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1821B1 - 전선 연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선 연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1821B1
KR100851821B1 KR1020060120409A KR20060120409A KR100851821B1 KR 100851821 B1 KR100851821 B1 KR 100851821B1 KR 1020060120409 A KR1020060120409 A KR 1020060120409A KR 20060120409 A KR20060120409 A KR 20060120409A KR 100851821 B1 KR100851821 B1 KR 100851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ap
copper plate
insulation cap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9896A (ko
Inventor
박득재
Original Assignee
박득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득재 filed Critical 박득재
Priority to KR1020060120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1821B1/ko
Publication of KR20080049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2End caps, i.e. of insulating or conductive material for covering 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wires entering the cap from the same e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f conductive member or for holding it in posi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 H02G15/043Cable-end sealings with end caps, e.g. sleeve closed at one end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의 접속이 용이하고 접속 공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전선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인 전선 연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 단부에는 전선이 유입되는 전선삽입홀이 형성되며, 타측 단부에는 개방되어 있어서 전선이 관통하는 내부 절연캡과; 상기 내부 절연캡의 타측 단부로 삽입되되 외측면이 상기 내부 절연캡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접속 동판과; 일측 단부는 폐쇄되되 접속나사못이 관통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개방되어 상기 개방된 단부를 통해 상기 내부 절연캡이 삽입되는 외부 절연캡과; 상기 외부 절연캡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통해 내부 절연캡 및 접속동판을 관통하는 도선들 사이로 진입하여 도설들을 방사상으로 밀어내므로 상기 도선들이 상기 접속 동판의 내측면에 압접되도록 하는 접속 나사못;으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선, 커넥터, 내/외부 절연캡, 접속 동판, 접속 나사못, 전선삽입홀, 가이드홀, 압접

Description

전선 연결 커넥터{WIRE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연결 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연결 커넥터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연결 커넥터의 시공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나사못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동판의 여러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연결 커넥터가 완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연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연결 커넥터에서 내부 연결캡과 외부 연결캡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연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다른 전선 연결 커넥터에서 내부 연결캡과 외부 연결캡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연결 커넥터에서 내부 연결캡과 외부 연결캡의 결합 상태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전선 연결 커넥터, 10: 내부 절연캡
20: 접속 동판, 30: 외부 절연캡
40: 접속 나사못
본 발명은 전선 연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선의 접속이 용이하고 접속 공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전선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인 전선 연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 전선을 연결하는 커넥터로서 스프링 방식의 전선 커넥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프링 방식의 전선 커넥터는 제품 내부에 스프링이 삽입되어 스프링 작용에 의해서 전선이 접속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압착기가 필요 없고 작업성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여러 가닥의 전선을 접속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전선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도선 간의 꼬여지는 길이를 너무 짧게 하여 단선이나 접속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도선 간의 꼬여지는 길이를 너무 길게 하여 충전부의 노출에 의해서 합선(合線) 및 누전(漏電), 누선(leak)의 가능성이 있다.
또한, 서로 꼬여지는 전선의 피복을 일정하게 벗기지 않으므로 단선 및 접촉 불량의 가능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와이어 커넥터를 완전히 조이지 않아서 커넥터가 이탈하고 그로 인해서 합선 및 누전의 가능성이 있다.
