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516Y1 - 깊이 조절가능 차양 - Google Patents

깊이 조절가능 차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516Y1
KR810001516Y1 KR7700331U KR770000331U KR810001516Y1 KR 810001516 Y1 KR810001516 Y1 KR 810001516Y1 KR 7700331 U KR7700331 U KR 7700331U KR 770000331 U KR770000331 U KR 770000331U KR 810001516 Y1 KR810001516 Y1 KR 8100015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ving plate
moving
fixed plat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0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타케 히구치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오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오,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to KR7700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5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5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5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 E04F10/1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collapsible or extensible; metallic Florentine blinds; awnings with movable parts such as louv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깊이 조절가능 차양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깊이 조절가능 차양이 건물에 설치된 형태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 Ⅱ의 방향에서 본 본고안 차양의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서와 동일한 수직평면을 따라 절단한 본 고안 차양의 사시도.
본 고안은 벽이나 건물에 부착되어 통로, 문, 창문 등을 덮어주기 위한 차양의 구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앞에서 뒤까지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차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원하는 깊이로 쉽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원하는 깊이에서 고정될 수 있는 차양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압출된 형재들을 조립하여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깊이 조절 가능 차양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실용적인 관점이나 미적인 관점에서 모두 우수한 깊이 조절가능 차양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건물 등의 고정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판 및 이 고정판의 전방으로 배치되어 그 아래에 중첩되는 적어도 1개의 이동판으로 구성되는 차양으로서, 상기 고정판의 전단부로 부터는 앞벽이 아랫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판의 후단부에는 다수의 안내홈이 형성되어 이동판의 앞뒤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다수의 나사못이 이동판의 하부로부터 각각의 안내홈을 통해 삽입되며, 고정판의 하부에는 상기 나사못을 수용하여 결합하기 위한 연결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동판은 나사못에 의하여 연결장치를 통해 고정판에 연결되고, 따라서 나사못을 풀면 이동판을 상기 안내홈의 길이 범위내에서 차양의 앞뒤 방향으로 고정판에 대해 이동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 조절가능 차양이 제공된다.
실제로 본 고안의 깊이 조절가능 차양은 한 개의 고정판 및 이와 동일한 구조의 다수의 이동판으로 구성되어 이동판이 고정판에 대하여 그리고 이동판 상호간에 대하여 그 하부에 중첩되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모든 고정판 및 이동판은 압출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에는 3개의 판, 즉 고정판(11)과 제1 및 제2이동판(12)(13)으로 구성되는 차양(10)이 도시되어 있다. 2개의 이동판은 고정판의 전방에서 고정판에 대하여 그리고 이동판상호에 대하여 중첩되어있다. 이들 판(11)(12)(13)은 모두 압출 알루미늄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판(11)에는 그 후단부를 따라 고착벽(14)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고착벽은 상부 및 하부플랜지(15)(16)와 그 사이의 보강재(17)로 되어있다. 고착벽(14)은 나사(18)에 의해 L자형 고착 구조물(19)에 고정되며, 이 L자형 고착 구조물(19)은 나사(20)에 의해 건물의 상인방(21)에 고정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착벽(14)은 고정판이 건물에 부착될 때 아랫쪽으로 경사지도록 고정판(11)과 각도를 이루고 있다.
제1도-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1)의 전단부로 부터는 앞벽(22)이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앞벽(22)의 하단부를 따라서는 L자형 플랜지(23)가 설치 되어서 윗쪽으로 개방된 홈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부 개방홈은 연결편(24)(제1도,제3도)을 고정판(11)의 아래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연결편(24)은 고정판(11)의 축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기다란 웨브(25) 및 이 웨브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따라 각각 아래쪽으로 굽은 한쌍의 플랜지(26)(27)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플랜지(26)는 앞벽(2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상부개방홈에 고착되어 연결편(24)을 고정판(11)의 아랫쪽에 지지한다.
