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4844B1 - 판형 가요성 케이블커넥터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판형 가요성 케이블커넥터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844B1
KR100574844B1 KR1020037014036A KR20037014036A KR100574844B1 KR 100574844 B1 KR100574844 B1 KR 100574844B1 KR 1020037014036 A KR1020037014036 A KR 1020037014036A KR 20037014036 A KR20037014036 A KR 20037014036A KR 100574844 B1 KR100574844 B1 KR 100574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actuator
contacts
conducto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4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7513A (ko
Inventor
벌머더그알.
로버츠조셉에이.
Original Assignee
미라코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라코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미라코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07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7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 H01R12/67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with contacts having at least a slotted plate for penetration of cable insulation, e.g.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s for round conductor flat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81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 Y10T29/4921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with defo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Abstract

다중도체케이블, 이상적으로는 판형 가요성케이블(12)을 접속하기 위한 전기커넥터(10)이다. 이 커넥터는 다수의 접촉들을 유지하기 위한 기부(16)를 가진다. 접촉들(18)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기부 내에 놓인다. 각각의 접촉은 적어도 하나의 절단날(234)을 가지며, 이 절단날은 판형 가용성케이블로부터 절연물을 제거할 수 있다. 케이블을 누르기 위한 깍지걸기가능 작동기(24)도 제공된다.
전기커넥터, 기부, 접촉들(contacts), 절연변위면, 깍지걸기(interlock), 절연물 제거

Description

판형 가요성 케이블커넥터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flat flexible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커넥터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다중커넥터케이블용의 전기커넥터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년에 걸쳐 U자형 접촉을 사용하여 고체커넥터 원형전선접속을 위해 통용되어 온 것과 동일한 편이성, 비용절감 및 장기간의 신뢰성을 제공하는 판형 가요성 케이블(Flat Flexible Cable; FFC)과 같은 다중커넥터케이블과 가요성 인쇄회로들(Flexible Printed Circuits)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절연물변위커넥터(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IDC)이다. 그 결과는 원형전선 중간접속들(interconnects)을 위해 사용된 IDC기술을 판형도체시스템들에 성공적으로 전환시킨 설계물이다.
U자형 IDC접촉은 원래 고형의 꼬인 코어의 원형도선을 종단하는 전화업계에서 개발되었다. 이러한 커넥터들에서는, U자형으로 된 금속접촉들은 절연물을 꿰뚫고 들어가 변위시키는데 사용되어 단일도체원형전선 또는 다중도체적층형 원형전선케이블 중의 어느 하나의 밑에 있는 도체(들)와 기밀접촉을 이룬다.
다중도체케이블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IDC의 응용은 상당한 비용절감을 가져 올 수 있다. 전류커넥터들에서, 다중도체케이블의 도체들은 중간접속이 이루어질 영역에서 노출되어야 한다. 일부 커넥터들은 양측의 노출을 필요로 하고 다른 커넥터들은 커넥터영역에서 케이블의 뒤쪽에 보강막의 부가를 필요로 하거나 위치맞춤과 스트레인완화를 위해 케이블에 뚫린 구멍들을 필요로 한다. 최종사용자는 펀칭 또는 레이저절단으로 노출된 영역들 및 펀칭 또는 드릴링된 구멍을 특정 길이로 가지게끔 다중커넥터케이블을 지정하고 그것에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이러한 작업들의 각각은 그것에 관련하여 비용이 들고 허용오차도 가진다. 허용오차를 만족하는데 실패하면 제품은 반품되고, 시간이 허비되고 돈도 낭비된다. IDC에서는, 조립 전에 도체들의 노출이 요구되지 않고 조립장치는 어떠한 특수 장비 없이 길이대로 절단될 수 있는 연속하는 길이의 다중커넥터케이블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판형 도체케이블들에 대해 이 기술의 몇몇 응용들이 있어왔다. 이전의 IDC커넥터 설계들은 원형전선을 위해 사용된 기술을 판형도체케이블에 전환하기 위해 시도되었지만 까다로운 제약들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은 원형전선기술을 판형도체케이블커넥터들에 사용하는 것을 시도한 IDC커넥터의 일 예를 보여준다.
하나의 이러한 제약은 접촉들이 케이블의 양측에서 절연물을 꿰뚫는다는 것이다. 이 제약은 몇 가지 내재하는 문제들을 가진다. 첫 번째 문제는 도체들 사이의 절연거리 또는 "간격"이 감소하였다는 것이다. 간격의 감소는 시스템의 고전압 수송능력(carrying capacity)을 감소시킬 것이고 회로가 단락되는 고장을 야기할 것이다. 두 번째 문제는 절연물을 꿰뚫는 것이 절연물을 약화시켜, 절연물이 찢어지게 하고 인접한 도체들 사이에 공극(air gap)을 노출시키고, 또 시스템의 고전압 수송능력을 감소시킬 것이다. 이 문제는 폴리에스테르재료들보다 낮은 찢김내성을 가지는 폴리이미드절연재료들을 사용하는 경우에 특히 우려된다.
다른 문제는 접촉 및 도체를 맞물리게 하는 동안에 구리도체가 포개지는 경우에 나타난다. 구리는 연성재료이므로, 충분한 용수철저항력을 제공하지 않고 구리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느슨해져 접속점에서의 접촉압력을 감소시킬수록 신뢰할 수 없는 전기접촉을 만들 것이다. 또한, 도체가 포개지지 않는다면, 손상되거나 파손될 것이다. 또, 그것의 전류수송능력이 감소될 것이다.
판형도체케이블을 위한 IDC시장의 대부분은 권축(捲縮; crimped-on)접촉형이다. 이 접속시스템은 접촉들을 사용하고, 이것들은 FFC/FPC의 도체들에 개별적으로 권축된 다음 커넥터하우징에 삽입되거나 PCB에 직접 납땜된다. 이 유형의 접촉을 위한 다양한 설계물들이 있다. 이러한 유형들 중의 하나는 절연물 및 구리도체 둘 다를 꿰뚫어 도체를 손상시키고 그것의 전류수송능력을 감소시킨다. 다른 설계물은 도체들 사이의 절연물을 꿰뚫고 도체를 감싸, 절연물을 관통하여 도체와 접촉하는 작은 랜스들(lances)에 압력을 제공한다. 도 2는 이 유형의 권축접촉을 보여준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절연물을 꿰뚫는 것은 도체들 사이의 간격을 줄이고 또 절연물을 약화시켜 찢어지게 한다. 이러한 설계들의 둘 다는 권축접촉의 형성에 의존하여 기밀전기접촉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용수철 힘을 제공한다. 권축공정이 적절하고 일관성 있게 수행되지 않는다면, 접촉시스템은 신뢰성이 없을 것이다. 또한, 이 접속은 케이블의 외부에 노출된 접촉의 도전성재료를 도체들 사이에 전기절연을 제공하도록 하여, 시스템의 고전압수송능력을 제약한다.
