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071A - 햇빛 차양막 - Google Patents

햇빛 차양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071A
KR20140122071A KR20130038675A KR20130038675A KR20140122071A KR 20140122071 A KR20140122071 A KR 20140122071A KR 20130038675 A KR20130038675 A KR 20130038675A KR 20130038675 A KR20130038675 A KR 20130038675A KR 20140122071 A KR20140122071 A KR 20140122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support
film
support frame
s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8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6865B1 (ko
Inventor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이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현 filed Critical 이지현
Priority to KR1020130038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865B1/ko
Priority to CN201310431956.2A priority patent/CN104097545B/zh
Publication of KR20140122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78Sun visors structure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햇빛 차양막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탈부착베이스가 구비된 유아용 카시트에 탈부착되는 햇빛차양막에 있어서, 햇빛을 차단하는 제1차양막, 제1차양막의 일측에 연결되어 통풍을 용이하게 하는 통풍막, 통풍막의 일측에 연결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제2차양막, 제2차양막과 직교방향으로 연결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제3차양막, 햇빛차양막에 소정간격마다 설치되어 햇빛차양막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 및 복수의 지지프레임 중 제2,3지지프레임의 단부와 연결되고, 소정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중첩하여 결합된 복수의 라쳇부를 구비하며, 유아용 카시트에 체결 및 분리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복수의 지지프레임 및 복수의 라쳇부가 기 설정된 각도내에서 회동하여 햇빛차양막이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차양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햇빛 차양막{Sun awnings}
본 발명은 햇빛 차양막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의 성장에 따라 접거나 펼쳐 사용할 수 있는 차양막을 설치하여, 유아를 카시트에 태우고 외출할 때, 유아의 피부에 악영향을 미치는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유아의 눈부심을 막아주며, 통풍막을 설치해 통풍을 원할하게 함으로써, 청량감을 유지할 수 있는 유아용 카시트용 햇빛 차양막에 관한 것이다.
특히, 유아의 피부는 얇고, 외부 자극에 특히 민감하여, 어른의 경우와 달리 피지에 의한 피부 보호 체계가 아직 잘 형성되어 있지 않아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시 그 폐해가 훨씬 심각하여 피부 관리에 더욱 신경을 써야한다.
햇빛차양막은 보통 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아의 머리 윗부분에만 설치되어 햇빛의 방향에 따라서 그대로 유해한 태양광선에 유아의 피부가 노출되는 경우가 흔하며 유아의 눈부심이나 내부온도상승 등을 방지하기 어렵다. 햇빛차양막에 의해 완전히 감싸인 유아용 카시트 부위는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고 햇빛차양막의 천에 의한 방사열에 의해 온도가 많이 상승하게 되어, 카시트에 탑승하고 있는 유아는 상승된 온도에 견디기 힘들게 되며, 또한 전방시야를 가리게 되어 유아는 매우 답답해한다.
또한, 여름철에 자동차가 직사광선을 장시간 쬘 경우, 밀폐된 차량 내부의 온도는 유아에게 위험할 정도까지 오르게 되어 내부를 환기시키거나 에어컨을 가동시켜 온도를 낮춘다 하여도 직사광선을 가장 많이 받는 자동차의 전면유리를 통해 받는 자외선이 보조석에 탑승한 유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게 된다.
현재, 카시트에 있어서 유아용의 햇빛차양막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용 카시트(1)에 자동차 전방유리를 통해 들어오는 햇빛을 직접적으로 쐬지 않게 하기 위해 상면에 햇빛차양막(2)을 장착하여 사용된다.
햇빛이 입사되는 각도는 계절이나 시간대에 따라 변하는데, 햇빛의 입사각이 달라지면 햇빛이 경사를 이루어 쪼이므로 처음 설치한 햇빛차양막(2)의 각도로는 이러한 햇빛을 적절히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햇빛차양막(2)의 기울기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따가운 햇빛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는 햇빛차양막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아용 카시트에 설치되는 햇빛차양막(2)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 절첩하여 격납할 수 없기 때문에 분리가 필요하고, 신생아용 햇빛차양막만 통용되고 있어서, 빠르게 성장하는 유아에게 짧은 기간만 사용할 수 있어 비효율적이고, 금방 불필요하게 되어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사용자에게 부담이 많이 되고 있다.