이에 더해서, 전선을 접속하기 위해서 피복을 벗겨내고 꼬는 과정에서 전선 의 손실이 발생하고, 작업자의 손에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다른 방식으로서 꽂음형 커넥터가 있는데 이 또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가격이 스프링 방식의 커넥터 보다도 월등하게 높으며, 단지 철편의 누르는 힘 만으로 접촉하게 되어 접촉 불량의 우려가 크다. 또한, 기계적인 인장력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들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 및 보완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전선의 접속시에 접촉면을 증가시켜서 전기 저항을 감소시키므로 우수한 통전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강한 결속력으로 물리적인 외력에도 쉽게 전선이 이탈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넥터 내의 결선 부위를 축소시켜서 접속 공간을 최소화하고 전선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선 후에 외부 절연캡의 접속 나사못 구멍을 이용하여 선로확인 및 전압의 테스트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연결 커넥터는;
일측 단부에는 전선이 유입되는 전선삽입홀이 형성되며, 타측 단부에는 개방되어 있어서 전선이 관통하는 내부 절연캡과; 상기 내부 절연캡의 타측 단부로 삽입되되 외측면이 상기 내부 절연캡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접속 동판과; 일측 단부는 폐쇄되되 접속나사못이 관통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개방되어 상기 개방된 단부를 통해 상기 내부 절연캡이 삽입되는 외부 절연캡과; 상기 외부 절연캡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통해 내부 절연캡 및 접속동판을 관통하는 도선들 사이로 진입하여 도설들을 방사상으로 밀어내므로 상기 도선들이 상기 접속 동판의 내측면에 압접되도록 하는 접속 나사못;으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절연캡의 외측에는 일정 깊이의 이탈방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 절연캡의 내측에는 상기 이탈방지홈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절연캡의 외측에는 일정 개수의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 절연캡의 내측에는 내부 및 외부 절연캡이 결합될 때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이탈방지홀이 형성되어, 양 부재를 일정 결합력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절연캡의 외측에는 일정 개수의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 절연캡의 내측에는 내부 및 외부 절연캡이 결합될 때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이탈방지홈이 형성되어, 양 부재를 일정 결합력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절연캡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내부 절연캡이 외부 절연캡의 내부로 삽입될 때 삽입 깊이를 일정 깊이로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턱과 외부 절연캡이 접촉하는 부분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내부 및 외부 절연캡이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절연캡의 내부는 상기 내부 절연캡이 삽입되어 정지되는 제1 공간과, 상기 제1 공간과 외부 절연캡의 일측 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절연캡 및 접속 동판을 관통하여 돌출된 전선들이 노출되는 제2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 동판은 내부에 삽입되는 전선수와 일치하는 다각형 형상을 갖으며, 접속 동판의 내측면에는 각 도선의 직경과 일치하는 반원 형상이 전선수와 일치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 나사못의 재질은 전선 재질보다 경도가 높은 철(F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 나사못의 머리가 나사 몸체와 이루는 각도는 10도 내지 20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 예는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발명을 이러한 실시 예로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연결 커넥터(100)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끝단에서 바라본 전선 연결 커넥터(10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의 (b)는 전선이 유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전선 연결 커넥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내부 절연캡(10)의 폐쇄된 일측 끝단에는 다수개의 전선삽입홀(13)이 천공되어 있으며 타측 끝단은 개방된 터널 형상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내부 절연캡(10)의 일측 끝단에는 이 내부 절연캡(10)이 외부 절연캡(30)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외부 절연캡(30)이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게 하는 걸림턱(11)이 돌출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상기 내부 절연캡(10)의 외표면 중간에는 이탈방지홈(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이탈방지홈(12)은 내부 절연캡(10)이 외부 절연캡(30)에 삽입될 때 외부 절연캡(30)의 내측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31)와 결합되어 내부 절연캡(10)과 외부 절연캡(30)이 일정 강도로 결합되고, 일단 결합된 후에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쉽게 결합이 해제되지 않게 된다.
상기한 내부 절연캡(10)에 형성된 전선삽입홀(13)의 개수는 커넥터의 용도에 따라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이 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4개의 전선삽입홀을 갖는다. 이 전선삽입홀을 통해서 내부 절연캡(10)의 안쪽으로 도선(50)이 관통하여 들 어가게 된다.
상기 접속 동판(20)은 내부 절연캡(10)의 내측으로 삽입가능한 규격으로 형성된다. 즉, 접속 동판(20)은 내부 절연캡(10)의 내측에 밀착되도록 내부 절연캡(10)의 형상과 같거나 거의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접속 동판(20) 역시 내부가 비어 있어서 내부 절연캡(10)의 전선삽입홀(13)을 통해서 유입된 도선(50)이 접속 동판(20)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접속 동판(20)이 그 내부에 삽입된 내부 절연캡(10)의 외측에는 외부 절연캡(30)이 씌워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 외부 절연캡(30)은 그 내측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31)가 내부 절연캡(10)의 외측에 형성된 이탈방지홈(12)과 결합되어 일정 강도로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외부 절연캡(30)의 일측 단부는 폐쇄되어 있지만, 그 일측 단부의 중앙에 밀폐식 가이드홀(3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이 가이드홀(32)은 평소에는 밀폐되어 있어서 외부 절연캡(30)의 내외부로 이물질 등이 출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있지만, 접속 나사못(40)이 관통할 때는 개방된다.
