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797B1 - 전기접속 단자대 - Google Patents

전기접속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797B1
KR101103797B1 KR1020100061349A KR20100061349A KR101103797B1 KR 101103797 B1 KR101103797 B1 KR 101103797B1 KR 1020100061349 A KR1020100061349 A KR 1020100061349A KR 20100061349 A KR20100061349 A KR 20100061349A KR 101103797 B1 KR101103797 B1 KR 101103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mp terminal
housing
terminal
terminal block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862A (ko
Inventor
김정운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00061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797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2End pieces terminating in a spring clip
    • H01R11/24End pieces terminating in a spring clip with gripping jaws, e.g. crocodile cl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2Hand to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6Fastening of connecting parts to base or case; Insulating connecting parts from base or case
    • H01R9/18Fastening by means of screw or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접속 단자대는 전선의 인입작업을 위한 부품들이 설치되는 전기접속 단자대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압착단자를 압착하여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압착단자와 직접 접촉하는 표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기전도성과 탄성을 갖는 한 쌍의 압착단자 클립; 상기 압착단자 클립에 삽입되는 평판형 접속부와 전선 연결구를 갖는 압착단자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대 하우징에 한 쌍의 압착단자 클립이 나사에 의해 조립되고 압착단자의 평판부가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압착단자 클립으로 삽입되어 압착되어진다. 이 클립은 압착단자를 밀어넣을 때는 휨 현상으로 쉽게 인입되나, 반대로 뺄 때는 조여주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빠지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전기접속 단자대{Terminal Block}
본 발명은 전기접속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 접속시 나사조임 방법이 평판부의 접속부를 갖는 압착단자를 단자대에 끼워넣는 방식으로 밀어 넣기만 하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전기접속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전기배선용 판넬 내부에 설치되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전기접속 단자대(110)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선의 접속작업을 위해 전선 피복을 제거하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O"형 압착단자(120) 또는 "U"형 압착단자를 끼운 후 단자대의 나사(111)를 풀고, 전선을 연결한 후에 나사를 조이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전선을 단자대에 견고하게 연결을 할 수는 있으나,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나사 조임의 정도에 따라 너무 느슨한 경우 접속이 제대로 안되어 접속부의 전기저항 증가로 고장의 원인이 되며, 너무 세게 나사를 조일 경우에는 단자대 나사부분이 파손되거나 작업불량으로 인하여 종종 접촉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겨울철 작업 시에는 단자와 단자 사이의 절연을 위한 격리판이 파손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또한, 전기회로의 확인을 위해 테스터나 점프선을 단자대에 임시로 고정하기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선의 접속을 위해 압착단자를 나사 조임없는 방식으로 전환하여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것은 물론 항상 일정한 힘으로 압착단자 조임부와 압착단자가 접촉하도록 하며, 회로확인을 위한 시험이 용이하도록 하는 전기접속 단자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전기접속 단자대는 전선의 인입작업을 위한 부품들이 설치되는 전기접속 단자대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압착단자를 압착하여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압착단자와 직접 접촉하는 표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기전도성과 탄성을 갖는 한 쌍의 압착단자 클립; 상기 압착단자 클립에 삽입되는 평판형 접속부와 전선 연결구를 갖는 압착단자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접속 단자대는 나사 조임 없이 단순히 밀어넣기만 하면 되며, 육안점검으로 바로 접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기접속 회로의 시험을 위해 테스터나 점프선을 터미널 단자에 물려주는 기구(일명 악어클립) 사용이 용이하고, 악어클립을 물리면 인위적으로 분리되지 않는 한 견고하게 접속되어 있어 안전하게 시험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 단자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 단자대에서 하우징만을 분해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 단자대에서 압착단자 클립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압착단자 클립을 하우징에 장착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와 유사한 도면으로 나사로 압착단자 클립을 고정시킨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접속 단자대에 적용할 수 있는 압착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다른 실시 예이다.