또한, 차양막의 조절이 되지 않고, 길이가 짧기 때문에 햇빛을 막아주는 각도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KR 20-2008-0081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아용 카시트에 햇빛차양막을 자유로이 설치 및 제거할 수 있고, 유아에게 햇빛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효과적으로 자외선 및 눈부심 등을 차단하고, 공기의 흐름이 원할하도록 통풍막이 설치된 유아용 카시트의 햇빛 차양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유아의 성장에 맞도록 단계별로 차양막을 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체격이 크거나 빠르게 성장하는 유아에게도 사용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탈부착베이스가 구비된 유아용 카시트에 탈부착되는 햇빛차양막에 있어서, 햇빛을 차단하는 제1차양막, 제1차양막의 일측에 연결되어 통풍을 용이하게 하는 통풍막, 통풍막의 일측에 연결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제2차양막, 제2차양막과 직교방향으로 연결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제3차양막, 햇빛차양막에 소정간격마다 설치되어 햇빛차양막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 및 복수의 지지프레임 중 제2,3지지프레임의 단부와 연결되고, 소정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중첩하여 결합된 복수의 라쳇부를 구비하며, 유아용 카시트에 체결 및 분리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복수의 지지프레임 및 복수의 라쳇부가 기 설정된 각도내에서 회동하여 햇빛차양막이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차양막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2,3차양막은 천, 면 및 광학용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통풍막은 망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프레임은 고무, 플라스틱, 금속 및 합성물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프레임은, 제1차양막의 일측면에 부착된 제1지지프레임 및 제2차양막의 타측면에 부착되어 제3지지프레임과 함께 제2차양막을 지지하고, 제2차양막과 직교방향으로 연결된 제3차양막을 지지하는 제4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제2지지프레임은 제1차양막의 타측면에 부착되어 제1지지프레임과 함께 제1차양막을 지지하고, 통풍막의 일측면에 부착되며, 제3지지프레임은 통풍막의 타측면에 부착되어 제2지지프레임과 함께 통풍막을 지지하고, 제2차양막 일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는 탈부착베이스에 탈부착되고, 중공된 테두리에 톱니가 형성된 탈부착레버, 양측내부에 톱니가 형성되어, 일측이 탈부착레버와 톱니결합되는 중공형상의 제1라쳇부, 일측에 톱니가 돌출되어 제1라쳇부의 타측에 톱니결합되고, 타측에 관통공이 구비된 수용홈이 형성된 제2라쳇부, 제2라쳇부의 수용홈에 삽입되는 스프링, 스프링을 압압하여 수용홈을 덮는 커버 및 커버, 스프링, 제1,2라쳇부 및 탈부착레버를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지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축이 커버, 스프링, 제1,2라쳇부 및 탈부착레버를 관통하여 결합시킴으로 인해, 수용홈에 삽입된 스프링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제1,2라쳇부를 회동가능할 수 있다.
또한, 탈부착레버는 일단에 돌출된 걸림수단을 더 포함하되, 걸림수단은 유아용 카시트의 탈부착베이스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에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1,2라쳇부는 외주연 일측에 제2,3지지프레임 각각의 단부가 삽입하여 결합되는 제1,2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탈부착레버는 원모양으로 형성된 톱니의 일부가 단절되어 형성된 공간부를 더 포함하고, 제1라쳇부는 공간부의 일부에 삽입되어 공간부내의 범위에서 소정각도 이동하는 삽입돌기를 더 포함하되, 제1라쳇부는 삽입돌기가 공간부내에서 이동하는 각도에 대응하여 회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햇빛차양막은 유아용 카시트 본체에 설치된 탈부착베이스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으며, 라쳇부 회동에 의해 햇빛의 방향이나 유아의 성장 및 신장 등에 대응하여 차양막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 가능하다.
