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583B1 -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연결 구조 및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연결 구조 및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583B1
KR101482583B1 KR1020137003283A KR20137003283A KR101482583B1 KR 101482583 B1 KR101482583 B1 KR 101482583B1 KR 1020137003283 A KR1020137003283 A KR 1020137003283A KR 20137003283 A KR20137003283 A KR 20137003283A KR 101482583 B1 KR101482583 B1 KR 101482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conductor
knot
hole
termin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7567A (ko
Inventor
토시히코 야마모토
유타카 테라사카
히데토 쿠마쿠라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7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0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 F16G11/103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deforming the cable by bending it around or inserting it into the faste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33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forced in a tortuous or curved path, e.g. knots in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 H01R4/5041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using a tapered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Abstract

(해결해야할 문제)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로 하여금 저비용으로 용이하고 확실하게 단자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
(문제 해결 수단) 매듭(2)을 가진 파이버 전도체(1); 및 상기 파이버 전도체(1)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3)을 가진 단자(4)로서, 상기 구멍(3)은 상기 매듭(2)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5)를 구비한, 상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7) 및 단자(4)는 상기 파이버 전도체(1)를 상기 구멍(3)으로 삽입하고 상기 수용부(5)에서 상기 매듭(2)을 잠금으로써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7)의 연결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파이버 전도체(1)를 느슨하게 묶음(tying)으로써 매듭(2)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파이버 전도체(1)를 단자(4)의 구멍(3)으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매듭(2)이 상기 구멍(3)의 수용부(5)와 맞물리고 상기 매듭(2)이 상기 수용부(5)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상기 파이버 전도체(1)를 당기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7)의 연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매듭(2)을 수용부(5)와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단자(4)를 통해 수용부(5)에서 수용된 매듭(2)을 가압하는 것이 유효하다.

Description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연결 구조 및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 연결 방법{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NG METHOD OF FIBER CONDUCTOR WIRE}
본 발명은 단자에 만곡가능한(bendable) 파이버 전도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도성 금속(구리)으로 만든 복수의 엘리먼트의 와이어를 묶음으로써 형성된 전도성 와이어는 더 작은 가요성을 가지며 무겁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파이버의 표면 상에 전도성 금속을 도금함으로써 도전성 와이어를 형성하는 것이 공지되어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서 1, 2 참조).
일본특허공개 평09-288912 일본특허공개 제2010-108662
그러나, 상술한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는 높은 인장 강도를 가지는 반면, 낮은 전단 강도(shear strength)를 가진다. 따라서, 종래의 압력 본딩 단자(pressure bonding terminal)를 이용하여 압력 본딩하기가 어렵다. 예를 들면,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를 납땜 등에 의해 핀 형상 또는 평판 형상 단자에 연결 및 고정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동시에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는 단자 주위에 감긴다. 따라서, 연결을 위해 다수의 업무량과 장치가 필요하고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위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로 하여금 저비용으로 단자에 용이하고 확실히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 항 발명에 따라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연결 구조로서, 상기 연결 구조는:
매듭(knot)을 가진 파이버 전도체; 및
상기 파이버 전도체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가진 단자로서, 상기 구멍은 상기 매듭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한, 상기 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 및 단자는 상기 파이버 전도체를 상기 구멍으로 삽입하고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매듭을 잠금(locking)으로써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연결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에 따라, 상기 파이버 전도체의 외벽은 상기 구멍의 내벽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파이버 전도체의 범프형상(bump-shaped) 매듭은 상기 구멍의 수용부와 맞물려, 상기 매듭의 외벽이 상기 수용부의 내벽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파이버 전도체와 상기 단자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매듭은 상기 수용부에 잠금되기 때문에, 상기 파이버 전도체가 상기 단자로부터 빠지는 것(falling out)이 방지된다.