또한 연결편(24)에는 웨브(25)로부터 상향돌출되어 고정판(11)의 아랫쪽에 맞닿아 있고, 연결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8)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8)는 다수의 나사못(29)을 수용하여 나합 고착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이동판(12)을 고정판(11)에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은 다수의 보스(boss)를 일정한 간격으로 웨브(25)에 형성해도 달성할 수 있지만, 돌출부(28)에 의하면 연결편(24)을 압출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이동판(12)(13)은 그 모양 및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상에는 제1이동판(12)의 구조 및 이 제1이동판(12)이 고정판(11)에 연결되는 방법만이 설명되어 있으나, 제2이동판의 구조 및 제1이동판에 연결 원리도 마찬가지이다.
제1이동판(12)의 후단부에는 수직한 플랜지 벽이 고정판(11)이 건물과 이루는 각도와 같은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 벽의 윗부분 및 아랫부분(30)(31)의 역할은 서로 상이한 것으로서, 이하 전방으로 돌출된 플랜지 (32)까지의 윗벽부분(30)을 정지벽이라고 부르고, 전방으로 돌출된 플랜지(33)까지의 아랫벽부분(31)은 안내벽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정지벽(30)은 고정판(11)의 아래쪽에 활동적(滑動的)으로 접촉함으로서 연결편(24)의 돌출부(28)에 맞닿고 떨어지게 이동한다.
제1이동판(12)의 후단부 근처에는 다수의 안내홈(34)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의 안내홈은 판의 앞뒤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안내홈(34)의 개수는 차양(10)의 폭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적어도 2개의 홈은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고, 또한 이들홈이 이동판의 양쪽 측면 근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이동판(12)을 고정판(11)에 연결하려면, 상기 나사못(29)을 안내홈(34)을 통해 위로 삽입하여 연결편(24)의 돌출부(28)에 나합 고착시킨다. 이와같이 제1이동판(12)은 고정판(11)에 대한 앞뒤방향의 활동이 제한되며, 나사못(29)를 조이면 이 나사못(29)의 두부가 안내홈(34)의 가장자리에 걸리게 되므로 제1이동판이 연결편(24)에 의해 고정판에 움직일 수 없도록 고정된다.
고정판(11)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이동판(12)의 전단부로 부터는 앞벽(22a)이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 앞벽의 하단부를 따라서는 L자형 플랜지(23a)가 설치되어서 윗쪽으로 개방된 홈을 형성하고 있다. 이상부 개방홈도 역시 연결편(24a)을 고정시켜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연결편(24a)은 그 모양과 크기가 고정판(11)의 아랫쪽에 고착된 연결편(24)과 동일하다. 연결편(24a)의 기능도 역시 상기 연결편(24)의 기능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1이동판이 고정판(11)에 연결되는 것과 꼭 같은 방식으로, 제2이동판(13)도 나사못(29a)에 의해서 제1이동판(11)에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이동판은 제1이동판과 구조가 동일하며, 따라서 첨부도면에서도 제1 및 제2이동판의 대응하는 부품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기호로 표시하였다. 그러나 제2이동판(13)에서의 앞벽(22a)의 하단부에 설치된 L자형 플랜지(23a)의 역할은 홈통(36)의 ㄴ자형 플랜지(35)를 고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홈통(36)이 차양(10)의 최전단부를 따라 지지되고 연장되는 것임은 명백하다.
