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239B1 - 전기적 활선상태에서 회로 분리되는 모듈형 안전부스바 - Google Patents

전기적 활선상태에서 회로 분리되는 모듈형 안전부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239B1
KR101493239B1 KR20140032159A KR20140032159A KR101493239B1 KR 101493239 B1 KR101493239 B1 KR 101493239B1 KR 20140032159 A KR20140032159 A KR 20140032159A KR 20140032159 A KR20140032159 A KR 20140032159A KR 101493239 B1 KR101493239 B1 KR 101493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us bar
case
shielding material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2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찬
임재훈
김재연
정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티
Priority to KR20140032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8Connection box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61Tubular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5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wherein modules are associated together, e.g. electromechanical assemblies, modul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24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형 안전부스바에 있어서, 중단에 부스바 관통구가 형성되어 부스바가 관통 체결되며, 좌우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하측 나사 체결부가 원통처럼 내 외면에 돌설되게 형성된 하부 케이스와; 상단 가로 블록에는 피시비 회로 기판이 내장되며, 하단 세로 블록에는 상기 부스바의 전기적 신호를 비접촉 감지하는 센싱부가 내장되는 T자형 절연블록으로서, 상기 상단 가로 블록 내부에는 상기 하측 나사 체결부와 일직선상 위치에 상측 나사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 세로 블록에는 외면에 상기 하측 나사 체결부에 치합되는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 상면으로 삽입 체결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측 나사 체결부와 하측 나사 체결부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체결나사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의 부스바가 전기적 활선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를 분리하여 상단 케이스 내부 회로를 보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활선상태에서 회로 분리되는 모듈형 안전부스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전기적 단자의 연결 상태는 활선 상태로 유지하면서, 부스바의 전기적 정보를 감지하는 피시비 회로와 센싱부를 유지, 보수할 수 있으며, 부스바의 전기적 신호를 보호하는 전기적 차폐물질의 형성 및 교환을 쉽게 할 수 있는 회로 분리되는 모듈형 안전부스바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적 활선상태에서 회로 분리되는 모듈형 안전부스바{Module type safty bus bar separable circuit at activity state}
본 발명은 모듈형 안전부스바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직사각형 절연블록으로서, 중단에 부스바 관통구가 형성되어 부스바가 관통 체결되며, 좌우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하측 나사 체결부가 원통처럼 내 외면에 돌설되게 형성된 하부 케이스와; 상단 가로 블록에는 피시비 회로 기판이 내장되며, 하단 세로 블록에는 상기 부스바의 전기적 신호를 비접촉 감지하는 센싱부가 내장되는 T자형 절연블록으로서, 상기 상단 가로 블록 내부에는 상기 하측 나사 체결부와 일직선상 위치에 상측 나사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 세로 블록에는 외면에 상기 하측 나사 체결부에 치합되는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 상면으로 삽입 체결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측 나사 체결부와 하측 나사 체결부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체결나사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의 부스바가 전기적 활선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를 분리하여 상단 케이스 내부 회로를 보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활선상태에서 회로 분리되는 모듈형 안전부스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스바는 양측에 나사공이 형성된 금속 철편으로서, 전기적 단자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전기적 단자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상기 단자함과 차단기가 있는데, 상기 단자함과 차단기는 각 단자간 절연을 위하여 단자 사이에 높은 블록이 형성되는데, 종래 기술방식의 부스바는 단순한 철편으로 형성되어 조립시 마땅히 잡을 만한 요소가 없어 조립이 불편하였으며, 부스바의 조립 이후에는 상기 단자함과 차단기의 연결 금속 부위는 노출된 상태가 되므로 주변 환경의 변화와 불측의 사고에 의한 누전 위험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방식의 부스바는 단지 전원을 연결하는 매개체로만 기능할 뿐, 별다른 기능적 요소가 개입할 여지가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주목하고 개선한 선등록 발명으로 모듈형 안전부스바(특허 등록 번호 10-1104103)가 있는데, 상기 선등록 발명은 절연 블록이 형성된 전기적 단자를 연결시킬 때, 부스바의 조립 불편 문제를 해소하고, 부스바의 조립 이후에는 노출된 금속 부위를 하우징하여 주변 환경의 변화와 불측의 사고에 의한 누전 위험을 차단하였으며, 부스바로 흐르는 전기적 정보를 획득하여 전원 통합 제어 정보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로 높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선등록 발명 '모듈형 안전부스바'(특허 등록 번호 10-1104103)의 개선 발명으로서, 상기 선등록 발명의 사용에 의하여 발견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상기 선등록 발명을 약술하면 피시비 회로부가 내장되는 가로 블록과 부스바와 센싱부가 내장되는 세로 블록으로 구분되며, 세로 블록을 손잡이 삼아 부스바를 체결시키고, 가로 블록을 커버 삼아 세로 블록에 결합시킨다.