제 2 항 발명에 따라,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연결 방법으로서:
파이버 전도체를 느슨하게 묶음(tying)으로써 매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파이버 전도체를 단자의 구멍으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매듭이 상기 구멍의 수용부와 맞물리고 상기 매듭이 상기 수용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상기 파이버 전도체를 당기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에 따라, 상기 파이버 전도체의 외벽은 상기 구멍의 내벽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파이버 전도체의 범프형상(bump-shaped) 매듭은 상기 구멍의 수용부와 맞물려, 상기 매듭의 외벽이 상기 수용부의 내벽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느슨하게 묶여진 상기 매듭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될 때, 상기 매듭의 외벽은 갭없이 상기 수용부의 내벽에 긴밀하게 접촉하여, 전기 접속가능성이 증가된다. 상기 매듭이 상기 수용부 보다 더 클때, 상기 파이버 전도체를 강하게 당김으로써, 상기 매듭의 직경이 감소되고 상기 매듭의 외벽이 갭없이 상기 수용부의 내벽에 긴밀하게 접촉하여, 유사하게 상기 전기 접속가능성이 증가된다. 상기 매듭은 상기 수용부에 잠금되기 때문에, 상기 파이버 전도체가 상기 단자로부터 빠지는 것(falling out)이 방지된다.
제 3 항의 발명에 따라, 제 2 항에 따른 연결 방법으로서:
상기 매듭을 상기 수용부와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단자를 통해 상기 수용부에서 수용되도록 상기 매듭을 가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연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에 따라, 상기 매듭의 외벽은 상기 수용부의 내벽과 일치하고(conform), 상기 매듭의 외벽과 상기 수용부의 내벽 사이의 갭은 확실히 제거되어, 상기 매듭과 상기 수용부 사이의 전기 접속가능성이 증가된다. 동시에, 상기 구멍의 내벽과 상기 파이버 전도체의 외벽 사이의 접촉가능성 또한 증가 된다.
제 1 항의 발명에 따라, 가요성 파이버 전도체를 묶고(tying) 그것을 단자의 구멍에 삽입하는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함으로써, 납땜에 의존하지 않고서, 파이버 전도체가 용이하고 확실하게 저비용으로 상기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항의 발명에 따라, 가요성 파이버 전도체를 느슨하게 묶고 그것을 단자의 구멍에 삽입하는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함으로써, 납땜에 의존하지 않고서, 매듭이 갭없이 상기 수용부에 긴밀하게 부착될 수 있고,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상기 수용부에 접촉하여, 상기 파이버 전도체가 용이하고 확실하게 저비용으로 상기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제 3 항의 발명에 따라, 상기 매듭의 외벽은 상기 수용부의 내벽에 긴밀하게 부착될 수 있어서, 전기 연결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라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의 실시예의 순차적 프로세스 흐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c는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원소 와이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에서 사용되는 단자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에서 사용되는 단자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파이버 전도체가 단자의 구멍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파이버 전도체의 매듭이 단자의 수용부와 맞물리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파이버 전도체의 매듭이 단자의 수용부와 맞물리는 상태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버 전도체의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의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다.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은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이버 전도체(1)에 매듭(knot)(2)을 만드는 단계,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버 전도체를 삽입하기 위해 구멍(3)을 가진 단자(4)를 이용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자(4)의 구멍(3)으로 파이버 전도체(1)를 삽입하는 단계, 파이버 전도체(1)를 당기는 단계, 및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4)의 구멍(3)의 중간에서의 수용부(5)에 파이버 전도체(1)의 매듭(2)을 잠그고 고정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은 프로세스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듭(2)을 형성하기 위해 파이버 전도체(1)의 팁 측이 느슨하게 묶여진다. 도 1b에서, 매듭(2)은 그 안에서 갭(6)을 형성하기 위해 느슨하게 묶여져서 임시로 묶여진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의 매듭(2)은 반매듭(half-hitch) 매듭이지만, 보라인(bowline) 매듭 등과 같은 매듭(2)의 크기에 대응하는 다양한 유형의 매듭(2)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매듭(2)은 하나의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가 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를 들면, 옭매듭(square knot) 등이 2 개의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를 묶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a 및 2b는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7)는 파이버 전도체(1) 및 파이버 전도체(1)의 외주연을 덮는 절연 수지 커버(8)로 구성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버 전도체(1)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극세 파이버(9)의 외부 표면 상에 도전성 금속 도금 층(10)을 형성시킴으로써 만들어진 복수의 도전성 엘리먼트 와이어(11)로 구성된다.
