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695Y1 - 단자대 - Google Patents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695Y1
KR200480695Y1 KR2020150001429U KR20150001429U KR200480695Y1 KR 200480695 Y1 KR200480695 Y1 KR 200480695Y1 KR 2020150001429 U KR2020150001429 U KR 2020150001429U KR 20150001429 U KR20150001429 U KR 20150001429U KR 200480695 Y1 KR200480695 Y1 KR 2004806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terminal block
bridge
moving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4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한
사공석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엠
Priority to KR20201500014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6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6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91Terminal block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lugs or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16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탈착부 및 상기 탈착부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소켓부를 포함하는 단자대에 관한 것이며, 상기 탈착부는 제1 외부 전선과 연결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이동하는 제1 스크류, 외부에서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이동하는 제2 스크류, 상기 제2 스크류와 맞닿아 있고, 브릿지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스크류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브릿지부와의 거리가 멀어지는 방향 또는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및 브릿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제1 스크류 및 상기 이동부와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 배치된 제2 외부 전선 각각을, 상기 탈착부가 상기 소켓부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소켓부에 포함된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자대{TERMINAL BLOCK}
본 고안은 단자대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하나의 단자대에 스크류(screw) 방식의 단자대와 유로(euro) 방식의 단자대를 모두 구현한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B, 배전반이나 각종 전자 장치의 제어판넬, 건물의 단자함 등에는 외부의 신호나 전원을 내부에 전달하는 단자대(terminal block, 터미널 블록)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외부의 신호나 전원은 예를 들면 전선 등에 의해 단자대에 입력될 수 있다.
단자대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 그 중에는 스크류 방식의 단자대(이하 스크류형 단자대라고 지칭)가 있다. 스크류형 단자대는 외부의 전선을 스크류에 직접 연결한 뒤 스크류를 조여서 해당 전선을 고정하므로 고정력이 우수하다. 반면, 전선을 단자대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스크류를 돌려야 하므로 전선의 연결과 분리가 빈번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에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빈번하게 사용되는 단자대 중에는 유로(euro) 방식의 단자대(이하 유로형 단자대)도 있다. 유로형 단자대는 외부의 전선이 연결되는 탈착부와, 해당 탈착부와 결합 및 분리되며 PCB나 배전반과 같은 곳에 고정부착되는 소켓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외부의 전선이 연결된 탈착부는 소정의 힘을 가하면 소켓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전선의 연결과 분리가 빈번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에서는 소정의 힘만으로도 탈착부의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유로형 단자대가 스크류형 단자대보다 편리할 수 있다. 그러나, 유로형 단자대의 경우 소정의 힘 이상이 가해지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탈착부가 소켓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유로형 단자대는 스크류형 단자대보다 고정력이 우수하지 못하다.
