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998A -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 - Google Patents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998A
KR20180076998A KR1020170112874A KR20170112874A KR20180076998A KR 20180076998 A KR20180076998 A KR 20180076998A KR 1020170112874 A KR1020170112874 A KR 1020170112874A KR 20170112874 A KR20170112874 A KR 20170112874A KR 20180076998 A KR20180076998 A KR 20180076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folded
joint
connection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3233B1 (ko
Inventor
구통완
Original Assignee
구통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통완 filed Critical 구통완
Priority to KR1020170112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233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11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articulated arms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for deployment of the blind
    • E04F10/061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articulated arms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for deployment of the blind whereby the pivot axis of the articulation is perpendicular to the 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37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bli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44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접이식 어닝에 있어서, 내측암(211)과 외측암(212)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암(213,214)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암관절(100)은, 내측암(211)과 연결암(213)을 접었다 폈다 가능하도록 관절 연결하고 또한 연결암(213)과 외측암(212)을 접었다 폈다 가능하도록 관절 연결하며, 연결암(213,214)이 복수인 경우에는 인접하는 연결암(213,214)을 서로 접었다 폈다 가능하게 관절 연결하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하나의 암대(R1,R2,R3,R4)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암관절(100)은, 접히고 펴지는 방향이 순차적으로 서로 교호적이며, 암관절(100)이 전방 하향 경사지도록 제2 관절부(120)는 제1 관절부(110)로부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관절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의 암대(R1,R2,R3,R4)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암관절(100)은 전방으로 갈수록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차양막(220)은 전방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복수의 절곡면(221,222)이 다단으로 절곡되어서 절곡 아치형을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A MULTI BENDING ARCH TYPE FOLDABLE AW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접이식 어닝(Foldable Awning)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양막을 전방 하향 방향으로 다단 절곡된 복수의 절곡면을 형성하여서 절곡된 아치 형태를 구현함으로써, 내부의 공간활용도를 높이면서도 비나 햇빛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하고 또한 미감을 향상시켜서 인테리어적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닝(Awning, 어닝 시스템 또는 어닝 장치라고도 불리움)은 직사광선 및 비와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건물의 출입구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건물 내부의 일사량 조절기능과 외부의 인테리어 효과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사용 범위 확대 및 다양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어닝에는 차양막이 구비되어 있는데, 현재까지 알려진 어닝의 차양막은 평탄면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이러한 평탄면 형태의 어닝을 비나 햇빛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하향으로 기울여져서 구비되어 있긴 하지만, 차양막 자체의 형태는 평탄면 형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평탄면 형태의 차양막은 단조로운 느낌을 주어서 인테리어적 효과가 미미하고, 제품의 상품성도 미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평탄면 형태의 차양막은 비나 햇빛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아래로 많이 기울여야 했으므로 차양막 아래 부분의 공간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그 결과 차양막 아래의 공간 활용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1: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68313(공고일: 2013.08.07) 문헌2: 등록특허공보 10-1482711(공고일: 2015.01.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의 목적은,