파이버(9)로서, 파라-아라미드, 폴리아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파라-아라미드 파이버의 외경은 약 12㎛
Figure 112013011636869-pct00001
이고, 약 240개의 파이버(9)(엘리먼트 와이어(11))는 단일한 파이버 전도체(1)를 구성한다. 폴리아릴레이트 파이버의 외경은 약 22㎛
Figure 112013011636869-pct00002
이고, 약 80개의 파이버(9)(엘리먼트 와이어(11))는 단일 파이버 전도체(1)를 구성한다. 도전성 금속 도금층(10)으로서, 약 2-3㎛ 두께를 가진 구리 도금이 바람직하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단자(4)는 통합적으로: 전반부에서 평판형상(탭형상)의 전기 접촉부(12); 및 후반부에서의 와이어 연결부(13)를 포함한다. 파이버 전도체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3)은 와이어 연결부(13)의 중심에서 관통하고 전기 접촉부(12)의 장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멍(3)은 전반부에 있는 구멍부(3a)와, 후반부에 있는 구멍부(3b), 및 중간에 있는 수용부(5)로 구성된다. 수용부(5)는 실질적으로 구형 형상의 공간(수용 챔버)이다. 수용부(5)의 직경은 구멍부(3a, 3b)의 직경보다 더 크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전반부에서의 구멍부(3a)는 테이퍼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구멍부(3a)의 직경은 파이버 전도체(1)의 매듭(2)을 수용부(5)에 부드럽게 삽입하고 수용부(5)에 매듭(2)을 확실히 잠금하기 위해 후반부에서의 구멍부(3b)의 직경 보다 더 크다.
이 경우, 전반부에서의 구멍부(3a)의 전면 구멍(3c)이 가장 크고, 직경은 구멍부(3a)가 수용부(5)를 향해 뒤로 연장하면서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후반부에서의 구멍부(3b)의 직경은 실질적으로 전반부에서의 구멍부(3a)의 후방단부의 직경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후반부에서의 구멍부(3b)의 내경은 매듭(2)의 잠금 힘(뒤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을 개선하기 위해 파이버 전도체(1)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같다. 전반부에서의 구멍부(3a)의 길이는 후반부에서의 구멍부(3b)의 길이와 같을 필요는 없다.
구멍(3)은, 예를 들면 와이어 연결부(13)의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4, 15) 모두 상에 반원 섹션을 가지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 및 상부 및 하부 홈을 접합(joining)함으로써 반원 섹션을 가지는 홈이 상부 플레이트(14)의 하부 벽 및 하부 플레이트(15)의 상부 벽 상에 형성되고, 구멍(3)이 형성된다. 2개의 플레이트(14, 15)는 하나의 측면에서 접힘부(16)를 가지고 서로에게 접속된다.
탭 형상 전기 접촉부(12)는 하부 플레이트(15)의 바닥 절반으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된다(하부 플레이트(15)는 전기 접촉부(12) 보다 더 두껍다). 대안으로, 제 3 플레이트(17)가 하부 플레이트(15)의 바닥 측면에 형성된다. 탑으로부터 제 2 및 제 3 플레이트(15, 17)가 다른 측면에서의 접힘부(18)를 가지고 서로에게 접속된다. 탭 형상 전기 접촉부(12)는 플레이트(17)와 동일한 두께를 가진 제 3 플레이트(17)로부터 전체적으로 돌출된다. 구멍(3)의 전면 개구(3c)는 전기 접촉부(12)의 기저 단부(base end)의 상부 측면에 위치된다. 전기 접촉부(12)는 와이어 연결부(13)의 폭 방향으로 중심에 위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버 전도체(1)는 구멍(3)에 삽입되고, 파이버 전도체(1)의 느슨하게 묶여진 매듭(2)이 전기 접촉부(12)의 탑 측면에 위치된다. 그런다음, 화살표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버 전도체(1)가 후방으로 당겨진다. 매듭(2)이 느슨하게 묶여질 때, 매듭(2)은 도 5에서의 커다란 접촉 면적을 가지고 수용부(5)의 내벽과 접촉할 수 있다(매듭(2)이 도 4에서처럼 타이트하게 묶여질 때는, 갭이 도 5에서의 매듭(2)과 수용부(5)의 내벽 사이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접촉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파이버 전도체(1)를 포함하는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7), 즉 절연 수지 커버(8)는 후방으로 당겨져, 느슨하게 묶여진 매듭(2)이 전반부에서의 구멍 부분(3a)으로 삽입되고,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듭(2)이 수용부(5)에서 맞물려진다. 매듭(2)의 외주 벽이 수용부(5)의 내벽에 긴밀하게 부착되어(갭없이 접촉하여), 양질의 전기 연결이 달성된다. 추가로, 매듭(2)이 수용부(5)에 견고하게 잠금되어, 매듭(2)이 후방으로 떨어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매듭(2)의 후면에서의 파이버 전도체 부(1b)가 거의 갭 없이 후반부에서 구멍 부(3b)의 내벽에 접촉하고, 전기 연결이 달성된다.