그런데, 상기 선등록 발명의 피시비 회로 기판과 센싱부는 오랜 사용으로 인한 노화와 주변 환경으로 인한 고장 등의 문제로 유지 보수 작업이 필요한데, 이러한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하여 부스바로 흐르는 전원을 차단시켜 장치를 떼어내어 수리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장치의 수리 필요시 매번 장치의 전원을 차단한다면, 부스바로 흐르는 전기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추가되는 부수적 목적 때문에 전기적 단자를 연결하는 부스바의 기본적인 목적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선등록 발명은 부스바로 흐르는 전기적 정보를 자기식 비접촉 정보로 센싱 처리하는데, 이는 주변 전기 외란에 의하여 쉽게 동요되어 부정확한 정보가 오인 획득될 염려가 매우 크므로, 부스바 주변을 전기적 차폐물질로 보호하여야 하는데, 상기 전기적 차폐물질이 노화되어 차폐 효과가 감쇄 될 경우에 이를 유지 보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데, 선등록 특허와 같은 구조에서는 이러한 전기적 차폐물질의 유지 보수를 위해서도 부스바를 분리하여 선로를 비활성 상태 형성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적 단자의 연결 상태는 활선 상태로 유지하면서, 부스바의 전기적 정보를 감지하는 피시비 회로와 센싱부를 유지, 보수할 수 있는 전기적 활선상태에서 회로 분리되는 모듈형 안전부스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스바의 전기적 신호를 보호하는 전기적 차폐물질의 형성 및 교환을 쉽게 할 수 있는 회로 분리되는 모듈형 안전부스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듈형 안전부스바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직사각형 절연블록으로서, 중단에 부스바 관통구가 형성되어 부스바가 관통 체결되며, 좌우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하측 나사 체결부가 원통처럼 내 외면에 돌설되게 형성된 하부 케이스와; 상단 가로 블록에는 피시비 회로 기판이 내장되며, 하단 세로 블록에는 상기 부스바의 전기적 신호를 비접촉 감지하는 센싱부가 내장되는 T자형 절연블록으로서, 상기 상단 가로 블록 내부에는 상기 하측 나사 체결부와 일직선상 위치에 상측 나사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 세로 블록에는 외면에 상기 하측 나사 체결부에 치합되는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 상면으로 삽입 체결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측 나사 체결부와 하측 나사 체결부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체결나사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의 부스바가 전기적 활선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를 분리하여 상단 케이스 내부 회로를 보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활선상태에서 회로 분리되는 모듈형 안전부스바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케이스는 부스바가 관통 체결된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으로 분리되는 이단 블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블록의 전후 측면 외측에는 단차 형성된 슬라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블록의 전후 측면 상측으로는 상기 슬라이드 슬롯에 슬라이딩 체결되는 슬라이딩 윙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슬롯과 슬라이딩 윙 사이에는 전자파 차폐물질이 삽입되어, 상기 부스바의 활선 상태에서 상기 하부 블록을 분리하여 상기 전자파 차폐물질을 분리 또는 삽입, 또는 교체 체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활선상태에서 회로 분리되는 모듈형 안전부스바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파 차폐물질은 상기 슬라이딩 윙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블록의 체결 또는 교환으로 상기 전자파 차폐물질의 형성 또는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활선상태에서 회로 분리되는 모듈형 안전부스바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여, 전기적 단자의 연결 상태는 활선 상태로 유지하면서, 부스바의 전기적 정보를 감지하는 피시비 회로와 센싱부를 유지, 보수할 수 있으며, 부스바의 전기적 신호를 보호하는 전기적 차폐물질의 형성 및 교환을 쉽게 할 수 있는 회로 분리되는 모듈형 안전부스바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에 각 구성요소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다른 각도에서 그린 분해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상단 블록과 하단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에 각 구성요소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다른 각도에서 그린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듈형 안전부스바에 관한 것으로서, 부스바(30)와 부스바 관통구(300)와 하측 나사 체결부(211)와 하부 케이스(20)와 피시비 회로 기판(130)과 센싱부(140)와 상단 가로 블록(100)과 하단 세로 블록(110)과 상측 나사 체결부(120)와 요홈(111)과 상부 케이스(10)와 체결나사(미도시)와 상부 블록(21)과 하부 블록(22)과 슬라이드 슬롯(210)과 슬라이딩 윙(220)으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의 하부 케이스(20)는 부스바(30)가 체결된 블록으로서, 부스바(30) 체결시 절연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상기 하부 케이스(20)는 상면이 개방된 직사각형 절연블록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부 케이스(10)와 결합을 준비하며, 중단에 형성된 부스바 관통구(300)로 부스바(30)가 관통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20)의 좌우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는 하측 나사 체결부(211)가 원통처럼 좌우 양측면의 내 외면에 돌설되게 형성된다.