도 10은 압착단자 분리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전기접속 단자대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적용하기 위한 압착단자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 단자대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전기접속 단자대에서 하우징만을 분해하여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압착단자 클립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1에서, 부호 10은 전기접속 단자대이고, 부호 11은 전선의 인입작업을 위한 부품들이 설치되는 전기접속 단자대의 하우징이며, 부호 12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압착단자를 압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한 쌍씩 설치되어 있는 압착단자 클립이고, 부호 13은 상기 압착단자 클립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이며, 부호 14는 상기 압착단자 클립들의 사이에 압착되어지는 평판부와 전선 접속부를 갖는 압착단자이고, 부호 15는 상기 압착단자와 연결되는 전선이다.
본 발명에서 전기접속 단자대의 하우징(11)은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각 층의 구조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한 개 층의 하우징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11)은 전선의 인입작업을 위한 부품들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부위에 격벽(111)이 안쪽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편평하게 플레이트(112)가 확장되어 있으며, 이들 격벽(111)과 플레이트(112)를 갖는 동일한 구조의 하우징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마주하는 격벽(111) 사이에는 여기에 장착되는 압착단자 클립(12)을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13)가 삽입되는 나사공(113)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압착단자(14)를 압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전기 전도성과 탄력성을 갖는 압착단자 클립(12)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한 쌍이 설치되어 있으며, 압착단자 클립(12)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의 격벽(111)의 외형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중앙 부위(121)와 상기 하우징(11)의 플레이트(112)의 외형 구조와 동일하게 확장되어 있는 양 측면 부위(122)를 가지며, 상기 양측면 부위(122)의 선단(先端)으로부터 그의 아랫방향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굴곡져 있되 자체 탄력성이 있는 날개 부위(123)를 갖고 있으며, 상기 날개 부위(123)의 선단 부위는 직각 방향으로 각이 지게 굴곡진 말단 부위(124)를 갖고 있다.
추가로 상기 탄력성을 갖는 날개 부위(123)의 표면에는 압입되어 있는 압착단자(14)가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복수의 돌기(125)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착단자 클립(12)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내부에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장착되게 되며, 도 6에서와 같이 나사(13)에 의해서 완전하게 하우징(11)에 고정되게 된다.
첨부 도면 중에서 도 1,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착단자 클립(12)은 하우징(11)의 내부에서 날개 부위(123)가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마주보는 형태로 장착되어 있으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은 압착단자(14)를 외부에서 날개 부위(123) 사이로 밀어 넣게 되면 날개 부위(123)는 탄력성을 갖고 있고 안쪽 방향으로 라운드 형태로 굴곡져 있기 때문에 휨 현상에 의해 벌어지게 되어 인입이 가능하게 되고, 반면에 압착단자(14)를 뺄 때는 양쪽의 날개부위(123)가 오므라지는 현상으로 더욱 조여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어 압착단자(14)의 인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압착단자 클립(12)은 탄력성에 의해 클립과 압착단자가 항상 견고하게 접속되어 있게 되며, 인입 작업시 작업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점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첨부 도면 중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접속 단자대에 적용할 수 있는 압착단자의 사시도이고, 도 8은 그의 측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10은 압착단자 분리기구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압착단자 클립(12)에 사용하는 압착단자(14)는 도 7과 8에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이 압착단자 클립(12)에 인입되어 조여지게 되는 평판형의 접속부(141)와 전선이 연결되는 전선 연결구(142)로 구성되어 있다.
도 9는 도 7의 다른 실시예로서 서로 다른 전선이 동시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전선 연결구(142,142')가 2개 형성되어 있는 압착단자이며, 필요에 따라 그 이상으로 전선 연결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0은 압착단자(14)를 압착단자 클립(12)으로부터 분리해 내기 위한 분리기구(16)의 개략도로서, 스프링(161)과 이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눌러주기 위한 손잡이부분(162), 회전축(163) 및 집게 부위(164)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압착단자 분리기구(16)의 집게 부위(164)를 상기 압착단자 클립(12)의 말단부위(124)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홈의 공간 내에 삽입하고 손잡이(162)를 양쪽에서 동시에 눌러주면 집게 부위(164)가 말단부위(124)를 벌려서 개방시키게 되고 압착단자(14)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10 ---- 전기접속 단자대
11 ---- 하우징
12 ---- 압착단자 클립
13 ---- 나사
14 ---- 압착단자
15 ---- 전선
16 ---- 압착단자 분리기구
111 ---- 격벽
112 ---- 플레이트
113 ---- 나사공
121 ---- 중앙부위
122 ---- 양 측면 부위
123 ---- 날개 부위
124 ---- 말단 부위
125 ---- 돌기
141 ---- 평판형의 접속부
142 ---- 전선 연결구
161 ---- 스프링
162 ---- 손잡이
163 ---- 회전축
164 ---- 집게 부위

