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483B1 - 평면형 전기케이블용 전환어댑터 및 그 케이블의 종단방법 - Google Patents

평면형 전기케이블용 전환어댑터 및 그 케이블의 종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483B1
KR940003483B1 KR1019890006315A KR890006315A KR940003483B1 KR 940003483 B1 KR940003483 B1 KR 940003483B1 KR 1019890006315 A KR1019890006315 A KR 1019890006315A KR 890006315 A KR890006315 A KR 890006315A KR 940003483 B1 KR940003483 B1 KR 940003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ductor
shear
flat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6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9291A (ko
Inventor
레이몬드 크레인버어그 어얼
케빈 다리 죤
버어드 프릿츠 월리엄
Original Assignee
에이엠피 인코포레이티드
제이 엘. 세이트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338,079 external-priority patent/US4915650A/en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엠피 인코포레이티드, 제이 엘. 세이트칙 filed Critical 에이엠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00019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9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1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connecting unstripped conductors to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 cutting e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평면형 전기케이블용 전환어댑터 및 그 케이블의 종단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환어댑터(transition adapter)를 이용하는 평면형전기케이블용 전기코넥터의 예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전환어댑터가 종단을 위해 케이블단부를 수취할 준비를 갖춘 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삽입물들이 몸체부재로부터 분해된 어댑터의 사시도.
제4도는 자신의 평판부들이 서로 뒤로 굽혀지기전의 몸체부재의 평면도.
제5a도 및 5b도는 삽입부재들이 몸체부재에 부착된 것을 보여주는 정면도, 및 스테이킹(staking)을 예시하는 일부 단면상의 사시도.
제6a도 내지 6c도는 케이블단부를 수취할 태세, 케이블단부를 수취한 후, 및 케이블단부가 종단된 후를 각기 나타내는 어댑터의 종단면도.
제7a도 내지 7c도는 각각의 전단 및 2스테이킹동작을 보여주는 파형종단부의 영역을 잘라서 취한 횡단면도.
제8a도 및 8b도는 제7b도 및 7c도의 스테이킹동작에서 사용되는 2형식의 스테이킹 블레이드선단의 도면.
제9도 및 10도는 제7a~7c도에서와 같이 종단된 케이블의 횡단면을 따라 취한 현미경사진으로서, 제10도는 제9도의 단일 스테이크형 파형 결합부의 확대도.
제11도 및 12도는 전환어댑터와 삽입물의 대안적인 구현예에 다른 정면도 및 사시도.
제13a도 내지 13c도는 1평판부가 상대 다이를 이용하고 있는 케이블에 결합되며, 그런다음 구리삽입부재가 종단된 케이블영역에 고착되고 그다음 완전지지된 것을 보여주는 전환어댑터의 예시도.
제14a도 및 14b도는 경사형측벽을 가지며 또한 파형결합부에 고착되어 있는 대안적인 삽입부재의 릴리이프구멍에 대한 확대도.
제15a도는 삽입부재없이 단일 평판어댑터에 땜납이 이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제16a도 및 16b도는 삽입부재없이 제4도와 같은 1쌍의 평판부를 가지는 전환어댑터, 및 케이블에 기계적으로 결합된 전환어댑터를 예시하는 도면.
제17도는 이중 도체케이블의 태브부분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1쌍의 터미널, 하우징 및 그의 변형방지부재, 쌍을 이룬 취합터미널 및 그의 하우징을 보여주는 도면.
제18도 및 19도는 제17도의 내장된 터미널에 대한 취합전 및 후의 종단면도.
제20도 및 21도는 이중 도체 케이블용 터미널이 내장되는 것을 개별적으로 예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214,310,362,410,506,618,758 : 케이블
44,208,300,364,400,500,678,750,752 : 몸체부재
50,52,202,204,502,504 : 평판부 60,222,316,414,508 : 파형형상부
61 : 전단연부 62,224,512 : 릴리이프 리세스
66 : 마루부(crest) 90 : 스트립
94 : 전단형도체연부 100,102,228,680 : 삽입부재
본 발명은 전기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면형전기케이블에 대한 터미널의 종단부에 관한 것이다.
일예의 평면형 전기케이블터미널을 보면, 이 터미널은 평면형전기케이블에 크림핑(crimping)되어 고착되는 전환어댑터(transition adapter)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이 어댑터는 전기코넥터의 대응접점과 결합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촉부를 갖추어서 전류를 케이블로부터 코넥터에 송전시킨다. 케이블은 예컨대, 공칭전류 75암페어의 전류를 송전시키기 위한 사용처에 도입되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아울러 총두께가 평균 약 0.034인치로서, 폭1인치, 두께 약 0.020인치의 평면형도체와 각 표면에 걸쳐 0.004 내지 0.008인치의 두께를 갖는 절연피복물로서 구성된다. 평면형도체의 금속재질은 이를테면, 동합금110이고 절연물은 폴리에틸렌-코-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로서 알려진 테프젤(TEFZEL : 미합중국 델러웨어주 윌밍톤시에 소재하는 이.아이.듀퐁 드네모어 앤드 컴퍼니의 상표) 열가소성수지이다.
상기 터미널은 어댑터의 전방단 또는 터미널단에서 함께 힌지된 1쌍의 평판부를 포함하며, 케이블의 절연단 또는 연부는 상기 1쌍의 평판부사이에 크림핑된다.
케이블-크림핑구역의 앞쪽의 어느 선택위치에서 적어도 한 평판부는 다른 평판부로부터 떨어져가는 각도로 구부러져서 평판부들이 서로 얼마의 각도로 대면하게 되고 따라서 서로 이격됨으로써 이들 사이에 케이블단부를 수취하게 된다. 다수의 창(lance)이 1평판부에서 타측평판부의 대응구멍으로 연장하여서 평판부들이 서로 압착될 때 창들은 케이블을 관통하게 된다. 창들은 이때 구멍을 통해 수취되고 그의 단부들은 타측평판부의 외면상에 대해 각 구멍에 있는 일체적인 호형안내부에 의해 둥그렇게 꺾이거나 어떠한 도구에 의해 구부러진다. 케이블을 투입함으로써, 어댑터와 케이블의 전단도체연부사이에 다수의 전기접속부가 형성된다. 적절한 합금으로 된 판재금속을 각인함으로써, 창들은 전단연부에 의해 바람직하게 한정되어서 절연물에 침입됨과 동시에 창에 의한 투입중 케이블이 압착되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전단연부를 포함하는 창-수취공과 협력하여 케이블의 도체에도 침입된다. 케이블절연물을 통과하여 케이블도체에 결합되어 물게하는 다수의 깃(barb)에 의해 추가적인 전기접속부가 형성 된다.