도 4에서, 절연 수지 커버(8)는 도시되지 않는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가이드된 파이버 전도체 부(1c)는 단자(4)로부터 후방으로 가이드된 파이버 전도체 부(1c)를 절연하기 위해 절연 수지 커버(8)로 커버된다. 이 경우, 도 5a 및 5b에서, 당겨진 길이에서의 파이버 전도체 부가 단자(4)의 후단부(4b)와 절연 수지 커버(8)의 전단부 사이에서 노출된다. 노출된 부분은 필요시 절연 테이프 등으로 절연된다.
이러한 단계를 절감하기 위해, 예를 들면, 도 2b에서처럼 절연 수지 커버(8)가 얇게 형성된다. 절연 수지 커버(8)의 전단부는 도 1b에서의 매듭(2)의 후면에 근접하여 배치된다(매듭은 절연 수지 커버(8)의 전단부에 근접하게 형성된다). 매듭(2)의 외부 직경(최대 직경)은 절연 수지 커버(8)의 외부 직경 보다 더 크게된다(필요시, 반매듭이 아닌 보라인 매듭 등을 이용하여). 도 3에서의 단자(4)의 구멍(3)의 내부 직경은 실질적으로 절연 수지 커버(8)의 외부 직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7)는 매듭(2)의 직경을 감소시키고 갭없이 구멍(3) 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수용부(5)와 매듭(2)이 맞물리도록 후방으로 당겨진다.
따라서, 절연 수지 커버(8)는 구멍(3)의 후방 단부(3d)로부터 가이드되고(도 3), 파이버 전도체(1)가 용이하고 확실하게 절연된다. 절연 커버(8)로서, 얇은 에나멜 등이 수지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서의 파이버 전도체(1)만으로 구성된 와이어를 사용하는 경우, 에나멜과 같은 얇은 절연 코팅을 가진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7)를 사용하는 경우, 또는 도 2에 도시된 두꺼운 절연 커버(8)를 가지는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7)를 이용하는 경우, 매듭(2)의 후면에서의 파이버 전도체 부(1c)의 후방 단부(도시되지 않음)가 도 1b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단자(4)의 구멍(3)의 전면 개구(3c)로 후방으로 삽입된다(와이어를 당기는 방향).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7)가 단자(4)로 삽입되기 전이 아니라, 파이버 전체 와이어(7)가 단자(4)로 삽입된 후에 묶는 프로세스가 수행될 때, 매듭(2)을 가지지 않은 파이버 전도체(1)의 팁 단부(선단부)(1a)가 구멍(3)의 후방 개구(3d)로 전방으로(와이어를 당기는 방향과 반대로) 삽입된다. 그런다음, 파이버 전도체(1)의 팁 단부(1a)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묶이고 파이버 전도체(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당겨진다. 이 경우, 파이버 전도체(1)가 두꺼운 절연 커버(8)를 가질 때 조차도, 구멍(3)의 내부 직경은 파이버 전도체(1)의 외부 직경과 실질적으로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5)의 위치가 와이어 연결부(13)의 전단부에 근접할 때, 절연 수지 커버(8)의 전단부(8a)로부터 구멍(3)의 후방 단부(3d)로의 파이버 전도체(1)의 노출 길이는 감소될 수 있다. 후반부에서의 구멍 부분(3a)의 내부 직경이 실질적으로 파이버 전도체(1)의 외부 직경과 동일하고, 후반부에서의 구멍 부분(3b)의 내부 직경이 실질적으로 절연 수지 커버(8)의 외부 직경과 동일할 때, 파이버 전도체(1)가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추가로, 일부의 업무량이 소요될지라도, 도 3a에서의 상부 플레이트(15)가 개방되고 구멍(3)의 내벽이 노출되는 반면, 파이버 전도체(1)가 상부로부터 구멍(3)으로 삽입되어(매듭(2)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의 전면에 배치됨), 상부 플레이트(14)가 닫히고 파이버 전도체(1)가 도 4에서의 화살표 A의 방향으로 당겨진다. 대안으로, 상부 플레이트(14)가 개방되는 반면, 매듭(2)이 직접 수용부(5)로 삽입되고 수용부(5)와 맞물려서, 상부 플레이트(14)가 닫히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5b에서, 매듭(2)이 수용부(5)에서 수용된 후에, 단자(4)의 와이어 연결부(13)의 바닥 및 상부 벽, 즉 하부 플레이트(17) 및 상부 플레이트(14)가 매듭(2)의 외벽과 수용부(5)의 내벽 사이의 접촉가능성을 증가시키기위해 화살표 B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러한 경우, 구멍(3)의 내주 벽과 파이버 전도체(1)의 외주 벽 사이의 접촉가능성 또한 증가된다.