첫째, 접이식 어닝에 있어서, 차양막에 대하여 전방 하향 방향으로 다단 절곡된 복수의 절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차양막을 절곡된 아치(arch) 형태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아치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차양막 아래의 부분의 공간이 커질 수 있도록 하여 차양막 아래 부분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활동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둘째, 접이식 어닝에 있어서, 차양막에 대하여 전방 하향 방향으로 다단 절곡된 복수의 절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차양막의 외관이 기존에서는 전혀 구현할 수 없는 수려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그리하여 외적 미감이 향상되도록 하여 제품의 인테리어적 효과를 높이고 제품의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하여서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셋째, 쉐이핑 프레임을 채택함으로써, 암관절 이외의 차양막의 영역에서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탄력있게 차양막이 쫙 펴질 수 있도록 하며,
넷째, 쉐이핑 프레임을 채택함으로써, 쉐이핑 프레임이 있는 곳에서의 차양막에 절곡선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차양막의 외관의 미감을 고취시키고 인테리어적 효과를 더욱더 높일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절곡면과 절곡면 사이에 형성된 절곡선에 의해서, 차양막의 절곡면이 더욱더 도드라지게 구현되도록 하여서 외관이 더욱더 아름답게 되도록 하며,
여섯째, 이동자가 쉐이핑 프레임을 따라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암대가 접히고 펼쳐지는 동작이 더욱더 부드럽고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일곱째, 이동자를 롤러로 구성함으로써, 쉐이핑 프레임에 대한 마찰저항을 최소화 함으로써 암대의 접고 펴짐 동작을 더욱더 부드럽고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여덟째, 탄지편과 탄성부재의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쉐이핑 프레임이 차양막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벗어나는 것(삐져나오는 것, 돌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아홉째, 스토퍼의 구성에 의해서 이동자의 슬라이딩 동작의 최종단계에서는 쉐이핑 프레임의 좌우 밸런스가 자동으로 잡히게 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은, 고정체에 고정되는 장착프레임(M1)에 구비되어서 인장코일스프링(K1)을 걸기 위한 스프링 고정구(201)와, 내측암(211)과 외측암(212)과 암관절(100)로 구성되고 내측암(211)이 스프링 고정구(201)에 연결되며 암관절(100)의 관절 운동에 의해서 접히고 펴지는 복수의 암대와, 상기 암대의 외측암(212)의 전방측에 연결되는 종단 마감구(202)와, 암대의 접힘과 펼침에 따라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차양막(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이식 어닝에 있어서,
상기 내측암(211)과 외측암(212)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암(213,214)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암관절(100)은,
상기 내측암(211)과 연결암(213)을 접었다 폈다 가능하도록 관절 연결하고 또한 상기 연결암(213,214)과 외측암(212)을 접었다 폈다 가능하도록 관절 연결하며, 상기 연결암(213,214)이 복수인 경우에는 인접하는 연결암(213,214)을 서로 접었다 폈다 가능하게 관절 연결하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하나의 암대(R1,R2,R3,R4)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암관절(100)은, 접히고 펴지는 방향이 전방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서로 교호적이며,
상기 암관절이 전방 하향 경사지도록 제2 관절부(120)는 제1 관절부(110)로부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관절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의 암대(R1,R2,R3,R4)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암관절(100)은 전방으로 갈수록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서, 상기 차양막(220)은 전방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복수의 절곡면(221,222)이 다단으로 절곡되어서 절곡 아치형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은, 상기 연결암(213,214)이 하나인 경우, 상기 암관절(100)은, 상기 내측암(211)과 연결암(213)을 접었다 폈다 가능하도록 관절 연결하는 내측 암관절(100-1)과, 상기 연결암(213)과 외측암(212)을 접었다 폈다 가능하도록 관절 연결하는 외측 암관절(100-2)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암(213,214)이 복수인 경우에는, 상기 암관절(100)은, 상기 내측암(211)과 연결암(213)을 접었다 폈다 가능하도록 관절 연결하는 내측 암관절(100-1)과, 상기 연결암(213)과 외측암(212)을 접었다 폈다 가능하도록 관절 연결하는 외측 암관절(100-2)과, 상기 연결암(213,214)이 복수인 경우에는 연결암(213,214)과 연결암(213,214)을 접었다 폈다 가능하도록 관절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중앙부 암관절(100-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은, 상기 차양막(220)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재치되고, 상기 암관절(100)이나 암(211,212,213,214)에 구속되지 않도록 상기 암관절(100)과 차양막(220) 사이에 재치되어서, 상기 차양막(220)이 다단의 절곡면(221,222)의 형태를 만들어주는 쉐이핑 프레임(23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은, 상기 쉐이핑 프레임(230)이 있는 위치의 상기 차양막(220)에는 절곡면(221,222)과 절곡면(221,222)의 절곡선(L)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은, 일측이 상기 암관절(10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쉐이핑 프레임(230)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쉐이핑 