또한 영업적으로 쓰이는 것은 이중도체로 된 평면형 케이블로서, 주위에 절연출물을 가지면서 평행하여 이격된 1쌍의 평면형 도체스트립이 전력송전을 위한 동력 및 귀환로를 한정한다. 미국특허 제4,241,498호에 기재된 1방법에서는 2도체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부재를 갖추고 있는데 이것은 상부 및 하부가 태브에서 결합되어 있다. 이 상부 및 하부는 케이블의 측면으로부터 도체의 상부 및 하부표면을 따라서 형성되어서 태브가 케이블의 측방향으로 배치되어 지도록 한다. 상부 및 하부는 홈과 랜드(land)가 교대로 있는 반원통형 금속조오(jaw)로 가지며 1조오의 홈들은 상부 및 하부가 도체에 대해 압착되었을 때 대향조오의 랜드를 수취한다. 펀치와 다이 공정으로, 랜드는 도체의 스트립을 전단시켜서 전단된 스트립을 대향홈속으로 돌출시킨다. 종단후 전단된 도체 연부는 반원통형조오의 홈에 있는 인접측면에 배치되어서 전기접속부를 형성한다. 태브는 케이블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서 다른 전기제품에 의해 함께 전기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게끔 노출된다. 다른 도체도 인근위치에서 유사하게 종단되기도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접속부가 저장에너지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는 어댑터와 케이블도체간의 다수의 전기접속부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위치에서 평면형 전기케이블도체를 전단시키는 수단을 가지는 어댑터를 마련하고, 각 기밀유지 접속부를 어댑터와 케이블의 도체간에 충분한 표면적의 결합으로서 마련하고, 길쭉한 기밀 유지접속부를 제공하여 보다 큰 상호접속 금속표면적을 마련하고, 이중도체의 평면형 전기케이블을 종단시키는 터미널을 제공하고, 어댑터와 평면형 케이블사이에 강력하고도 장기간 사용에도 취약해지지 않는 기계적 및 전기적 결합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전류의 송전에 적합하고 자신의 각인 형성부 및 전단연부로 지지하여 케이블에 침입되는 금속합금제 어댑터를 제공하고, 또한 케이블에 대한 종단시 케이블도체의 전단연부와의 결합표면적을 최대로 하는 형상을 취하면서 장기간 사용중 접속부의 기밀 특성을 유지하게끔 저장에너지를 보유할 수 있는 금속합금제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케이블도체를 덮고 있는 절연물에 침입되고 아울러 다수의 위치에서 도체를 전단시키므로써 평면형전기케이블에 크림핑되는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어댑터는 박판상의 시트금속으로 각인형성되며 1구현예에서는 적어도 한평판부가 종단시 케이블의 주표면을 따라서 배치되고 또한 적어도 한 종단역이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구성되며, 이 종단역은 하나 또는 바람직하기로는 몇개의 이격된 전단파형 형성부로 되어 있다. 평판부가 적절한 다이에 의해 지지된 평면형 절연케이블에 대해 작용될 때, 파형마루부는 확대된 케이블부분을 다이표면의 릴리이프리세스속으로 돌출 또는 편향시키기 시작한다. 동시에 파형마루부의 단부에 있는 전단연부는 절연피복물을 파고 들어가서 파형마루부에 의해 더욱 편형시키면서 아울러 마루부-편향도체부분의 신장을 허용하는 마루부-편향케이블부분에 인접한 케이블의 부분을 전단시키기 시작한다. 따라서 마루부-편향케이블부분의 전단도체연부는 케이블의 평면으로부터 밀려지며, 아우러 0.25인치정도의 길이를 따라 노출되어져서 어댑터에 납땜되는 방식으로, 또는 노출된 도체연부에 대해 치밀하게 각인, 변형되어 있는 연질구리제 어댑터부분에 의해 전기적으로 결합되어진다. 평판부는 마루부-편향도체부분의 단부에서 파형형상부의 연부를 전단시키는 단부가 케이블도체의 전단연부와 확고하게 결합하므로써 케이블에 대해 기계적으로 부착, 유지된다. 또한 케이블에 침입되어서 먼쪽의 측면을 따라 구부러지는 통상적인 창, 또는 케이블의 측연부에서 구부러진 태브같은 기타의 유지수단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제2구현예에 있어, 어댑터는 한쌍의 대향평판부를 가지는 몸체부재를 포함하며, 이들 각 평판부는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종단역을 가지며, 이들 대향평판부의 종단역은 서로 대향하는 쌍으로 결합되어 있다. 쌍을 이룬 각 종단역은 전단용 파형형상부와 릴리이프리세스가 교대로 형성되며, 일측 평판부의 복수의 파형형상부는 타측 평판부측을 향해 연당하여 있고 그리고 릴리이프리세스에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일측 평판부의 파형형상부는 타측의 릴리이프리세스와 일치한다. 각 전단용 파형형상부에는 횡방향으로 방사상 마루부가 마루부에 대해 직각된 축방향으로 평행하여 정렬된 전단연부사이에 연장하여 있다. 실질적으로 일측 평판부의 파형형상부는 타측의 파형형상부와 서로 마주하여 작용하는 경우 제로간극으로 맞물린다.
이 전환어댑터는 가운데 배치된 케이블과 함께 빈틈없이 압착되는 가급적 힌지되어 결합된 편판부들에 의해 케이블을 종단시킨다. 각 전단파형형상부는 케이블의 인접 표면부에 대해 힘이 미치며 파형부의 마루부는 케이블의 평면으로부터 케이블의 인접표면부를 편향시키며 또한 최종 편향된 도체부분을 펴지게 한다. 동시에, 그 파형형상부의 전단연부는 제로간극으로 정렬되고, 쌍을 이루어서 파형형상부가 케이블의 반대표면에 대해 힘이 미치면, 쌍을 이룬 전단연부는 절연충을 파고들어가 파형마루부에 수직방향으로 도체를 전단시킨다.
호형릴리이프 형상부는 가급적 타측 평판부로부터 멀어지면서 연장하는 각 릴리이프리세스에 형성되고, 각 파형형상부는 마루부-편향케이블부분이 파형부의 마루부와 대향호형 릴리이프형상부의 내부면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대응하는 대향 릴리이프리세스에 수취된다. 어댑터의 일측 평판부에 형성된 파형형상부의 각 전단연부의 부분들은 타측 평판부의 인접 파형형상부에 의해 전단된 케이블도체의 새롭게 형성된 연부와 맞물린다. 케이블도체는 전단가공중 금속의 커다란 부피변형(bulk deformation)없이, 다수의 위치에서 예컨대, 0.25인치의 축방향전단길이로 전단된다. 또한 어댑터가 케이블의 일단부에 중단되는때 전단부는 케이블에 대해 축방향으로 있기 때문에, 케이블은 재질적으로 약화되지 않는다. 본질적으로 상호맞물리는 어댑터의 파형형상부는 케이블도체와 맞물리는 다수의 파형결합부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서 케이블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강력한 종단부를 한정하며, 대향 평판부들은 차후의 개방에 대해 저항하는 제로간극 공구와 다이로저 작용한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르면, 1쌍의 삽입부재는 가급적 제2구현예에서 외향표면에 대해 그의 종단역 또는 파형부의 전후, 좌우로 부착할 수 있게 하는 것이좋다.
각 삽입부재는 적절한 파형형상부 및 호형릴리이프형상부가 배치되는 구멍을 가지므로써, 결합된 평판부의 파형부위에 어울릴 수 있는 형상으로 된다. 각 삽입부재는 고함량구리합금으로 형성되며 아울러 케이블 전다후 삽입부재의 각 파형형상부가 예컨대 스테이킹 가공에 의해 변형될 수 있게끔 전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삽입부재의 각 파형형상부는 삽입부재의 외향 대면으로부터 스테이킹되어져서 양측면의 파형형상부부근에 있는 케이블도체의 전단연부에 대해, 그리고 어댑터몸체부재의 인접 파형형상부의 인접전단연부에 대해 치밀하고도 완전하게 파형형상부를 연장시키도록 한다. 이 삽입부재는 케이블도체에 대해 주요한 전기접속부를 형성시키는 한편, 전환어댑터의 몸체부재는 케이블에 강력한 기계적인 부착수단을 제공한다.