상기 외부 절연캡(30)의 타측 단부는 개방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터널 형상을 갖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접속 나사못(40)은 외부 절연캡(30)에 형성된 밀폐식 가이드홀(32)을 관통하여 외부 절연캡(30) 내부로 진입하며, 계속해서 접속 동판 내측에 유입된 전선들 사이로 진입하여 상기 전선들을 접속 동판(20)의 내벽으로 압박하여 전선들을 동판 내의 일정 위치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각 도선(50)들을 전기 적으로 접속시키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연결 커넥터(100)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면의 상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연결 커넥터(100)에서 상호 접속될 전선들이 끝단 일부의 피복이 벗겨진 채 도시되어 있다. 이 전선들은 내부 절연캡(10)에 형성된 전선삽입홀(13)에 삽입되어 내부 절연캡(10)을 관통하게 된다.
한편, 내부 절연캡(10) 내측에는 걸림턱(14)이 형성되어 접속 동판(20)이 내부 절연캡(10) 내부로 삽입될 때 이 걸림턱(14)에 걸려서 더 이상 내부 절연캡(10)의 내측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위치가 고정되게 한다.
상기 외부 절연캡(30) 내부는 두 개의 공간(A, B)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내부 절연캡(1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공간(A)과, 외부 절연캡(30) 및 접속 동판(20)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나온 전선(5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B)으로 이루어진다.
이 공간(B)는 외부 절연캡(3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일측 단부에는 접속 나사못(40)이 관통되는 밀폐식 가이드홀(32)이 형성되어 있어서 접속 나사못(40)이 밀폐식 가이드홀(32)을 통과해서 진입할 때 전선들 사이로 진입하여 전선들이 외측의 접속 동판(20)의 내벽에 압착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연결 커넥터의 시공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선 연결 커넥터의 각 부품들이 연결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전선 연결 커넥터(100)의 최 외곽에는 외부 절연 캡(30)이 배치된다. 그 내측에는 내부 절연캡(10)이 배치되며, 계속 해서 그 내측에는 접속 동판(20)이 배치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한편, 그 접속 동판(20)의 내측에는 도선(50)이 내측면에 접속 동판(2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밀착되어 배치되며, 내부 절연캡(20)의 중심, 즉, 방사상으로 배치된 도선(50)들의 중앙에는 접속 나사못(4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접속 나사못(40)은 밀폐식 가이드홀(32)을 관통하여 도선(50)들 사이로 진입하면서 도선(50)들을 방사 방향으로 밀어내어 접속 동판(20)의 내측면과 압착되게 한다.
한편, 도선(50) 및 접속 동판(20)은 재질이 동(Cu)을 비롯하여 동을 포함하는 합금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될 수 있으며, 접속 나사못(40)은 접속동판(20)에 비해서 재질의 경도가 높은 철(Fe)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 나사못(40)이 도선(50)들 사이로 진입할 때, 도선(50)이 방사상으로 벌어지다가 접속 동판(20)에 접하여 더 이상 벌어지지 않게 되면, 도선(50) 및 접속 동판(20)의 접촉면에 어느 정도의 변형이 생기면서 밀착되게 되는 한편, 접속 나사못(40)이 도선(50)들 및 접속 동판(20)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도선(50)들 사이로 침투하게 된다. 이로 인해서, 접속 나사못(40)과 도선(50)들 및 접속 동판(20) 사이에는 보다 강한 접속이 일어나게 된다.