프레임(230)에 구비되는 이동자(24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은, 상기 쉐이핑 프레임(23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레일홀(231)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쉐이핑 프레임(230)의 하면(230a)에는 레일홀(231)이 외부와 연통하도록 개방채널(232)이 길이방향으로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자(240)는 상기 레일홀(231)에 삽입되어서 상기 쉐이핑 프레임(230)의 레일홀(231)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은, 상기 이동자(240)가, 상기 암관절(10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편(241)와, 상기 고정편(241)의 상단에 구비되는 롤러(242)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편(241)가 상기 개방채널(232)을 통해서 들어가서 롤러(242)가 레일홀(231)을 따라서 회전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은, 상기 암관절(100)이 접히고 펴지는 쪽에서 상기 암관절(100)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쉐이핑 프레임(230)에 고정 설치되는 탄지편(251)과, 일측이 상기 탄지편(251)에 탄지되고 타측이 상기 암관절(100)이나 이동자(240)에 탄지되어서, 상기 암관절(100)이 펼쳐지거나 접히는 동작 과정에서 상기 탄지편(251)이 암관절(100)으로부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탄성부재(25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은, 상기 암관절(100)의 좌우측으로 각각 이격되어서 상기 쉐이핑 프레임(230)에 고정 설치되어서, 이동자(240)의 좌우 슬라이딩 한계를 설정하는 한 쌍의 스토퍼(255)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접이식 어닝에 있어서, 차양막에 대하여 전방 하향 방향으로 다단 절곡된 복수의 절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차양막을 절곡된 아치 형태로 구현할 수 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접이식 어닝을 아치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차양막 아래의 부분의 공간이 커질 수 있고, 그 결과 차양막 아래 부분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활동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접이식 어닝에 있어서, 차양막에 대하여 전방 하향 방향으로 다단 절곡된 복수의 절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차양막의 외관이 기존에서는 전혀 구현할 수 없는 수려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그 결과 외적 미감이 향상되어서 제품의 인테리어적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제품의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어서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쉐이핑 프레임을 채택함으로써, 암관절 이외의 차양막의 영역에서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탄력있게(팽팽하게) 차양막이 쫙 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쉐이핑 프레임을 채택에 의해서, 쉐이핑 프레임이 있는 곳에서의 차양막에 절곡선이 형성될 수 있고, 그 결과 차양막의 외관의 미감을 고취시키고 인테리어적 효과를 더욱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절곡면과 절곡면 사이에 형성된 절곡선에 의해서, 차양막의 절곡면이 더욱더 도드라지게 구현될 수 있고, 그 결과 외관이 더욱더 아름답게 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이동자가 쉐이핑 프레임을 따라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암대가 접히고 펼쳐지는 동작이 더욱더 부드럽고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이동자를 롤러로 구성함으로써, 쉐이핑 프레임에 대한 마찰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고, 그 결과 암대의 접고 펴짐 동작을 더욱더 부드럽고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탄지편과 탄성부재의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쉐이핑 프레임이 차양막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벗어나는 것(삐져나오는 것, 돌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홉째, 스토퍼의 구성에 의해서 이동자의 슬라이딩 동작의 최종단계에서는 쉐이핑 프레임의 좌우 밸런스가 자동으로 잡히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에 있어서 차양막(220)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저면 사시도 및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다른 부분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에 있어서, 이동자(240)가 암관절(100)에 고정 설치되고 쉐이핑 프레임(230)에 삽입된 상태의 결합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에 있어서 차양막(220)이 제거된 상태의 동작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에 있어서 스토퍼(255)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차양막(220)이 제거된 상태의 저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에 있어서, 탄성부재(252)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차양막(220)이 제거된 상태의 저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에 있어서, 어닝이 접히는 동작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에 있어서 암관절(100)과 암관절(100)이 와이어(J1,J2)와 인장코일스프링(K1,K2)에 의해서 결합되는 상태를 표현한 결합 개념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어닝은 3 단 절곡면(221,222)을 갖는 어닝이고, 도 11 내지 도 14는 4 단 절곡면(221,222)을 갖는 어닝이다.