2중도체의 평면형 전기케이블에 적당하면서도 단일도체케이블에도 사용될 수 있는 또하나의 구현예에서는, 1쌍의 전환어댑터터미널은 케이블단부에 서로 인접하여 종단된다. 터미널들은 케이블에 대해 취급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분리가능한 링크에 의해 우선적으로 서로 결합되어지기도 한다. 쌍을 이룬 터미널은 단일도체의 평면형전기케이블에도 사용될 수 있으나 본질적으로 이중도체로 된 평면형전력케이블을 종단시키는데 적절한 것으로, 이 이중도체케이블에서는 터미널이 하우징속에 삽입된 다음 종단후 이들사이의 링크를 분리시키므로써 쌍을 이룬 터미널은 서로 분리된다. 각 터미널은 각각 릴리이프리세스들과 교대로 배치되는 전단용 파형형상부배열이 있는 1쌍의 대향평판부를 가지기 때문에, 쌍을 이룬 평판부가 그들사이의 케이블단부부분에 대해 압착될 때 전단용 파형형상부의 배열은 평면형케이블의 도체를 케이블과 일체적으로 존재하는 다수의 스트립으로 전단시키는데 협동하고, 아울러 새롭게 전단된 도체 스트립을 대향하는 릴리이프리세스속으로 돌출시킨다. 각 터미널의 쌍을 이룬 평판부는 후방의 케이블 수취터미널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이 단부에는 이미 알고 있는 가로폭을 갖는 케이블수취슬롯을 한정하는 측방향으로 이격된 1쌍의 만곡부로부터 상기 평판부가 약간의 각도로서 전방으로 상호 연장하여 있다. 케이블의 단부에는 태브형상부분이 형성되고 아울러 이 부분은 각 터미널의 상부 및 하부 평판부사이에 배치된다. 태브형부분은 케이블중심선을 따라 축방향슬롯을 정밀하게 절단하므로써 마련되며, 그에 의해 케이블이 단일 또는 이중도체든간에 슬롯의 양측면을 따라서 전단된 도체연부를 축방향으로 노출시키게 되고, 슬롯의 폭은 터미널의 각 케이블수용슬롯의 폭과 일치한다.
각기 쌍을 이룬 상부 및 하부 평판부가 일체적인 힌지로서 작용하는 만곡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므로써 서로 눌려지게 되어서, 전단용 파형형상부는 케이블에 대해 터미널의 종단을 형성하는 케이블의 도체(또는 도체들)의 스트립을 전단 및 돌출시키게 된다. 터미널들은 이때 일체적인 하우징의 각 공동부속으로, 또는 각 하우징속으로 자리잡힌다. 다음 두갈래로 분리된 기다란 변형방지부재가 케이블위에 놓일수도 있고 그리고 케이블을 체결시켜서 하우징공동부에 터미널의 후방멈춤부를 제공하는 후방하우징단부에 걸리기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의 예비준비없이 쉽게 평면형 전기케이블을 종단시켜서 케이블에 대해 확실한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을 형성시키는 어댑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댑터와 케이블도체 사이에 장기간 사용하는 동안 실질적인 저장에너지를 유지하면서도 시간이 지나도 열 및 변동으로 인해 이완되지 않는 기밀유지결합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한 목적은 재질적으로 케이블도체를 약화시키지 않으면서 케이블을 충분한 길이로 전단시키기위해 다수의 위치를 갖는 전단부와 협동하는 관계로 선택적으로 변형시켜서, 충분한 표면적을 갖는 다수의 전기접속부를 형성하게끔 전단된 도체연부를 노출시키는 어댑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한 목적은, 충분한 길이를 위한 다수의 위치에서 비교적 두꺼운 (0.020인치) 금속도체를 통해 전단시키는 연부를 가질 수 있는 충분한 강도의 금속부분을 포함하는 한편, 케이블침입후 저장에너지로서 단단도체연부의 전표면적에 대해 빈틈없이 일치시키는 형상으로 될 수 있는 금속부분을 포함하는 어댑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한 목적은 케이블종단후 도체에 흐른 전류를 확실한 방도로 선택된 접촉부에 공평하게 분배시키는 어댑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한 목적은 이중도체의 전력케이블과 단일도체형 케이블을 종단 시킬 수 있는 터미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럼, 본 발명의 구현예들을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코넥터어셈블리(10)를 예시하고 있는것으로서, 여기에 포함되는 본 발명의 전환어댑터(40)는 컴퓨터, 복사기등의 전자장치안의 동력분배시스템, 및 카드케이지시스템을 위한 평면형전기케이블(14)의 단부(12)를 종단시키는데 사용된다. 케이블(14)은 0.020인치의 두께를 갖는 구리나 알루미늄의 평면형도체(16) 및 각 표면을 따라 4 내지 8밀(mil) 두께의 TEFZEL열가소성수지(이.아이, 듀퐁 드 네모어 앤드 컴퍼니사의 상표명)로 구성되는 형식이다. 케이블단부(12)에 대한 전환어댑터(40)의 적용후, 종단된 단부는 예컨대 제1 및 제2커버부재(24, 26)로 구성되는 절연성 하우징어셈블리(22)속에 고착된다. 커버부재(24, 26)는 함께 회전되는 것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힌지될 수 있고 또한 종단된 케이블단부를 에워싸기 위해 부착될 수 있다.
대응하는 접점(도시하지 않았음)에 취합하기 위한 어댑터의 접촉부를 갖추기 위해 통로(28)가 취합면(30)으로부터 내향하여 연장된다. 하우징어셈블리는 어댑터(40)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접촉부 또는 접촉부들(42)의 형태에 따른 형상으로 되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그의 특성은 코넥터가 넣어지는 것으로 이용된다. 전환어댑터의 접촉부들은 다양한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제2도 및 3도에 있어, 본 발명의 전환어댑터(40)는 하나이상의 접촉부(42)가 취합단부(46)에서 결합되거나 또는 일체적인 부품으로 되는 적어도 하나의 몸체부재(44)를 포함한다. 몸체부재(44)는 또한 취합단부(46)의 맞은편 단부에 있는 케이블수취단부(48)를 포함한다. 몸체부재(44)는 또한 힌지부(54)에서 가급적 일체적으로 결합된 1쌍의 평판부(50, 52)를 포함하며 종단후 평판부들은 케이블단부(12)의 대향주측면들을 따라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케이블(14)에 체결된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가급적 힌지(54)는 케이블수취단부(48)에 위치할 수 있지만 제11도 및 12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근접한 취합단부(46)에 위치할 수도 있다.
평판부(50, 52)는 각기 자신의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대향종단역(56, 58)을 가지며, 이들 각각은 호형 릴리이프형상부(62)에 의해 형성된 릴리이프리세스들과 교대하여 있는 1열의 이격 전단파형형상부(60) (제6a도 참조)로 구성된다. 각 평판부의 각 파형형상부는 타측 평판부의 호형 릴리이프형상부로부터 마주하여 놓여진다. 각 평판부의 파형형상부는 자신의 케이블근접면(64)에 외향, 연장하여 타측평판부를 향해 방사형마루부(66)에까지 연장되며(제6a도 참조), 호형 릴리이프형상부는 자신의 케이블원격면(68)에 외향하여서 타측평판부로부터 멀어진다. 필수적으로 각 평판부(50, 52)의 파형형상부(60)는 옵셋되어 있는 타측평판부의 파형형상부와 협동하는 패턴을 나타내며, 파형형상부는 평판부들이 힌지(54)를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재촉되는 경우 상호 맞물린다.
가급적, 전환어댑터(40)는 삽입부재(100, 102)를 갖추어서 케이블도체(16)에 대해 확실한 전기접속부를 형성시킨다. 삽입부재(100, 102)는 종단역(56, 58)을 가로질러 몸체부재(44)의 각 평판부의 케이블원격면(68)에 부착된다. 각 삽입부재(100, 102)는 릴리이프구멍(106)과 교대되는 파형형상부(104)의 패턴을 가져서 몸체부재(44)에 적절히 고착된 다음 타측 삽입부재의 패턴과 상호협동하는 형태를 나타낸다. 파형형상부(104)는 마루부(108)를 포함하며 아울러 삽입부재가 부착되는 평판부의 대응 파형형상부(60)의 인접표면에 일치하는 형상을 취하고 있다. 가급적, 각 삽입부재(100, 102)는 일단부(112)에서는 형상화된 보스(110), 그리고 타단부(116)에서는 이 형상화된 보스의 수취구멍(114)을 갖추어서 종단시 일측삽입부재의 형상화된 보스가 타측삽입부재의 보스 수취구멍에 수취되도록 한다.