도 3에는 접속 나사못(40)이 도선(50)들 사이를 진입하면서 나사산을 형성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연결 커넥터에 사용되는 접속 나사못(40)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접속 나사못(40)은 대체로 원통형이며 전방에는 뾰족한 형상을 하여 초기 진입이 유리하게 되어있다. 나사의 원통 주변에는 나사산(41)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에는 드라이버 등을 사용하여 접속 나사못(40)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나사 머리(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산(41)은 바람직하게는 약 0.5mm 이상으로 나사 머리의 각(a)는 일반적인 나사에서는 다양한 각도를 이루고 있는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약 10° 내지 20°정도를 유지한다. 이는 본 발명의 접속 나사못(40)의 머리가 일반적인 나사못의 용도에 더해서 그 외측에 배치되는 전선을 방사상으로 벌려서 접속 동판(20)과 엇각을 갖도록 하여 전선이 접속 동판(20)에서 이탈하여 접속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도선(50)의 재질이 동(Cu)으로 이루어지므로 접속 나사못(40)의 재질은 동보다는 경도가 높은 철(Fe)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동판(20)의 여러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접속 동판(20)의 형상은 도선 연결 커넥터의 용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즉, 만일 연결하고자 하는 도선(50)의 수가 4가닥일 때에는 도 5의 (a), (b) 또는 (f)와 같은 형상의 접속 동판(20)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연결하고자 하는 도선(50)의 수가 3가닥일 때에는 도 5의 (c)와 같은 접속 동판(20)을 사용할 수 있다. 연결하고자 하는 도선(50)의 수가 5가닥을 넘어갈 때에는 도 5의 (d) 또는 (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연결하고자 하는 도선(50)의 수가 몇 개가 되든, 도선(50)과 접 속 동판(20)과의 접촉 면적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 접속 동판(20) 내측에 도선(50)이 접하게 되는 곳은 도선(50)의 형상을 따라서 도선(50)의 반원 형상을 갖도록 하였다.
접속 동판(20)의 형상은 외부 및 내부 절연캡의 형상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접속 동판(20)이 삼각형으로서 세 개의 전선을 접속시키고자 하면, 외부 및 내부 절연캡도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접속 동판(20)이 어떤 형상을 가져도 외부 및 내부 절연캡은 사각형상을 유지해도 무방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연결 커넥터가 완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부 도면은 전선 연결 커넥터에 유입된 도선(50)이 연결되기 전의 상태이며, 중앙 도면은 접속 나사못(40)이 외부 절연캡(30)의 가이드홀로 진입하여 도선(50)을 연결시키는 상태이며, 하부 도면은 접속 나사못(40)이 도선(50)들 사이로 진입하여 도선(50)들을 접속 동판(20)의 내측벽에 밀착시켜서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구적으로 접속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상부 도면에서는, 도선(50)이 내부 절연캡의 각각의 가이드홀로 유입되어 내부 절연캡 및 접속 동판(20) 내부를 관통한 채로, 외부 절연캡(30)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내부 절연캡 및 접속 동판(20)을 통과한 도선(50)은 외부 절연캡(30)의 공간(B)으로 돌출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중앙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외부 절연캡(30)의 가이드홀을 통해서 접속 나 사못(40)이 그 내부 서서히 진입하여 공간(B)에서 도선(50)들을 접하게 된다. 접속 나사못(40)은 도선(50)들 사이로 진입하면서 결국 접속 동판(20) 내부에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때, 접속 나사못(40)은 도선(50)을 방사상으로 벌리면서 진입하여 접속 동판(20) 내부의 도선(50)을 접속 동판(20)의 내측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한편, 도선(50) 재질과 접속 나사못(40) 재질 사이의 경도차로 인해서 접속 나사못(40)의 나사산이 도선(50) 및 접속 동판(20)을 파고들어서 도선(50)과 접속 동판(20)에 함께 나사산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접속 나사못(40)의 진입으로 도선(50)이 접속 동판(20)의 내측벽에 밀착되는 것과 동시에, 접속 나사못(40)과 도선(50) 및 접속 동판(20) 사이의 나사산으로 결합되므로 도선(50)들은 기구적으로 보다 강력하게 결속시켜 접속된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접속 나사못(40)의 머리가 예각(예를 들면, 약 10도 내지 20도)을 가져도, 접속 나사못(40)이 도선(50)들 사이에 충분히 진입하게 되면 접속 동판(20) 외부로 돌출된 도선(50)은 접속 나사못(40)의 머리에 의해서 방사상으로 굴절된다. 따라서, 이 도선(50)들은 접속 동판(20)의 끝단 외측으로 굴절되어 도선(50)이 접속 동판(2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결국 도선(50)들간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연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연결 커넥터에서 내부 연결캡과 외부 연결캡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연결 커넥터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연 결 커넥터와 구조면에서 기본적으로는 동일하다. 즉, 도 7의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연결 커넥터 역시, 외부 절연캡(10'), 접속 동판(20'), 외측 절연캡(30') 및 접속 나사못(40')으로 이루어진다.