또한, 통풍막을 통해 유아용 카시트 내부에 더운 공기가 모이는 것을 방지하여 유아가 항상 시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탑승하고 있는 유아의 시야 전면 부위 등에 설치되어 유해한 자외선이나 눈부심으로부터 유아를 완벽하게 보호하면서도 유아의 전면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필요에 따라 차양막을 유아의 안면 부위 또는 머리 상단부위 등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으며,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면,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의 햇빛차양막이 부착된 유아용 카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햇빛차양막이 유아용 카시트에 부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지프레임 및 체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체결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라쳇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유아용 카시트의 탈부착베이스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햇빛차양막이 유아용 카시트와 분리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아용 카시트에 설치되는 햇빛차양막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 절첩하여 격납할 수 없기 때문에 분리가 필요하고, 신생아용 햇빛차양막만 통용되고 있어서, 빠르게 성장하는 유아에게 짧은 기간만 사용되기 때문에, 금방 불필요하게 되어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사용자에게 부담이 많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효과적으로 자외선 및 눈부심 등을 차단하고, 공기의 흐름이 원할하도록 통풍막이 설치되고, 유아의 성장에 맞도록 단계별로 차양막을 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성장하는 유아에게도 오랜 기간 사용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구성 및 기능>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100)에 장착되는 햇빛차양막(2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햇빛차양막(200)이 유아용 카시트(100)에 부착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햇빛차양막(200)이 탈부착되는 유아용 카시트(100)는 유아용 카시트(100)와 제1차양막(210), 통풍막(220), 제2차양막(230), 제3차양막(240), 제1,2,3,4지지프레임(250,260,270,280) 및 결합부(290)를 포함한 햇빛차양막(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유아용 카시트(100)에 설치되는 햇빛차양막(200)이 구현될 수 있다.
제1차양막(210)은 천, 면 및 광학용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전면의 햇빛을 차단한다. 여기서, 자외선과 눈부심을 차단할 수 있는 광학용 시트로 이루어진 차양막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외선 차단기능을 갖춘 PC(poly carbonate), PMMA(poly methyl metha acrylate),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등의 광학용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3차양막(230,240) 또한 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1,2,3차양막(210,230,240)의 색상은 유아용 카시트(100)의 디자인과 매칭되는 색으로 구성된다.
통풍막(220)은 통풍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망사로 이루어지고, 제1차양막(2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통풍막(220)은 제1차양막(210)과 제2차양막(230) 사이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위치는 제1,2차양막(210,230)이 완전히 펴졌을 경우에, 유아의 머리 상부에 직접적으로 통풍이 되도록 하여, 유아가 받는 열을 줄여주는 기능을 한다.
비록 본 발명에서는 제1차양막(210)과 제2차양막(230) 사이에 통풍막(220)을 구비하였으나, 설치 위치나 면적을 필요에 따라 증감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망사 이외에도 바람이 쉽게 통할 수 있는 그물망이나 기타 소재들도 대체될 수 있다.
제2차양막(230)은 통풍막(2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1차양막(210)과 같이 햇빛을 차단한다. 그리고 제3차양막(240)은 제2차양막(230)과 직교방향으로 연결되어 후면의 햇빛을 차단한다.
지지프레임(250,260,270,280)은 제1차양막(210), 제2차양막(230), 통풍막(220), 제3차양막(240) 사이마다 설치되어 차양막(210,230,240) 및 통풍막(220)을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250,260,270,280)은 고무, 플라스틱, 금속 및 합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가볍고 튼튼한 재질인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지프레임(250,260,270,280) 및 체결부(290)를 확대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은 제1,2,3,4지지프레임(250,260,270, 280)으로 구성되는데, 제1지지프레임(250)은 제1차양막(210)의 일측면을 따라 부착되고, 제2지지프레임(260)은 제1차양막(210)의 타측면을 따라 부착되어 제1지지프레임(250)과 함께 제1차양막(210)을 지지한다.