많은 이러한 설계물들에서, 접촉들은 의도적으로 또는 본의 아니게 다중도체케이블의 보호표면도금 및 구리도체들 모두를 꿰뚫을 것이다. 접속점들에서의 운동은 구리를 노출시킬 것이고 접속물에서 전파되고 결국은 접속물을 오염시켜 회로의 쇼트 또는 개방 고장들을 야기하는 구리산화물들이 형성될 것이다.
앞서 설명된 설계물들 모두에서는, 기밀접속을 위한 최소접촉력을 제공하는 충분히 강한 접촉을 제공하는데 요구되는 공간 때문에 도체밀도가 엄격히 제한된다. 이러한 설계물들의 대부분은 도체들 사이에 큰 간격을 필요로 하고 훨씬 높은 밀도의 커넥터들을 요구하는 더 새로운 시스템설계들에 사용될 수 없다.
마지막으로, 다중커넥터케이블들을 위한 이전의 IDC설계들은 항상 최소접촉면적을 제공하였다. 도체들을 꿰뚫거나 구부리는 다양한 IDC설계들은 접촉면적을 형성하기 위해 도체들의 측면을 사용하였다. 다중도체케이블들의 도체들은 일반적으로 평평하여 도체들이 그것들의 깊이보다 더 넓은 너비를 가지고, 도체의 측면을 사용하여 접촉면적을 형성함으로써 접촉면적의 기대되는 크기를 감소시킨다. 더 나은 IDC설계는 도체들의 광폭(wide)부분을 사용하여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것이다. 증가된 접촉면적은 전류흐름능력이 증가되게 한다. 또한, 다중커넥터케이블 밀도는 도체들과는 이것들의 너비가 더 넓은 표면에서 접촉을 이루는 대신 도체들 사이에서 요구된 절연물의 꿰뚫음(천공)에 의해 약화된다.
본 발명은 다중커넥터케이블의 각 도체를 위해 더 좁은 접촉을 사용함으로써 이전에 입수할 수 있던 커넥터들보다 더욱 소형으로 IDC를 만들 수 있으며, 다중커 넥터케이블에 들어있는 모든 도체들이 단일의 사용자 운동으로 접속될 수 있게 함으로써 IDC를 더욱 편리하게 만들고, 케이블도체들의 기계적 또는 전기적 일체화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다중도체케이블에 IDC가 접속될 수 있게 하는 것들을 실현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도체케이블의 모든 도체들이 단일의 사용자 운동으로 본원의 발명품과 접촉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도체케이블의 도체들에 과도한 기계적 손상을 일으키지 않고 다중도체케이블을 접속하는 IDC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중도체케이블의 도체들의 전기전도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다중도체케이블을 접속하는 IDC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도체들 둘레의 절연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다중도체케이블을 접속하는 IDC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케이블에 나란한 임의의 위치에서 접속을 할 수 있는 IDC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임의의 특수한 케이블을 준비하지 않고서도 사용될 수 있는 IDC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중도체케이블의 도체들 사이의 간격을 보존하는IDC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케이블의 스트레인을 자동적으로 완화하는 IDC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충분한 맞물림이 달성된 후에 기밀접촉을 위해 시간의 경과에 대해 충분한 접촉압력을 유지하는 IDC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도체들의 광폭면에 접촉하여 전류수송능력을 증가시키는 IDC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판형 가요성케이블에 적용할 때 종래기술로 입수할 수 있는 전통적인 절연변위커넥터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2는 종래기술에서의 권축접촉을 보여준다.
도 3은 본원의 커넥터의 기본적인 실시예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4는 본원의 커넥터의 3차원 상을 보여준다.
도 5는 도 4에서 커넥터의 내부를 볼 수 있게 커넥터의 한 끝부분이 제거된 커넥터의 다른 3차원 상이다.
도 6은 전기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의 다른 3차원 상이다.
도 7은 전기커넥터의 기부(base)의 일 실시예의 3차원 상이다.
도 8은 이 커넥터의 일 실시예의 전개된 3차원도면이다.
도 9는 작동기(actuator)의 노치들의 사용을 표시하는 커넥터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이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커넥터가 보드간접속(board-to-board)커넥터로서 사용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 상이다.
도 12는 도 11에 보인 실시예에서 접속보드가 커넥터 속에 삽입된 다른 단면 상이다.
도 13은 다중범프설계가 힘집중기(force concentrator)를 위해 사용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 상이다.
도 14는 다중범프설계부를 확대한 도 13의 상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다중도체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중도체케이블(12)을 연결하기 위한 도 3에 보여진 전기커넥터(10)이다. 다중도체케이블(12)은 판형 가요성케이블, 인쇄회로들, 및 유사하게 구성된 케이블들과 같은 케이블이며, 이 케이블에서 도체(26)의 단면은 두께(14)보다 큰 너비(가로폭; 13)를 가진다. 각 도체(26)의 표면에서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10)는 다수의 접촉들(18)을 보지하기 위한 기부(16)를 가진다. 접촉들(18)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어야 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전기커넥터(10)의 기부(16) 내에 놓여진다. 각 접촉(18)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물변위면(34)을 가진다. 절연물변위면(34)은 바람직하게는 접촉(18)의 일부이고 너비면(15)으로서 묘사되는 도체들(26)의 너비(13) 방향으로부터 절연물(22)을 제거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전기커넥터(10)의 마지막 부분은, 본원의 가장 범위가 넓은 실시예들 중의 하나에서, 기부(16)와 깍지걸기(interlock)가능한 작동기(24)이고, 이 작동기는 다중도체케이블(12)을 다중접촉들(18)에 대해 누르기 위한 것이 며, 특히, 접촉들(18)의 도체들(26)의 각각의 너비면(15)을 절연물변위면(34)에 대해 누르기 위한 것이다.
다중도체케이블(12)을 접촉들(18)에 대해 눌러, 절연물변위면(34)에 대해 누름으로써, 작동기(24)를 기부(16)와 결합할 때, 다중도체케이블(12)과 절연물변위면(34) 사이의 힘과 마찰은 너비면(15)을 따르는 도체들(26)의 각각으로부터 절연물(22)을 제거한다. 작동기(24)가 기부(16)와 깍지걸기될 때, 도체들(26)은 접촉들(18)에 눌려지고 유지되어, 전기접속이 이루어진다.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이 쉽사리 알아 볼 수 있고 그래서 본 발명의 일부가 아닌 다수의 수단들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도체들의 제2의 세트가 연결되고, 기부(16)와 작동기(24)가 결합될 때, 다중도체케이블(12)과의 전기접속이 완성된다.
이 설계물은 종래기술에서 존재하는 단일도체케이블을 위한 전기커넥터와 유사하다. 단일도체 IDC의 경우, 절연물변위면(34)과 접촉들(18)은 도체(26)에 수직하게 움직인다. 여기서 청구된 본 발명의 커넥터(10)는 기본적으로 커넥터(10)에 대해 도체(26)를 90도 회전시킨다. 그 결과, 접촉들(18)은 도체들(26)의 경로에 평행하게 움직여, 최소크기 공간에서의 다중도체접속을 용이하게 한다.