판(11)(12)(13)들로 구성된 상기 조립체의 양쪽 측면에는 한쌍의 측면 레일 (73)(한쪽만 도시됨)이 형성되어 있고, 각 측면 레일의 양쪽끝은 건물의 상인방(21) 등과 건물의 고정부분에 고착된 받침 브라켓(38)에 종래의 방식으로 부착된다. 각 측면 레일(37)은 웨브(40), 상부 및 하부 플랜지(41)(42), 그리고 이들 플랜지 사이에 위치하는 1개 또는 다수(도면에는 2개)의 벽(43)(44)으로 구성된다. 상부 및 하부 플랜지(41)(42)와 제1 및 제2중간벽(34)(44)은 모두 웨브(40)에 수직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각 측면 레일(37)의 상부 플랜지(41)는 고정판(11)의 한쪽 측면상에 위치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중간벽(43)도 제1이동판(12)의 한쪽 측면상에 위치되며, 고정판(11)의 앞벽(22)에 형성된 요입부를 통해 더욱 연장되어 제1이동판(12)의 정지벽(30)에 형성된 요입부를 통해 활동적으로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제2중간벽(44)도 제2이동판(13)의 한쪽 측면상에 위치하며, 제1이동판(12)의 앞벽(22a)에 형성된 요입부와 제2이동판(13)의 정지벽(30)에 형성된 요입부를 통하여 활동적으로 연장된다. 제1도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중간벽(44)은 제1이동판(12)의 안내벽(31)의 하부로 연장되어 활동적으로 접촉되며, 하부 플랜지(42)는 제2이동판(13)의 앞벽(22a)과 안내벽(31)의 하부로 연장되어 활동적으로 접촉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각 측면 레일(37)의 제1 및 제2중간벽(43)(44)의 사이와 제2중간벽(44) 및 하부 플랜지(42)의 사이에는 2개의 안내 통로가 형성되어 있어서, 차양(10)의 앞뒤 깊이를 조절하는 동안에 이동판(12)(13)의 이동을 각각 안내한다. 이와같이, 한쌍의 측면레일(37)은 판 조립체의 측면을 덮는 것 이외에도 2개의 이동판(12)(13)이 서로에 대하여 또한 고정판(11)에 대하여 앞뒤로 활동하는 것을 안내하고 또한 판(11)(12)(13)의 완성 조립체를 받쳐주는 등의 2가지 역할을 한다. 판조립체의 측면을 전체 길이에 걸쳐 덮을 필요가 없는 부분에서는 측면 레일(37)을 절단하여 도시하였다.
상술한 구조의 깊이 조절가능 차양(10)에 있어서, 각 이동판(12)(13)은 바로 인젓한 판에 대하여 안내홈(34)의 길이만큼 연장되거나 후퇴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볼 때, 3개의 판으로 된 차양(10)의 경우에는 안내홈(34)의 길이의 2배만큼 연장 또는 후퇴될 수 있는 것이다. 차양(10)을 완전히 연장했을 때에는, 이동판(13)(13)의 정지벽(30)이 각 연결편(24)(24a)의 돌출부(28)와 맞닿게 된다.
따라서 나사못(29)(29a)을 풀면 차양(10)을 상술한 범위내에서 소망하는 깊이로 조절할 수 있고 나사못을 다시 조이면 차양(10)을 소망하는 깊이로 고정시킬 수 있다. 안내홈(34)의 길이를 연결편(24)(24a)의 돌출부(28)의 위치에 대하여 판(11)(12)의 앞뒤 방향으로 적절하게 결정하면, 차양(10)을 완전히 연장했을 때 안내홈(34)이 판(11)(12)의 앞벽(22)(22a)을 넘어서 앞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우기 나사못(29)(29a)을 조이면 각각의 판(11)(12)의 앞벽(22)(22a)이 각각 아래의 판(12)(13)에 맞닿게 되므로, 이들 앞벽(22)(22a)은 차양(10)의 미적인 면을 높여주는 이외에도 차양(10)의 보호기능을 증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나사못(29)(29a)을 수용 고착하는 돌출부(28)가 연결편(24)(24a)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들 돌출부를 판(11)(12)과 일체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각각의 판(11)(12)(13)이 더욱 안정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더욱이 이 경우에는 이동판(12)(13)을 앞뒤로 이동시킬 때 이들을 측면 레일(37)의 중간벽 및 하부 플랜지에 의하여 안내할 필요가 없게된다. 또한 돌출부를 판(11)(12)의 하부에 형성하더라도 압출법으로 제조함에 있어서 전혀 지장이 없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3개의 판으로 된 차양에 대해 설명되어 있으나, 필요한 수효만큼의 이동판을 얼마든지 한 개의 고정판과 함께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깊이 조절가능 차양에 있어서의 가장 간단한 형태는 한개의 고정판 및 한 개의 이동판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Claims (1)

