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9291A - 평면형 전기케이블의 전기터미널 - Google Patents

평면형 전기케이블의 전기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9291A
KR900019291A KR1019890006315A KR890006315A KR900019291A KR 900019291 A KR900019291 A KR 900019291A KR 1019890006315 A KR1019890006315 A KR 1019890006315A KR 890006315 A KR890006315 A KR 890006315A KR 900019291 A KR900019291 A KR 900019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lat
shear
conductor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6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483B1 (ko
Inventor
레이몬드 크레인버어그 어얼
케빈 다리 죤
버어드 피릿츠 윌리엄
Original Assignee
제이 엘. 세이트칙
에이엠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338,079 external-priority patent/US4915650A/en
Application filed by 제이 엘. 세이트칙, 에이엠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이 엘. 세이트칙
Publication of KR900019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9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1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connecting unstripped conductors to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 cutting e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평면형 전기케이블의 전기터미널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환어댑터(transition adapter)를 이용한 평면형전기케이블용 전기코넥터의 예시도, 제2도는 제1도는 전환어댑터가 종단을 위해 케이블단부를 수취할 준비를 갖춘 상태의 등각투영도, 제3도는 삽입물들이 몸체부재로부터 분해된 어댑터의 등각투영도, 제4도는 자신의 평판부들이 서로 뒤로 굽혀지기전의 몸체부재의 평면도.

Claims (10)

  1. 평면형 도체 및 이 도체상에 얇은 절연성 피복물을 가지는 평면형 전기케이블에 대해 도체를 종단시켜서 이 도체를 전류송전용 어댑터의 접촉수단과 취합되는 접촉수단을 가지는 다른 전기제품에 전기 접속시키는 전환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전환어댑터가 스프링특성을 가지면서 전송용으로 적합한 금속제의 몸체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재는 자신의 취합단부에 형성되는 접촉수단 및 케이블근접면과 적어도 하나의 종단역을 가지는 제1평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종단역은 다수의 전단부를 갖추어서 상기 제1평판부가 상기 각 전단연부를 둘러싸는 일체적인 형상으로 되며, 상기 각 종단역이 상기 제1평판부의 케이블근접면으로부터 외향하여 뻗은 적어도 하나의 파형형상부를 포함하고, 사기 각 파형형상부는 상기 전단연부의 2평행 연부사이에 뻗어있는 마루부분을 포함하므로써, 상기 제1평판부가 상기 각 파형형상부로부터 대립된 릴리이프 리세스를 가지는 다이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의 일부분에 대해 상대적으로 압착될 때 상기 각 종단역은 다수의 위치에서 케이블의 절연 피복물과 도체를 전단시키는 다수의 전단연부를 구성하게 되고, 각 파형형상부의 마루부분은 전단연부에 의해 전단된 케이블의 각 스트립을 다이수단의 각 릴리이프 리세스 속으로 편향시키며, 그런 다음 상기 스트립을 다이수단으로 부터 제거할 때 전단된 케이블도체의 실질적인 길이가 케이블의 평면으로 부터 유지되면서 전단된 여부가 전환어댑터에 전기접속될 수 있게끔 노출되어져서, 전환어댑터가 케이블에 대해 종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이 몸체부재가 케이블 수취단부로부터 케이블의 일부분을 수취하는 1쌍의 대향된 제1 및 제2평판부를 포함하며, 이들 양 평판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평판부는 서로 대면하는 케이블-근접면 및 서로 외방으로 떨어져서 대면하는 케이블-원격면을 가지며, 상기 제1평판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종단역을 그리고 상기 제2평판부도 적어도 하나의 제2종단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종단역은 상기 케이블에 대한 종단이 전에는 서로 대향하게끔 놓여지고 종단중에는 상호협동하며, 상기 각 종단역은 다수의 전단연부를 가지며, 상기 각 평판부는 상기 각 종단역을 둘러싸는 일체적인 형상으로 되며, 상기 제1 및 제2종단역은 각기 상기 각 평판부의 케이블-근접면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하는 