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831B1 - 전기 접촉 요소 - Google Patents

전기 접촉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831B1
KR101738831B1 KR1020167003180A KR20167003180A KR101738831B1 KR 101738831 B1 KR101738831 B1 KR 101738831B1 KR 1020167003180 A KR1020167003180 A KR 1020167003180A KR 20167003180 A KR20167003180 A KR 20167003180A KR 101738831 B1 KR101738831 B1 KR 101738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tact
contact element
connecting sleeve
segments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0544A (ko
Inventor
니콜레 슈필커
슈테판 가르스케
마틴 슈미트
치아후 왕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filed Critical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Publication of KR20160030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0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 H01R4/20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having an uneven wire-receiving surface to improve th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연선 도체(20)의 접촉을 위한 전기 접촉 요소(1)에 관한 것이며, 전기 접촉 요소는 연결 측(3)과 플러그 측(2)을 포함한다. 전기 연선 도체(20)의 더 향상된 전기 접촉을 위해, 연결 측(3)을 형성하는 연결 슬리브(4) 내에 접합 요소(10)가 제공된다. 접합 요소(10)는, 도체(20)의 개별 연선들을 펼치고, 개별 연선들의 가능한 한 큰 표면을 접촉시키며, 압착 또는 압축 공정 동안 연선들의 표면을 파괴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은, 개별 연선들의 표면이면서 접촉에 부적합하고 전도성이 좋지 않은 표면이 관통되게 하는, 연선 도체들(20)의 확실한 전기 접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 접촉 요소{ELECTRICAL CONTACT ELEMENT}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르는 전기 접촉 요소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형의 접촉 요소들은, 2개의 전기 도체 사이에 전기 전도성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하다. 통상적인 방식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접촉 요소가 통합된 방식으로 절연체 내에 수용되고 그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를 형성한다.
이 경우, 전기 접촉 요소들의 임무는 한편으로 상대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요소에 대한 연결을 형성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유형의 전기 접촉 요소들의 플러그 측은 핀 또는 소켓 접촉부로서 형성된다. 각각 하나의 소켓 접촉부는 하나의 핀 접촉부와 서로 끼워지고 그에 따라 전기 연결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유형의 전기 접촉 요소는 전기 도체에 대한 연결을 형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전기 접촉 요소는 연결 측을 포함한다. 연결 측의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에 다수의 해결책들이 존재한다.
DE 1 164 532 A는 플러그 측과 연결 측을 갖는 전기 플러그 장치를 위한 가역식 접촉 요소를 개시하고 있다. 이 경우, 연결 측은 단순한 납땜 러그(soldering lug)로서 형성된다. 연결 링크로서 형성된 납땜 러그 상에는 접촉할 전기 도체가 납땜될 수 있다.
DE 1 135 072 B로부터는, 플러그 연결의 형성을 목적으로 자신의 상대 접촉 요소와 90°의 각도 하에 서로 결합되는 전기 플러그 장치를 위한 평면 접촉 요소(flat contact element)가 공지되어 있다. 박판 벤딩 부품으로서 형성된 접촉 요소는 자신의 연결 측 상에 복수의 박판 연결 링크를 포함하며, 이들 박판 연결 링크는 연결될 전기 도체를 압착하기 위해 제공된다.
DE 1 992 567 U1은 중실 재료로 이루어지고 플러그 핀 또는 플러그 소켓을 구비한 접촉 요소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런 접촉 요소는 일체형으로 제조된 절연 하우징의 챔버들 내에서 쉽게 재분리될 수 있는 래칭(latching) 방식으로 잠금 고정되는 고정에 적합하다. 이 경우, 접촉 요소는, 접촉 요소의 연결 측 상에, 연결된 라인과의 압축 연결(Crimp connection)을 위해 제공되는 라인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압축 커넥터들(crimp connector)은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 확인되었다. 접촉 요소의 연결 측은 특히 간단하면서도 저비용으로 제조되며, 이와 동시에 상응하는 압축 공구와의 접촉은 언제나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특히 DE 1 164 532 A에서 최초에 기재한 것과 같은 납땜된 연결에 비해, 접촉 요소들 상에 도체의 조립 및 연결과 관련한 유연성에서 특별한 장점을 제공한다.