그리고 제2지지프레임(260)은 통풍막(220)의 일측면에 부착되고, 통풍막(220)의 타측면에 제3지지프레임(270)이 부착되어, 제2,3지지프레임(260,270)이 함께 통풍막(220)을 지지한다.
제2지지프레임(260)과 제3지지프레임(270) 사이에는 통풍을 용이하게 하는 통풍막(220)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통풍막(220)을 사용하여 유아용 카시트(100) 내부 공기의 유동이 매우 원활해질 수 있다.
또한, 제2,3지지프레임(260,270)의 단부는 후술되는 체결부(290)의 제1,2라쳇부(292,293)에 연결되고, 제1,2라쳇부(292,293)는 회동가능하게 중첩하여 결합된다.
제4지지프레임(280)은 통풍막(220)의 타측면에 부착되어 제3지지프레임(270)과 함께 제2차양막(230)을 지지하고, 제2차양막(230)과 직교방향으로 연결된 제3차양막(240)을 지지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250,260,270,280)은 아치형상으로, 좌우 끝단이 하부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고, 제2,3지지프레임(260,270)의 양끝단은 체결부(290)에 연결되어 이를 통해 유아용 카시트(100)의 탈부착베이스(110)에 체결 및 분리된다.
한편,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체결부(290)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라쳇부(292)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290)는 탈부착레버(291), 제1라쳇부(292), 제2라쳇부(293), 스프링(294), 지지축(295), 커버(29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290)의 구성요소들은 지지축(295)이 관통할 수 있는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탈부착레버(291)는 유아용 카시트(100)의 탈부착베이스(110)에 탈부착되고, 중공된 테두리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탈부착레버(291)이 후술되는 제1라쳇부(292)와 결합하는 면에는 원모양으로 형성된 톱니의 일부가 단절되어 공간부(291b)를 형성한다. 여기서, 공간부(291b)는 제1라쳇부(292)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여 대략 50 ~ 90도의 범위로 형성된다. 공간부(291b)의 일부에 제1라쳇부(292)의 삽입돌기(292b)가 삽입되어, 공간부(291b)내의 범위에서만 이동을 함으로써, 공간부(291b)의 외측의 톱니와 제1라쳇부(292)의 톱니가 서로 맞물려 일정범위 안에서 단계적으로 회동하게 된다.
또한, 탈부착레버(291)는 일단에 돌출된 걸림수단(291a)이 구비되고, 이 걸림수단(291a)을 통해 유아용 카시트(100)의 탈부착베이스(110)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미도시)에 결합 또는 분리된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라쳇부(292)는 양측내부에 톱니가 형성되어, 일측이 탈부착레버(291)의 돌출된 톱니에 대응하여 결합되고, 타측이 제2라쳇부(293)의 돌출된 톱니와 결합된다. 제2라쳇부(293)는 일측에 톱니가 돌출되어 상술된 바와 같이, 제1라쳇부(292)의 타측에 톱니결합된다. 제2라쳇부(293)의 타측에는 오목하게 수용홈(293b)이 형성되고, 수용홈(293b) 중앙에는 지지축(295)이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2라쳇부(292,293)의 외주연 일측에 제1,2결합부(292a,293a)가 형성되어 있어, 제2,3지지프레임(260,270)의 말단이 제1,2결합부(292a,293a)에 삽입하여 단단히 결합된다.
스프링(294)은 제2라쳇부(293)의 수용홈(293b)에 압압되어 삽입되며, 그 위에 커버(296)로 덮인다. 구체적으로는 지지축(295)이 커버(296), 스프링(294), 제1,2라쳇부(292,293) 및 탈부착레버(291)를 관통하여 지지축(295) 말단이 지지축고정링(297)에 걸쳐 고정된다. 따라서, 커버(295)가 수용홈(293b) 외측에 고정되고, 수용홈(293b)에 삽입된 스프링(294)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2라쳇부(292,293)를 탈부착레버(291)와 소정 이격시켜 회동가능하다. 힘을 주어 제1,2라쳇부(292,293)를 회동시킬 경우, 톱니가 맞물리게 되어 제1,2라쳇부(292,293)가 단계적으로 회동하게 된다.