도 7의 실시 예가 도 1의 실시 예와 차별화되는 것은, 외측 절연캡과 내측 절연캡의 접속 방법이다. 말하자면, 도 1의 실시 예에서는, 내측 절연캡의 외표면에 이탈방지돌기(12)가 형성되며, 외측 절연캡의 내측 표면에 이탈방지홈(31)이 형성되어 있어서, 내측 및 외측 절연캡이 삽입되어 결합될 때, 이 이탈방지돌기와 이탈방지홈이 결합되어 어느 정도의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반면에, 도 7의 실시 예에서는, 이탈방지돌기 및 이탈방지홈을 형성하는 대신에, 양 절연캡을 삽입하여 결합시킨 후 일부 접촉면을 접착재로서 접착시켜서 고정시키도록 하였다.
도 8을 참조해 보면, 확대된 부분은 전술된 바와같이 내부 절연캡(10')과 외부 절연캡(30')이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이 부분에 접착재(15')를 도포하여 양 절연캡을 강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즉, 내부 절연캡(10')이 외부 절연캡(30')에 삽입 결합될 때 일정 위치까지만 삽입되도록 하는 걸림턱 부분에 접착제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므로, 도 1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내부 절연캡과 외부 절연캡에 이탈방지돌기 및 이탈방지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내/외부 절연캡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내부 절연캡과 외부 절연캡을 제조할 때, 이탈방지돌기 및 홈을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전체 공정수가 줄어들게 되므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의 실시 예에 비해서 내부 절연캡과 외부 절연캡 사이의 결합력이 현저하게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선 연결 커넥터를 사용하는 중에 내부 절연캡과 외부 절연캡이 결합 해제되어 전선의 접속에 이상이 생기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연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다른 전선 연결 커넥터에서 내부 연결캡과 외부 연결캡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실시 예 역시, 도 1 및 도 7의 실시 예와 구조면에서는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즉, 도 9의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연결 커넥터 역시, 외부 절연캡(10"), 접속 동판(20"), 외측 절연캡(30") 및 접속 나사못(40")으로 이루어진다. 도 9의 실시 예가 도 1 및 도 7의 실시 예와 차별화되는 것은, 외측 절연캡과 내측 절연캡의 접속 방법이다.
말하자면, 도 1의 실시 예의 경우, 내부 절연캡의 외표면을 돌아가면서 형성된 이탈방지돌기와, 외부 절연캡의 내표면을 돌아가면서 형성된 이탈방지홈이 결합되어 내부 및 외부 절연캡의 삽입 결합될 때, 일정한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도 9의 실시 예의 경우에는, 내부 절연캡 중에서 외부 절연캡의 내부로 삽입되어 외부 절연캡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일정 부분에 소정 크기의 이탈방지돌기(12")를 형성하였다.
또한, 외부 절연캡의 내측면에는 이 이탈방지돌기(12")가 결합되는 이탈방지 홀(31")을 형성하여, 내부 및 외부 절연캡이 삽입 결합될 때 이탈방지돌기(12")가 이탈방지홀(31")에 결합되어 양 절연캡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도 9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도 1에 따른 실시 예에 비해서 이탈방지돌기 및 이탈방지홀을 형성하는 것이 훨씬 수월하여 생산성이 유리하며, 이탈방지홀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양 절연캡이 삽입 결합될 때, 이탈방지돌기 및 이탈방지홀의 결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9의 실시 예를 도 7의 실시 예와 비교해 보면, 도 7의 실시 예의 경우에 내부 및 외부 절연캡이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 결합될 때 결합력은 양호하나, 양 절연캡의 결합을 해제할 때 곤란할 수 있다. 즉, 접착제에 의해 과도한 결합력으로 인해서 양 절연캡의 결합을 해제하고자 할 때, 파손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7의 실시 예에 따른 도선(50) 접속 커넥터는 반영구적으로 재생 없이 사용한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도 9의 실시 예의 경우에는 양호한 결합력을 얻는 동시에 양 절연체를 손쉽게 결합 해제하여 전선 접속의 유지 보수가 편리하게 된다.