이 설계물의 약간의 변형물은 절연물변위면(34)을 연장부들(28)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하게 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이 변형물은 절단날(cutting edge; 20)을 만들고 접촉(18)의 동적인 움직임을 바꾸지만, 발명품(10)의 발명개념을 변경 없이 유지한다.
좁은 개념의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며 그것 들 사이에 U자홈통(30; trough)을 가지는 2개의 연장부들(28)에 의해 표현되는 접촉들(18)의 각각의 형상에 관련된다. 가로대(32)는 연장부들(28)을 연결시킨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절연물변위면(34)은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28) 상에 놓여, 적어도 하나의 도체(26)의 너비면(15)으로부터 절연물(22)을 제거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접촉(18)은 결과적인 형상은 소리굽쇠의 형상과 유사하다. 이러한 개념을 더욱 좁게 가져간 도 6에 보인 발명품(10)은, 적어도 하나의 힘집중기(42)를 연장부들(28)의 각각 위에 놓는 것에 관련된다. 접촉들(18)은 작동기(24)가 다중도체케이블(12)을 기부(16) 속으로 힘집중기(42)에 대고 누를 때 연장부들(28)이 바깥쪽으로 움직여 U자홈통(30)을 넓게 하고 작동기(24)에 의해 절연물변위면(34)에 대해 가해지는 마찰을 줄이는 식으로 설계될 것이다. 힘집중기(42)는 케이블(12)에 대해 절연물변위면(34)을 들어올려, 완전히 맞물릴 때에 도체들(26)이 너무 많이 노출되는 것을 피하게 하고 또 절연물변위면들(34)이 도체들(26)을 문질러 제거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완전히 맞물리는 지점은 접촉들(18) 위의 절연물변위면들(34)이 케이블(12)의 도체들과 안정한 전기접촉을 하는 최대깊이로 작동기(24)가 기부(16) 속으로 힘을 받는 지점으로 설명된다. 일 실시예에서의 힘집중기(42)는 적어도 2개의 범프들(50)을 연장부들(28) 중의 적어도 하나 위에 구비하여, 도체(26)와 접촉을 이루는 제1의 범프(50)는 도체들(26)로부터 잔류하는 접착제 및 산화물을 닦아 없애고 나머지 범프(들)(50)는 도체(26)와의 전기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커넥터(10)는 두꺼운 다중도체커넥터(12)에 대해 기계적인 수정을 행하고 절연물변위면들(34)이 다중도체케이블(12) 속으로 너무 깊이 절단하여 도체들(26)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깊이제한구성을 더 구비한다. 깊이제한구성은 힘집중기(42), 케이블성형안내부(54)의 인입레이디어tm(lead-in radius), 및 도 14에 보인 바와 같이 연장부(28)로부터 절단날(20)이 어느 정도의 높이로 돌출한 것인 깊이제한기(48)의 조합이다.
다른 좁은 개념의 본 발명은 작동기(24)의 몸통(barrel; 44)의 단면이 도 3에 보인 것처럼 U자홈통(30)과 유사한 형상으로 되어, 접촉(18)의 U자홈통(30) 내에 꼭 맞게 고정되고 절연물변위면들(34)에 대한 다중도체케이블(12)의 미끄럼마찰압력을 최대화하는 것을 요구한다.
본 발명에 부가될 수 있는 다른 요소는, 수(male)커넥터인 핀형 전기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해 전기커넥터(10)의 기부(16)를 슬롯화하는 것이다. 다르게는, 기부(16)를 슬롯화하면, 기둥(36)은 각 접촉(18)의 가로대(32)로부터 기부(16)의 슬롯들(38)을 통해 연장되어 암(fermale)커넥터에 연결되거나 다중도체케이블(12)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좁은 개념의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기부(16) 내의 한 쌍의 접촉들(18) 사이에 놓여진 도 7에 보인 적어도 하나의 절연분리기(40)를 가지는 것에 관계된다. 절연분리기들(40)은 다중도체케이블(12)의 도체(26) 배치간격을 일치시키는 간격으로 접촉들(18)을 위치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절연분리기(40)의 일 실시예는 절연분리기들(40)을 접촉들(18)에 접합가능하게 하여 적층형 접촉구조를 만드는 것이다.
작동기(24)를 위한 다수의 실시예 변경들도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서 작동기(24)는 작동기 몸통(44)과 작동기 목(52)으로 구성되며 목(52)은 몸통(44)보다 폭이 좁다. 이 작동기(24) 설계는, 작동기(24)가 충분히 맞물린 때에 절연물변위면들(34)과 목(52)이 절연물(22)의 제거를 초래하기에는 불충분한 대항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절연물변위면들(34)이 절연물(22)을 제거하는 것을 방지한다. 절연물변위면들(34)에 대한 이러한 압력 완화는 몸통(44)을 통해 도체들(26)의 너비면(15)과 힘집중기들(42) 사이, 즉 커넥터(10)를 위해 전기전도도를 최적화하는 의도된 전기접촉지점에 집중되게 한다. 여기서 전기전도도는 저항의 역이라고 알려져 있다. 폭이 좁은 목(52)도 절단되어 변위된 절연물(22)이 모이는 위치를 제공한다. 박리된 절연물(22)이 좁은 폭의 목(52) 부분으로 향하게 하면 전기접촉영역을 간섭하거나 연장부(28)를 뒤로 밀어내는 것이 방지된다.
다른 작동기(24)의 실시예는 작동기(24)를 기부(16)와 미끄럼식으로 깍지걸기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작동기(24)를 미끄러질 수 있게 함으로써, 작동기(24)는 기부(16)와는 맞물림 해제될 수 있어, 작동기(24)와 기부(16)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서도, 커넥터(10)를 다중도체케이블(12)의 다른 부분에 재배치하는 것과 커넥터(10)를 케이블(12)에 재차 맞물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작동기(24)의 유사 실시예는 작동기(24)와 기부(16) 사이에 다중도체케이블(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작동기(24)와 기부(16)중의 하나가 그것들 사이에 충분한 틈을 남겨두는 다수의 위치들에서 작동기(24)가 기부(16)와 깍지걸기 될 수 있게 한다.
작동기(24)는 접촉들(18)에 의해 가해질 수 있는 힘의 범위 내에서 압축가능한 재료로 설계될 수도 있다. 이 설계물의 효과는 작동기(24)가 도체들(26)을 손상 시킬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할 때 케이블(12) 및 접촉들(18)에 가해지는 압력의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제안된 실시예들의 어느 것에서나, 작동기(24)와 U자홈통(30)은 모따기 또는 둥글게 될 수 있어, 케이블(12)이 접촉들(18)에 확실하게 눌러질 수 있게 한다.
대체실시예들
본 발명은 다중도체케이블(12), 인쇄회로기판(PCB) 및 유사한 전기기기들을 전기적으로 종단하기 위한 개량된 절연물변위커넥터(10)에 관한 설계물을 개시한다. 이 커넥터(10)는, 서로 평행하게 놓여지고 전기절연분리기들(40)에 의해 분리된 스탬프형 평면금속접촉들(18)의 배열을 수용하는 전기절연성의 성형플라스틱 기부(16)를 구비한다.