<펼치는 과정>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햇빛차양막(200)이 펼쳐지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복수의 지지프레임(250,260,270,280)을 회동시키면, 제2,3지지프레임(260, 270)과 연결된 제1,2라쳇부(292,293)가 함께 회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제4지지프레임(280)은 끝단이 체결부(290)와 연결되지 않아 있으나, 제4지지프레임(280)에 설치된 제3차양막(240)이 유아용 카시트(100)의 등받이에 걸려 유아용 카시트(100)와 같은 수직방향으로 고정된다.
다음으로, 제3지지프레임(270)은 제4지지프레임(280)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2차양막(230)의 최대폭내의 각도로 회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2지지프레임(260)은 제3지지프레임(270)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술된 제1,2라쳇부(292,293)가 회동하면 톱니가 맞물리게 되어 인해 제1,2라쳇부(292,293)가 단계적으로 회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2지지프레임(230)과 연결된 제1라쳇부(292)의 삽입돌기(292b)가 공간부(291b)내에서 제한된 각도로 이동하고, 톱니 맞물림 작용으로 인해 단계적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공간부(291b)내에서 삽입돌기(292b)가 이동하는 각도는 통풍막(220)의 최대폭내의 각도와 일치하게 되어, 통풍막 최대폭내의 각도로 회동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제1지지프레임(250)은 제2지지프레임(260)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1차양막(210)의 최대폭내의 각도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과정으로 제1,2,3차양막(210,230,240) 및 통풍막(220)이 펼쳐지게 된다.
<결합 및 분리방법>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100)에 장착되는 햇빛차양막(200)의 결합 및 분리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유아용 카시트(100)의 탈부착베이스(110)의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햇빛차양막(200)이 유아용 카시트(100)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부착베이스(110)는 탈부착레버(291)의 일측에 돌출된 반원형 모양의 탈부착레버(291)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한 반원형의 홈(111)이 형성되어 탈부착레버(291)의 일부가 삽입된다. 동시에, 하단에는 도 4를 기준으로 "ㄴ" 형상인 걸림수단(291a)이 탈부착베이스(110)의 하단부에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홈(미도시)에 걸려 단단하게 체결된다.
여기서, 걸림수단(291a)의 "ㄴ"자 말단은 상부로 소정 돌출되고, 경사지게 하부로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수단(291a)을 하부로 압력을 주어 탈부착베이스(110)에 결합한 후 압력을 풀게 되면, 플라스틱의 탄성으로 인하여 걸림수단(291a)이 상부로 원상복귀됨으로써, 걸림홈(미도시)에 단단하게 걸리게 된다.