3 단 절곡면(221,222)을 갖는 어닝의 경우나 4 단 절곡면(221,222)을 갖는 어닝의 경우는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고, 다만 암관절(100) 및 쉐이핑 프레임(230)의 개수가 2개이냐 3 개이냐로 구별되어서 절곡면(221,222)이 3개이냐 4개이냐의 차이일 뿐이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3 단 절곡면(221,222)을 갖는 어닝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은, 고정체(W1)에 고정되는 장착프레임(M1)에 체결되어서 인장코일스프링(K1)을 걸기 위한 스프링 고정구(201)와, 후방측이 상기 스프링 고정구(201)에 연결되는 내측암(211)과 상기 내측암(211)에 연결되는 외측암(212)과 상기 내측암(211)과 외측암(212)을 관절연결하도록 제1 관절부(110)와 제2 관절부(120)와 관절핀(130)으로 구성되는 암관절(100)으로 구성되어서 암관절(100)의 관절 운동에 의해서 접히고 펴지는 복수의 암대와, 상기 암대의 외측암(212)의 전방측에 연결되는 종단 마감구(202)와, 암대(R1,R2,R3,R4)의 접힘과 펼침에 따라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차양막(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이식 어닝에 있어서, 상기 내측암(211)과 외측암(212)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암(213,214)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암관절(100)은, 상기 내측암(211)과 연결암(213)을 접었다 폈다 가능하도록 관절 연결하고 또한 상기 연결암(213,214)과 외측암(212)을 접었다 폈다 가능하도록 관절 연결하며, 상기 연결암(213,214)이 복수인 경우에는 인접하는 연결암(213,214)을 서로 접었다 폈다 가능하게 관절 연결하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하나의 암대(R1,R2,R3,R4)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암관절(100)은, 접히고 펴지는 방향이 내측(후방)(장착프레임이 있는 쪽)에서 외측(전방으로서 종단 마감구(202)가 있는 방향)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서로 교호적이며, 하나의 암대(R1,R2,R3,R4)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암관절(100)은 전방으로 갈수록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서, 즉, 내측암(211)과 연결암(213,214)을 연결하는 암관절(100-1) 이후의 암관절(100-2,100-3)은 내측암(211)과 연결암(213,214)을 연결하는 암관절(100)보다 낮은 위치에 있고, 연결암(213,214)과 외측암(212)을 연결하는 암관절(100-2)은 가장 낮은 위치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220)은 전방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복수의 절곡면(221,222)이 다단으로 절곡되어서 절곡 아치형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관절(100)은 전방 하향 경사지도록 제2 관절부(120)가 제1 관절부(110)로부터 전방으로 수직 경사각(θ)으로 하향 경사지게 관절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관절부(110)는 제1 바디부(110A)와 제1 힌지부(110B)로 구성되고, 제2 관절부(120)는 제2 바디부(120A)와 제2 힌지부(120B)로 구성되어서, 제1 힌지부(110B)와 제2 힌지부(120B)가 관절핀(130)에 의해서 관절 결합되어 있다.
도면부호 121a와 111a는 스프링걸이공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차양막(220)은 다단의 절곡면(221,222)이 형성되어서 절곡된 아치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차양막의 외적 미감이 뛰어나다는 이점이 있다.
종래의 평자형의 밋밋한 형태에서 전방 아래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다단 절곡면(221,222)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차양막의 외관이 기존에서는 전혀 구현할 수 없는 수려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어서, 외적 미감이 향상되고, 따라서 제품의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어서 소비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 고정구(201)는 암브라켓(M2)에 의해서 장착프레임(M1)에 고정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관절(100: 100-1,100-2)이 2 개 있어서 2 번 절곡되는 경우에는 차양막(220)은 3 단의 절곡면(221: 221a,221b,221c)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관절(100: 100-1,100-2,100-3)이 3 개 있어서 3 번 절곡되는 경우에는 차양막(220)은 4 단의 절곡면(222: 222a,222b,222c,222d)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에 있어서, 상기 내측암(211)과 연결암(213,214)이 이루는 수평 각도(α1)와 연결암(213,214)과 외측암(212)과 이루는 각도(α2)와 연결암(213,214)이 이루는 각도(α3)는 최대 이각시에는 180도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원할한 접히고 펴지는 동작이 수행된다.