종래 기술에서 납땜 연결들에 대한 공지된 대안 해결책들의 단점은, 상기 해결책들이 알루미늄 도체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알루미늄은 공기 중에서 즉시 산화한다. 알루미늄 상에서 산화 동안 형성되는 산화 층은 전기 전도성을 방해한다.
그 결과,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전기 도체의 접촉은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연결 가능성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압축 연결을 통해, 전기 도체는 압착되고 전기 도체와 전기 접촉부의 연결 측 사이의 산화 층은 압입된다.
특히, 다수의 미세 연선(fine strand)으로 구성되는 알루미늄 도체들의 접촉 시, 우수한 전기 접촉은 개별 연선들 상의 많은 산화 층으로 인해 더 이상 보장될 수 없다.
본 발명의 과제는, 알루미늄 도체들의 확실한 전기 전도성 접촉이 보장될 수 있도록 전기 접촉 요소를 형성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의 특징들을 통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기 도체의 접촉 및 전기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전기 접촉 요소에 관한 것이다. 적합하게 전기 접촉 요소는 플러그 측과 연결 측을 구비한다.
전기 접촉 요소의 플러그 측은 (종래 기술에서 이미 많은 경우에서 공지된 것처럼) 핀 접촉부 또는 소켓 접촉부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핀 접촉부를 포함하는 전기 접촉 요소와 소켓 접촉부를 포함하는 추가 전기 접촉 요소를 서로 결합하는 것을 통해, 전기 전도성 플러그 연결이 형성될 수 있다.
전기 접촉 요소의 연결 측은 슬리브 형태로서 형성되어 연결 슬리브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 슬리브 내로 전기 도체가 삽입될 수 있고, 이른바 압축 공구에 의해 연결 슬리브 내에서 압착될 수 있다. 이런 유형의 압축 연결은 종래 기술로부터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알루미늄으로 구성되어 복수의 연선을 포함하는 전기 도체를 위해 제공된다. 이를 위해, 전기 접촉 요소는 전기 접촉 요소의 연결 슬리브 내에 제공되는 접합 요소(splicing element)를 포함한다. 접합 요소는 연결 슬리브의 내면 상에서 연결 슬리브의 원주에 걸쳐 분포하여 배치되는 2개 이상의 접합 세그먼트(splicing segment)로 구성된다. 또한, 접합 세그먼트들은 연결 슬리브 반경의 바깥쪽 절반(outer half)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접합 세그먼트들은 바람직하게 반경 방향에서 안쪽을 향하여 가늘어지는 요소들이다. 일종의 쐐기 형태가 특히 바람직하다. 접합 세그먼트들의 목적은, 압착 공정 동안 삽입된 전기 도체의 개별 연선들 사이를 관통하는 것에 있다.
알루미늄 도체의 개별 연선들 사이를 관통할 때, 접합 세그먼트들은 도체의 각각의 개별 연선 상에 형성된 산화 층을 파괴한다. 따라서 개별 연선들의 우수한 전기 접촉이 보장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접합 세그먼트들의 표면들은 거친 표면을 구비한다. 이런 거친 표면은 연선들 상의 산화 층을 파괴하기에 특히 적합하게 이용된다.
접합 요소는 전기 접촉 요소의 각각의 유형 및 지름에 따라서 상이한 개수의 접합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6개의 접합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하나의 접합 요소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 변형 실시예에서, 접합 세그먼트들은 직접적으로 연결 슬리브와 단일 부재형으로 제조된다. 상기 접합 세그먼트들은 예컨대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된 쐐기로서 연결 슬리브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슬리브 내에서 전기 도체를 압착 또는 압축할 때, 접합 세그먼트들은 도체의 개별 연선들 사이에 압축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접합 요소를 별도의 부품으로서 형성한다. 이 경우, 접합 요소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베이스 상에는 개별 접합 세그먼트들이 형성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접합 요소는, 베이스가 앞서서 연결 슬리브 안쪽으로 밀어 넣어지고 접합 세그먼트들은 안쪽에서부터 연결 슬리브의 개방 단부의 방향으로 돌출되지만 여전히 연결 슬리브 내에 수용되도록, 연결 슬리브 내에 포지셔닝된다.