제2도 및 6a도에 있어, 케이블단부(12)는 가급적 슬롯(70) (제4도)이 구성되어 있는 전환어댑터(40)의 케이블수취단부(48)속으로 삽입되며, 슬롯(70)은 평판부(50, 52)를 결합시키는 몸체부재(44)의 1쌍의 힌지부(72)사이에 연당되어 있다. 평판부(50, 52)를 케이블삽입이전에 힌지부(72)를 중심으로 함께 미리 만곡시키고, 파형형상부(60)의 마루부(66)는 서로 충분히 접근시켜서 이들 사이의 간격이 케이블(14)의 두께보다 작은 치수를 가지도록 하여서, 케이블단부(12)가 힌지부(72)에서 발생된 스프링바이어스에 대하여 약간 외방으로 평판부(50, 52)를 편향시켜 전환어댑터(44)가 스스로 케이블단부(12)에 지지되어 다음단계인 크림핑단계이전에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도는 몸체부재(44)에 대한 삽입부재(100, 102)의 적용이전, 및 힌지부(72)에서 굽혀지기 이전의 몸체부재(44)의 금속블랭크를 보여준다. 블레이드식 접촉부(42a)는 취합단부(46)에 도시되어 있고, 평판부(50, 52)들은 슬롯(70)이나 플랜지(74) 어느 한측에 도시되어 있으며, 종단역(56, 58)은 케이블의 폭과 대략 동일한 몸체부재(44)의 횡폭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힌지부(72)의 어느 한측상에 있는 리세스(76)는 종단시 보스가 대향삽입부재의 보스수취구멍(114)에 수취되게끔 몸체부재(44)곁을 연장하여 각 삽입부재(100, 102) (제3도)의 보스(110)를 위한 간극을 제공한다. 종단역(56, 58)은 파형형상부(60)와 호형 릴리이프형상부(62)의 형성중 등간격으로 이결되어 정밀하게 대향하는 위치로 되게끔 찢어져 있으며 이들 찢어진 슬릿(61)에 있는 앞서 결합된 전단 연부들사이의 측방으로는 틈새가 생기지 않게끔 되어 있다. 평판부(50, 52)는 또한 슬릿(61)의 단부의 전, 후방측에 일체적인 부분(78)을 갖추고 있다. 플랜지(74)는 슬롯(70)을 만들때 형성된 금속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소반경으로 90변구부러진다.
몸체부재(44)는 예컨대, 올린 코포레이션회사에 의해 시판되는 반결질구리 합금의 알로이 7025, 또는 템퍼링된 경질합금인 알로이 151, 양호한 응력이완성을 위해 어닐링된 템퍼 H05와 같은 0.025인치두께의 구리합금으로 된 스트립스톡(strip stock)으로 형성된다. 삽입부재(100, 102)는 예컨대 약 0.066인치의 두께 및 약 0.132인치의 파형마루부(108)의 높이를 갖는 극연질구리 CDA 110(dead seft Copper CDA 110)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아울러 약 0.326인치의 축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들 삽입부재와 몸체부재는 경우에 따라 온도금되어서 장기간 사용을 위한 전기접속부의 보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제5a도 및 제5b도에 대해 설명한다면, 각 삽입부재(100, 102)는 삽입부재들이 각 상승파형형상부의 외향면에 있는 중심이 잡힌 블레이드(148)에 의해 두들겨지는 미약한 스테이킹동작에 의해 각각의 평판부(50, 52)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테이킹동작은 삽입부재가 고착되는 특정 어댑터평판부의 인접한 호형 릴리이프형상부의 연부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삽입파형 형상부를 약간 변형시킨다.
제6a도에 있어, 조립된 전환어댑터(40)는 케이블단부(12)를 케이블수취단부(48)속으로 수취시킬 태세를 갖추고 있으며, 파형형상부(60)는 상, 하부 마루부(66a, 66b)에 거의 함께 있다. 케이블단부는 제6b도에서 슬롯(70)에 삽입되어서 양 평판부(50, 52)를 멀리 편향시키고 그리고 선단(12)이 종단역(56, 58)의 앞쪽 미소 거리에 적절히 놓여질때까지 앞쪽으로, 그리고 접촉부(42a)의 후방으로 이동된다. 힌지부(72)에서의 스프링바이어스는 케이블(14)의 절연된 상, 하부면(32, 34)에 대하여 마루부(66a, 66b)를 밀게되므로써 케이블의 파지(gripping)가 형성된다. 제6c도에서는 전환어댑터(40)가 아버 프레스(arbor press)와 같은 도구(150) (제7a도)에 의해 서로 눌려진다. 각 평판부의 파형형상부(60)의 측면을 따라서 슬릿(61)에 의해 생긴 전단 연부는 대향 평판부의 옵셋 파형형상부의 측부와 협동하여 작용하며 아울러 우선 케이블(14)의 거치른 연성절연피복물(18)을 꿰뚫어 찢어서 약 0.25인치의 간격으로 길이방향으로 케이블도체(16)를 전단시킨다. 마루부(66a, 66b)는 대향하는 평판부의 대향된 호형 릴리이프형상부속에 상하방으로 교대적으로 호형 도체루우프를 형성하는 케이블도체(16)의 전단된 부분을 외방으로 편향, 세장시킨다.
각 파형형상부(60)에서는 파형결합부(80)가 형성된다. 본 구현예에 있어서는 케이블(14)을 전체적으로 횡단하는 6개의 파형결합부(80)가 도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전환어댑터는 종단역의 측방향단부를 따라서 일체적인 어댑터스트랩외에 4개의 파형결합부를 쉽게 변형, 형성시킬 수 있다. 파형형상부는 우선적으로 케이블축선(파형마루부에 의한)을 따라서 단일지점에서 양쪽방향으로 케이블의 외향편향을 주도한 다음 그로부터 점진적으로 축방향 즉 전, 후방향으로 행하므로써 또한 제로간극을 가지는 쌍을 이룬 전단연부에 의해 케이블의 양표면으로부터 편향함과 동시에 상기 단일지점에서 일차적으로 전단을 행하므로써 케이블의 전단을 돕게 되는 것이다. 편향된 도체스트립은 케이블에 일체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케이블은 재질적으로 약화되지 않는다. 종단은 정교하게 제어되게끔 고려되어서 케이블의 어떠한 예비준비가 요구됨이 없이 어댑터 자신의 전단연부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잇점은, 전환어댑터가 케이블삽입후에 케이블을 움켜쥐기때문에, 뻣뻣한 케이블자체가 수동조작용으로 이용되는 한 적용도구속으로 케이블단부를 배치시키는 조작은 간단하게 된다.
제7a도 내지 7c도에 대해 설명한다면, 케이블을 전단시키기 위해 도구(150)의 1쌍의 다이(152)의 평면형 표면에 의한 압착력의 적용에 따라 바람직하게도 이(152)는 상부 및 하부 케이블표면(32, 34)에 대하여 전환어댑터(40)의 상부 및 하부부분의 외부면 대부분을 지속적으로 압착하면서 서로 고정되어 남게 된다. 다이(152)는 파형결합부(80) 및 삽입파형형상부(104)의 각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도 구멍(154)을 한정시키고, 양삽입단부(112, 116)에서 후속적인 스테이킹동작을 위해 보스(110), 파형결합부 및 삽입파형형상부를 노출시킨다.