평면접촉들(18)은 커넥터 기부(16)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향하게 되며, 이 기부(16)는 평면접촉들이 커넥터(10)에 삽입된 케이블(12)의 도체들(26)에 평행하게 놓이게 한다. 전기절연성 성형플라스틱 작동기(24)는 기부(16)에 융기위치에서 미끄럼식으로 부착되어 케이블(12)이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케이블(12)은 케이블(12)의 너비 크기로 되며 케이블(12)의 가장자리들을 안내하는 기부(16)의 오목한 슬롯(64)에 의해 정확히 정렬된다. 케이블(12)은, 도체들(26) 사이의 공간에, 작동기(24)상에 성형된 핀들과 교합(mate)할 것들인 도 9에 보인 하나 이상의 가늠맞춤(registration)구멍들(58)을 정확히 천공함으로써 더욱 정밀하게 정렬될 수 있다. 작동기(24)의 바깥면을 따라 마련된 시각적 정렬용의 노치들(56)은 조립 후의 검사목적을 위한 시각적인 정렬검증표시자를 제공한다. 일단 케이블(12)이 커 넥터(10)에 삽입되면, 아마도 작동기(24)의 몸통(44)의 형상은 커넥터(10) 맞물림에 요구된 힘을 줄이도록 변할 수 있겠지만, 작동기(24)는 작은 아버프레스(arbor press) 또는 바이스와 같은 평행작동(parallel action)도구에 의해 기부(16) 속으로 들어가게 힘을 받는다.
작동기(24)가 기부(16) 속으로 들어가게 힘을 가하면, 케이블(12)은 작동기(24)의 몸통(44)을 감싸게 되고, 이것에 의해, 케이블(12)의 도체들(26)은 고형 코어의 원형전선을 흉내내게 되고 케이블 스트레인이 완화된다. 작동기(24)를 기부(16)에 삽입하면 다중도체케이블(12)이 접촉들(18) 속으로 들어가게 힘을 받는다. 접촉들(18)이 맞물리게 되면, 그것들은 케이블(12)의 절연물(22)을 꿰뚫고 박리 제거하여 전기접속이 이루어지게 한다. 작동기(24)는, 적소에 완전히 맞물렸을 때, 작동기 및 기부에 일체로 성형된 스냅로크들(60 및 62)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된다.
접촉들(18)은 일체형의 3단 접촉들이다. 이 접촉들(18)은 케이블성형안내부(54)와 깊이제한기(48)를 가지며, 케이블이 작동기(24)의 몸통(44)을 단단히 감싸도록 케이블(12)에 힘을 가하고 재료 두께의 변동을 보상하도록 접촉(18)의 연장부들(28)을 편향시키고, 그래서 절단날(20)은 케이블(12)의 도체들(26)에 손상을 주지 않고 절연물(22)을 꿰뚫는 위치에 정확히 위치하게 된다. 접촉들(18)은 그것들이 도체들(26)의 보호도금을 통과하여 밑에 있는 구리에 까지 파고 들어가지는 않아 구리산화물의 성장이 문제가 되지는 않도록 설계된다. 접촉들은 또한 케이블(12)의 절연물(22) 및 접착제 모두를 꿰뚫고 이것들을 도체들 의 손상 없이 박리 제거하여 도체들(26)을 노출시키는 절단날(20)을 가진다. 끝으로, 접촉들(18)은, 절단날(20)을 케이블(12)로부터 멀어지게 들어올려 도체(26)가 지나치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연장부(28)를 충분히 편향시켜 기밀접촉을 이루는데 필요한 힘을 제공하는 힘집중기(42)를 가진다. 이 접촉(18) 설계물은 시스템의 밀도가 증가되게 하는 단일 연장부를 사용하거나, 또는 각 도체(26)에 대해 몸통(44)의 어느 한 쪽에 절단날(20)을 두는 이중연장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의 밀도는 케이블(12) 너비에서의 인치 당의 접촉들(18) 또는 도체들(26)의 수에 의해 정해진다.
힘집중기(42)는 단일 또는 다중범프(50)설계물일 수 있다. 도 13 및 14에 보인 다중범프(50) 설계물은 추가의 이점들을 제공한다. 첫째로, 제1범프(50)는 임의의 잔류하는 접착제와 임의의 도금산화물을 깨끗이 제거하여 부가적인 범프들(50)이 더욱 청결히 접촉되게 한다. 둘째로, 다중범프(50) 설계물은 신뢰성을 더욱 높이는 여분의 접속지점들을 제공하고 이 접속지점들의 표면적을 더욱 높은 전류수송능력을 위해 증가시킨다. 끝으로, 도 14에 보인바와 같이, 범프들(50)의 중심을 작동기(24)의 몸통(44)에 맞추면 진동 하의 높은 안정성의 접속에 적합하게끔 작동기(24)에 고정된다.
접촉들(18)은 도체들(26) 사이의 절연물(22)이 남아있는 식으로 다중도체케이블(12)의 절연물(22)을 꿰뚫어서 박리시킨다. 도체들(26) 사이의 절연물(22)의 파열 또는 제거는 회로의 도체들(26) 사이에 전기저항용의 공극만을 남겨두고 따라서 시스템의 고전압저항을 감소시킨다. 도체들(26) 사이에 절연물(22)을 남겨두는 것도 다중도체케이블(12)이 더 큰 인장강도를 보유하여 절연물(22)을 뚫어서 박리하는데 요구된 힘 때문인 맞물림 시의 도체(26)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케이블(12) 내의 접착제가 용용되어 접속 둘레로 흐르게 할 열을 접촉들(18)에 가함으로써 접속지점들 둘레에 부분적인 밀봉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접촉들(18)은 시스템이 맞물릴 때 접촉들이 케이블(12)과 작동기(24)에 자동정렬되도록 커넥터 기부(16) 내에 자유부동(free-floating)되게끔 설계되기도 한다. 이는 접촉들(18)과 각 도체(26) 사이에 만들어진 2개의 접속지점들에서 접촉압력이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접촉들(18)은 재료들의 응력완화나 크리프(creep)가 있는 경우에도 시간의 경과에 대해 기밀접촉에 필요한 최소접촉압력을 유지할 위치에너지형태로 된다.
작동기(24)는 커넥터(10)에 몇 가지 기능들을 제공한다. 이것은 전통적인 둥근전선 IDC가 케이블(12)에 작용하여 스트레인을 완화시키는 방식을 흉내내는 것을 돕는다. 스트레인 완화는, 전기접촉영역을 커넥터(10)로부터 연장하는 케이블(12)의 길이방향으로부터 분리하여, 케이블(12)의 자유단에 가해진 임의의 운동 또는 스트레인이 접촉들(18)과 케이블(12)의 도체들(26) 간의 전기접촉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다중도체케이블(12)을 작동기(24)의 둥근 몸통(44) 둘레에 감쌈으로써, 고체 코어의 원형전선을 정확히 흉내내는 것이 가능하다. 원형전선 응용들에서, 전선의 구리심은 그것이 접촉(18) 속에 삽입된 때에 더욱 길게 늘여진 형상으로 소성(plastic)변형된다. 이 변형은 U자형의 접촉(18)과 구리도체(26) 사이의 접촉 영역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일반적으로 접촉영역의 면적이 구리도체(26)의 단면적의 최소 2배가 되는 것이 권고된다. 제안된 커넥터(10) 설계에서, 덧댄(backing) 절연물(22)과 가소성 작동기(24) 둘 다는 원형인 도체(26)의 찌그러짐을 흉내내도록 약간 압축되어 필요한 접촉면적을 얻을 수 있게 한다.