도 11은 도 9의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연결 커넥터에서 내부 연결캡과 외부 연결캡의 결합 상태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9의 실시 예에서는, 내부 절연캡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12")가 이탈방지홀(31")에 결합되어 양 절연캡이 결합 유지되도록 하였으나, 도 11의 실 시 예에서는, 이탈방지홀(31") 대신에 이탈방지홈(32")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내부 및 외부 절연캡이 결합될 때 이탈방지돌기 및 홈의 결 합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결선 부위를 최소화하여 상당 길이의 전선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라서 전선을 접속하기 위해서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는 길이는 약 7mm 내지 8mm 정도이다.
또한, 전선들을 접속하기 위해서 각 전선에서 필요한 길이는 6cm 내지 7cm 정도이다. 이를 통상의 스프링형 와이어 커넥터의 경우와 비교하면, 스프링형 와이어 커넥터에서는 전선이 결선되는 부분보다 더 길게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고 전선들을 비틀어서 결선하게 된다. 그 후 전선의 길이를 맞추어서 잘라내야 하므로 필요한 부분보다 2 내지 3cm 정도 길게 전선을 피복을 벗겨내야 한다.
또한,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고 비틀어서 조이기 위해서 실제의 접속에 필요한 피복을 벗겨낸 부분 이외에도 피복 부분을 약 5cm 정도 더 길게 꼬아야 한다. 따라서 결선에 필요한 길이는 최소한 15cm 정도를 남겨 놓아야 한다. 이를 계산해 보면, 2방출 콘센트 1개소의 결선 부분에 보통 접지를 포함한 가닥 수가 6가닥이며 기구에 접속하기 위해서 연결되는 리드선 3가닥을 포함하면 9가닥이 된다. 이것을 1가닥에 5cm 만으로 계산해도 무려 45cm이며, 이는 32평형 아파트를 기준으로 볼 때 결선이 필요하지 않은 말단 부위를 제외하더라도 약 20개소 정도가 된다.
그러므로 한 세대당 약 9m 정도의 전선을 절약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오며, 이와는 별도로 전등의 결선에서 많은 양의 전선이 절약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외부 절연캡을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게 되면, 도선(50)을 결선한 후에도 결선 부위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상이 생길 때에는 즉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외부 절연캡의 투명여부와 관계없이 외부 절연캡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통해서 선로를 확인하고 전압을 테스트하는 등 사후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서 본 발명의 방식에 의해서 연선의 연결이 용이하고 연선과 단선의 접속도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들이 예시 및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여러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으며,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 있는 한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전선의 접속시에 접촉면을 증가시켜서 전기 저항을 감소시키게 되고, 따라서 우수한 통전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넥터 내의 결선 부위를 축소시켜서 접속 공간을 최소화하고 전선을 절약할 수 있으며, 결선 후에 외부 절연캡의 접속 나사못 가이드홀을 이용하여 선로확인 및 전압의 테스트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나사못이 쐐기가 박혀 있는 것처럼 강하게 삽입 고정되어 도선(50)들과 접속 동판이 함께 견고하게 나사결합되므로 강한 결속력으로 인하여 물리적인 외력이 가해져도 전선접속부분이 컨넥터 내부에서 이탈 분리되지 않아 제품에 대한 안전성 및 내구성, 신뢰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일측 단부에는 전선이 유입되는 전선삽입홀이 형성되며, 타측 단부에는 개방되어 있어서 전선이 관통하는 내부 절연캡과;
    상기 내부 절연캡의 타측 단부로 삽입되되 외측면이 상기 내부 절연캡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접속 동판과;
    일측 단부는 폐쇄되되 접속나사못이 관통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개방되어 상기 개방된 단부를 통해 상기 내부 절연캡이 삽입되는 외부 절연캡과;
    상기 외부 절연캡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통해 내부 절연캡 및 접속동판을 관통하는 도선들 사이로 진입하여 도설들을 방사상으로 밀어내므로 상기 도선들이 상기 접속 동판의 내측면에 압접되도록 하는 접속 나사못;으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절연캡의 외측에는 일정 깊이의 이탈방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 절연캡의 내측에는 상기 이탈방지홈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절연캡의 외측에는 일정 개수의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 절연캡의 내측에는 내부 및 외부 절연캡이 결합될 때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이탈방지홀이 형성되어, 양 부재를 일정 결합력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절연캡의 외측에는 일정 개수의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 절연캡의 내측에는 내부 및 외부 절연캡이 결합될 