별도의 접합 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전기 접촉 요소의 조립 시, 우선 전기 도체의 노출된 연선들 위쪽으로 접합 요소를 밀어 넣는다. 이 경우 접합 요소는, 개별 연선들이 접합 세그먼트들 사이에 분포되도록 개별 연선들을 펼친다.
그런 다음, 전기 도체의 단부는, 끼워진 접합 요소와 함께, 연결 슬리브 안쪽으로 밀어 넣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플라이어(plier) 또는 특수 압축 공구로 연결 슬리브를 압착하는 것을 통해, 접합 세그먼트들은 계속하여 연선들 사이로 밀어 넣어진다. 그 결과, 연선들의 표면 상에서 산화 층은 파괴되고, 복수의 연선의 전기 접촉은 보장된다.
별도의 접합 요소를 포함하는 전기 접촉 요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 슬리브 내에 접합 요소를 고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고정 수단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연결 보어는 전기 접촉 요소 내에서 플러그 측과 연결 측 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연결 보어를 통과하여 고정 수단은 접합 요소 상에 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적합하게는 고정 수단으로서 나사를 이용한다. 상기 나사는 플러그 측의 방향에서 연결 보어를 통과하여 밀어 넣어질 수 있고 접합 요소의 베이스 내의 상응하는 나사부 내에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슬리브에서 접합 요소의 인출은 방지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연결 슬리브의 외부 표면 상에 연결 슬리브의 둘레에 연장되는 그루브들이 구성된다. 이런 그루브들은, 압착 또는 압축 공구를 부착해야 하는 위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자를 위한 지시용으로 제공된다. 접합 세그먼트들로 인해, 가능한 한 우수한 전기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압축 위치들의 규칙적인 배치가 중요하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연결 슬리브의 외부 표면 상에 하나 이상의 표시부(marking)를 제공한다. 이런 표시부는 압축 공구의 정렬을 위해 이용된다. 압축 공구들은 대개 압축할 대상에 작용하는 복수의 조(jaw)로 구성된다. 전체 원주에 걸쳐서 균일하게 힘이 가해질 수 없기 때문에, 섹션 별로 힘이 도입된다.
그 결과로서, 함몰부들이 접촉 요소 안쪽으로 압축되거나, 예컨대 원형 형태로부터 다각형이 압축된다. 이렇게 복수의 지점 상에서 힘은 연결 슬리브로부터 안쪽에 위치하는 도체 상으로 도입되며, 이렇게 상기 도체는 고정된다.
전체 원주에 걸쳐서 균일하게 도입되지 않는 상기 힘을 가능한 한 접합 세그먼트들 상으로 센터링하기 위해, 표시부가 제공된다. 이런 표시부는, 압축 공구의 상응하는 설치로 최대 힘이 접합 세그먼트들 상으로 유도되도록 부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표시부가 연결 슬리브 상의 정확한 위치 상에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접합 요소는 회전 방지 방식으로 연결 슬리브 내에 삽입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연결 슬리브 내의 추가 보어, 그리고 보어를 통과하여 접합 요소의 베이스 내의 리세스 내로 맞물리는 핀 또는 나사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스프링과 함께 작용하는 가이드 그루브도 생각해볼 수 있으며, 이 가이드 그루브 및 가이드 스프링은 접합 요소 및 연결 슬리브의 내부 표면 내에 제공된다. 이 경우, 접합 요소 내의 그루브 및 연결 슬리브 상의 스프링뿐만 아니라, 그 반대되는 해결책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연결 슬리브의 전체 내부 표면에 뾰족한 표면에 이르기까지 거친 표면을 구비한다. 따라서 연결 슬리브의 압착 또는 압축 동안, 도체의 연선들 역시도 거칠어질 수 있으며, 접합 세그먼트들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산화 층이 관통 파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기 접촉 요소의 특별한 실시예에서, 접합 요소의 접합 세그먼트들은 특히 바람직한 형태를 보유한다. 이 경우, 접합 세그먼트들은, 플러그 측으로 향해 있는 영역에서보다 연결 슬리브의 개구부의 영역에서 더 넓게 형성된다.