상기 교호적으로 접고 펴진다는 것은, 하나의 암대(R1,R2,R3,R4)에 구비된 복수의 암관절(100)의 접히거나 펴지는 방향이 서로 반대라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3 단면 차양막의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암관절(100-1)이 안쪽에서 접고 펴지는 경우[각도 α1으로 표시]에는 외측 암관절(100-2)은 바깥에서 접고 펴지는 것[각도 α2으로 표시]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4 단면 차양막의 경우에는 내측 암관절(100-1)이 안쪽에서 접고 펴지는 경우[각도 α1로 표시]에는 중앙부 암관절(100-3)은 바깥에서 접고 펴지는 것[각도 α3으로 표시]이고, 외측 암관절(100-2)은 다시 안쪽에서 접고 펴지는 것[각도 α2로 표시]을 의미한다(도 13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에 있어서, 상기 연결암(213,214)이 하나인 경우, 상기 암관절(100)은, 상기 내측암(211)과 연결암(213)을 접었다 폈다 가능하도록 관절 연결하는 내측 암관절(100-1)과, 상기 연결암(213)과 외측암(212)을 접었다 폈다 가능하도록 관절 연결하는 외측 암관절(100-2)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암(213,214)이 복수인 경우에는, 상기 암관절(100)은, 상기 내측암(211)과 연결암(213)을 접었다 폈다 가능하도록 관절 연결하는 내측 암관절(100-1)과, 상기 연결암(213)과 외측암(212)을 접었다 폈다 가능하도록 관절 연결하는 외측 암관절(100-2)과, 상기 연결암(213,214)이 복수인 경우에는 연결암(213,214)과 연결암(213,214)을 접었다 폈다 가능하도록 관절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중앙부 암관절(100-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220)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재치되고, 상기 암관절(100)이나 암(211,212,213,214)에 구속되지 않도록 상기 암관절(100)과 차양막(220) 사이에 재치되어서, 상기 차양막(220)이 다단의 절곡면(221,222)의 형태를 만들어주는 쉐이핑 프레임(23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관절(100)이나 암(211,212,213,214)에 구속되지 않도록 상기 암관절(100)과 차양막(220) 사이에 재치된다는 의미는, 쉐이핑 프레임(230)은 암(211,212,213,214)나 암관절(100)을 비롯하여 그 어디에도 고정 설치되지 않고, 단지 암관절(100)과 차양막(220) 사이에 단순히 재치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만약 쉐이핑 프레임(230)이 암(211,212,213,214)나 암관절(100)에 예컨대 용접이나 스크류 체결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경우에는 암대(R1,R2,R3,R4)가 접히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쉐이핑 프레임(230)의 구성에 의하면, 차양막(220)의 암관절(100) 이외의 영역에서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탄력있게 쫙 펴지도록 하며, 쉐이핑 프레임(230)이 있는 곳에서 차양막(220)이 절곡되어서 절곡선(L)을 형성하므로 외관을 더욱더 수려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에 있어서, 쉐이핑 프레임(230)이 있는 위치의 상기 차양막(220)에는 절곡면(221,222)과 절곡면(221,222)의 절곡선(L)이 형성된다.