제2단계는 제7b도의 제2쌍의 다이(156)에 의해 수행된다. 뾰족한 끝의 블레이드(158)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선단을 가지며 (제8a도)동시에 호형 릴리이프형상부(62)의 외부면(82)을 따라 우선적으로 각 파형결합부(80)에서 상하로부터 전환어댑터(40)를 때린다. 제7b도 및 제10도에 있어, 블레이드(158)는 선택된 깊이로 각 파형결합부(80)로 파고들어가서 호형 릴리이프형상부(62)를 분할하고 아울러 파형부의 축방향중심에 있는 스테이킹화된 파형결합부(86)의 최종 V-형상부의 내측을 따라 분할된 부분(84)을 아래로 구부린다. 분할부분(84)은 블레이드(158)에 의해 케이블(14)속으로 영구적으로 변형된 자유단부(88)를 가지는 쌍을 이룬 스프링부재로서 작용한다. 대향파형부(60)의 파형마루부(66)가 다이로서 작용하는 상태에서, 자유단부(88)는 연질도체(16)상에 작용하여 그의 도체부분(90)을 측방향으로 외향하게끔 강제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도체부분(90)은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기도 한다. 그런다음 스프링부재(84)는 삽입부재릴리이프구멍(106)의 측면(120)에 대하여 도체부분(90)을 고정시켜서 스프링바이어스의 작용하에서 표면(120)에 대해 이들 도체부분을 지지시키는 강성을 가지면서도 유연한 구조로서 작용한다. 동시에, 추가적인 세트의 블레이드(160) (제8b도)가 삽입부재(100, 102)의 보스수취구멍(114)속으로 보스(110)를 꽂아서, 보스를 언더컷 구멍속에서 확대된 형상으로 변형시키고 아울러 보장된 전기적 및 기계적결합부(122)에 삽입부를 서로 확실하게 결합시킨다.
다음, 제7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158, 160)가 철수되고 다이(152)가 밀착되어 남아 있을때, 제3단계가 도구(150)의 제3쌍의 다이(162)에 의해 수행된다.
뾰족한 끝의 블레이드(164)는 축방향으로 향한 선단을 가지며(제8a도)동시에 현재 스테이크된 파형결합부(86)들 사이 및 각 파형형상부(104)에 있는 각 삽입부재(100, 102)의 외부면(124)을 따라 상, 하로부터 전환어댑터(40)를 두드린다. 따라서 블레이드(164)는 삽입부재(100, 102)의 파형형상부(104)속으로 눌려져서 연질 구리재질을 측방향으로 분할, 변형시키고 삽입부재들의 릴리이프구멍의 측면(120)과 각 스테이킹된 파형형상부(86)를 따라서 케이블도체부분(90)에 새롭게 전단된 연부들 사이의 공유접촉영역에 부하를 가한다. 스프링 부재(84)의 자유단부(88)는 아울러 삽입부재의 파형형상부(104)의 스테이킹동작중 편향된 도체스트립이 중심에서 외방으로 부풀게 되는 것을 억제한다. 블레이드(158, 160, 164)는 독립된 코움부재(comb member) (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블레이드 수취구멍(154)속으로 강제되는 독립부재로서도 선택될 수도 있다.
제9도는 실질적인 종단부(92)를 횡방향으로 취한 확대된 횡단면도로서 제7a도 내지 7c도에 대해 기술한 전환어댑터로부터 형성되는 종단형식을 나타낸다.
여기에는 6개의 스테이크형 파형결합부(86)중 4개가 도시되어 있다. 제10도는 제9도의 스테이크형 파형결합부(86)의 하나를 확대한 것으로서, 전단된 도체연부(94)는 전환어댑터와 케이블의 도체사이의 주요전기접속부(96)를 형성하는 인접한 삽입파형형상부의 인접측면(120)에 대해 명확하게 도시되었다. 각 스테이크형 파형결합부(86)의 축중심근처에서, 도체(16)는 전단형 도체연부(94)가 표면(120)에 대해 충격받는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외향하여 강제되는 2부분(90)으로 이루어진다.
96위치에서의 만곡은 인접한 스테이크형 삽입부분과 협동하는 저장에너지를 만들어서 확실한 전기접속부를 형성시키는 주상강도(Column strength)의 존재를 지시한다. 스테이크형 파형결합부(86)속에 있는 흑색층대역(98)은 유효공간안에 들어가 있는 절연케이블 피복물의 부분으로써 보장된 기계적 및 전기적접속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이방도로 형성된 종단부의 저항수준의 크기는 상승된 온도에서의 에이징(aging)후 양호한 전기접속을 나타내는, 허용가능한 작은수준의 전압강하를 나타낸다. 통상적인 열적충격테스트에서는 종단부에서 우수한 기계적 안정성을 나타낸다.
제11도 및 12도는 전환어댑터의 대안적인 구현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평판부(202, 204)는 몸체부재(208)의 최전방단부에 있는 만곡부(206)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접촉부(210)는 핀형상으로 구성되고 아울러 몸체부재(208)가 각인되는 금속 블랭크보다 2배의 두께로 형성되며, 또한 이 접촉부는 접촉부(210)의 선단을 구성하는 만곡부(206)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한다. 상부 및 하부 평판부(202, 204)는 접촉부(210)의 바로 후방측에 놓인 휨부(212)에서 상방으로 굽어져서 결국 후방측으로 분기하여 연장하게 된다. 케이블단부(214)는 케이블수취단부(216)로부터 삽입되어서 상, 하부 평판부(202, 204)에 각기 있는 대향종단역(218, 220)사이에 배치되어진다. 평판부(202, 204)가 케이블단부에 대해 크림핑되었을 때, 파형형상부(222)는 케이블단부(214)의 최전방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부위의 복수위치에서 케이블단부(214)를 전단시키고, 또한 제2도 내지 7c도의 구현예에서와 같이 대향한 호형 릴리이프형상부(224)의 내부표면에 대해 전단된 축상스트립을 변형시킨다. 그와 같은 4개의 파형형상부 파형부(316)의 마루부(314)는 파형부(316)의 연부가 케이블도체를 전단할때 인접케이블부분을 다이표면(306)의 릴리이프리세스(318)속으로 편향시킨다. 추가적인 케이블-고착수단으로서 어댑터(300)의 태브(320)와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 태브는 다이표면(306)의 리세스(322)에 의해 케이블(310)의 측연부주위로 구부러진다.
아울러 통상적인 케이블관통용창(도시하지 않았음)도 고착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종단역(304)을 따라서 다수의 위치에서 케이블도체를 전단하므로써 그리고 그런다음 케이블의 평면으로부터 전단된 도체스트립(328)을 편향시키므로써, 도체스트립(328)의 연부는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끔 노출된다. 릴리이프구멍(332)을 가지는 삽입부재(330)의 케이블근접면은 평면상으로 된다. 삽입부재(330)는 그다음 삽입부재의 단부의 상방으로 구부러지는 어댑터(330)의 태브(324)에 의해 종단부에 고착되어서 태브플랜지부분(326)이 제13c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직립하여 있는 삽입 프랜지부분(334)의 둘레에 고착되어 질 수 있다. 삽입부재(330)는 각인부(impression) (336)를 남기면서 제7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신의 릴리이프구멍(332) 옆에서 스테이크화된다. 또한, 도체스트립(328)도 역시 각인부(338)를 남겨놓고 확실한 전기접속부를 형성하는 제7b도의 파형결합부의 스테이킹에 유사하게 스테이크화될 수 있다.