때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이탈방지홈이 형성되어, 양 부재를 일정 결합력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절연캡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내부 절연캡이 외부 절연캡의 내부 로 삽입될 때 삽입 깊이를 일정 깊이로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과 외부 절연캡이 접촉하는 부분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내부 및 외부 절연캡이 접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 커넥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절연캡의 내부는 상기 내부 절연캡이 삽입되어 정지되는 제1공간과, 상기 제1공간과 외부 절연캡의 일측 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절연캡 및 접속 동판을 관통하여 돌출된 전선들이 노출되는 제2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 커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동판은 내부에 삽입되는 전선수와 일치하는 다각형 형상을 갖으며, 접속동판의 내측면에는 각 도선의 직경과 일치하는 반원 형상이 전선수와 일츠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 커넥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나사못의 재질은 전선재질보다 경도가 높은 철(F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 커넥터.
  10. 제 1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나사못의 머리가 나사 몸체와 이루는 각도는 10° 내지 20° 사이의 경사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 커넥터.
KR1020060120409A 2006-12-01 2006-12-01 전선 연결 커넥터 KR100851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409A KR100851821B1 (ko) 2006-12-01 2006-12-01 전선 연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409A KR100851821B1 (ko) 2006-12-01 2006-12-01 전선 연결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896A KR20080049896A (ko) 2008-06-05
KR100851821B1 true KR100851821B1 (ko) 2008-08-13

Family

ID=39805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409A KR100851821B1 (ko) 2006-12-01 2006-12-01 전선 연결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18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75147A (zh) * 2015-11-27 2016-03-02 高佳 一种金属丝对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803U (ko) * 1996-07-12 1998-04-30 양재신 전선용 컨넥터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803U (ko) * 1996-07-12 1998-04-30 양재신 전선용 컨넥터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75147A (zh) * 2015-11-27 2016-03-02 高佳 一种金属丝对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896A (ko)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446B1 (ko) 접속부재
TWI676326B (zh) 壓合焊接連接方法
JP3808104B2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US9515423B2 (en) Tapered ground strap shield connector
JP5008191B2 (ja) 電気接続装置、電線、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構造、及び電気接続装置の製造方法
US7744395B1 (en) Quick-disconnect waterproof connector
JP2017526147A (ja) 圧着端子
US4181394A (en) Cord attachment plug
US20090017660A1 (en) Water Resistant Push-In Connector
US7416434B2 (en) IDC splice connector
KR20200070279A (ko) 전도체 엘리먼트들 사이의 연결성 향상
KR100851821B1 (ko) 전선 연결 커넥터
KR20100007644U (ko) 케이블 접속장치 및 케이블 접속장치 조립체
CN112803345A (zh) 一种多股电线组的并线结构
KR101482583B1 (ko)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연결 구조 및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 연결 방법
US687504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wisted pair strain relief
KR101738831B1 (ko) 전기 접촉 요소
US7699645B1 (en) Connector for multistranded insulated conductor cable
CN209963293U (zh) 一种绝缘分支线夹及其分支线连接器
KR101164387B1 (ko) 분기선의 케이블 접속장치
KR20110007687U (ko) 케이블 분기장치
KR101103797B1 (ko) 전기접속 단자대
US11189950B2 (en) Plug connector with a conductive rubber element
JP3857958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
CN104638385A (zh) 一种路灯用铝合金电缆分支连接组件及其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