되는 제1 조절홈(123)의 위치를 가변시켜서 1차적으로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도 8에는 상기와 같이 대략적으로 각도를 조절한 후에 2차적으로 스프링 고정구(140)의 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1차적으로 각도를 조절한 후에, 이제 제2 조절볼트(132)와 제2 조절너트(132a)의 나사 체결을 풀어서 제2 조절볼트(132)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쪽으로 이동하여 조절장공(124)의 전방에 위치시킨 후에 상부 연결쇠공(144a)과 조절장공(124)을 제2 조절볼트(132)와 제2 조절너트(132a)로 조이고, 마지막으로 스토퍼(133)를 조이면 제2 조절볼트(132)의 체결이 더욱더 견고한 상태로 된다.
제2 조절너트(132a)가 도 8에 도시된 위치에서 상부 연결쇠공(144a)과 조절장공(124)이 체결되면, 도 8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스프링 고정구(140)가 조금 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내외측암대(151, 152, 171, 172)가 조금 더 하방으로 기울어지고 그 결과 차양막이 조금 더 아래로 기울어지게 각도가 조절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10 : 메인프레임 111 : 프레임 브라켓
120 : 암브라켓 121: 브라켓 바디
122 : 암브라켓의 장착편 123 : 제1 조절홈
124 : 제2 조절 장공 125 : 조임공
131 : 제1 조절 볼트 131a: 제1 조절 너트
132 : 제2 조절 볼트 132a: 제2 조절 너트
133 : 스토퍼 140 : 스프링 고정구
141 : 상부 고정편 141a: 상부 고정홈
142 : 하부 고정편 142a: 하부 고정홈
143 : 고정편바디 143a: 고정편바디의 상부면
143b: 고정편바디의 하부면 143c: 제1 수직단차면
144 : 연결쇠 144a: 상부 연결쇠공
144b: 하부 연결쇠공 151, 152 :내측암대
151 : 상부 내측암대 152 : 하부 내측암대
160 : 암관절 161a: 상부 후방 관절편
161b: 상부 전방 관절편 162a: 하부 후방 관절편
162b: 하부 전방 관절편 165 : 연결핀
166 : 스페이서 166a: 스페이서공
171, 172 : 외측암대 171 : 상부 외측암대
172 : 하부 외측암대 180 : 종단 마감구
181 : 상부 삽입편 182 : 하부 삽입편
183 : 종단 마감구의 바디 183a: 바디의 상부면
183b: 바디의 하부면 183c: 제2 수직단차면
191 : 권취 드럼 191a: 드럼 지지부재
192 : 프론트 프레임 193 : 차양막
W1 : 벽체

Claims (2)

  1. 벽체(W1)에 고정되는 메인프레임(110)에 장착되는 암브라켓(120)과, 상기 암브라켓(120)에 체결되어서 인장코일스프링을 걸기 위한 스프링 고정구(140)와, 상부 내측암대(151)와 하부 내측암대(152)가 상하로 이격되도록 후방측이 상기 스프링 고정구(140)에 연결된 한 쌍의 내측암대(151, 152)와, 상부 외측암대(171)와 하부 외측암대(172)가 상하로 이격되어서 상기 내측암대(151, 152)에 연결되는 한 쌍의 외측암대(171, 172)와, 상부 후방 관절편(161a)과 하부 후방 관절편(162a)이 각각 한 쌍의 내측암대(151, 152)의 전방측에 삽입되고 상부 전방 관절편(161b)과 하부 전방 관절편(162b)이 각각 한 쌍의 외측암대(171, 172)의 후방측에 삽입되어서 상기 내측암대(151, 152)와 외측암대(171, 172)를 연결하고 상부 후방 관절편(161a)과 하부 후방 관절편(162a)은 각각 상부 전방 관절편(161b)과 하부 전방 관절편(162b)에 연결핀(165)에 의해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더블 암관절(160)과, 상기 한 쌍의 외측암대(171, 172)의 전방측에 연결되는 종단 마감구(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고정구(140)는, 고정편 바디(143)와, 상기 고정편 바디(143)의 후방측에 연결되어서 상기 암브라켓(120)과 연결되는 연결쇠(144)와, 인장코일스프링을 걸기 위한 상부 고정홈(141a)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편 바디(143)의 상부면(143a)에서 전방측으로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상부 내측암대(151)에 내삽되어서 상부 내측암대(151)를 연결고정하는 상부 고정편(141)과, 인장코일스프링을 걸기 위한 하부 고정홈(14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고정편(141)으로부터 아래로 이격되어서 고정편 바디(143)의 하부면(143b)에서 전방측으로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하부 내측암대(152)에 내삽되어서 하부 내측암대(152)를 연결고정하는 하부 고정편(14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 고정구(140)의 연결쇠(144)에는 상부 연결쇠공(144a)과 하부 연결쇠공(144b)이 각각 상하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브라켓(120)은, 브라켓 바디(121)와,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장착하도록 상기 브라켓 바디(121)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장착편(122)으로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 바디(121)의 하측에는 제1 조절홈(123)이 전후방 방향으로 복수로 순차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 바디(121)의 상측 전방에는 조절장공(124)이 전후방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연결쇠공(144b)과 복수의 제1 조절홈(123) 중의 어느 하나를 연결 체결하는 제1 조절볼트(131) 및 제1 조절너트(131a)와,
    상기 상부 연결쇠공(144a)과 상기 조절장공(124)을 연결 체결하는 제2 조절볼트(132) 및 제2 조절너트(132a)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제1 조절볼트(131)가 상기 하부 연결쇠공(144b)과 상기 복수의 제1 조절홈(123) 중의 어느 것을 체결하는 것인가에 따라서 상기 스프링 고정구(140)의 각도를 1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조절장공(124)의 전후방 방향의 어느 위치에서 상기 상부 연결쇠공(144a)이 제2 조절볼트(132) 및 제2 조절너트(132a)와 체결되는 것인가에 따라서 스프링 고정구(140)의 각도를 2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 바디(143)의 상부면(143a)이 상기 고정편 바디(143)의 하부면(143b)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 형성되도록 상기 고정편 바디(143)의 상부면(143a)과 하부면(143b)은 수직 단차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종단 마감구(180)는, 마감구 바디(183)와, 상기 마감구 바디(183)의 상부면(183a)에서 후방측으로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상부 외측암대(171)에 내삽되어서 상부 외측암대(171)를 연결고정하는 상부 삽입편(181)과, 상기 마감구 바디(183)의 하부면(183b)에서 후방측으로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하부 외측암대(172)에 내삽되어서 하부 외측암대(172)를 연결고정하는 하부 삽입편(18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감구 바디(183)의 상부면(183a)이 상기 마감구 바디(183)의 하부면(183b)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 형성되도록 상기 마감구 바디(183)의 상부면(183a)과 하부면(183b)은 수직 단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
KR1020120086308A 2012-08-07 2012-08-07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 KR101228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308A KR101228988B1 (ko) 2012-08-07 2012-08-07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308A KR101228988B1 (ko) 2012-08-07 2012-08-07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8988B1 true KR101228988B1 (ko) 2013-02-01