제14a도 및 제14b도의 삽입부재(350)는 릴리이프구멍(352)을 가지며, 이 구멍은 경사진측면(354)을 가진다. 제13b도에 도시한 바와 유사하게 파형부위(360)에 압착된 때, 케이블도체와 함께 전기접속부가 형성된다. 어댑터(364)는 다수의 파형형상부를 가지는 횡방향종단역을 가지며, 케이블(362)은 폭넓은 평면형도체와 얇은 절여피복물(368)을 가지며, 전단편향된 도체스트립(366)은 노출된 도체연부(370)를 가지며, 또한 도시된 어댑터파형형상부는 전단연부(372)를 가진다. 삽입부재(350)가 종단역에 압착됨에 따라, 도체연부(370)와 파형형상부연부(372)는 380위치에 전기접속부를 형성하는, 제14b도의 릴리이프구멍(352)의 원격위치단부근방에 있는, 측벽(354)을 긁어서 변형시킨다. 역시 가능한 것으로서 삽입부재의 릴리이프구멍의 측면이 도체와 삽입부재간의 전기접속부의 표면적을 증대시키면서 노출된 전단형도체연부를 긁어서 변형시키는 수직세레이션부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제15a도에 있어, 어댑터부재(400)는 제13a도에 도시한 케이블에 압착되어서 파형형상부(414)가 케이블의 평면으로부터 도체스트립(424)을 전단 및 편향시키는 것에 의해 케이블을 횡단하는 종단역을 창성시킨다. 어댑터부재(400)는 케이블(410)에 고착되는 태브(420)를 가질 수 있다. 도체스트립(424)의 연부는 땜납(430)을 사용하여 어댑터부재(400)에 전기접속되게끔 노출상태로 된다. 종단부(432)는 결국 절연하우징에 놓여지게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6a도 및 제16b도는 1쌍의 평판부(502, 504)를 가지며 또한 제4도의 블랭크에 유사한 블랭크로부터 형성되는 전환어댑터(500)를 예시한다. 전환어댑터(500)는 어떠한 삽입부재도 없이 편향된 케이블부분이 호형 릴리이프형상부(512)의 내부표면에 밀려진때까지, 상호물림파형부(508)가 제6a도 내지 6c도에서와 같이 케이블부분을 편향, 전단시키면서 케이블단부(506)에 대해 종단될 수 있다.
케이블에 적용된 때, 어댑터는 케이블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파형부의 전단연부의 부분과 전단되 케이블도체의 부분간에는 어떠한 전기접속이 존재한다. 전단된 케이블도체연부(510)의 노출부분은 제15a도에서와 같은 땜납으로 전기접속될 수 있다. 종단부(514)는 그다음 코넥터하우징(도시하지 않았음)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형-크림프부를 이용하는 전환어댑터가 종단부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끔 최적화시키기 위해 연질금속의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전환어댑터는 별도의 삽입부재없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 기술한 파형형상부의 제로간극으로 대향하는 전단연부에 의해 수행된 전단작용으로서 충분한 잇점을 얻을 수 있고, 기계적으로 강력한 파형결합부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전기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해 케이블의 노출된 케이블도체에 충분한 표면적을 제공할 수 있음을 익히 예견할 수 있는 것이다. 파형형상부의 측방연부는 경우에 따라 전단된 도체연부중에 대응세레이션부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납땜과 같은 전기접속을 위해 노출되는 표면적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다른 형태를 가지는 삽입부재도 사용될 수 있다. 평판부는 경우에 따라 하나가 아닌 2종단역을 가질 수도 있고, 별개의 부재일 수도 있다. 아울러, 전환어댑터의 1구현예는 단부분이 아닌 평면형케이블의 측연부에 대해 종단되어 진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제17도의 코넥터(610)는 평면형전력케이블(618)에 대해 종단된 1쌍의 터미널(616)을 내장시킨 하우징부재(612)와 케이블변형방지부재(614)를 갖추고 있다. 코넥터(620)는 코넥터(610)와 취합되며 또한 포스트부(624)를 갖추어서 인쇄회로판(도시하지 않았음)의 대응하는 도금형 관통공속에 삽입되게끔 하우징(626)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하는 것으로 도시된 1쌍의 터미널(622)를 내장하게끔 되어 있다. 터미널(622)역시 그의 전방단부에 코넥터(610 및 620)가 서로 취합될때, 터미널(616)의 전방단부에 있는 스플라인(630)과 취합되는 스프링아암접촉부(628)를 가지는 것을 보여준다. 하우징(612)은 취합면(634)과 연통하는 다수의 전방통로(632)를 포함하며 터미널(616)이 후방단부(636)로부터 하우징부재(612)에 삽입된후 각각의 통로속에는 스플라인(630)이 배치된다. 코넥터(620)의 하우징(626)은 대형공동부(638)를 포함하여서 그속에 스프링아암(628)이 배치되며, 대형공동부(638)은 취합시 코넥터(610)의 하우징(612)의 전방부(640)를 수취하게끔 되어 있으며, 스프링아암(628)은 통로(632)속에 수취되어서 각각의 스플라인(630)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612)은 그의 측면을 따라서 1쌍의 래치아암(642)을 가지는데, 이것은 서로 코넥터를 고착시키기 위해 하우징(626)의 1쌍의 대응걸림돌기부(644)에 걸려서 결합되어진다. 래치아암(642)은 후방물림부(646)를 가져서 코넥터의 분리시 돌기부(644)로부터 용이하게 풀려지도록 한다. 변형방지부재(614)는 측방연부(648)로부터 평면형케이블(618)을 가로질러 삽입되고 그다음 전방으로 이동하여서 후방단부(636)를 따라 하우징부재(612)에 확실하게 걸리도록 되어 있다. 변형방지부재(614)는 약간 떨어져서 이격된 일체적인 부분(654)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상, 하부 스트러트(650, 652)를 포함하여 케이블(618)이 최종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일체부(654)를 포함하는 측방단부(656)에서, 제1래치아암(658)은 대향걸림돌기부(660)쪽으로 연장한다. 측방단부(662)에는 1쌍의 제2래치아암(664)이 상, 하부 스트러트(650, 652)의 단부로부터, 코넥터하우징(612)에 걸리는 동안 단일래치아암으로써 협동하는 내향걸림돌기부(666)에까지 쭉 뻗어 있다. 하우징부재(612)는 후방단부(636)근처 및 외부표면(668)을 따라서 1쌍의 걸림리세스(670)를 포함하며, 이 리세스는 변형방지부재(614)가 하우징부재(612)에 고착된때 걸림돌기부(660, 666)를 수취한다.
하우징부재(612)에 대한 조립시, 케이블변형방지부재(614)는 상, 하부 스트러트(650, 652)의 양대향면(674, 676)사이에는 케이블출구가 한정된다. 변형방지부재(614)는 하우징부재(612)에 걸려있을때 상, 하부케이블 표면을 따르는 케이블(618)에 대하여 그리고 측방향케이블연부에 대하여 체결될 수 있는 치수 및 형상을 갖는다. 터미널(616)은 케이블 표면(684, 686)에 대해 즉각적으로 배치되는 각인형성식어댑터부재(678)를 포함하며, 아울러 어댑터부재(678)의 케이블원격면을 따라서 고정되는 것으로서 종단후 케이블도체의 전단연부와 기밀유지용의 전기적인 결합을 형성하는 고함량의 구리를 갖는 삽입부재(680)를 포함한다. 케이블(618)은 2개의 이격된 평면형도체를 가지며, 또한 이들 도체사이에 도체의 내부연부 및 절연성재질의 중간스트립을 폭좁게 제거하여, 터미널어댑터부재(678)의 만곡부쌍의 내부연부사이에 한정된 쌍을 이룬 터미널(616)의 케이블수취슬롯으로 삽입되는 태브형케이블부분을 창성시키는 축방향슬롯(682)을 만들기위해 케이블중심선을 따라서 절취하고, 이 축방향슬롯(682)은 태브형케이블부분이 각 어댑터부재(678)의 만곡부쌍사이에 거의 밀착하여 끼워지도록 한 선택적인 폭을 갖도록 한다. 가급적 태브형부분의 끼워맞춤은 케이블수취슬롯으로의 삽입시 정밀하게 꼭 끼이게 하여, 케이블종단을 위해 서로 어댑터부재의 평판부를 압착할 때, 각 쌍의 외부만곡부가 측방향연부의 케이블 절연물속으로 자연히 내향하여 파고 들어가고 내부만곡부는 약간 변형되어서 인접한 금속도체연부에 자연적으로 내향하여 뻗쳐진 다음 도체를 물게되어 종단후 케이블을 따라 터미널의 축방향이동에 대한 멈춤장치를 형성시킨다.