케이블(12)을 작동기(24)의 둘레에 감고 맞물리게 하면 자동적으로 회로의 스트레인이 완화된다. 이것은 케이블(12)이 커넥터(10)의 밖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12)의 진동 또는 움직임이 진동상태에서의 임의의 전기접속 단절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한다. 각 연장부(28)의 케이블성형안내부(54)는 케이블(12)과 작동기(24)의 몸통(44) 사이의 맞물림을 최적화하도록 모따기될 수 있어, 케이블(12)의 위치맞춤을 개선하고 맨 위의 절연체가 위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한다. 모따기는 케이블성형안내부(54)와 같은 요소들의 모서리 각을 줄이는 레이디어싱(radiusing), 라운딩 또는 임의의 다른 행위를 의미함이 이해된다.
커넥터(10)가 충분히 맞물린 때, 케이블(12)은 기부(16)의 내부프로파일에 빈틈없이 고정된다. 이 내부프로파일은 접촉들을 분리하는 전기절연성의 "수직안정판들(fins)" 또는 절연분리기들(40)로 구성된다. 이 시스템은 접촉들(18)의 각각과 그것들의 접속지점들을 효과적으로 고립시켜 고전압 호광발생(arcing)고장을 초래하는 공극들이 없게 한다. 또한, 접촉들(18)은 도체들(26) 사이의 간격이 어긋나지 않게 하고 도체들(26) 외의 임의의 추가 공간을 그것들 자체에 필요로 하지 않아, 훨씬 높은 도체(26)밀도가 달성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어느 정도는 재료두께의 크기제약 외에는 접촉들(18)에 주어지는 크기제약이 없다는 사실 때문이다.
더욱 큰 도체(26) 밀도는 전기절연막이 기부(16)의 절연분리기들(40) 대신 접촉들(18) 사이에 적층되는 적층형 접촉(18)구조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0.010인치 미만의 도체(26) 피치가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피치는 인접한 도체들(26) 사이의 중심선거리로서 정의된다. 도체(26)밀도는 다중작동기(24)시스템을 사용하여 접촉들(18)을 다수의 작동기들(24) 위에 어긋나게 배치함으로써 증가될 수도 있다.
이 커넥터(10) 설계는 케이블(12)이 완전히 관통하게 하여 커넥터(10)가 케이블(12)의 길이를 따르는 임의의 위치에 놓여질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단일 케이블을 사용하여 다수의 기기들을 중간접속하기 위한 "점퍼(jumper)"케이블조립체를 구축할 수 있게 한다. 이 커넥터(10)는 본 발명의 원리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수 또는 암커넥터로서 설계될 수 있다.
커넥터(10)는, 다르게는, 도 11 및 12의 보드간접속 커넥터(66)로서 구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66)는 작동기(24)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접촉들(18)은 하나의 회로판(46)으로부터 마찰로 벗기어 그 회로판의 하나 이상의 도체들(26)을 접속시킬 수 있고 또한 제2의 보드에 대한 접속을가질 수도 있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하나의 회로판(46)은 작동기(24)와 마찬가지로 접촉들(18) 속으로 밀어 넣어질 것이다. 이런 식으로, 커넥터들(66)은 하나의 회로판(46)과 중간접속가능하게 되고 다른 보드에 접속될 수 있다. 회로판(46)으로부터 제거된 절연물(22)은 본 발명의 최초 실시예에서의 케이블(12)로부터 제거된 절연물(22)과 유사하다. 기부(1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접촉들(18)을 포함하는 것이 요구될 수도 있다.
보드간접속 커넥터(66)의 좁은 범위의 실시예는 2개의 연장부들(28)을 갖는 접촉들(18), 연장부들(28)을 연결하는 가로대(32)를 구성하여 연장부들(28)과 가로대(32)가 제1회로판들(46)에 연결하는데 사용되고 접촉(18)의 나머지 부분은 제2회로판에 중간접속가능하게 되는 것에 관계한다. 기본적인 커넥터(10)와 유사하게, 보드간접속커넥터(66)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힘집중기들(42)을 구비한 접촉들(18)로 구축될 수 있다.
본 발명품(10)의 다른 실시예는 다수의 접촉들(18)과, 접촉들이 단단히 고정되며 다중도체케이블(12)과는 착탈식으로 깍지걸기가능하고 재차 깍지걸기가능한 하우징(68)을 구비한 전기접속장치(10)이다. 하우징(68)은 명세서 전반에 걸쳐 작동기(24)와 기부(16)로서 설명되었으나, 하우징(68)은 다른 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설계물의 발명적인 특질은 작동기(24) 또는 기부(16)를 가지는 것을 요하지 않으나, 커넥터(10)의 재사용성과 절연물(22)의 마찰제거에 기초를 두어 케이블(12)의 도체들(26)과의 접촉을 이루는 것을 생각해 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된 접속을 만드는 방법(80)도 유일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개시된 방법(8)을 사용하여 다중도체케이블(12)과의 접속을 행하는 것이다. 제1단계는 케이블(12)을 적어도 하나의 접촉(18)에 대고 누르는 단계(82)이다. 그때 이 방법(80)은 마찰력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다수의 커넥터들의 너비면(15)으로부터 절연물(22)을 제거하게 되도록, 적어도 한번은 케이블(12)의 길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접촉(18)에 대해 케이블(12)을 미끄러뜨리는 단계(84)를 필요로 한다. 최종단계는 케이블(12) 및 접 촉(18) 사이에 접촉을 유지하여, 전류가 접촉(18)과 적어도 하나의 도체들(26) 사이를 흐르게 하는 단계(86)이다.
본 발명의 방법(80)은 케이블(12)을 커넥터 기부(16)와 정렬하는 단계(88), 작동기(24)를 기부(16) 속에 삽입하여, 너비면(15)에 대해 다수의 도체들(26)로부터 절연물(22)을 변위시키기 위해 다중도체케이블(12)이 다수의 접촉들(18)에 눌러지는 단계(90)를 더 포함할 것이다. 부가 단계는 완전한 맞물림 지점에서 작동기(24)를 기부(16)와 깍지걸기하여 너비면(15)상의 도체(26)와 접촉(18) 사이의 전기접촉을 유지하는 단계(92)일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80)은 다중도체케이블(12)을 작동기(24)의 몸통(44) 둘레에 감싸고 케이블(12)이 스트레인 완화되도록 접촉들(18)로써 다중도체케이블을 몸통(44)에 단단히 유지시키는 단계(94)를 더 구비할 것이다.