상기 방법으로 고정된 햇빛차양막(200)을 유아용 카시트(100)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은 걸림수단(291a)을 하부방향으로 압력하여 걸림수단(291a)이 걸림홈(미도시)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면, 햇빛차양막(200)을 탈부착베이스(110)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이와 같이, 햇빛차양막(200)은 유아용 카시트(100) 본체에 설치된 탈부착베이스(110)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으며, 라쳇부(292,293) 회동에 의해 햇빛의 방향이나 유아의 성장 및 신장 등에 대응하여 차양막(210,230,24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통풍막(220)을 통해 유아용 카시트(100) 내부에 더운 공기가 모이는 것을 방지하여 유아가 항상 시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설명된 유아용 카시트(100)에 설치되는 햇빛차양막(200)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 종래의 카시트
2. 종래의 햇빛차양막
100. 유아용 카시트
110. 탈부착베이스
111. 홈
200. 햇빛차양막
210. 제1차양막
220. 통풍막
230. 제2차양막
240. 제3차양막
250. 제1지지프레임
260. 제2지지프레임
270. 제3지지프레임
280. 제4지지프레임
290. 체결부
291. 탈부착레버
291a. 걸림수단
291b. 공간부
292. 제1라쳇부
292a. 제1결합부
292b. 삽입돌기
293. 제2라쳇부
293a, 제2결합부
293b. 수용홈
294. 스프링
295. 지지축
296. 커버
297. 지지축고정링

Claims (10)

  1. 탈부착베이스(110)가 구비된 유아용 카시트(100)에 탈부착되는 햇빛차양막(200)에 있어서,
    햇빛을 차단하는 제1차양막(210);
    상기 제1차양막(210)의 일측에 연결되어 통풍을 용이하게 하는 통풍막(220);
    상기 통풍막(220)의 일측에 연결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제2차양막(230);
    상기 제2차양막(230)과 직교방향으로 연결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제3차양막(240);
    상기 햇빛차양막(200)에 소정간격마다 설치되어 상기 햇빛차양막(200)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중 제2,3지지프레임(260,270)의 단부와 연결되고, 소정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중첩하여 결합된 복수의 라쳇부(292,293)를 구비하며, 상기 유아용 카시트(100)에 체결 및 분리되는 체결부(290);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라쳇부(292,293)가 기 설정된 각도내에서 회동하여 상기 햇빛차양막(200)이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차양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차양막(210,230,240)은 천, 면 및 광학용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차양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막(220)은 망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차양막.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250,260,270,280)은 고무, 플라스틱, 금속 및 합성물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차양막.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250,260,270,280)은,
    상기 제1차양막(210)의 일측면에 부착된 제1지지프레임(250); 및
    상기 제2차양막(230)의 타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3지지프레임(270)과 함께 제2차양막(230)을 지지하고, 상기 제2차양막(230)과 직교방향으로 연결된 제3차양막(240)을 지지하는 제4지지프레임(28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지지프레임(260)은 상기 제1차양막(210)의 타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250)과 함께 제1차양막(210)을 지지하고, 상기 통풍막(220)의 일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3지지프레임(270)은 상기 통풍막(220)의 타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2지지프레임(260)과 함께 상기 통풍막(220)을 지지하고, 상기 제2차양막(230) 일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차양막.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290)는,
    상기 탈부착베이스(110)에 탈부착되고, 중공된 테두리에 톱니가 형성된 탈부착레버(291);
    양측내부에 톱니가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탈부착레버(291)와 톱니결합되는 중공형상의 제1라쳇부(292);
    일측에 톱니가 돌출되어 상기 제1라쳇부(292)의 타측에 톱니결합되고, 타측에 관통공이 구비된 수용홈(293b)이 형성된 제2라쳇부(293);
    상기 제2라쳇부(293)의 수용홈(293b)에 삽입되는 스프링(294);
    상기 스프링(294)을 압압하여 상기 수용홈(293b)을 덮는 커버(296); 및
    상기 커버(296), 상기 스프링(294), 상기 제1,2라쳇부(292,293) 및 탈부착레버(291)를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지지축(29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차양막.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295)이 상기 커버(296), 상기 스프링(294), 상기 제1,2라쳇부 (292,293)및 탈부착레버(291)를 관통하여 결합시킴으로 인해, 상기 수용홈(293b)에 삽입된 스프링(294)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2라쳇부(292,293)를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차양막.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레버(291)는 일단에 돌출된 걸림수단(291a);을 더 포함하되,
    상기 걸림수단(291a)은 상기 유아용 카시트(100)의 탈부착베이스(110)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미도시)에 체결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차양막.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라쳇부(292,293)는 외주연 일측에 상기 제2,3지지프레임(260,270) 각각의 단부가 삽입하여 결합되는 제1,2결합부(292a,293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차양막.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레버(291)는 원모양으로 형성된 톱니의 일부가 단절되어 형성된 공간부(291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라쳇부(292)는 상기 공간부(291b)의 일부에 삽입되어 상기 공간부(291b)내의 범위에서 소정각도 이동하는 삽입돌기(292b);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라쳇부(292)는 상기 삽입돌기(292b)가 상기 공간부(291b)내에서 이동하는 각도에 대응하여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차양막.