제18도 및 19도는 케이블(618)에 종단되고 하우징부재(612)의 각 공동부(688)속에 배치된 터미널(616), 및 하우징(626)속에 배치된 터미널(622)을 보여준다. 케이블변형방지부재(614)는 제위치에 걸려져서 케이블 출구를 한정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때 케이블(618)은 상, 하부 스트러트(650, 652)의 대향면(674, 676) 사이에 체결되고 터미널(616)의 어댑터부(678)의 만곡부(690)는 리세스(692)에 배치된다. 상, 하부 스트러트(650, 652)의 전방대향면(694)은 공동부(688)속에 터미널(616)을 고정시켜서 실질적인 축방향이동이 허용되지않는 방도의 멈춤장치를 제공한다. 코넥터(610 및 620)는 서로 취합되어 있으며, 하방으로 각도를 갖는 스플라인(630a) 및 상방으로 편향가능한 스프링접촉아암(628a)은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제20도 및 21도는 터미널(750, 752)이 이중 도체케이블(758)의 각 도체를 내포하는 각각의 케이블부분(754, 756)의 단부에 종단되는 대안적인 구성장치을 보여준다. 별개의 하우징부재(760)는 터미널을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부재(760)에는 별개의 케이블변형방지부재(762)가 걸려지게 된다. 도시한 구성은 케이블의 개별적인 도체에 의해 설정되는 동력로 및 귀환로를 형성시키기 위해 코넥터(764, 766)을 서로 이격시켜 놓은 것이다. 본 발명을 상기한 구현예로서 설명하였지만, 기타 많은 변형예들이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가능하리라 본다.

Claims (10)

  1. 평면형 도체 및 이 도체상에 얇은 절연성 피복물을 가지는 평면형 전기케이블에 대해 도체를 종단시켜서 이 도체를 전류송전용 어댑터의 접촉수단과 취합되는 접촉수단을 가지는 다른 전기제품에 전기접속시키는 전환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전환어댑터가 스프링특성을 가지면서 전송용으로 적합한 금속제의 몸체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재는 자신의 취합단부에 형성되는 접촉수단 및 케이블근접면과 적어도 하나의 종단역을 가지는 제1평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종단역은 다수의 전단부를 갖추어서 상기 제1평판부가 상기 각 전단연부를 둘러싸는 일체적인 형상으로 되며, 상기 각 종단역이 상기 제1평판부의 케이블근접면으로부터 외향하여 뻗은 적어도 하나의 파형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파형형상부는 상기 전단연부의 2평행 연부사이에 뻗어있는 마루부분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평판부가 상기 각 파형형상부로부터 대립된 릴리이프 리세스를 가지는 다이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의 일부분에 대해 상대적으로 압착될 때 상기 각 종단역은 다수의 위치에서 케이블의 절연피복물과 도체를 전단시키는 다수의 전단연부를 구성하게 되고, 각 파형형상부의 마루부분은 전단연부에 의해 전단된 케이블의 각 스트립을 다이수단의 각 릴리이프 리세스 속으로 편향시키며, 그런다음 상기스트립을 다이수단으로부터 제거할 때 전단된 케이블도체의 실질적인 길이가 케이블의 평면으로부터 유지되면서 전단된 연부가 전환어댑터에 전기접속될 수 있게끔 노출되어져서, 전환어댑터가 케이블에 대해 종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환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가 케이블 수취단부로부터 케이블의 일부분을 수취하는 1쌍의 대향된 제1 및 제2평판부를 포함하며, 이들 양 평판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평판부는 서로 대면하는 케이블-근접면 및 서로 외방으로 떨어져서 대면하는 케이블-원격면을 가지며, 상기 제1평판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종단역을 그리고 상기 제2평판부도 적어도 하나의 제2종단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종단역은 상기 케이블에 대한 종단이전에는 서로 대향하게끔 놓여지고 종단중에는 상호협동하며, 상기 각 종단역은 다수의 전단연부를 가지며, 상기 각 평판부는 상기 각 종단역을 둘러싸는 일체적인 형상으로 되며, 상기 제1 및 제2종단역은 각기 상기 각 평판부의 케이블-근접면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하는 1이상의 제1 및 제2파형형상부 및 그곁에 1이상의 제1 및 제2릴리이프 리세스로 구성되며, 상기 각 1이상의 제1 및 제2리세스는 상기 제2 및 제1파형형상부에 각각 대향하여 결합배치되며, 상기 각 제1 및 제2파형형상부는 상기 전단연부들이 서로 대향하여 정렬되어서 동일위치의 양측부로부터 상기 케이블을 전단시키는 종단중에 서로 협동할 수 있게끔 종단직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파형형상부에 정밀하게 인접하여지며, 그리고 상기 각 전단연부는 상기 대향하는 평판부에 형성되어 협동하는 상기 전단연부로부터 대향하여서 종단중 상기 케이블을 전단시키며, 그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종단역은 상기 제1 및 제2평판부가 그사이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부분에 대해 함께 강제되어서 다수의 위치에서 케이블의 도체와 절연피복물을 전단시킬 때 상호 협동하는 다수의 대향 전단연부로 구성되고, 다수의 파형 형상부는 상기 전단연부에 의해 전단된 케이블의 스트립을 다수의 릴리이프 리세스속으로 일체적으로 편향시키는 각각의 마루부를 가지며, 그런다음 상기 전단연부의 일부분은 케이블 도체의 상기 스트립의 전단연부의 일부분에 결합되고 타측전단연부는 서로 전기접속을 형성시킬 수 있게끔 노출되며, 이에 따라서 상기 전환어댑터가 케이블에 대해 종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어댑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 제1 및 제2평판부가 상기 몸체부재의 일체적인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어댑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 제1 및 제2평판부가 힌지에서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평판부사이에 배치된 상기 케이블을 종단하는동안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서로 압착되어지며, 또한 상기 제1 및 제2종단역의 상기 전단연부는 상기 힌지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어 종단중 상기 케이블을 상기 힌지에 대해 직각으로 전단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어댑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몸체부재의 케이블 수취단부에 배치되고 아울러 사이에 케이블 수취슬롯을 한정하기 위해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1쌍의 힌지부를 갖추고 있고 상기 슬롯은 평면형케이블의 일단부가 상기 평판부들 사이에 삽입배치되는 케이블두께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평판부들은 종단중 케이블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함께 회전됨으로써, 종단 후 힌지부가 어댑터에 가해진 토오크에 견디게 되고 종단부의 기계적 및 전기적 접속부도 보호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어댑터.
  6. 제2항 내지 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삽입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종단역에서 상기 제1 및 제2평판부 각각의 상기 케이블-원격면에 일치하는 형상으로 접하게 되는 표면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인접하는 평판부의 종단역의 각각의 파형형상부 및 릴리이프 리세스와 정렬결합되는 삽입파형형상부 및 삽입 릴리이프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각 삽입 파형형상부는 상기 인접하는 평판부의 종단역의 연부들과 정렬된 2평행측면사이에 펼쳐 있으며, 상기 측면 각각은 종단후 케이블도체의 전단된 연부와 인접하는 전기접속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어댑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들은 상기 평판부들과 이들 평판부 사이에 상기 케이블을 종단할 시 서로에 대해 상기 삽입부재를 고정시키는 일체적인 수단을 가지며, 그에 의해 종단부를 고정시켜 케이블과 확실한 기계적 결합을 형성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어댑터.
  8. 제5항에 있어서, 케이블은 1쌍의 도체부재로 구성되고, 또한 케이블은 일단부에서 1쌍의 이격된 태브형부분을 한정하는, 케이블 중심선을 따라서 절취된 축방향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각 태브형 부분은 상기 1쌍의 힌지부사이에 한정된 케이블 수취슬롯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대향하는 평판부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쌍을 이룬 도체의 각 도체가 상기 대향한 평판부들이 그 사이에 상기 태브형케이블부분을 넣은 상태로서 압착할때 상기 각각의 몸체부재에 대해 종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어댑터.
