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621Y1 - 유모차 및 카시트 겸용 다목적 선셰이드 - Google Patents

유모차 및 카시트 겸용 다목적 선셰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621Y1
KR200421621Y1 KR2020060010798U KR20060010798U KR200421621Y1 KR 200421621 Y1 KR200421621 Y1 KR 200421621Y1 KR 2020060010798 U KR2020060010798 U KR 2020060010798U KR 20060010798 U KR20060010798 U KR 20060010798U KR 200421621 Y1 KR200421621 Y1 KR 2004216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eat
stroller
sunshade
fabric
ultraviolet 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7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탈키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탈키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탈키즈
Priority to KR20200600107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6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6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6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7Attachments or holders for umbrellas, parasols or sunshade panels

Abstract

본 고안은 유모차의 크기나 카시트의 크기에 관계없이 편하게 장착하여, 탑승한 유아에게 조사되는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청량감을 제공할 수 있는 유모차 및 카시트 겸용 다목적 선셰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는 선셰이드는 몸체(101)가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직조를 갖고 신축성을 지닌 직물로 구성되고, 지지대부(102)와 신축부(103)와 주름부(104)에 의해 반원 형태를 유지하면서 몸체의 현부분에서 많이 주름이 가도록 구성하며, 지지대부의 양쪽 끝 부분에 형성되는 좌우 끈 고정부(105, 105’)에 좌우 체결부(107, 107’)와 길이 조절부(108)를 갖는 좌우 연결끈 부(106, 106’)가 연결되어, 유모차의 캐노피와 카시트의 등판 상단에 간단히 장착하여 탑승한 유아의 안면에 조사되는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청량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유모차 및 카시트 겸용의 다목적 선셰이드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유모차와 카시트에 동시에 사용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또한 작게 말아 접을 수 있어 휴대와 보관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자외선, 신축성, 스판, 청량감, 간편, 저렴, 선셰이드