와이어 연결부(13)가, 유사하게,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4, 15)를 가압함으로써 2개의 플레이트(14, 15)(하부의 두꺼운 플레이트와 상부의 얇은 플레이트)로 구성될 때, 매듭(2)의 외벽과 수용부(5)의 내벽 사이의 접촉가능성이 증가된다. 와이어 연결부(13)에 대한 이들 가압 동작은 바람직하게는 프레스 기계 등에 의해 수행된다.
부수적으로, 상술한 실시예에서, 웅형(male type)의 전기 접촉부(12)를 가진 단자(4)가 사용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장방형 튜브 부분(그 안에 탄성 접촉 피스를 가진), 안경 형상 등으로 형성된 암형(female type)의 전기 접촉부를 통합하여 가진 단자(도시되지 않음), 및 전기 접촉부의 바닥 벽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뻗어있는 도 3a 및 3b에서의 것과 유사한 와이어 연결부(13)가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도 3a에서, 와이어 연결부(13)가 좌우 방향으로 넓게 형성된다. 그러나, 와이어 연결부(13)는 탭형상 전기 접촉부(12)와 동일하게 협소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자(4)가 도시되지 않은 절연수지로 만들어진 커넥터 하우징에서 수용되고, 단자 수용 챔버(도시되지 않음)가 미세한 피치로 배치될 수 있다.
추가로, 도 3a에서의 와이어 연결부(13)는 단자(4) 대신에 버스 바의 후방 측면에서 도전성 금속으로 만들어진 버스 바(도시되지 않음)로 통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탭 형상 전기 접촉부(12)는 기다란 플레이트형 버스 바로 대체된다. 추가로, 단자(4)로서, 전기 접촉부(12)를 가지지 않은 접합(joint) 단자, 원형 단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단자(4)의 구멍(3)으로서, 수용부(5)의 내경과 같은 전반부에서의 구멍 부분(3a)의 내경이 형성되고(전반부에서의 구멍 부분(3a)은 수용부(5)를 포함), 전반부에서의 구멍 부분(3a)의 내경보다 더 작고, 실질적으로 파이버 전도체(1)의 외경과 같은 후반부에서의 구멍부분(3b)의 내경이 형성된다.