  1. 건물등의 고정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판 및 이 고정판의 전방으로 배치되어 그 아래에 중첩되는 적어도 1개의 이동판으로 구성되는 차양으로서, 상기 고정판의 전단부로 부터는 앞벽이 아랫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판의 후단부에는 다수의 안내홈이 형성되어 이동판의 앞뒤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다수의 나사못이 이동판의 하부로부터 각각의 안내홈을 통해 삽입되며 고정판의 하부에는 상기 나사못을 수용하여 결합하기 위한 연결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동판은 나사못에 의하여 연결장치를 통해 고정판에 연결되고 따라서 나사못을 풀면이동판을 상기 안내홈의 길이 범위내에서 차양의 앞뒤 방향으로 고정판에 대해 이동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 조절가능 차양.
KR7700331U 1977-01-19 1977-01-19 깊이 조절가능 차양 KR8100015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331U KR810001516Y1 (ko) 1977-01-19 1977-01-19 깊이 조절가능 차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331U KR810001516Y1 (ko) 1977-01-19 1977-01-19 깊이 조절가능 차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516Y1 true KR810001516Y1 (ko) 1981-10-16

Family

ID=1920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0331U KR810001516Y1 (ko) 1977-01-19 1977-01-19 깊이 조절가능 차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5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516B1 (ko) * 2011-09-20 2012-05-04 이진환 다목적용 차양 장치
KR101228988B1 (ko) * 2012-08-07 2013-02-01 구통완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516B1 (ko) * 2011-09-20 2012-05-04 이진환 다목적용 차양 장치
WO2013042903A2 (ko) * 2011-09-20 2013-03-28 Lee Jin Hwan 다목적용 차양 장치
WO2013042903A3 (ko) * 2011-09-20 2013-05-23 Lee Jin Hwan 다목적용 차양 장치
KR101228988B1 (ko) * 2012-08-07 2013-02-01 구통완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3950A (en) Control cabinet with rack and mounting plate
US4513536A (en) Weather tight seal for the sill of a household door
US6804918B2 (en) Roof window assembly comprising a window component and an external screening accessory
US4237664A (en) Sliding door unit
FI82593B (fi) Profilpelare foer fastspaenning av skivor, saerskilt glasskivor, foer utstaellningsvitriner, foersaeljningsbord marknadsloesare och motsvarande.
US4271652A (en) Facing
EP1669537B1 (en) Guiding assembly for roll-up awnings
FI62403C (fi) Oeverkantstaetning vid jalusiportar och liknande
CA1158123A (en) Door frame and handle combination
KR810001516Y1 (ko) 깊이 조절가능 차양
KR200425100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US4055916A (en) Exterior window unit having frame header
FI75899B (fi) Anordning vid duschvaegg.
GB2025499A (en) Mountings for reversible windows
JP2591638Y2 (ja) 連窓の方立構造
KR200428811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GB2304363A (en) Vertically adjustable threshold bar
CN219795036U (zh) 一种门框结构及使用其的淋浴房
GB2158221A (en) Louvred ventilators
JP3950442B2 (ja) 直交材吊り支持構造
FR2597532A1 (fr) Dispositif de fixation de panneaux de revetement de murs et de plafonds
JPS6041403Y2 (ja) 建具の建付調整装置
JPH0431932Y2 (ko)
JPH0616076Y2 (ja) 雨戸用の下レール構造
JPS5911191Y2 (ja) 波状パネルの固定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