Description

유모차 및 카시트 겸용 다목적 선셰이드{MULTI-PURPOSE SUN SHADE FOR BABY CARRIAG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르는 선셰이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선셰이드를 유모차에 설치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선셰이드를 카시트에 설치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유모차나 카시트에 탑승한 유아를 자외선과 눈부심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선셰이드에 관한 것이다.
이른 봄부터 늦은 가을에 이르기까지 유모차나 카시트에 탑승한 유아의 외출 빈도가 매우 높은 시기이나 이 계절에 자외선의 피해는 더욱 많아져서 유아의 피부와 안구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특히 자외선은 피부에 직접적인 손상을 줄 수 있으며 피부암과 백내장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유모차나 카시트에 캐노피(canopy)가 장치되어 있으나, 이 캐노피만으로 자외선을 완벽하게 보호하기 어려운 면이 있어서 여러 장치들이 고안되었다.
예를 들어, 유모차의 손잡이 부위에 탈착식으로 설치하고 지지대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양산 고정 장치에 그 개념을 둔 유모차용 햇빛 가리개(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1997-30797호), 양산대의 중간부에 유연성을 갖는 플렉시관을 형성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하는 플렉시블관이 형성된 양산(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2000-22187호), 양산 또는 우산을 유모차 등에 장착할 수 있고 그 방향 및 휴대 등이 용이하도록 고안된 양산 또는 우산 고정대(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2000-23750호), 유모차를 밀고 가는 보호자를 햇빛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기존의 양산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유모차의 양산장치(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2001-18451호) 등이 있다. 상기 고안들은 유모차 등에 적용되는 햇빛 차단을 위한 장치 등에 관한 것이나 양산 등을 유모차에 부착시키는데 그 요지가 있으며 눈부심 방지 또는 청량감 등을 제공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나아가 유모차 차체에 고정하고 긴 축을 형성한 후 상단에 자외선 차단 플리스틱 시트가 고정된 유아탑승기구용 햇빛 차단기(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99056호), 자외선 차단 플라스틱 시트를 직접 유모차의 캐노피 지지대에 클립장치로 고정하는 유모차용 보조 차양막 장치(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22465호),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직물 또는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진 차양막부 및 하나 이상의 패스너부로 이루어지고 이를 유아탑승기구의 지지 프레임에 장착하여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양막 장치(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78827호)가 공지되어 있으나 이러한 장치들은 비용이 많이 들거나 복잡하여 주부들이 이용하기 어려운 면이 있고 또는 자유자재로 접어서 보관하기 어렵거나, 자외선 차단의 몸체와 독립된 패스너 등의 체결수단이 쉽게 분실될 수 있는 등 그 이용에 불편함이 있어 왔다. 또한 천으로 구성된 자외선 차단장치라도 그 체결 수단이 복잡해서 사용이 불편하거나, 유모차의 모양이나 크기에 따라 형태유지가 어렵고 카시트에는 적용되지 않는 등 그 이용에 제한을 받아왔다.
따라서 비용이 저렴하고 장치가 간단하여 주부들의 입장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편하게 접어서 부피를 간소화할 수 있으면서 유모차 뿐 아니라 카시트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의 자외선 차단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유모차나 카시트에 사용되는 자외선 차단장치가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어 실제 주로 사용하는 주부들이 불편함을 겪거나, 유모차에만 사용할 수 있는 것과 카시트에만 사용되는 것 등으로 구분되어 별도로 구입하여 휴대하게 됨으로써 비용이 추가되는 등 그 사용에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단한 구조로 주부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유모차와 카시트에 동시에 사용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또한 작게 접을 수 있어 휴대가 편리한 유모차 및 카시트 겸용의 다목적 선셰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여 주부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유모차와 카시트에 동시에 사용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또한 작게 접을 수 있어 휴대가 편리한 유모차 및 카시트 겸용의 다목적 선셰이드에 적합한 구성을 지닌다. 유모차나 카시트는 매우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므로 모든 유모차와 카시트에 적용될 수 있는 범용성의 선셰이드를 구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직조를 갖고 신축성을 지닌 직물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물성을 지닌 직물은 유모차의 캐노피나 카시트의 등받이의 크기와 무관하게 모든 유모차나 카시트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직물은 평상시에는 오므라드는 성질이 있으므로 일정한 라운드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원단의 상단에 지지대를 봉제 접합하여 반달모양으로 오므라들 수 있도록 구성하고 현부위의 직선 부분의 원단은 신축성이 좋은 더 짧은 길이의 고무줄 또는 예를 들어 스판 원단으로 웨빙 처리를 하여 주름이 많이 잡히도록 마감하여 전체적으로 반달형으로 구성되고 유모차의 캐노피 크기나 카시트의 등받이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늘어날 수 있는 몸체을 구성한다. 이 몸체의 좌우 모서리에 체결장치를 구성하여 유모차나 카시트에 고정하여 사용되어 진다.
이하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선셰이드(100)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서 선셰이드의 몸체(101)은 자외선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는 직조를 갖고 충분한 신축성을 지닌 직물로 구성된다. 즉,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고 신축성이 있는 직물은 모두 본 고안에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스판 원단 또는 다이마루 원단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스판 원단을 채용한 경우의 선셰이드 사시도이다. 