KR1020130038675A 2013-04-09 2013-04-09 햇빛 차양막 KR101516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675A KR101516865B1 (ko) 2013-04-09 2013-04-09 햇빛 차양막
CN201310431956.2A CN104097545B (zh) 2013-04-09 2013-09-22 遮阳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675A KR101516865B1 (ko) 2013-04-09 2013-04-09 햇빛 차양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071A true KR20140122071A (ko) 2014-10-17
KR101516865B1 KR101516865B1 (ko) 2015-05-04

Family

ID=5166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675A KR101516865B1 (ko) 2013-04-09 2013-04-09 햇빛 차양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6865B1 (ko)
CN (1) CN1040975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4556A (zh) * 2016-06-18 2016-10-12 金余和 一种儿童安全座椅用防飞溅物保护罩
CN106724377A (zh) * 2016-12-30 2017-05-31 东莞产权交易中心 一种茧式婴儿座椅
CN107364519B (zh) * 2017-06-17 2020-10-27 宁波中新阀门有限公司 一种自行车车座雨阳篷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40923Y1 (it) * 1996-10-03 2001-04-11 Perego Pines Gmbh Passeggino con capottina parapioggia
GB2323580A (en) * 1997-03-26 1998-09-30 Linda Carol Gordon Sun shield
JP2002104032A (ja) * 2000-10-03 2002-04-09 Combi Corp 日除けカバー付きチャイルドシート
CN2454224Y (zh) * 2000-12-29 2001-10-17 甘明村 婴儿车与遮阳篷的结合结构
US7891732B2 (en) * 2006-05-05 2011-02-22 Orbit Baby, Inc. Extendable sunshade for child car seat
KR200453145Y1 (ko) * 2008-06-17 2011-04-08 주식회사 토탈키즈 차양막부가 설치된 유모차 커버
CN102342689B (zh) * 2010-08-03 2014-11-26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婴幼儿乘载装置及其可调整顶篷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97545A (zh) 2014-10-15
CN104097545B (zh) 2017-04-12
KR101516865B1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327531B2 (en) Thermally insulated cover for baby stroller
KR200433255Y1 (ko) 모자용 보조 햇볕 가리개
KR101046695B1 (ko) 가변 차양을 갖는 차양모
KR20060047225A (ko) 차양을 구비한 육아 기구
JP2007051408A (ja) 帽子用の着脱式日よけ
KR101516865B1 (ko) 햇빛 차양막
JP2001521466A (ja) 日除け
US20070113322A1 (en) Face shield
KR101375532B1 (ko) 헤어밴드 겸용 자외선 보호 가리개 및 그 제조방법
US20060082183A1 (en) Portable foldaway windshield with dual powered air filtered cooling fans for a child stroller or carriage tray
KR20130079053A (ko) 차량용 차양장치
EP1310184B1 (en) Portable shade
KR20090013053U (ko) 차양막부가 설치된 유모차 커버
KR101607405B1 (ko) 유아용 카시트에 사용되는 햇빛 차양막
KR20120002831U (ko) 탈착 가능한 차양부를 구비한 유모차 보호덮개
JP3102793U (ja) 乳母車用の補助日除け幌
KR20180128616A (ko) 머리띠 겸용 얼굴 차양모자
KR20100009033A (ko) 유모차용 햇빛가리개 및 햇빛가리개를 포함하는 유모차덮개
KR101942284B1 (ko) 햇빛가리개
KR101621521B1 (ko) 차양막과 호흡기 위치 맞춤형 마스크를 구비하는 모자
KR200478157Y1 (ko) 유모차용 차양장치
KR200421621Y1 (ko) 유모차 및 카시트 겸용 다목적 선셰이드
KR200299056Y1 (ko) 유아탑승기구용 햇빛 차단기
JPH10129254A (ja) 拡張サンバイザー
KR200180250Y1 (ko) 머리띠 겸용 차양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