이처럼 스크류형 단자대와 유로형 단자대에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며, 전자 제품의 생산자는 소비자(바이어)의 요청에 따라 스크류형 단자대 또는 유로형 단자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자 제품에 적용한다. 그런데, 소비자가 예를 들어 스크류형 단자대를 선택하였다가 추후 유로형 단자대로 변경을 원하는 경우 해당 전자 장치의 PCB 등을 수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왜냐하면, 유로형 단자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PCB에 소켓부가 실장되기 위한 구조가 있어야 되는 반면, 스크류형 단자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PCB에 스크류가 장착되기 위한 구조가 있어야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하나의 단자대가 스크류형 단자대와 유로형 단자대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PCB를 수정하지 않고도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대응할 수 있었겠지만, 종래에는 스크류형 단자대와 유로형 단자대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단자대가 존재하지 않았는바, 소비자의 이러한 요청이 있는 경우 PCB를 수정해야만 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00862 , 공개일자 2012년 01월 04일.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한 것으로써, 스크류형 단자대의 구조와 유로형 단자대의 구조를 모두 포함하는 단자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는 않았으나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목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탈착부 및 상기 탈착부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소켓부를 포함하는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제1 외부 전선과 연결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이동하는 제1 스크류, 외부에서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이동하는 제2 스크류, 상기 제2 스크류와 맞닿아 있고, 브릿지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스크류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브릿지부와의 거리가 멀어지는 방향 또는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및 브릿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제1 스크류 및 상기 이동부와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 배치된 제2 외부 전선 각각을, 상기 탈착부가 상기 소켓부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소켓부에 포함된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브릿지부와의 거리가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부와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 외부 전선이 상기 이동부와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서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2 외부 전선을 상기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부는 상기 제1 스크류가 체결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크류는 상기 제1 스크류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체결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탈착부 및 상기 탈착부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소켓부를 포함하는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제1 외부 전선과 연결되며, 상기 탈착부가 상기 소켓부와 결합하는 경우 외부에서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소켓부에 포함된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1 스크류, 외부에서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이동하는 제2 스크류, 상기 제2 스크류와 맞닿아 있고, 브릿지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스크류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브릿지부와의 거리가 멀어지는 방향 또는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및 브릿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이동부와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 배치된 제2 외부 전선을, 상기 탈착부가 상기 소켓부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소켓부에 포함된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브릿지부와 거리가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부와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 외부 전선이 상기 이동부와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서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2 외부 전선과 상기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크류형 단자대의 구조와 유로형 단자대의 구조를 모두 포함하는 단자대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PCB의 수정 없이도 소비자의 요구에 대응하여 스크류형 단자대와 유로형 단자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가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를 유로형 단자대로 활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를 스크류형 단자대로 활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단자대(10)는 탈착부(100) 및 소켓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것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고안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단자대(10)는 예를 들면 PCB(300) 상에 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전반이나 각종 전자 장치의 제어판넬, 건물의 단자함과 같은 곳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수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탈착부(100)는 제1 스크류(140), 제2 스크류(150), 이동부(151) 및 브릿지부(160)를 포함하며, 소켓부(200)는 연결부(210) 및 체결부(220)를 포함한다.
제1 스크류(140)는 제1 외부 전선(400)과 전기적으로 및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1 스크류(140)의 재질은 도체일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스크류(140)는 제1 외부 전선(400)으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타 구성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스크류(140)는 예를 들면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류 중 하나일 수 있으며 따라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제1 스크류(140)가 조여지면 제1 외부 전선(400)은 제1 스크류(140)에 의해 탈착부(100)에 고정되고 제1 스크류(140)가 풀리면 제1 외부 전선(400)은 탈착부(100)로부터 분리된다.
제2 스크류(150)는 예를 들면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류 중 하나일 수 있으며, 따라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151)는 제2 스크류(150)와 맞닿아 있다. 따라서, 이동부(151)는 제2 스크류(150)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제2 스크류(15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부(151)는 브릿지부(160)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제2 스크류(150)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서 브릿지부(160)와의 거리가 멀어지는 방향 또는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151)와 브릿지부(160) 사이에 제2 외부 전선(500)이 배치되는 경우, 제2 스크류(150)가 조여지면 이동부(151)와 브릿지부(160)와의 거리가 좁아지면서 제2 외부 전선(500)은 고정되고 제2 스크류(150)가 풀리면 이동부(151)와 브릿지부(160)와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제2 외부 전선(500)은 분리된다.