Family

ID=47898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308A KR101228988B1 (ko) 2012-08-07 2012-08-07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9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711B1 (ko) * 2014-07-07 2015-01-21 주식회사 우림원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CN106996166A (zh) * 2016-09-29 2017-08-01 广州泰若智能化科技有限公司 一种遮阳棚装置及其操作方法
KR101799885B1 (ko) * 2017-07-05 2017-11-22 오지영 더블암 지지대를 구비한 어닝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516Y1 (ko) * 1977-01-19 1981-10-16 요시다 다다오 깊이 조절가능 차양
JPH04269290A (ja) * 1990-12-19 1992-09-25 Franciaflex 巻き込んだ帆布を保護するひさしを備える日よけ装置
KR20110005545U (ko) * 2011-05-01 2011-06-02 구통완 더블 암 구조의 어닝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516Y1 (ko) * 1977-01-19 1981-10-16 요시다 다다오 깊이 조절가능 차양
JPH04269290A (ja) * 1990-12-19 1992-09-25 Franciaflex 巻き込んだ帆布を保護するひさしを備える日よけ装置
KR20110005545U (ko) * 2011-05-01 2011-06-02 구통완 더블 암 구조의 어닝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711B1 (ko) * 2014-07-07 2015-01-21 주식회사 우림원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CN106996166A (zh) * 2016-09-29 2017-08-01 广州泰若智能化科技有限公司 一种遮阳棚装置及其操作方法
KR101799885B1 (ko) * 2017-07-05 2017-11-22 오지영 더블암 지지대를 구비한 어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18518B (zh) 眼镜架,眼镜架中使用的眼镜框和安装眼镜架的方法
KR200149956Y1 (ko) 천과 프레임이 일체로 결합된 절첩식 대형 텐트 프레임
KR101482711B1 (ko)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KR101228988B1 (ko)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
CN204663139U (zh) 一种帐篷
KR101705442B1 (ko) 물고임 방지 하이돔 텐트
CN102209823A (zh) 用于导入载荷力如绳索力或面结构的张紧力的载荷接收装置
KR101541253B1 (ko) 각동 어닝
KR101184852B1 (ko) 더블암 구조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CN104172793B (zh) 多功能升降架
KR101130072B1 (ko)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
KR20110005545U (ko) 더블 암 구조의 어닝 시스템
US20110030744A1 (en) Parasol with high space utilization
JP5371835B2 (ja) テントとそのテントを立てる方法
KR101139907B1 (ko) 차양막 주름 방지를 위한 경첩형 장력조절장치
KR100431410B1 (ko) 원터치 절첩식 텐트
KR20130136840A (ko) 어닝 받침용 지주
KR101256836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어닝 차양막용 암브라켓
CN210690968U (zh) 一种眼镜脚组件
JP2007327322A (ja) 日除け装置
KR101175034B1 (ko) 안경테용 안경다리 결합 구조
EP3059461B1 (en) Awning arm comprising an elbow which comprises two caps connected by a connecting element
KR101825413B1 (ko) 하향 굴절형 암관절을 구비한 다단 절곡형 어닝 암
CN205688938U (zh) 便携式帐篷
CN205063518U (zh) 一种具有较大篷内空间的折叠帐篷及扩展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