본 발명은 종단형 케이블조립체(70)로서 제공될 것이다. 이 조립체(70)는 기부(16), 작동기(24) 그리고 기부(16) 및 작동기(24) 사이에 끼어져 있는 다중도체케이블(12)을 구비한다. 이 조립체(7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기부(16) 내에 놓이는 다수의 접촉들(18)을 더 구비하여, 도체들(26)의 너비면(15)상의 절연물(22)이 접촉들(18)에 의해 부분적으로 변위된 도체들(26) 영역에서 도체들(26)은 작동기(24)에 의해 접촉들(18)에 대해 전기접촉이 유지된다.

Claims (45)

  1. 각 도체가 절연물에 의해 실질적으로 둘러싸인 다수의 도체들을 갖는 다중도체케이블로서 상기 다중도체케이블은 판형 가요성케이블, 적층형 인쇄회로들, 밀봉형 원형전선리본케이블, 및 다수의 도체들을 갖는 케이블들의 군으로부터의 케이블인 다중도체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전기접속방법에 있어서,
    접촉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기부 내에 위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를 가지는 다수의 접촉들을 갖는 접속 기부를 준비하는 단계;
    작동기로써 다중도체케이블을 기부 속으로 누르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에 위치된 절연물변위면으로써 케이블의 도체들의 각각의 표면으로부터 절연물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단계;
    절연물변위면이 케이블 속으로 절단하는 깊이를 깊이제한기로써 제한하여 절연물변위면이 도체들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 및
    작동기를 기부와 깍지걸기하여, 다중도체케이블을 다수의 접촉들과 맞물리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접속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접촉들의 각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사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2개의 연장부들을 가지는 전기접속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는 적어도 하나의 범프를 가지며, 케 이블을 기부 속으로 누르는 단계는, 케이블을 적어도 하나의 범프에 대고 눌러, 연장부를 작동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도체 및 범프 사이에 전기접촉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접속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는 복수의 범프들을 구비하며, 전기접속방법은 제1범프로써 도체로부터 접착제와 산화물을 문질러 제거하여 나머지 범프들이 도체들과 접촉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접속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절연물변위면이 절단하는 깊이를 제한하는 단계는 범프들 중의 적어도 하나가 도체와 접촉하는 때에 연장부를 편향시킴으로써 절연물변위면을 다중도체케이블의 절연물 밖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접속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이 한 쌍의 접촉들 사이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절연분리기로써 다수의 접촉들 사이의 전기접촉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접속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절연분리기들을 사용하여 다중도체케이블의 도체간격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접촉들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접속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절연분리기들을 접촉들에 접합하여 적층형 접촉구조를 만드 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접속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제거된 절연물을 작동기의 목영역에 모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접속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작동기를 기부와 깍지걸기하는 단계는 작동기와 기부를 미끄럼식으로 깍지걸기함으로써 수행되는 전기접속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작동기와 기부의 깍지걸기 전후에 복수의 시각적 정렬용 노치들로써 케이블정렬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접속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을 작동기의 몸통 둘레에 감싸는 단계로서, 모따기된 선단이 접촉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의 끝부분에서 깊이제한기에 인접해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접속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절연물변위면은 연장부로부터 돌출하여 절단날을 형성하는 전기접속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정렬용 슬롯이 작동기와 기부 사이를 완전히 통과하여 커넥터는 케이블의 길이를 따르는 임의의 지점에서 부착가능한 전기접속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작동기는 기부와는 복수의 위치들에서 깍지걸기되고, 이 위치들 중의 하나는 작동기와 기부 사이에 충분한 틈을 남겨두어 다중도체케이블이 작동기와 기부 사이에 미끄럼식으로 삽입되게 하는 전기접속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몸통은 접촉들에 의해 가해질 수 있는 힘의 범위 내에서 압축가능하여 케이블의 두께를 보상하는 재료로 만들어진 전기접속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기부의 수용측(entry side)은 작동기와 형상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며 모따기되어, 작동기가 기부와 맞물리는 때에 다중도체케이블이 작동기를 감싸게 하는 전기접속방법.
  18. 제2항에 있어서, 작동기는 접촉들이 다중도체케이블에 점차 정렬되도록 하는 테이퍼형의 선두 가장자리부를 갖는 몸통을 더 포함하는 전기접속방법.
  19. 제2항에 있어서, 접촉들의 기부 밖으로의 세로방향운동을 억제하는 단계; 및
    접촉들이 가로방향으로 자유부동되는 것을 허용하여, 접촉들이 작동기와 다중도체케이블 밑에서 자체정렬 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접속방법.
  20. 제9항에 있어서, 작동기는 다중도체케이블의 도체들 사이에 위치된 다중도체 케이블의 구멍 내에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형 정렬핀을 더 포함하여, 작동기는 그것이 기부와 깍지걸기 될 때 다중도체케이블을 다수의 접촉들에 정렬시키는 전기접속방법.
  21. 각 도체가 절연물에 의해 실질적으로 둘러싸인 다수의 도체들을 갖는 다중도체케이블로서 상기 다중도체케이블은 판형 가요성케이블, 적층형 인쇄회로들, 밀봉형 원형전선리본케이블, 및 다수의 도체들을 갖는 케이블들의 군으로부터의 케이블인 다중도체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전기접속장치에 있어서,
    기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기부 내에 위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를 가지는 다수의 접촉들로서, 상기 접촉들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깊이제한기; 및 적어도 하나의 깊이제한기에 놓이며 케이블 내의 도체들의 각각의 표면으로부터 절연물을 제거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물변위면으로서, 접촉들은 도체들의 표면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고 깊이제한기는 제거되는 절연물의 깊이를 제한하여 절연물변위면이 도체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물변위면을 구비한 다수의 접촉들; 및
    기부와 깍지걸기가능하여 다중도체케이블을 다수의 접촉들과 맞물리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기를 포함하는 전기접속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접촉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사한 방향으로 돌출 하는 2개의 연장부들; 및
    2개의 연장부들을 연결하는 가로대를 더 포함하는 전기접속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들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범프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범프는 깊이제한기에 인접한 연장부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놓여, 작동기가 기부 속으로 범프에 대해 눌러지는 경우, 케이블을 범프에 대해 누르는 작동기는, 작동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부를 이동시켜 도체와 범프 사이에 전기접촉력을 인가하는 전기접속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연장부들의 적어도 하나에 다수의 범프들을 더 포함하여, 도체와 접촉하는 제1범프는 나머지 범프들이 도체와 접촉하기 전에 도체로부터 잔류하는 접착제와 산화물을 닦아내는 전기접속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작동기가 기부와 깍지걸기하는 경우, 범프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도체와 접촉하고 절연물변위면을 다중도체케이블의 절연물 밖으로 이동시키는 연장부를 편향시켜, 절연물변위면에 의해 제거되는 절연물의 량을 제한하는 전기접속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다중도체케이블을 다수의 접촉들에 대해 누르는 작동기의 일부는, 기부에 위치된 접촉들 상의 다수의 범프들과는 형상이 실질적으로 일치하 여 작동기를 적소에 위치되게 하는 전기접속장치.