브릿지부(16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스크류(140)와 소켓부(200)에 포함된 연결부(2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단자대(10)의 사용자는 제1 스크류(140)에 제1 외부 전선(400)을 연결하는 경우 브릿지부(160)를 통해 소켓부(200)가 설치된 PCB(300) 등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대(10)의 사용자는 단자대(10)를 스크류형 단자대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설명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브릿지부(161)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스크류(140)와 전기적으로 및 기계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크류(140)에 연결된 제1 외부 전선(400)의 전기적 신호는 제1 스크류(140) 및 소켓부(200)에 포함된 체결부(22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스크류(140)는 탈착부(100)가 소켓부(200)와 결합하는 경우 외부에서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이동하여 소켓부(200)에 포함된 체결부(22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22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부(220)는 도체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크류(140)에 연결된 제1 외부 전선의 전기적 신호는 브릿지부(161)를 거치지 않고도 제1 스크류(140)와 체결부(220)를 거쳐서 PCB(300) 등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브릿지부(160)는 이동부(151)와 브릿지부(160) 사이에 배치된 제2 외부 전선(500)과 소켓부(200)에 포함된 연결부(2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동부(151)와 브릿지부(160) 사이에 제2 외부 전선(500)이 배치되는 경우 제2 스크류(150)가 조여지면 이동부(151)가 브릿지부(160)쪽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2 외부 전선(500)은 이동부(151)와 브릿지부(160) 사이에서 고정되는데, 이 때 제2 외부 전선(500)은 브릿지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브릿지부(160)는 소켓부(200)에 포함된 연결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탈착부(100)는 소켓부(200)에 끼워져있을 뿐 제1 스크류(140)에 의해 소켓부(200)와 결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탈착부(100)는 소정의 힘 이상이 가해지면 소켓부(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단자대(10)의 사용자는 이동부(151)와 브릿지부(160) 사이에 제2 외부 전선(500)을 배치하고 제2 스크류(150)를 조이는 경우 제2 외부 전선(500)의 전기적 신호를 브릿지부(160)를 통해 소켓부(200)가 설치된 PCB(300) 등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탈착부(100)를 소켓부(200)로부터 자유롭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즉, 단자대(10)를 유로형 단자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10)는 스크류형 단자대의 구조와 유로형 단자대의 기능 및 구조를 모두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를 유로형 단자대로 사용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탈착부(100)의 이동부(151)와 브릿지부(160) 사이에는 제2 외부 전선(500)이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스크류(140)에는 어떠한 외부 전선도 결합되어 있지 않으며, 제1 스크류(140)는 조여져 있지 않다. 따라서, 제2 외부 전선(500)이 결합된 탈착부(100)는 소켓부(200)로부터 자유롭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즉, 도 4는 본 고안을 유로형 단자대로 사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반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를 스크류형 단자대로 사용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을 참조하면, 탈착부(100)의 제1 스크류(140)에는 제1 외부 전선(400)이 결합되어 있으며, 제1 스크류(140)는 제1 외부 전선(400)를 탈착부(10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조여져 있으며, 이러한 제1 스크류(140)는 탈착부(100)와 소켓부(200)를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결합시키고 있다. 즉, 도 5는 본 고안의 스크류형 단자대로 사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본 고안의 따른 단자대를 스크류형 단자대와 유로형 단자대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이 변경되는 경우 PCB의 수정 없이도 스크류형 단자대에서 유로형 단자대로 또는 유로형 단자대에서 스크류형 단자대로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탈착부
140: 제1 스크류
150: 제2 스크류
200: 소켓부

Claims (5)

  1. 탈착부 및 상기 탈착부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소켓부를 포함하는 단자대로서,
    상기 탈착부는,
    제1 외부 전선과 연결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이동하는 제1 스크류;
    외부에서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이동하는 제2 스크류;
    상기 제2 스크류와 맞닿아 있고, 브릿지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스크류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브릿지부와의 거리가 멀어지는 방향 또는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및
    브릿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제1 스크류 및 상기 이동부와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 배치된 제2 외부 전선 각각을, 상기 탈착부가 상기 소켓부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소켓부에 포함된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브릿지부와의 거리가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부와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 외부 전선이 상기 이동부와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서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2 외부 전선을 상기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상기 제1 스크류가 체결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크류는,
    상기 제1 스크류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단자대.