이 스판 원단은 자외선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는 직조를 갖는 원단으로 구성되고 충분한 신축성을 가지고 있어서 다양한 크기의 유모차와 카시트에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선셰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판 원단을 유모차의 캐노피를 충분히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반원형태로 재단하고 반원의 호에 해당하는 라운드 부위는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재질의 지지대를 봉제 접합하여 지지대부(102)를 형성하고, 반원의 현에 해당하는 직선 부위는 더 짧은 길이의 고무줄이나 예를 들어 스판 원단으로 봉제 접합한 신축부(103)를 형성하여 몸체의 현부분에서 많이 주름이 가도록 주름부(104)구성하면 이 주름부가 몸체의 전반적인 신축성 보다 더 많이 늘어나고 줄어 들 수 있게 되어 유모차의 캐노피 크기나 카시트의 등판 크기에 맞추어 편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유모차나 카시트에 체결하였을 때 주름이 없는 자연스런 반원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반원형태의 몸체(101)을 유모차나 카시트의 선셰이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모차나 카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힘을 받을 수 있는 지지대부의 양쪽 끝 부분에 연결끈을 부착하는 좌우 끈 고정부(105, 105’)를 두고 지지대와 끈을 스냅이나 봉제 등으로 고정하게 된다. 좌우 끈 고정부에서 나온 좌우 연결끈부(106, 106’)는 양 끝단에 암수 한 쌍을 이루는 벨크로나 버클, 스냅단추 등의 일상의 체결장치로 구성된 좌우 체결부(107, 107’)가 형성되어 이 한 쌍의 연결끈부가 유모차나 카시트의 등판을 통과하거나 유모차나 카시트의 하단 수평축을 통과한 후 서로 체결되어 단단하게 유모차나 카시트에 밀착 고정되어 진다. 이 때 한쪽의 연결끈 부(106 또는 106’)는 통상의 벨트길이 조절을 할 수 있는 왈자(曰) 형태의 길이 조절부(108)가 있어서 사용하는 유모차나 카시트의 크기에 맞추어 끈의 길이를 조절 할 수 있고 유모차나 카시트의 크기에 맞추어 끈의 길이를 한번 고정하여 놓으면 다시 조절할 필요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조절하고 남는 여분의 끈은 끈정리고리(109)에 의해 정리되어 진다. 이 연결끈 부는 상단의 신축부(103)와 일체의 라운드 형태를 이루면서 유모차나 카시트를 에워싸며 고정하게 되며 신축부(103)와 주름부(104)의 신축성에 의해서 적은 힘으로도 쉽게 늘어날 수 있게 되어 주부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대부의 양쪽 끝 부분에 연결끈을 부착하는 좌우 끈 고정부(105, 105’)의 바로 안쪽 몸체(101) 부분의 직물 즉, 스판 원단 양쪽 면에 비닐을 데고 고주파로 열 접합시키면 스판 원단에 비닐이 접합되어 원단이 파손되지 않는 강한 재질로 변성되고, 그 중앙에 구멍을 내어 제 2 고정부(110)를 형성 할 수 있다. 간혹 캐노피 좌우측에 볼트 형태의 돌기를 갖는 유모차의 경우, 이 제 2 고정부(110)를 삽입하여 고정 시키면 좌우 연결끈부(106, 106’)없이도 이런 형태의 유모차에 쉽게 장착될 수 있으며, 좌우 연결끈부(106, 106’)를 보충하여 추가 장착하면 본 고안에 따르는 선셰이드를 더욱 안정되게 장착할 수 있고 그 형태도 더욱 자연스럽게 된다.
도 2는 본 선셰이드가 유모차에 장착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의 선셰이드(100)를 유모차(200)의 캐노피 앞쪽 끝에 자연스럽게 올려놓고 좌우 연결끈 부(106, 106’)를 유모차의 등판을 통과하거나 유모차의 하단 수평축을 통과한 후, 유모차의 크기에 맞추어 길이 조절부(108)를 이용하여 좌우 연결끈 부의 길이를 조절하고 좌우 체결부(107, 107’)에 의해 단단히 고정하면, 선셰이드의 몸체(101)가 유모차에 타이트하게 밀착되어 장착이 완성되므로 매우 간 단하게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이렇게 장착된 본 고안의 선셰이드는 유모차의 캐노피에 연장되어 충분한 크기의 그늘 막을 제공하여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에게 조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하고 청량감을 제공하여 줄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선셰이드가 카시트에 장착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의 선셰이드(100)를 카시트(300)의 등판 상단에 자연스럽게 올려놓고 좌우 연결끈 부(106, 106’)를 카시트의 하단 수평축을 통과한 후, 카시트의 크기에 맞추어 길이 조절부(108)를 이용하여 좌우 연결끈 부의 길이를 조절하고 좌우 체결부(107, 107’)에 의해 단단히 고정하면 선셰이드의 몸체(101)가 카시트에 타이트하게 밀착되어 장착이 완성되므로 매우 간단하게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이렇게 장착된 본 고안의 선셰이드는 카시트의 캐노피를 형성하면서 충분한 크기의 그늘 막을 제공하여 카시트에 탑승한 유아에게 조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하고 청량감을 제공하여 줄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는 선셰이드는 유모차의 크기나 카시트의 크기에 관계없이 편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몸체가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직조를 갖고 신축성을 지닌 직물로 구성되어 신축성이 뛰어나고 그 구조도 간단하여 주부들로 어려움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선셰이드는 충분한 크기로 늘어날 수 있어서 유모차나 카시트의 전면뿐 아니라 측면도 충분히 덮을 수 있어서 탑승한 유아의 안면에 조사되는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유아의 시선을 방해하지 않아서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은 유모차 및 카시트 겸용의 다목적 선셰이드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유모차와 카시트에 동시에 사용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또한 작게 말아 접을 수 있어 휴대와 보관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직조를 갖고 신축성을 지닌 직물로 구성된 몸체(101)에 반원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지지대를 봉제 접합하여 지지대부(102)를 형성하고, 반원의 현에 해당하는 직선 부위는 신축부(103)와 주름부(104)를 형성하여 몸체의 현부분에서 많이 주름이 가도록 구성하며, 지지대부의 양쪽 끝 부분에 형성되는 좌우 끈 고정부(105, 105’)에 좌우 체결부(107, 107’)와 길이 조절부(108)를 갖는 좌우 연결끈 부(106, 106’)가 연결되어, 유모차의 캐노피와 카시트의 등판 상단에 간단히 장착하여 탑승한 유아의 안면에 조사되는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청량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및 카시트 겸용 다목적 선셰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지지대부(102)의 양쪽 끝 부분에 좌우 연결끈을 부착하는 좌우 끈 고정부(105, 105’)의 안쪽 몸체(101) 부분의 직물 양쪽 면에 비닐을 데어 고주파로 열 접합시키고, 그 중앙에 구멍이 있는 제 2 고정부(11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및 카시트 겸용 다목적 선셰이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이 스판 원단 또는 다이마루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및 카시트 겸용 다목적 선셰이드.
KR2020060010798U 2006-04-21 2006-04-21 유모차 및 카시트 겸용 다목적 선셰이드 KR2004216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798U KR200421621Y1 (ko) 2006-04-21 2006-04-21 유모차 및 카시트 겸용 다목적 선셰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798U KR200421621Y1 (ko) 2006-04-21 2006-04-21 유모차 및 카시트 겸용 다목적 선셰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621Y1 true KR200421621Y1 (ko) 2006-07-14