이런 접합 세그먼트들의 형태는, 연결 슬리브 개구부의 영역에서 전기 도체의 개별 연선들이 플러그 측으로 향해 있는 영역에서보다 더 강하게 압착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결 슬리브에서 고정된 전기 도체를 당기는 힘이 상기 고정된 전기 도체 상에 작용한다면, 전기 도체의 연선들은 플러그 측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후방 영역을 통해 어렵게만 당겨질 수 있는 정지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전기 연선 도체의 접촉을 위한 전기 접촉 요소에 관한 것이며, 전기 접촉 요소는 연결 측과 플러그 측을 포함한다. 전기 연선 도체의 더 향상된 전기 접촉을 위해, 연결 측을 형성하는 연결 슬리브 내에는 접합 요소가 제공된다.
접합 요소는, 도체의 개별 연선들을 펼치고, 개별 연선들의 가능한 한 큰 표면을 접촉시키며, 압착 또는 압축 공정 동안 연선들의 표면을 관통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은, 개별 연선들의 표면이면서 접촉에 부적합하고 전도성이 좋지 않은 상기 표면이 관통되게 하여, 연선 도체들의 확실한 전기 접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고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접합 요소를 포함하는 전기 접촉 요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접합 요소를 포함하지 않은 전기 접촉 요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접합 요소를 포함하는 전기 접촉 요소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4는 단일의 접합 요소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5는 삽입된 전기 도체를 포함하는 전기 접촉 요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는, 전기 접촉 요소(1)가 종축(A)을 따르는 종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우측 영역에는 전기 접촉 요소(1)의 플러그 측(2)이 도시되어 있다. 좌측 영역에는 슬리브 형태의 연결 측(3)이 도시되어 있다. 슬리브 형태의 연결 측(3)은 연결 슬리브(4)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연결 슬리브(4)의 내부에는 접합 요소(10)가 제공된다. 접합 요소(10)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베이스(12)와, 복수의 접합 세그먼트(11)를 포함한다. 베이스(12)는 연결 슬리브(4) 내에서 최후방 영역 상에 제공된다.
접합 요소(10)가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합 요소는 고정 수단(13)(여기서는 나사)에 의해 전기 접촉 요소 내에 고정된다. 도시된 특별한 실시예에서, 나사는 플러그 측(2)으로부터 전기 접촉 요소(4) 내의 보어(5)를 통과하여 안내되어 접합 요소(10)의 보어(12) 안쪽에 조임 고정된다.
접합 요소(10)의 접합 세그먼트들(11)은 베이스(1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면서 연결 슬리브(4) 내에 분포된다. 바람직하게 접합 세그먼트들(11)은 거의 연결 슬리브(4)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그리고 모든 추가 도면)에서, 접합 요소(10)는 6개의 접합 세그먼트(11)를 포함한다.
접합 세그먼트들(11)이 베이스(12) 상에 부착되어 있는 접합 요소(10)의 중앙 영역에서는, 이곳의 재료 두께가 접합 세그먼트들(11) 자체보다 더 얇은 것이 확인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2)와 관련하여 접합 세그먼트들(11)의 높은 유연성을 제공한다.
도 2에는, 도 1에서와 같은 전기 접촉 요소(1)가 한 번 더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접합 요소(10)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는, 연결 측(3)과 전기 접촉 요소(1)의 플러그 측(2)을 연결하는 보어(5)가 더 잘 확인된다.
도 2에서, 연결 슬리브(4)의 내부에서는, 내면(18) 상에 나사산 유형의 윤곽이 확인된다. 이처럼 바람직하게는 뾰족한 윤곽은 마찬가지로 삽입된 연선들 상의 산화 층들을 파괴하기 위해 이용된다. 나사산 유형의 윤곽의 형성은 단지 예시로서만 간주된다. 뾰족한 윤곽의 모든 또 다른 유형 역시도 적합하고 유용하다.