  9. 1이상의 평면형 도체부재와 그위에 얇은 절연피복물을 가지는 형식의 형면형전기케이블을 종단시키는 방법이, 제1 및 제2평판부에 적어도 하나씩의 제1 및 제2종단역을 가지며 이들 종단역에는 각기 상기 제1 및 제2평판부의 일체적인 부분들로써 둘러싸이는 다수의 전단연부를 갖추도록 하고, 상기 각 제1 및 제2종단역은 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파형형상부를 갖추고, 각각의 파형형상부는 1쌍의 상기 전단연부 사이에 마루부를 연장시키고, 상기 각 제1 및 제2종단역은 각각의 쌍을 이룬 연부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릴리이프 리세스를 연장시키고, 적어도 상기 제1 및 제2평판부의 하나는 그 상부에 전기제품의 대응하는 접촉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접촉수단을 형성시키며, 상기 제1 및 제2평판부는 상기 제1파형형상부가 상기 제2릴리이프 리세스 쪽으로 그리고 상기 제2파형형상부가 상기 제1릴리이프 리세스 쪽으로 뻗치게끔 대향하여 정렬시키고, 상기 릴리이프 리세스들은 종단중 상기 대향하는 파형형상부를 수취하는 형상으로 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및 제2종단역 각각의 전단연부를 서로 대향시켜 타측 종단역의 전단연부와 정렬되도록 하며, 상기 케이블의 선택된 연부부분을 상기 정렬된 제1 및 제2평판부사이에 배치시키며, 상기 파형형상부가 상기 케이블의 부분 및 상기 전단연부에 맞닿게 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종단역에 따른 다수의 위치에서 상기 얇은 절연피복물을 꿰뚫어서 상기 케이블 도체에 전단된 연부를 형성시킬 수 있게끔 케이블을 전단시킬때 까지, 상기 제1 및 제2평판부를 그들사이에 놓인 상기 케이블에 대하여 충분한 힘으로 강제압착시키므로써, 파형형상부의 전단연부가 상기 전단된 도체연부의 부분들과 맞물려서 상기 제1 및 제2평판부와 상기 케이블도체간에 기계적 결합 및 전기적 접속이 형성되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전기케이블의 종단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압착단계전에, 삽입부재를 평판부의 케이블-원격면에 부착시키고, 삽입부재에는 릴리이프 구멍을 형성시켜서 상기 강제 압착단계 후에 상기 평판부에 있는 대향하는 전단용 파형형상부와 인접한 호형 릴리이프 형상부를 따라서 전단된 도체스트립을 수취하도록하며, 릴리이프 리세스를 한정하는 평판부의 호형 릴리이프형상부를 축방향으로 분할시키고 또한 전단 및 평향된 도체스트립의 외방 대향면에 대하여 분할된 호형 릴리이프형상부의 자유단부를 안쪽으로 편향되게 하면서 삽입부재의 릴리이프 구멍속에 배치된 종단부의 파형결합부를 스테이킹시켜서 상기 전단파형형상부의 인접대향마루부 및 파형결합부중의 저장에너지에 대하여 도체스트립부분을 정위치에 결합, 유지될 수 있게끔 견고하면서도 유연한 구조물을 제공하며, 또한 각 삽입부재를 자신의 릴리이프구멍사이에 있는 각각의 위치에서 스테이킹시켜, 그의 케이블-원격면으로부터 릴리이프구멍속에 있는 전단, 편향된 도체연부의 상호인접연부를 향해 그리고 상호인접연부에 반하여 축방향으로 변형되도록하며, 전단된 도체연부와 삽입부재에 형성된 릴리이프구멍의 측면사이에 기밀형전기접촉부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전기케이블의 종단방법.
KR1019890006315A 1988-05-13 1989-05-11 평면형 전기케이블용 전환어댑터 및 그 케이블의 종단방법 KR940003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9345888A 1988-05-13 1988-05-13
US193,458 1988-05-13
US338,079 1989-04-14
US07/338,079 US4915650A (en) 1988-05-13 1989-04-14 Electrical terminals and method for terminating flat power cable
US339,079 1989-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291A KR900019291A (ko) 1990-12-24
KR940003483B1 true KR940003483B1 (ko) 1994-04-22

Family

ID=2688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6315A KR940003483B1 (ko) 1988-05-13 1989-05-11 평면형 전기케이블용 전환어댑터 및 그 케이블의 종단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342868B1 (ko)
JP (1) JPH061708B2 (ko)
KR (1) KR940003483B1 (ko)
DE (1) DE6891264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8918080T2 (de) * 1989-04-14 1995-03-16 Whitaker Corp Gehäuse in Kombination mit einem Verbinder eines flachen Starkstromkabels.
US4971571A (en) * 1990-03-15 1990-11-20 Amp Incorporated Self-locking pin field connector
KR19990069295A (ko) * 1998-02-06 1999-09-06 김혜기 가루 죽염치약
DE102012107298A1 (de) * 2012-08-09 2014-02-13 Endress + Hauser Flowtec Ag Aufsatzelement, Vorrichtung zur Anordnung in einem Messgerät und Messgerät
CN112572238B (zh) * 2021-01-15 2023-05-26 安徽华信电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车线轨除塑料袋防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1227A (en) * 1968-11-13 1970-11-17 Amp Inc Terminal for interconnecting foil conductor and wire conductor
US3706121A (en) * 1970-02-27 1972-12-19 Amp Inc Crimping dies for terminating foil conductor in a foil conductor termination and foil locator and holder therefor
US3754204A (en) * 1970-10-08 1973-08-21 E Raitport Terminals for electric circuit and apparatus
DE7239900U (de) * 1972-10-31 1973-03-15 Gillemot G Lötfreie Anschlußvorrichtung
GB1396000A (en) * 1972-11-29 1975-05-29 Amp Inc Electrical contacts for flat flexible cable
CA1195397A (en) * 1982-01-15 1985-10-15 Lawrence P. Weisenburger Termination and terminator for ribbon conductors
JPS61114665U (ko) * 1984-12-27 1986-07-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291A (ko) 1990-12-24
JPH0265079A (ja) 1990-03-05
JPH061708B2 (ja) 1994-01-05
DE68912643D1 (de) 1994-03-10
EP0342868B1 (en) 1994-01-26
DE68912643T2 (de) 1994-08-04
EP0342868A1 (en) 1989-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844B1 (ko) 판형 가요성 케이블커넥터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4859205A (en) Strain relief for flat cable termination
EP0352966B1 (en) Electrical contact member
JP3775557B2 (ja) コネクタ
EP0355947B1 (en) Electrical terminals for flat power cable
US7422468B2 (en) Electrical contact with stapled connection
US4867700A (en) Wave crimp for flat power cable termination
US4921442A (en) Housing for flat power cable connector
EP0654849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mid-cable termination
US4859204A (en) Method of staking a wave crimp for flat power cable termination
KR0183389B1 (ko) 케이블의 터미널 어셈블리
JPH04337262A (ja) 絶縁穿孔導電端子
US4312556A (en) Electrical connector
US4938713A (en) Electrical terminal for wave crimp termination of flat power cable
US4900264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interconnecting flat power cables
CA1240748A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KR940003483B1 (ko) 평면형 전기케이블용 전환어댑터 및 그 케이블의 종단방법
KR0141091B1 (ko) 평면형 전원 케이블의 상호접속 및 종단접속 방법 및 그 장치
EP1117153B1 (en) Protecting configuration for flat cables
US4975080A (en) Locking means for electrical interconnecting structures
EP0320310B1 (en) High contact pressure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for multi-strand wire
US4975081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interconnecting flat power cables
US5520549A (en) Connector apparatus, housing, and connecting element
JP2777671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相互接続デバイス
US4950180A (en) Electrical termination and method of terminating flat power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