1이상의 제1 및 제2파형형상부 및 그 곁에 1이상의 제 및 제2리세스는 상기 제2 및 제1파형형상부에 각각 대향하여 결합배치되며, 상기 각 제1 및 제2파형형상부는 상기 전단연부들이 그 평행연부사이에 연장하는 마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형형상부는 상기 전단연부들이 서로 대향하여 정렬되어서 동일 위치의 양측부로부터 상기 케이블을 전단시키는 종단중에 서로 협동할 수 있게끔 종단직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파형형상부에 정밀하게 인접하여 지며, 그리고 상기 각 전단연부는 상기 대향하는 평판부에 형성되어 협동하는 상기 전단연부로부터 대향하여서 종단중 상기 케이블을 전단시키며, 그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종단역은 상기 제1 및 제2평판부가 그 사이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부분에 대해 함께 강제되어서 다수의 위치에서 케이블의 도체와 절연피복물을 전단시킬 때 상호 협동하는 다수의 대향 전단연부로 구성하고, 다수의 파형 형상부는 상기 전단연부에 의해 전단된 케이블의 스트립을 다수의 릴리이프 리세스속으로 입체적으로 편향시키는 각각의 마루부를 가지며, 그런다음 상기 전단연부의 일부분은 케이블 도체의 상기 스트립의 전단연부의 일부분에 결합되고 타측전단연부는 서로 전기접속을 형성시킬 수 있게끔 노출되며, 이에 따라서 상기 전환어댑터가 케이블에 대해 종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어댑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 제1 및 제2평판부가 상기 몸체부와 일체적인 부분을 이루는 것을 특징을 하는 전환어댑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 제1 및 제2평판북 힌지에서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평판부사이에 배치된 상기 케이블을 종단하는 동안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므로써 서로 압착되어지며, 또한 상기 제1 및 제2종단역의 상기 전단연부는 상기 힌지에 직각으로 전단시키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어댑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몸채부재의 케이블 수취단부에 배치되고 아울러 사이에 케이블 수취슬롯을 한정하기 위해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1쌍의 힌지부를 갖추고 있고 상기 슬롯은 평면형케이블의 일단부가 상기 평판부들 사이에 삽입 배치되는 케이블 두께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평판부들은 종단중 케이블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함께 회전되므로써, 종단 후 힌지부가 어댑터에 가해진 토오크에 견디게 되고 종단부의 기계적 및 전기적 접속부도 보호되어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전환어댑터.
  6. 제2항 내지 5항중 어느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삽입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종단역에서 상기 제1 및 제2평판부 각각의 상기 케이블-원격면에 일치하는 형상으로 접하게 되는 표면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인접하는 평판부의 종단역의 각각의 파형형상부 및 릴리이프 리세스와 정렬결합되는 삽입 파형형상부 및 삽입 릴리이프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각 삽입 파형형상부는 상기 인접하는 평판부의 종단역의 연부들과 정렬된 2평행측면 사이에 펼쳐 있으며, 상기 측면 각각은 종단후 케이블도체의 전단된 연부와 인접하는 전기접속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어댑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들은 상기 평판부들과 이들 평판부 사이에 상기 케이블을 종단할 시 서로에 대해 상기 삽입부재를 고정시키는 일체적인 수단을 가지며, 그에 의해 종단부를 고정시켜 케이블과 확실한 기계적 결합을 형성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어댑터.
  8. 제5항 내지 제6항중 어느항에 있어서, 케이블은 1쌍의 도체부재로 구성되고, 또한 케이블은 일단부에서 1쌍의 이격된 태브형부분을 한정하는, 케이블 중심선을 따라서 절취된 축방향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각 태브형 부분은 상기 1쌍의 힌지부사이에 한정된 케이블 수취슬롯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대향하는 평판부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쌍을 이룬 도체의 각 도체가 상기 대향한 평판부들이 그 사이에 상기 태브형케이블부분을 넣은 상태로서 압착할 때 상기 각각의 몸체부재에 대해 종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어댑터.