추가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파이버 전도체(1)로서, 각각의 파이버(엘리먼트 와이어(9))의 외주 벽은 금속 도금층(10)으로 도금된다. 그러나, 금속 도금층(10) 대신에, 탄소와 같은 도전성 재료 또는 합성 수지에 포함된 도전성 금속 분말과 같은것으로 구성된 파이버 전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상술한 실시예에서, 매듭(2)은 하나의 파이버 전도체(1)의 단부에 묶인다. 그러나, 예를 들면, 분기(branching)를 위해 접합 단자를 사용할 때, 매듭(2)이 종축 방향으로 파이버 전도체(1)의 중간에 묶이고, 매듭(2)이 단자(4)의 구멍(3)(수용부(5))으로 삽입되어 잠금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매듭(2)은 평평한 매듭 등으로 2개의 파이버 전도체(1)의 각각의 단부를 묶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열화한 가요성 및 다수의 인적 노동력때문에 파이버 전도체(1) 대신에 일반적인 금속 원소로 구성된 전도체를 묶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기존 가압 본딩의 경우와 비교하여 파이버 전도체(1) 대신에 도전성 금속으로 만들어진 전도체를 이용하는 것에는 거의 메리트가 없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용이하게 만곡가능한 파이버 전도체를 단자. 버스 바의 단자부, 등에 용이하고 확실하게 연결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파이버 전도체의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1 파이버 전도체 2 매듭
3 구멍 4 단자
5 수용부 7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

Claims (3)

  1.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연결 구조로서:
    매듭(knot)을 가진 파이버 전도체; 및
    상기 파이버 전도체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가진 단자로서, 상기 구멍은 상기 매듭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가지는 상기 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버 전도체와 상기 단자는 상기 파이버 전도체를 상기 구멍에 삽입하고 상기 매듭을 상기 수용부에서 잠금함으로써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단자는 전반부에 평판형상의 전기 접촉부와 후반부에 와이어 연결부를 일체로 가진 것이며, 상기 와이어 연결부의 중심에는 상기 전기 접촉부의 장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버 전도체 삽입통과용의 상기 구멍이 관통되어 설치되고,
    상기 구멍의 전반부의 구멍부는 전면 구멍이 가장 크고 후측의 상기 수용부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며, 후반부의 구멍부는 상기 전반부의 구멍부의 후방단부의 직경과 동등하거나 상기 전반부의 구멍부의 후방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연결 구조.
  2. 제1항에 기재된 연결 구조를 가지는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연결 방법으로서,
    파이버 전도체를 느슨하게 묶음으로써 매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파이버 전도체를 단자의 구멍으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이버 전도체를 당겨서, 상기 구멍의 수용부와 상기 매듭이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매듭을 상기 수용부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연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내의 매듭을 상기 단자를 통해 가압하여, 상기 매듭을 상기 수용부에 긴밀하게 접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연결 방법.
KR1020137003283A 2010-09-21 2011-09-15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연결 구조 및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 연결 방법 KR101482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10434 2010-09-21
JP2010210434A JP5608496B2 (ja) 2010-09-21 2010-09-21 繊維導体電線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PCT/JP2011/071759 WO2012039487A1 (en) 2010-09-21 2011-09-15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ng method of fiber conductor w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567A KR20130027567A (ko) 2013-03-15
KR101482583B1 true KR101482583B1 (ko) 2015-01-14

Family

ID=4587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283A KR101482583B1 (ko) 2010-09-21 2011-09-15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연결 구조 및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77088B2 (ko)
EP (1) EP2619866A4 (ko)
JP (1) JP5608496B2 (ko)
KR (1) KR101482583B1 (ko)
CN (1) CN103119813A (ko)
BR (1) BR112013003443A2 (ko)
WO (1) WO20120394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9486B2 (ja) 2013-04-03 2016-12-0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の接続構造及び端子の接続方法
CN103437678B (zh) * 2013-08-27 2015-07-29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电连接端子的玻璃窗
US9793625B2 (en) * 2015-03-19 2017-10-17 Yazaki Corporation Electric wire with connecting termin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electric wire
US10224670B2 (en) * 2017-07-17 2019-03-05 Facebook Technologies, Llc Circuit board with anchor cleat for a conne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934A (ja) * 1994-08-09 1996-02-20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用高圧抵抗電線の端部構造
JPH08336345A (ja) * 1995-06-13 1996-12-24 Mamiya Op Co Ltd 釣 竿
JPH10287292A (ja) * 1997-04-15 1998-10-27 Oki Systec Tokai:Kk 信号ケーブルの引留構造
JP4528955B1 (ja) * 2009-07-16 2010-08-25 他曽宏 杉江 給電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89925407A (en) * 1899-12-22 1900-12-15 John Pullar Phibbs Improvements in Holders for Electric Incandescent Lamps.
GB134633A (en) * 1918-11-12 1919-11-12 Park Royal Engineering Works L An Improved Adaptor or Connector for Electric Wires.