Claims (5)

  1. 전기접속 단자대에 있어서, 복수개의 층으로 구성된 하우징(11);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압착단자를 압착하여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압착단자와 직접 접촉하는 표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기전도성과 탄성을 갖는 한 쌍의 압착단자 클립(12); 및 상기 압착단자 클립(12)에 삽입되는 평판형 접속부와 전선 연결구를 갖는 압착단자(1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 단자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은 중앙부위에서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격벽(111)과, 상기 격벽(111)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편평하게 확장되어 있는 플레이트(112)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일한 구조의 부품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마주하는 격벽(111) 사이에 압착단자 클립(12)을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13)가 삽입되는 나사공(1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 단자대.
  3. 제 1항에 있어서, 압착단자 클립(12)은 상기 하우징(11)의 격벽(111)의 외형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중앙 부위(121), 상기 하우징(11)의 플레이트(112)의 외형 구조와 동일하게 양측으로 확장되어 있는 양측면 부위(122), 상기 양측면 부위(122)의 선단으로부터 그의 아랫방향으로 라운드형상으로 굴곡진 탄력성을 갖는 날개 부위(123) 및 상기 날개부위(123)의 선단이 직각 방향으로 각이 지게 굴곡져 있는 말단 부위(12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 단자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부위(123)의 표면에는 그의 표면에 압입되는 압착단자(14)가 밀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돌기(12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 단자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단자(14)의 전선 연결구(142)는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 단자대.
KR1020100061349A 2010-06-28 2010-06-28 전기접속 단자대 KR101103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349A KR101103797B1 (ko) 2010-06-28 2010-06-28 전기접속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349A KR101103797B1 (ko) 2010-06-28 2010-06-28 전기접속 단자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862A KR20120000862A (ko) 2012-01-04
KR101103797B1 true KR101103797B1 (ko) 2012-01-06

Family

ID=45613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349A KR101103797B1 (ko) 2010-06-28 2010-06-28 전기접속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7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205B1 (ko) 2019-02-08 2019-09-11 (주)제이알씨엠 공동주택 배전용 단자 접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695Y1 (ko) 2015-03-06 2016-06-27 주식회사 인터엠 단자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9576A (ja) * 1998-03-06 1999-09-24 Best Mix Consultant:Kk 電子モール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026552B1 (ko) * 2009-03-12 2011-04-01 주식회사 제나드시스템 단자대를 갖는 터미널 블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9576A (ja) * 1998-03-06 1999-09-24 Best Mix Consultant:Kk 電子モール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026552B1 (ko) * 2009-03-12 2011-04-01 주식회사 제나드시스템 단자대를 갖는 터미널 블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205B1 (ko) 2019-02-08 2019-09-11 (주)제이알씨엠 공동주택 배전용 단자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862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9281B (zh) Electronic connector
JP4843509B2 (ja) 電気的な列型端子ブロック
US8840424B2 (en) Shield connector
US20160336677A1 (en) Plug connector module
RU2010132193A (ru) Штекер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WO2007062327A3 (en) Releasable wire connector
CN102394394B (zh) 连接器
US5630735A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103797B1 (ko) 전기접속 단자대
JP5933697B2 (ja) 基準状態における接触バネの位置決めするための保持手段を備えた電気接続デバイス
US20070197094A1 (en) Contacts For Use In Monitoring Connection Patterns In Data Ports
TW200635160A (en) Electric connector
KR200495240Y1 (ko) 양방향 삽입 커넥터
WO2007100516A3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iltering device
KR101164387B1 (ko) 분기선의 케이블 접속장치
KR200363546Y1 (ko) 전선연결용 접속블록
KR200442224Y1 (ko) 전선연결장치
KR100726367B1 (ko) 전선 연결용 커넥터
KR200414136Y1 (ko) 삽입형 압착단자
KR101000253B1 (ko) 다선식 커넥터
KR20100118437A (ko) 터미널
CN210040599U (zh) 接线端子
KR20180001054U (ko)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
KR100844878B1 (ko) 면상발열체의 클립단자 및 그를 이용한 전선연결방법
KR101404394B1 (ko) Rj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