  9. 1이상의 평명형 도체부재와 그위에 얇은 절연피복물을 가지는 형식의 평면형전기케이블을 종단시키는 방법이, 제1 및 제2평판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종단역을 가지도록 하고 이들 종단역에는 각기 상기 제1 및 제2평판부의 일체적인 부분들로써 둘러싸이는 다수의 전단 연부를 갖추도록 하고, 상기 각 제1 및, 제2종단역은 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파형형상부를 갖추고, 각각의 파형형상부는 1쌍의 상기전단연부사이에 마루부를 연장시키고, 상기 각 제1 및 제2종단역은 각각의 쌍을 이룬 연부사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릴리이프 리세스를 연장시키고, 적어도 상기 제1 및 제2평판부의 하나는 그 상부에 전기제품의 대응하는 접촉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접촉수단을 형성시키며, 상기 제1 및 제2 평판부는 상기 제1파형형상부가 상기 제2릴리이프 리세스쪽으로 그리고 상기 제2파형형상부가 상기 제1릴리이프 리레스 쪽을 뻗치게끔 대향하여 정렬시키고, 상기 릴리이프 리세스들은 종단중 상기 대향하는 파형형상부를 수취하는 형상으로 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및 제2종단역 각각의 전단연부를 서로 대향시켜 타측 종단역의 전단연부와 정렬되도록 하며, 상기 케이블이 선택된 연부부분을 상기 정렬된 제1 및 제2 평판부사이에 배치시키며, 상기 파형형상부가 상기 케이블의 부분 및 상기 전단연부에 맞닿게 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종단역에 따른 다수의 위치에서 상기 얇은 절연 피복물을 뀀뚫어서 상기 케이블 도체에 전단된 연부를 형성시킬 수 있게끔 케이블을 전단시킬때까지, 사이 제1 및 제2평판부를 그들사이에 놓인 상기 케이블에 대하여 충분한 힘으로 강제압착시키므로써, 파형형상부의 전단연부가 상기 전단된 도체연부의 부분들과 맞물려서 상기 제1 및 제2평판부와 상기 케이블도체간에 기계적 결합 및 전기적 접속이 형성되어 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전기케이블의 종단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재촉단계전에, 삽입부재를 평판부의 케이블-원격면에 부착시키고, 삽입부재에는 릴리이프 구멍을 형성시켜서 상기 강제촉단계 후에 상기 평판부에 있는 대향하는 전단용 파형형상부와 인접한 호형 릴리이프 형상부를 따라서 전단된 도체스트립을 수취하도록 하며, 릴리이프 리세스를 한정하는 평판부의 호형 릴리이프 형상부를 축방향으로 분할시키고 또한 전단 및 편향된 도체스트립의 외방대향면에 대하여 분할된 호형 릴리이프 형상부의 자유단부를 안쪽으로 편향되게 하면서 삽입부재이 릴리이프 구멍속에 배치된 종단부의 파형결합부를 스테이킹시켜서 상기 전단파형형상부의 인접대향마루부 및 파형결합부중의 저장네너지에 대하여 도체스트립부분을 정위치에 결합, 유지될 수 있게끔 견고하면서도 유연한 구조물을 제공하며, 또한 각 삽입부재를 자신의 릴리이프 구멍사이에 있는 각각의 위치에서 스테이킹 시켜, 그의 케이블-원격면으로부터 릴리이프구멍속에 있는 전단, 편향된 도체연부의 상호인접연부를 향해 그리고 상호인접연부에 반하여 축방향으롤 변형되도록 하며, 전단된 도체연부와 삽입부재에 형성된 릴리이프구멍의 측면사이에 기밀형전기접촉부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전기케이블 종단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90006315A 1988-05-13 1989-05-11 평면형 전기케이블용 전환어댑터 및 그 케이블의 종단방법 KR940003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9345888A 1988-05-13 1988-05-13
US193,458 1988-05-13
US07/338,079 US4915650A (en) 1988-05-13 1989-04-14 Electrical terminals and method for terminating flat power cable
US338,079 1989-04-14
US339,079 1989-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291A true KR900019291A (ko) 1990-12-24
KR940003483B1 KR940003483B1 (ko) 1994-04-22

Family

ID=2688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6315A KR940003483B1 (ko) 1988-05-13 1989-05-11 평면형 전기케이블용 전환어댑터 및 그 케이블의 종단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342868B1 (ko)
JP (1) JPH061708B2 (ko)
KR (1) KR940003483B1 (ko)
DE (1) DE68912643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295A (ko) * 1998-02-06 1999-09-06 김혜기 가루 죽염치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2108B1 (en) * 1989-04-14 1994-09-07 The Whitaker Corporation Housing assembly in combination with a flat power cable connector