  4. 탈착부 및 상기 탈착부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소켓부를 포함하는 단자대로서,
    상기 탈착부는,
    제1 외부 전선과 연결되며, 상기 탈착부가 상기 소켓부와 결합하는 경우 외부에서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소켓부에 포함된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1 스크류;
    외부에서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이동하는 제2 스크류;
    상기 제2 스크류와 맞닿아 있고, 브릿지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스크류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브릿지부와의 거리가 멀어지는 방향 또는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및
    브릿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이동부와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 배치된 제2 외부 전선을, 상기 탈착부가 상기 소켓부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소켓부에 포함된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브릿지부와 거리가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부와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 외부 전선이 상기 이동부와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서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2 외부 전선과 상기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대.
KR2020150001429U 2015-03-06 2015-03-06 단자대 KR2004806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429U KR200480695Y1 (ko) 2015-03-06 2015-03-06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429U KR200480695Y1 (ko) 2015-03-06 2015-03-06 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695Y1 true KR200480695Y1 (ko) 2016-06-27

Family

ID=5634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429U KR200480695Y1 (ko) 2015-03-06 2015-03-06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695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8615A (ja) * 1999-10-18 2001-04-27 D D K Ltd 端子台
KR200270402Y1 (ko) * 2001-12-06 2002-04-03 구자선 전선 연결용 스크류
JP3370096B2 (ja) * 1994-12-09 2003-01-27 城南電気精器株式会社 端子台
KR20120000862A (ko) 2010-06-28 2012-01-04 한국전력공사 전기접속 단자대
KR20130035154A (ko) * 2011-09-29 2013-04-08 배남식 단자접속 장치
KR101493239B1 (ko) * 2014-03-19 2015-02-16 주식회사 비엠티 전기적 활선상태에서 회로 분리되는 모듈형 안전부스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0096B2 (ja) * 1994-12-09 2003-01-27 城南電気精器株式会社 端子台
JP2001118615A (ja) * 1999-10-18 2001-04-27 D D K Ltd 端子台
KR200270402Y1 (ko) * 2001-12-06 2002-04-03 구자선 전선 연결용 스크류
KR20120000862A (ko) 2010-06-28 2012-01-04 한국전력공사 전기접속 단자대
KR20130035154A (ko) * 2011-09-29 2013-04-08 배남식 단자접속 장치
KR101493239B1 (ko) * 2014-03-19 2015-02-16 주식회사 비엠티 전기적 활선상태에서 회로 분리되는 모듈형 안전부스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1262B2 (en) Loudspeaker ceiling mount bracket
JP6615124B2 (ja) 電気装置
KR101909398B1 (ko) 플러그
US6747864B2 (en) Distribution board with uninterruptible socket terminal block
ITAN940031A1 (it) Connettore compatibile con linee di trasmissione audio, bilanciate e non.
US2670870A (en) Interlocking insulation cover for cable connectors and terminals
JP5897091B1 (ja) シールドケース
KR200480695Y1 (ko) 단자대
US3039075A (en) Polarized attachment plug
CN101871955A (zh) 电路断路器通电信息检测显示装置
US8382514B1 (en) Wall plate/cover housing assembly
CN105247749A (zh) 电力变换装置
US20130133945A1 (en) Terminal cable assembly having water proof structure
US20220384988A1 (en) Signal Outlet Assembly
CN102640237B (zh) 组合接线器和电流变压器
KR20190047177A (ko) 일체형 고정식 단자대 모듈
KR20080030867A (ko) 가변형 전원연결장치
US9124052B2 (en) Self grounding electrical outlet
CN111769377A (zh) 一种接线盒
US20130260609A1 (en) Connector Assembly
WO2014181795A1 (ja) ワイヤハーネスのシールド構造
EP3343713B1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2019045192A (ja) 一線地絡電流センサおよびスイッチギヤ
SE505914C2 (sv) Kopplingsanordning
KR101546843B1 (ko)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