여기서, 연결 슬리브(4)의 외면 상에서는 4개의 편평한 그루브(17)를 확인할 수 있다. 이들 그루브는 압축 영역들의 식별 표시에 이용된다. 상기 그루브들(17)은 어느 위치들에서 압축 또는 압착 공구를 부여해야 하는지를 사용자에게 지시한다.
도 3에는, 접합 요소(10)를 포함하는 전기 접촉 요소(1)가 연결 측(3)을 바라본 입체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도, 연결 슬리브(4)의 둘레에 연장되는 4개의 그루브(17)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들 그루브는 압축 또는 압착 공구를 위한 표시부로서 이용된다.
그 외에, 그루브들(17) 사이에서는 3개의 편평부(6)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편평부 역시도 압축 또는 압착 공구를 위한 표시부로서 이용된다. 그러나 이는, 그루브들(17)과 달리, 전기 접촉 요소(1)를 따르는 위치를 위한 것이 아니라, 압축 영역에서 공구의 각도 위치를 위한 것이다.
압축 조들(crimping jaws)이 접합 세그먼트들(11)의 개수에 매칭되어 있는 상응하는 압축 공구가 이용되면, 편평부(6)는 연결 슬리브(4) 내에서 하나의 접합 세그먼트(11)의 위치를 표시한다. 그 결과, 압축 공구의 최대 힘 및 압착은, 그들 후방에 각각의 접합 세그먼트(11)가 위치하는 위치들에 정확하게 작용할 수 있다.
도 4에는, 접합 요소(10)가 입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미 도 1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접합 요소(10)는 베이스(12)로 구성되며, 이 베이스로부터 이격되는 방식으로 접합 세그먼트들(11, 11', 11", 11"', 11"", 11""')은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베이스(12) 내에서는, 전기 접촉 요소(1) 내에서 고정 수단(13)으로서의 나사를 이용하여 접합 요소(10)의 고정을 위해 이용되는 나사부(19)가 확인된다.
접합 세그먼트들(11)은, 전기 도체(20)의 연선들 상으로 접합 요소(10)의 끼움을 단순화하기 위해, 연결 측 영역에서 접합 세그먼트들의 내면이 테이퍼링된다.
베이스(12) 내에서 접합 요소(10)는 보어(16)를 포함한다. 보어(16)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측면 슬롯(lateral slot)으로서 형성된다. 이 측면 슬롯은, 수용 슬리브(4) 내에서 접합 요소(10)를 회전 방지 방식으로 파지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를 위해, 추가 고정 부재가 수용 슬리브(4) 내의 보어(15) 내로 끼워질 수 있다. 고정 수단이 보어(15)를 통과하여 보어(16) 내에까지 안내된다면, 수용 슬리브(4) 내에서 접합 요소(10)의 회전은 방지된다.
도 5에는, 삽입된 전기 도체(20)를 포함하는 전기 접촉 요소(1)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도면의 단면은 전기 접촉 요소(1)를 횡방향으로 통과하여 연장된다.
도면에서는, 수용 슬리브(4)뿐만 아니라, 이 수용 슬리브 내에 수용된 접합 세그먼트들(11, 11', 11", 11"', 11"", 11""')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접합 세그먼트들은 수용 슬리브(4)의 내부 표면(18) 상에서 수용 슬리브의 원주에 걸쳐 분포된다.
수용 슬리브(4)의 추가 내부 영역에는 많은 개별 연선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개별 연선은 함께 삽입된 전기 도체(20)를 형성한다. 개별 연선들은 접합 세그먼트들(11) 사이에 분포되며, 그럼으로써 바람직하게 개별 연선들 대부분은 접합 세그먼트들(11) 중 하나의 접합 세그먼트와 접촉한다. 더 많은 개별 연선이 접합 세그먼트들(11) 또는 내부 표면(18)과 접촉할수록, 차후의 전기 접촉 정도도 더 높아진다.