이러한 절곡면(221,222)과 절곡면(221,222) 사이에 형성된 절곡선(L)에 의하면, 차양막(220)의 절곡면이 더욱더 도드라지게 구현되어서 외관이 더욱더 아름다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암관절(10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쉐이핑 프레임(230)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쉐이핑 프레임(230)에 구비되는 이동자(24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암대(R1,R2,R3,R4)가 접히고 펴지는 경우에 이동자(240)가 쉐이핑 프레임(230)을 따라서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암대(R1,R2,R3,R4)의 접히고 펼쳐지는 동작이 더욱더 부드럽고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에 있어서, 상기 쉐이핑 프레임(23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레일홀(231)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쉐이핑 프레임(230)의 하면(230a)에는 레일홀(231)이 외부와 연통하도록 개방채널(232)이 길이방향으로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자(240)는 상기 레일홀(231)에 삽입되어서 상기 쉐이핑 프레임(230)의 레일홀(231)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이동자(240)가 레일홀(231)을 따라서 슬라이딩할 수 있으므로 암대(R1,R2,R3,R4)의 접고 펴짐 동작이 더욱더 부드럽고 원활하게 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240)는 상기 암관절(100)에 예컨대 용접이나 나사결합 또는 끼움체결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는 1 자 형태의 고정편(241)와, 상기 고정편(241)의 상단에 구비되는 롤러(242)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편(241)가 상기 개방채널(232)을 통해서 들어가서 롤러(242)가 레일홀(231)을 따라서 회전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롤러(242)가 레일홀(231)을 따라서 회전하면서 슬라이딩되므로, 마찰을 쉐이핑 프레임(230)과의 마찰저항을 최소로 할 수 있고, 그 결과 이동자(240)가 레일홀(231)을 따라서 최소의 저항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므로 암대(R1,R2,R3,R4)의 접고 펴짐 동작을 더욱더 부드럽고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쉐이핑 프레임(230)이 차양막(220)의 좌우로 돌출되어서 나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에 있어서, 상기 암관절(100)이 접히고 펴지는 쪽에서 상기 암관절(100)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쉐이핑 프레임(230)에 고정 설치되는 탄지편(251)과, 일측이 상기 탄지편(251)에 탄지되고 타측이 상기 암관절(100)이나 이동자(240)에 탄지되어서, 상기 암관절(100)이 펼쳐지거나 접히는 동작 과정에서 쉐이핑 프레임(230)이 차양막(220)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탄지편(251)이 암관절(100)으로부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탄성부재(25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탄지편(251)[따라서 쉐이핑 프레임(230)]이 일정 거리 내를 벗어나면 탄성부재(252)가 탄지편(251)을 잡아당기게 되고, 따라서 탄지편(251)은 암관절(100)로부터 항상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게 되고, 그 결과 쉐이핑 프레임(230)이 차양막(220)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벗어나는 것(삐져나오는 것, 돌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쉐이핑 프레임(230)이 차양막의 좌우측 가장자리에서 삐져나오게 되면 미관상 매우 보기 좋지 않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252)는 예컨대 고무줄,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에 있어서, 상기 암관절(100)의 좌우측으로 각각 이격되어서 상기 쉐이핑 프레임(230)에 고정 설치되어서, 이동자(240)의 좌우 슬라이딩 한계를 설정하는 한 쌍의 스토퍼(255)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암관절(100)의 좌우측 슬라이드 운동은 좌우측의 스토퍼(255)의 범위 내에서만 슬라이딩하게 되고, 그 결과, 접히고 펼쳐지는 동작을 한 후 즉, 슬라이딩 동작의 최종단계에서는 쉐이핑 프레임(230)의 좌우 밸런스가 잡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물론, 스토퍼(255)의 구성에 의하면 쉐이핑 프레임(230)이 차양막(220)의 옆으로 튀어나오는 것도 예방할 수 있다.
도 8에는 한 쌍의 스토퍼(255)가 있는 구간이 S2로 표시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의 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닝이 접히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내측 암관절(100-1)이 내측으로 오므라들면 내측암(211)과 연결암(213,214)의 각도(α2)가 좁아지고, 이동자(240)가 쉐이핑 프레임(230)의 레일홀(231)을 따라서 슬라이딩함에 따라서 내측 암관절(100-1)은 안쪽방향(Di 방향)으로 무빙한다.
그리고, 외측 암관절(100-2)이 오므라들면 외측암(212)과 연결암(213,214)의 각도(α1)가 좁아지고, 이동자(240)가 쉐이핑 프레임(230)의 레일홀(231)을 따라서 슬라이딩함에 따라서 외측 암관절(100-2)은 바깥쪽방향(Do 방향)으로 무빙한다.
이와 같이 내측 암관절(100-1)이 안쪽방향(Di 방향)으로 무빙하고 외측 암관절(100-2)이 바깥쪽방향(Do 방향)으로 무빙함에 따라서 쉐이핑 프레임(230)의 간격은 좁아지면서 어닝이 접히게 된다.