  27. 제21항에 있어서, 기부는 슬롯화되고 접촉은 암리셉터클(female receptacle)을 구비하여 수커넥터인 핀형전기커넥터와의 접속을 허용하는 전기접속장치.
  28. 제21항에 있어서, 접촉들은 기부의 슬롯들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포스트를 포함하여, 암의 전기커넥터에 대한 접속을 허용하는 전기접속장치.
  29. 제21항에 있어서, 각각이 한 쌍의 접촉들 사이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절연분리기를 더 포함하는 전기접속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절연분리기들은 기부의 상설(permanent)부분인 전기접속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절연분리기들은 다중도체케이블의 도체간격에 일치하는 간격으로 접촉들을 위치시키는 전기접속장치.
  32. 제29항에 있어서, 절연분리기들은 접촉들에 결합가능하고 기부로부터 분리되어 적층형 접촉구조를 만드는 전기접속장치.
  33. 제21항에 있어서, 작동기는 몸통과 목을 포함하고 작동기의 목은 작동기의 몸통보다 폭이 좁아 작동기의 목은 제거된 절연물들이 수집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기접속장치.
  34. 제21항에 있어서, 작동기는 기부와 미끄럼식으로 깍지걸기되는 전기접속장치.
  35. 제21항에 있어서, 작동기와 기부 간의 정렬 전후의 케이블정렬검증을 위한 시각적 정렬용 노치들을 더 포함하는 전기접속장치.
  36. 제21항에 있어서, 접촉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깊이제한기에 인접한 모따기된 선단을 연장부의 끝부분에서 가져 케이블이 작동기의 몸통을 감싸도록 강제하는 전기접속장치.
  37. 제21항에 있어서, 절연물변위면은 연장부로부터 돌출하여 절단날을 형성하는 전기접속장치.
  38. 제21항에 있어서, 케이블정렬슬롯은 작동기와 기부 사이를 완전히 통과하여 커넥터가 케이블의 길이를 따르는 임의의 지점에서 부착될 수 있게 하는 전기접속장치.
  39. 제21항에 있어서, 작동기는 다수의 위치들에서 기부와 깍지걸기하며, 이것들의 각각은 다중도체케이블이 작동기와 기부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작동기와 기부 사이에 충분한 틈을 남겨두는 전기접속장치.
  40. 제33항에 있어서, 작동기의 몸체는 접촉들에 의해 가해질 수 있는 힘의 범위 내에서 압축가능하여 케이블의 두께를 보상하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전기접속장치.
  41. 제21항에 있어서, 기부의 수용측은 작동기와 형상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며 모따기되어 작동기가 기부와 맞물리는 때에 다중도체케이블이 작동기를 감싸게 하는 전기접속장치.
  42. 다중도체케이블이 절연물과 다수의 도체들을 가지며, 상기 도체들의 각각은 표면을 가지고, 상기 다중도체케이블은 판형 가요성케이블, 완전 적층형이고 덮개 도포된 가요성 인쇄회로들, 밀봉형 원형전선리본케이블, 초음파로 적층된 무접착식 판형도체케이블들, 및 다수의 판형 도체들을 갖는 다른 케이블들의 군으로부터의 케이블인 다중도체케이블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사용하기 위한 전기접촉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 상에 놓이며 다중도체케이블의 길이를 따르는 도체의 표면으로부터 절연물 및 접착제를 꿰뚫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게끔 향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물변위면;
    접촉 연장부의 끝부분에 있으며 다중도체케이블을 활성수단 둘레에 감싸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따기된 선단;
    연장부 상에 있으며 도체의 표면으로부터 접착제 및 산화물을 닦아내기 위한 제1범프; 및
    도체와의 전기접촉을 만드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 범프를 포함하는 전기접촉.
  43. 제22항에 있어서, 작동기는 접촉들이 다중도체케이블에 점차 정렬되게 하기 위한 테이퍼형 선두 가장자리부를 갖는 몸통을 더 포함하는 전기접속장치.
  44. 제22항에 있어서, 기부는 접촉들의 기부 밖으로의 세로방향운동을 더 억제함으로써, 접촉이 가로방향으로 자유부동되는 것을 허용하여, 접촉들이 작동기와 다중도체케이블에 자체정렬되게 하는 전기접속장치.
  45. 제33항에 있어서, 작동기는 다중도체케이블의 도체들 사이에 위치된 다중도체케이블의 구멍 내에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형 정렬핀을 더 포함하여, 작동기는 그것이 기부와 깍지걸기 될 때 다중도체케이블을 다수의 접촉들에 정렬시키는 전기접속장치.
KR1020037014036A 2001-04-25 2002-04-09 판형 가요성 케이블커넥터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574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843,317 US6394833B1 (en) 2001-04-25 2001-04-25 Flat flexible cable connector
US09/843,317 2001-04-25
PCT/US2002/011143 WO2002089261A1 (en) 2001-04-25 2002-04-09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flat flexible cable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513A KR20040007513A (ko) 2004-01-24
KR100574844B1 true KR100574844B1 (ko) 2006-05-02

Family

ID=25289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036A KR100574844B1 (ko) 2001-04-25 2002-04-09 판형 가요성 케이블커넥터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394833B1 (ko)
EP (1) EP1382087B1 (ko)
JP (1) JP4157383B2 (ko)
KR (1) KR100574844B1 (ko)
AT (1) ATE328376T1 (ko)
CA (1) CA2445579A1 (ko)
DE (1) DE60211880T2 (ko)
WO (1) WO20020892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8693A1 (de) * 2000-09-30 2002-05-08 Kostal Leopold Gmbh & Co Kg Verfahren zum Bestücken eines Gegenstandes mit einem zumindest aus einem Flachleiter gebildeten Kabelbaum und an diesen angeschlossenen elektrischen/elektronischen Geräten, Verwendung eines solchen Verfahrens sowie Bestückungssystem
US6394833B1 (en) * 2001-04-25 2002-05-28 Miraco, Inc. Flat flexible cable connector
TW555189U (en) * 2002-09-25 2003-09-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4036370B2 (ja) * 2003-06-02 2008-01-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85841A (ja) 2004-12-28 2006-07-13 Fujitsu Component Ltd コネクタ
US7037114B1 (en) * 2005-01-21 2006-05-02 Cleveland Medical Devices Inc. Low profile electro-mechanical connector
WO2006112363A1 (ja) * 2005-04-14 2006-10-26 Taiko Denki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の抜止構造
US7134903B1 (en) 2005-10-12 2006-11-14 Lear Corporatio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ion
US20070082539A1 (en) * 2005-10-12 2007-04-12 Slobadan Pavlovic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ion for securing an insulated conductor
US7059889B1 (en) 2005-10-12 2006-06-13 Lear Corporation Splice block for interconnecting electrical conductors
WO2007112137A2 (en) * 2006-01-04 2007-10-04 Connecting Products, Inc. Electrical connector devices and methods of employing same
US7109429B1 (en) * 2006-03-07 2006-09-19 Fu-Hsiung Lee Switch assembly
TWI306010B (en) * 2006-03-22 2009-02-01 Lite On Technology Corp Method for contacting flexible printed circuit with another flexible circuitry component and related circuitry assembly
CN101048041B (zh) * 2006-03-30 2011-01-26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接合柔性印刷电路板与柔性电路组件的方法及相关结构
US7476124B2 (en) * 2006-12-19 2009-01-13 Seagate Technology Llc Feedthrough connector with plated electrical trace
JP4454651B2 (ja) * 2007-07-25 2010-04-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7481669B1 (en) * 2007-07-26 2009-01-27 Teatec Fine Ceramics Co., Ltd. Plug-in wiring structure of optoelectronic device
EP2048746B1 (en) * 2007-08-13 2016-10-05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Busbar connection system
JP2009064579A (ja) * 2007-09-04 2009-03-26 Nippon Sheet Glass Co Ltd 導電機能付板状体の端子構造体及び導電機能付板状体
DE102007043517A1 (de) 2007-09-12 2009-03-19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orrichtung zur Kontaktierung elektrischer Leiter
TWI387160B (zh) * 2008-04-18 2013-02-21 P Two Ind Inc Electrical connector combination