그 외에, 도 5에는 편평부(6)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편평부는, (이미 언급한 것처럼) 압축 또는 압착 공구에 대한 표시를 위해 이용된다. 편평부(6)는 적합하게 하나의 접합 세그먼트의 외부에 직접 위치한다.
1: 전기 접촉 요소
2: 플러그 측
3: 연결 측
4: 연결 슬리브
5: 보어
6: 편평부
10: 접합 요소
11: 접합 세그먼트
12: 베이스
13: 고정 수단
15: 보어
16: 보어
17: 그루브
18: 내부 표면
19: 나사부

Claims (21)

  1. 전기 도체(20)의 접촉을 위한 전기 접촉 요소(1)로서,
    전기 접촉 요소(1)는 플러그 측(2)과 연결 측(3)으로 형성되고,
    플러그 측(2)은 접촉 소켓 또는 접촉 핀으로서 형성되며,
    연결 측(3)은 슬리브 형태이면서 전기 접촉 요소(1)의 연결 슬리브(4)를 형성하고,
    전기 접촉 요소(1)의 연결 슬리브(4) 내에는 접합 요소(10)가 제공되며,
    접합 요소(10)는, 전기 도체(20)의 개별 연선들을 펼치고 개별 연선들의 가능한 한 큰 표면을 접촉시키며 압착 또는 압축 공정 동안 연선들의 표면을 관통하기 위해 제공되고,
    접합 요소(10)는 2개 이상의 접합 세그먼트(11)로 형성되는, 전기 접촉 요소에 있어서,
    접합 세그먼트들(11)은, 전기 접촉 요소(1)의 종축(A)과 관련하여, 반경 방향의 바깥쪽 영역에서 더 넓게 형성되고 반경 방향의 안쪽 영역에서는 더 좁게 형성되고,
    접합 세그먼트들(11)은 반경 방향의 안쪽 영역에서 쐐기 형태로 가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체의 접촉을 위한 전기 접촉 요소(1).
  2. 제1항에 있어서, 접합 세그먼트들(11)은 연결 슬리브(4) 내에서 이 연결 슬리브(4)의 원주에 걸쳐 분포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체의 접촉을 위한 전기 접촉 요소(1).
  3. 제2항에 있어서, 접합 세그먼트들(11)의 표면들은 거친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체의 접촉을 위한 전기 접촉 요소(1).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접합 세그먼트들(11)은 연결 슬리브 반경의 바깥쪽 절반에 걸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체의 접촉을 위한 전기 접촉 요소(1).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접합 세그먼트들(11)은, 플러그 측(2)으로 향해 있는 영역에서보다, 연결 슬리브(4)의 개구부의 영역에서 추가로 전기 접촉 요소(1)의 종축(A)의 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체의 접촉을 위한 전기 접촉 요소(1).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접합 요소(10)를 형성하는 접합 세그먼트들(11)은 연결 슬리브(4)의 내부 표면에 형성되어 연결 슬리브(4)와 단일 부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체의 접촉을 위한 전기 접촉 요소(1).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접합 요소(10)는 베이스(12)를 포함하고, 접합 세그먼트들(11)은 베이스(12) 상에 형성되고, 베이스(12)는 플러그 측(2)으로 향해 있는 연결 슬리브(4)의 단부 상에 배치되며, 접합 세그먼트들(11)은 플러그 측(2)에 대해 베이스(12)로부터 이격되는 방식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체의 접촉을 위한 전기 접촉 요소(1).
  8. 제7항에 있어서, 접합 요소(10)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연결 슬리브(4)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체의 접촉을 위한 전기 접촉 요소(1).
  9. 제8항에 있어서, 접합 요소(10)의 베이스(12)는 고정 수단(13)에 의해 연결 슬리브(4) 내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체의 접촉을 위한 전기 접촉 요소(1).
  10. 제9항에 있어서, 고정 수단(13)은 나사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체의 접촉을 위한 전기 접촉 요소(1).