반대로 어닝이 펴지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내측 암관절(100-1)이 벌어지면 내측암(211)과 연결암(213,214)의 각도(α2)가 넓어지고, 이동자(240)가 쉐이핑 프레임(230)의 레일홀(231)을 따라서 슬라이딩함에 따라서 내측 암관절(100-1)은 바깥쪽방향(Do 방향)으로 무빙한다.
그리고, 외측 암관절(100-2)이 벌어지면 외측암(212)과 연결암(213,214)의 각도(α1)가 넓어지고, 이동자(240)가 쉐이핑 프레임(230)의 레일홀(231)을 따라서 슬라이딩함에 따라서 외측 암관절(100-2)은 안쪽방향(Di 방향)으로 무빙한다.
이와 같이 내측 암관절(100-1)이 바깥쪽방향(Do 방향)으로 무빙하고, 외측 암관절(100-2)이 안쪽방향(Di 방향)으로 무빙함에 따라서 쉐이핑 프레임(230)의 간격은 점차 넓어지면서 어닝이 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암관절(100) 및 쉐이핑 프레임(230)이 2 개 및 3 개이어서 절곡면(221,222)이 3 단면 및 4단면에 대해서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물론아니며, 암관절(100) 및 쉐이핑 프레임(230)이 4 개 이상이어서 절곡면(221,222)이 5 단면 이상인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도 15를 참조하여 결착 개념을 설명한다.
인장코일스프링(K1,K2)와 와이어(J1,J2)에 의해서 암관절(100)이 연결되어 있다.
100(g)는 암관절(100)의 배면을 표시하는 것이고 100(f)는 암관절(100)의 정면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201 : 스프링 고정구
220 : 차양막
211 : 내측암
212 : 외측암
213, 214 : 연결암
100 : 암관절
R1,R2,R3,R4 : 암대
221,222 : 절곡면
230 : 쉐이핑 프레임
240 : 이동자
255 : 스토퍼

Claims (3)

  1. 고정체(W1)에 고정되는 장착프레임(M1)에 구비되어서 인장코일스프링(K1)을 걸기 위한 스프링 고정구(201)와, 내측암(211)과 외측암(212)과 암관절(100)로 구성되고 내측암(211)이 스프링 고정구(201)에 연결되며 암관절(100)의 관절 운동에 의해서 접히고 펴지는 복수의 암대와, 상기 암대의 외측암(212)의 전방측에 연결되는 종단 마감구(202)와, 암대의 접힘과 펼침에 따라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차양막(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이식 어닝에 있어서,
    상기 내측암(211)과 외측암(212)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암(213,214)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암관절(100)은,
    상기 내측암(211)과 연결암(213)을 접었다 폈다 가능하도록 관절 연결하고 또한 상기 연결암(213,214)과 외측암(212)을 접었다 폈다 가능하도록 관절 연결하며, 상기 연결암(213,214)이 복수인 경우에는 인접하는 연결암(213,214)을 서로 접었다 폈다 가능하게 관절 연결하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하나의 암대(R1,R2,R3,R4)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암관절(100)은, 접히고 펴지는 방향이 순차적으로 서로 교호적이며,
    상기 암관절(100)이 전방 하향 경사지도록 제2 관절부(120)는 제1 관절부(110)로부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관절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의 암대(R1,R2,R3,R4)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암관절(100)은 전방으로 갈수록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서, 상기 차양막(220)은 전방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복수의 절곡면(221,222)이 다단으로 절곡되어서 절곡 아치형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암(213,214)이 하나인 경우, 상기 암관절(100)은,
    상기 내측암(211)과 연결암(213)을 접었다 폈다 가능하도록 관절 연결하는 내측 암관절(100-1)과, 상기 연결암(213)과 외측암(212)을 접었다 폈다 가능하도록 관절 연결하는 외측 암관절(100-2)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암(213,214)이 복수인 경우에는, 상기 암관절(100)은,
    상기 내측암(211)과 연결암(213)을 접었다 폈다 가능하도록 관절 연결하는 내측 암관절(100-1)과, 상기 연결암(213)과 외측암(212)을 접었다 폈다 가능하도록 관절 연결하는 외측 암관절(100-2)과, 상기 연결암(213,214)이 복수인 경우에는 연결암(213,214)과 연결암(213,214)을 접었다 폈다 가능하도록 관절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중앙부 암관절(100-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220)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재치되고, 상기 암관절(100)이나 암(211,212,213,214)에 구속되지 않도록 상기 암관절(100)과 차양막(220) 사이에 재치되어서, 상기 차양막(220)이 다단의 절곡면(221,222)의 형태를 만들어주는 쉐이핑 프레임(23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