US1751386A (en) * 1928-07-07 1930-03-18 Belden Mfg Co Floor cord
US2759041A (en) * 1952-09-05 1956-08-14 Duncan B Cox Electrical conductor or resistan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977403A (en) * 1959-09-16 1961-03-28 Matthew W Reitz Electrical wire tap connector
US3249909A (en) * 1963-11-15 1966-05-03 Electrolux Corp Strain-relieved electrical cord device
US3264017A (en) * 1965-09-10 1966-08-02 Bliss E W Co Anchoring means for flexible tension member
CA999432A (en) * 1972-07-24 1976-11-09 Gerald B. Klein Leader with a connector
US3941915A (en) * 1974-08-26 1976-03-02 Boghosian Paul B Switch receptacle
US4081659A (en) * 1976-11-12 1978-03-28 General Electric Company Coffeemaker with electrical cord strain relief
US4140412A (en) * 1977-07-06 1979-02-20 Vitt Louis O Method of covering a joint of two rope ends
US4117449A (en) * 1977-08-11 1978-09-26 Geo Space Corporation Fluid resistant geophone and cable enclosure
US4337923A (en) * 1980-09-23 1982-07-06 Smith Jackson A Fibre optical cable pulling eye
US4438292A (en) * 1982-08-25 1984-03-20 Mark Products, Inc. Waterproof housing assembly for geophones
JPH09288912A (ja) * 1996-04-24 1997-11-04 Kokago Corp Kk 電 線
US6878007B1 (en) * 2003-10-14 2005-04-12 Power cord plug and jack retainer and hanger
JP2010108662A (ja) 2008-10-28 2010-05-13 Takatomo Sangyo:Kk 導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934A (ja) * 1994-08-09 1996-02-20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用高圧抵抗電線の端部構造
JPH08336345A (ja) * 1995-06-13 1996-12-24 Mamiya Op Co Ltd 釣 竿
JPH10287292A (ja) * 1997-04-15 1998-10-27 Oki Systec Tokai:Kk 信号ケーブルの引留構造
JP4528955B1 (ja) * 2009-07-16 2010-08-25 他曽宏 杉江 給電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70464A (ja) 2012-04-05
KR20130027567A (ko) 2013-03-15
JP5608496B2 (ja) 2014-10-15
US20130180778A1 (en) 2013-07-18
CN103119813A (zh) 2013-05-22
WO2012039487A1 (en) 2012-03-29
EP2619866A1 (en) 2013-07-31
US9077088B2 (en) 2015-07-07
EP2619866A4 (en) 2014-08-20
BR112013003443A2 (pt)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844B1 (ko) 판형 가요성 케이블커넥터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905799B2 (en) Press bond terminal
KR102146318B1 (ko) 전기 도전체를 접촉시키기 위한 터미널
KR101481003B1 (ko) 접속 구조체, 커넥터, 및 접속 구조체의 제조방법
US8851935B2 (en) Electrical wire harness connector
KR20100129739A (ko) 후프 부재, 내부 전도체 터미널 및 동축 커넥터 제조 방법
KR101482583B1 (ko)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연결 구조 및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 연결 방법
KR102586402B1 (ko) 전선접속용 단자 및 전선접속용 단자와 전선의 접합방법
CN104218424A (zh) 电线的连接方法和电线的连接装置
WO2009051042A1 (ja) 電線端末接続体及び電線端末接続方法
JP2007059304A (ja) 端子付き電線とその製造方法
JP2014502018A (ja) 端子組立体及び電線を端子部材に接続する方法
KR200444710Y1 (ko) 스플라이스 조인트 터미널의 구조
CN107346844B (zh) 连接端子和电连接器
JP6605970B2 (ja) 端子付き電線、ワイヤハーネス
KR100982942B1 (ko) 커넥터
GB2112216A (en) Electrical connectors for use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JP2009129865A (ja) 挟持シールドコネクタ組立キット及びシールドケーブルハーネス
KR100739017B1 (ko) 전기 터미널
JP2011243519A (ja) 圧着端子および圧着端子付き平形ケーブル
KR100537926B1 (ko) 전선 완전 연결용 스리브
WO2012023576A1 (en) Connection method and electric wire with terminal
US20040248456A1 (en) End-processing structure of flat cable and method of end-processing of flat cable
KR100851821B1 (ko) 전선 연결 커넥터
KR20100118437A (ko)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