  11. 제9항에 있어서, 고정 수단(13)은 전기 접촉 요소(1)의 플러그 측(2)으로부터 연결 보어(5)를 통과하여 접합 요소(10)의 베이스(12) 상에 작용하여 연결 슬리브(4) 내에 접합 요소(1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체의 접촉을 위한 전기 접촉 요소(1).
  12. 제8항에 있어서, 접합 요소(10)는 추가 고정 수단에 의해 회전 방지 방식으로 연결 슬리브(4) 내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체의 접촉을 위한 전기 접촉 요소(1).
  13. 제12항에 있어서, 추가 고정 수단은 핀 또는 나사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체의 접촉을 위한 전기 접촉 요소(1).
  14. 제12항에 있어서, 추가 고정 수단은 연결 슬리브(4) 내의 보어(15)를 통해 끼워지고 접합 요소(10) 내의 보어(16) 내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체의 접촉을 위한 전기 접촉 요소(1).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슬리브(4)는 내면 상에 거친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체의 접촉을 위한 전기 접촉 요소(1).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슬리브(4)는 외면 상에 2개 이상의 환형 그루브(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체의 접촉을 위한 전기 접촉 요소(1).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슬리브(4)는 외면 상에 하나 이상의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체의 접촉을 위한 전기 접촉 요소(1).
  18. 제17항에 있어서, 표시부(5)는, 연결 슬리브(4) 상에서의 표시부의 정렬과 관련하여, 연결 슬리브(4)의 내면 상에서의 접합 세그먼트들(11) 중 하나의 접합 세그먼트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체의 접촉을 위한 전기 접촉 요소(1).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67003180A 2013-07-11 2014-07-10 전기 접촉 요소 KR1017388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107352.2A DE102013107352A1 (de) 2013-07-11 2013-07-11 Elektrisches Kontaktelement
DE102013107352.2 2013-07-11
PCT/DE2014/100242 WO2015003692A1 (de) 2013-07-11 2014-07-10 Elektrisches kontakt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544A KR20160030544A (ko) 2016-03-18
KR101738831B1 true KR101738831B1 (ko) 2017-05-22

Family

ID=51357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180A KR101738831B1 (ko) 2013-07-11 2014-07-10 전기 접촉 요소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502786B2 (ko)
EP (1) EP3020093B1 (ko)
KR (1) KR101738831B1 (ko)
CN (1) CN105379019B (ko)
CA (1) CA2916754A1 (ko)
DE (1) DE102013107352A1 (ko)
DK (1) DK3020093T3 (ko)
ES (1) ES2633825T3 (ko)
HU (1) HUE035748T2 (ko)
PL (1) PL3020093T3 (ko)
RU (1) RU2621677C1 (ko)
WO (1) WO20150036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14470B4 (de) * 2015-08-31 2019-01-24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Kontaktträger
DE102017120180B3 (de) 2017-09-01 2019-01-03 HARTING Electronics GmbH Gewinkelter Steckverbinder
US11583915B2 (en) 2019-04-26 2023-02-21 Steris Instrument Management Services, Inc. Hose crimping assembly
US11982835B2 (en) * 2019-05-24 2024-05-14 Nlight, Inc. Apparatuses for scattering light and methods of forming apparatuses for scattering ligh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853Y1 (ko) * 2004-06-02 2004-09-07 송창섭 탄산가스 용접기용 전원케이블 어댑터
US20070287323A1 (en) * 2006-06-12 2007-12-13 Colescott Michael G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
US20130045610A1 (en) * 2011-08-17 2013-02-21 Delphi Technologies Inc. Contact element including helical arrangement defined in internal surfac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28772A (en) * 1939-05-15 1940-11-06 George Blount Improved mechanical connectors of the cone-grip type for overhead electrical conductors
DE1135072B (de) 1961-07-18 1962-08-23 Harting Elektro W Flach-Kontaktelement fuer elektrische Steckvorrichtungen
DE1164532B (de) 1961-09-21 1964-03-05 Harting Elektro W Umkehrbares Kontaktelement fuer elektrische Steckvorrichtungen
US3346690A (en) * 1966-03-10 1967-10-10 Simplex Wire & Cable Co Alkali metal conductor terminal
DE1992567U (de) 1968-05-30 1968-08-29 Harting Elektro W Kontaktelement.