US4971571A (en) * 1990-03-15 1990-11-20 Amp Incorporated Self-locking pin field connector
DE102012107298A1 (de) * 2012-08-09 2014-02-13 Endress + Hauser Flowtec Ag Aufsatzelement, Vorrichtung zur Anordnung in einem Messgerät und Messgerät
CN112572238B (zh) * 2021-01-15 2023-05-26 安徽华信电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车线轨除塑料袋防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1227A (en) * 1968-11-13 1970-11-17 Amp Inc Terminal for interconnecting foil conductor and wire conductor
US3706121A (en) * 1970-02-27 1972-12-19 Amp Inc Crimping dies for terminating foil conductor in a foil conductor termination and foil locator and holder therefor
US3754204A (en) * 1970-10-08 1973-08-21 E Raitport Terminals for electric circuit and apparatus
DE7239900U (de) * 1972-10-31 1973-03-15 Gillemot G Lötfreie Anschlußvorrichtung
GB1396000A (en) * 1972-11-29 1975-05-29 Amp Inc Electrical contacts for flat flexible cable
CA1195397A (en) * 1982-01-15 1985-10-15 Lawrence P. Weisenburger Termination and terminator for ribbon conductors
JPS61114665U (ko) * 1984-12-27 1986-07-1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295A (ko) * 1998-02-06 1999-09-06 김혜기 가루 죽염치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42868B1 (en) 1994-01-26
JPH0265079A (ja) 1990-03-05
JPH061708B2 (ja) 1994-01-05
EP0342868A1 (en) 1989-11-23
DE68912643D1 (de) 1994-03-10
KR940003483B1 (ko) 1994-04-22
DE68912643T2 (de) 199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95381A (en) Crimpable connecting device for flat conductor cable
EP0572874B1 (en) Dual thickness blade type electrical terminal
US3189863A (en) Connector
KR100574844B1 (ko) 판형 가요성 케이블커넥터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4062615A (en) Electrical contact
US4317608A (en) Slotted pate terminal for stranded wire
US3553347A (en) Wire connectors
US4859205A (en) Strain relief for flat cable termination
EP0018382B1 (en) Electrical connector
US4288141A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KR940008900B1 (ko) 스테이플형 케이블 변형방지수단
US3675180A (en) Flat cable connector
KR0183389B1 (ko) 케이블의 터미널 어셈블리
US5450664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mid-cable termination
US4013332A (en) Electrical connector
JPS61148777A (ja) 絶縁・変位式端子
US4561714A (en) Contact assembly for ribbon cable
KR0141091B1 (ko) 평면형 전원 케이블의 상호접속 및 종단접속 방법 및 그 장치
US4975081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interconnecting flat power cables
KR900019291A (ko) 평면형 전기케이블의 전기터미널
US7347717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system
US4975080A (en) Locking means for electrical interconnecting structures
US4285561A (en) Transmission cable mass termination
EP0393927B1 (en) Method of interconnecting flat power cables
US4019800A (en) Uniplanar electrical cont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