Family

ID=4177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798U KR200421621Y1 (ko) 2006-04-21 2006-04-21 유모차 및 카시트 겸용 다목적 선셰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6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145Y1 (ko) 2008-06-17 2011-04-08 주식회사 토탈키즈 차양막부가 설치된 유모차 커버
KR200460848Y1 (ko) 2009-10-20 2012-06-15 민경훈 네비게이션의 햇빛가리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145Y1 (ko) 2008-06-17 2011-04-08 주식회사 토탈키즈 차양막부가 설치된 유모차 커버
KR200460848Y1 (ko) 2009-10-20 2012-06-15 민경훈 네비게이션의 햇빛가리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85364C (en) Carrying device
US4810030A (en) Shade for cars seats and the like
JP4673441B1 (ja) 自転車チャイルドシート用カバー
CN101233012A (zh) 幼童车用座椅系统
US5538319A (en) Sun shade for an infant car seat
US20180035814A1 (en) Detachable canopy for baby carrier
CN109153418A (zh) 用于人体的支撑元件,例如鞍座
US20050168006A1 (en) Stroller sun screen
JP6153186B1 (ja) 自転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カバー
KR200421621Y1 (ko) 유모차 및 카시트 겸용 다목적 선셰이드
US9205724B2 (en) Side window visor
JP7150574B2 (ja) 自転車のチャイルドシートカバー用装着補助具
KR20140032115A (ko) 유모차 커버
KR101516865B1 (ko) 햇빛 차양막
JP4489927B2 (ja) 乳母車用の幌
JP6647615B1 (ja) 自転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カバー
JP2000236995A (ja) 乳幼児用マット
KR200408821Y1 (ko) 차량의 프론트 윈도우용 햇빛 가리개
GB2470912A (en) An adjustable cover for a pram or the like
JP2011024948A (ja) 折り畳み笠
KR100763412B1 (ko) 아기보호기능이 구비된 아기용 캐리어
AU2018100119A4 (en) Detachable canopy for baby carrier
WO2018131581A1 (ja) 雨具
JP2006271859A (ja) 子守帯
JP2006015883A (ja) 乳母車用日除け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