GB1347234A (en) * 1970-12-22 1974-02-27 Ross Courtney Co Ltd Solderless joints for electrical conductors
GB2037503B (en) 1978-12-07 1983-02-09 Amp Inc Electrical terminals
SU1019527A1 (ru) * 1982-02-23 1983-05-23 Blinov Lev S Электрический штепсельный разъем
EP0147218A3 (en) 1983-12-29 1987-07-15 Thomas & Betts Corporation Insulation piercing compression connector
JP3392229B2 (ja) * 1993-08-17 2003-03-31 ザ ウィ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圧着端子組立体
US5658163A (en) * 1995-12-19 1997-08-19 Molex Incorporated Terminal for connecting electrical wires
US6220902B1 (en) * 1999-05-13 2001-04-24 Unit Electrical Engineering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n object to a device
US6837756B2 (en) * 2001-10-05 2005-01-04 Amphenol Corporation Radially resilient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160156B2 (en) * 2003-09-03 2007-01-09 Holliday Randall A Crimpable wire connector assembly
RU2264681C2 (ru) * 2003-11-14 2005-11-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Мехта" Муфта кабельного удлинителя кабельной линии погружного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US7500868B2 (en) * 2006-05-02 2009-03-10 Michael Holland Compression connector for stranded wire
US20070287318A1 (en) * 2006-06-12 2007-12-13 Roy Jackso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y
US8519267B2 (en) * 2009-02-16 2013-08-27 Carlisle Interconnect Technologies, Inc. Terminal having integral oxide breaker
JP2011198655A (ja) 2010-03-19 2011-10-06 Yazaki Corp 圧着端子の電線に対する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853Y1 (ko) * 2004-06-02 2004-09-07 송창섭 탄산가스 용접기용 전원케이블 어댑터
US20070287323A1 (en) * 2006-06-12 2007-12-13 Colescott Michael G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
US20130045610A1 (en) * 2011-08-17 2013-02-21 Delphi Technologies Inc. Contact element including helical arrangement defined in internal su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E035748T2 (en) 2018-05-28
EP3020093B1 (de) 2017-05-10
CN105379019B (zh) 2017-10-31
DE102013107352A1 (de) 2015-01-15
KR20160030544A (ko) 2016-03-18
US20160126643A1 (en) 2016-05-05
EP3020093A1 (de) 2016-05-18
CA2916754A1 (en) 2015-01-15
WO2015003692A1 (de) 2015-01-15
CN105379019A (zh) 2016-03-02
RU2621677C1 (ru) 2017-06-07
ES2633825T3 (es) 2017-09-25
US9502786B2 (en) 2016-11-22
PL3020093T3 (pl) 2017-12-29
DK3020093T3 (en) 2017-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5884B1 (en)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KR101738831B1 (ko) 전기 접촉 요소
CN104247156B (zh) 插入式连接器的绝缘体
US3626363A (en) Roll-formed contact and crimping device therefor
JP2006236854A (ja) 圧接結線用コネクタ
CA2637174C (en) Electrical contact with wire trap
US5085594A (en) Solder-free plug-cable connection system
WO2015122270A1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US7399207B2 (en)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cable to same
JP2007503683A (ja) ケーブル接続システム
US5630735A (en) Electrical connector
US6358103B1 (en) No-crimp electrical connector side-by-side type
US6796853B1 (en) No-crimp electrical connector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494753B1 (en) No-crimp electrical connector side-by-side type and method
US6881090B1 (en) Rotatable no strip no crimp electrical connector for wires
JPH0572053U (ja) ワイヤ圧着端子
US1764227A (en) Electric coupling member
JP2011249044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IL27517A (en) Electrical terminal blocks
US6692313B1 (en) No-crimp electrical connector side-by-side type
KR20160119689A (ko) 코일단말의 접속구조
KR101164387B1 (ko) 분기선의 케이블 접속장치
KR20080003661U (ko) 전선연결장치
US10637162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the electric-wire and the terminal
JP2014022211A (ja)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付き被覆電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