KR1020170112874A 2017-09-04 2017-09-04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 KR102173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874A KR102173233B1 (ko) 2017-09-04 2017-09-04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874A KR102173233B1 (ko) 2017-09-04 2017-09-04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756A Division KR101804788B1 (ko) 2016-12-28 2016-12-28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998A true KR20180076998A (ko) 2018-07-06
KR102173233B1 KR102173233B1 (ko) 2020-11-03

Family

ID=62921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874A KR102173233B1 (ko) 2017-09-04 2017-09-04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2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8099A1 (de) * 2019-06-07 2020-12-09 Fiamma S.p.A. Markise
KR20220038863A (ko) 2020-09-21 2022-03-2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풍속에 반응하는 접이식 어닝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9225A1 (en) * 2006-08-07 2008-02-07 Carefree/Scott Fetzer Company Dual angled canopy retractable awning
KR200468313Y1 (ko) 2011-05-01 2013-08-07 구통완 더블 암 구조의 어닝 시스템
KR101482711B1 (ko) 2014-07-07 2015-01-21 주식회사 우림원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KR101541253B1 (ko) * 2014-11-11 2015-08-03 권구중 각동 어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9225A1 (en) * 2006-08-07 2008-02-07 Carefree/Scott Fetzer Company Dual angled canopy retractable awning
KR200468313Y1 (ko) 2011-05-01 2013-08-07 구통완 더블 암 구조의 어닝 시스템
KR101482711B1 (ko) 2014-07-07 2015-01-21 주식회사 우림원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KR101541253B1 (ko) * 2014-11-11 2015-08-03 권구중 각동 어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8099A1 (de) * 2019-06-07 2020-12-09 Fiamma S.p.A. Markise
KR20220038863A (ko) 2020-09-21 2022-03-2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풍속에 반응하는 접이식 어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233B1 (ko)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4680A (en) Retractable arced window covering
EP0753642B1 (en) Screen apparatus
EP0999335B1 (en) Screen device
AU2017200369B2 (en) Cellular shade assembly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US6834702B2 (en) Blind assembly
US7100661B1 (en) Awning topper curtain rod extender
KR101804788B1 (ko)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
KR101482711B1 (ko) 더블암 방식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KR20180076998A (ko)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
US6186213B1 (en) Vertical blind system having a removable vane cover
KR20170127867A (ko) 이중원단을 갖는 스카이 어닝의 이동부재
US5947177A (en) Method for retaining slats of a vertical blind
KR102580798B1 (ko) 폴딩 방충망
AU2006200014B2 (en) Mounting system for end vanes in vertical vane blind
WO2020093489A1 (zh) 一种窗帘装置
US20060144434A1 (en) Tent structure foldable
KR101825413B1 (ko) 하향 굴절형 암관절을 구비한 다단 절곡형 어닝 암
US11131112B2 (en) Expandable canopy tent frame
KR200491822Y1 (ko) 미세먼지 차단용 하이브리드 창틀
KR20200001322U (ko) 텐트가 구비된 절첩식 침대
KR200416808Y1 (ko) 텐트
TW202248522A (zh) 屏幕裝置及其屏幕導向框結構
KR100316141B1 (ko) 휴대용 파라솔 구조물
CN216932700U (zh) 方便拆装拼布的窗帘结构
KR200308439Y1 (ko) 커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