FR2937464B1 (fr) * 2008-10-21 2011-02-2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Assemblage d'une puce microelectronique a rainure avec un element filaire sous forme de toron et procede d'assemblage
AT11282U1 (de) * 2008-12-05 2010-07-15 Tridonicatco Connection Techno Vorrichtung zum kontaktieren von mehreren leiteradern sowie verfahren zum nachträglichen kontaktieren
EP2230732B1 (de) * 2009-03-16 2014-04-23 Delphi Technologies, Inc. Vorrichtung zum Anschlagen einer Leitung an ein Verbindungselement
JP4911735B2 (ja) * 2009-08-18 2012-04-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1134582A (ja) * 2009-12-24 2011-07-07 Fujitsu Component Ltd 平型ケーブル用コネクタ、その製造方法及びロック機構
JP4843726B1 (ja) * 2010-06-30 2011-12-21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KR101234660B1 (ko) * 2011-08-24 2013-02-19 주식회사 텔콘 알에프 커넥터
EP3028343A4 (en) * 2013-07-30 2017-03-01 FCI Asia Pte. Lt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US10050395B2 (en) 2013-12-06 2018-08-14 Fci Usa Llc Cable for electrical power connection
JP2016018676A (ja) * 2014-07-08 2016-02-01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端子部材、電気コネクタ、及び電磁クラッチ
DE102015100401B4 (de) * 2014-11-27 2016-12-15 Erni Production Gmbh & Co. Kg Steckverbinder für flexible Leiterfolien
US10312608B2 (en) 2015-03-03 2019-06-04 Fci Usa Llc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DE102015224930A1 (de) 2015-12-11 2017-06-14 BSH Hausgeräte GmbH Baugruppe eines Haushaltsgerätes zur Verbindung eines Leiterelements mit einer Steuerschaltung
US9954296B2 (en) 2016-07-07 2018-04-24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Connector with sliding tap
US10108238B2 (en) 2016-07-22 2018-10-23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Intelligent power tap for providing power and communicating in industrial automation applications
US10218699B2 (en) 2016-07-22 2019-02-26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ding a non-inherent component to a device key of a networked device
US10108216B2 (en) 2016-07-22 2018-10-23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Power tap with adjustable configuration
US10440620B2 (en) 2016-07-22 2019-10-08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idirectional network geography delivery
US10126799B2 (en) 2016-07-22 2018-11-13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Intelligent power tap with zone control and safety zone control
US10154006B2 (en) 2016-07-22 2018-12-11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network addressing modes
US11088475B1 (en) * 2018-11-19 2021-08-10 American Semiconductor, Inc. Self-aligned printed terminals for FFC-style connectors
JP7249201B2 (ja) * 2019-05-17 2023-03-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接続方法、接続構造、コンタクトおよびコネクタ
JP7232143B2 (ja) * 2019-07-19 2023-03-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232144B2 (ja) 2019-07-19 2023-03-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348016B2 (ja) * 2019-10-01 2023-09-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348060B2 (ja) 2019-10-03 2023-09-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接続方法
US11258189B2 (en) * 2019-10-03 2022-02-2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nd connecting method
JP7348024B2 (ja) * 2019-10-24 2023-09-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接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3229A (en) * 1961-07-25 1967-07-25 Itt Strip cable connector
DE2138462A1 (de) * 1971-07-29 1973-02-08 Loewe Opta Gmbh Steckverbindung fuer elektrische leitungen
US4573752A (en) * 1984-04-04 1986-03-04 Parlex Corporation Flat cable connection system
JPH0411346Y2 (ko) * 1986-03-28 1992-03-19
DE9102716U1 (ko) * 1990-03-16 1991-05-23 Minnesota Mining & Mfg. Co., Saint Paul, Minn., Us
TW417892U (en) * 1999-06-15 2001-01-01 Hon Hai Prec Ind Co Ltd Penetrating type connector
JP3786400B2 (ja) * 2001-03-23 2006-06-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6394833B1 (en) * 2001-04-25 2002-05-28 Miraco, Inc. Flat flexible cabl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57383B2 (ja) 2008-10-01
US6394833B1 (en) 2002-05-28
US20020160648A1 (en) 2002-10-31
ATE328376T1 (de) 2006-06-15
EP1382087A4 (en) 2005-08-31
EP1382087A1 (en) 2004-01-21
DE60211880D1 (de) 2006-07-06
EP1382087B1 (en) 2006-05-31
US6931727B2 (en) 2005-08-23
CA2445579A1 (en) 2002-11-07
KR20040007513A (ko) 2004-01-24
JP2004528692A (ja) 2004-09-16
DE60211880T2 (de) 2007-06-06
WO2002089261A1 (en) 200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844B1 (ko) 판형 가요성 케이블커넥터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4681382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ransmission cable
CN105122554B (zh) 绝缘位移连接器及其触头
US3891293A (en) Flat cable terminating
US5078617A (en) Piercing insulation displacement board terminal
US20080242139A1 (en) Connector and Line Connecting Method Thereof
JP4266335B2 (ja) 圧着接続子及び電気導体接続方法
US6960097B2 (en) Pressure connection structure with coaxial cable
US4312556A (en) Electrical connector
US4113338A (en) Insulation-piercing contact
EP2458694B1 (en) Terminal assembly and method for connecting an electric wire to a terminal element
US7347717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system
JP2009037748A (ja)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接続方法
EP0320310A2 (en) High contact pressure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for multi-strand wire
EP1107399B1 (en) Connecting method of connectors
EP1526607A1 (en) Connector assuring more reliability
EP0650220A2 (en) Connector apparatus, housing, and connecting element
EP0040010A1 (en) Flat electrical cable with connecting pins
RU2233019C2 (ru) Универсальное схемозахв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риентирующее динамические контакты
KR940003483B1 (ko) 평면형 전기케이블용 전환어댑터 및 그 케이블의 종단방법
JPH11329535A (ja) 電気端子
JP4807796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接続方法
EP1408586B1 (en) Crimp connector
JP2001176567A (ja) 圧接コネクタ
EP0973232A2 (en) Electrical contact for contacting a foil condu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