상기 좌우 양측면은 하부 케이스(20)의 측면 4면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부스바(30)의 관통 방향을 좌우 양측면으로 하고, 남은 측면을 전후 양측면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부 케이스(10)는 본 발명의 개선 대상발명인 선등록 특허(등록번호 10-1104103)와 달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부터 T자형 절연블록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 케이스(10)는 상단 가로 블록(100)과 하단 세로 블록(110)으로 구분되는 T자형 절연블록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 가로 블록(1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시비 회로 기판(130)이 내장되고, 상기 하단 세로 블록(110)에는 상기 부스바(30)의 전기적 신호를 비접촉 감지하는 센싱부(140)가 내장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10)의 상단 가로 블록(100) 내부에는 상기 하측 나사 체결부(211)와 일직선상 위치에 상측 나사 체결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 세로 블록(110)에는 외면에 상기 하측 나사 체결부(211)에 치합되는 요홈(111)이 형성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케이스(10)를 상기 하부 케이스(20) 상면으로 삽입 체결되게 한다.
상기 상측 나사 체결부(120)와 하측 나사 체결부(211)는 체결나사(미도시)로 체결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20)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기 하부 케이스(20)의 부스바(30)가 전기적 활선 연결된 상태에서도 상기 체결 나사(미도시)를 풀고 상기 상부 케이스(10)를 분리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상부 케이스(10)에 내장된 피시비 회로 기판(130)이나 센싱부(140)의 고장 수리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부스바(30)를 활선 상태에 두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0)만 따로 분리하여 고장 수리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생긴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부스바(30)의 자속 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 정보를 출력시키는 센서 회로부인데, 상기 부스바(30)의 자속은 외란에 민감한 특성을 가지므로 부스바(30)의 전기적 정보만 획득할 수 있도록 부스바(30) 주변에 전자파 차폐물질을 설치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자파 차폐물질의 설치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20)를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바(30)가 관통 체결된 상부 블록(21)과 하부 블록(22)으로 분리되는 이단 블록으로 구성하고, 상기 상부 블록(21)의 전후 측면 외측에는 단차 형성된 슬라이드 슬롯(210)을 형성시키고, 상기 하부 블록(22)의 전후 측면 상측으로는 상기 슬라이드 슬롯(210)에 슬라이딩 체결되는 슬라이딩 윙(220)을 형성시켜 상기 상부 블록(21)과 하부 블록(22)을 편리하게 체결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슬롯(210)을 전후 측면에 넓게 형성시키면 상기 슬라이드 슬롯(210)과 슬라이딩 윙(220) 사이에는 전자파 차폐물질을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기 부스바(30)의 활선 상태에서 상기 하부 블록(22)을 분리하여 상기 전자파 차폐물질을 분리 또는 삽입, 또는 교체 체결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자파 차폐물질은 독립된 금속 박편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으나, 상기 슬라이딩 윙(220) 내측에 미리 체결되거나 코팅된 박막으로 구성시켜 상기 하부 블록(22)의 체결 또는 교환만으로 상기 전자파 차폐물질의 형성 또는 교체가 되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상부 케이스 20 : 하부 케이스
21 : 상부 블록 22 : 하부 블록
30 : 부스바 100 : 상단 가로 블록
110 : 하단 세로 블록 111 : 요홈
120 : 상측 나사 체결부 130 : 피시비 회로 기판
140 : 센싱부 210 : 슬라이드 슬롯
211 : 하측 나사 체결부 220 : 슬라이딩 윙
300 : 부스바 관통구

Claims (3)

  1. 모듈형 안전부스바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직사각형 절연블록으로서, 중단에 부스바 관통구가 형성되어 부스바가 관통 체결되며, 좌우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하측 나사 체결부가 원통처럼 내 외면에 돌설되게 형성된 하부 케이스와;
    상단 가로 블록에는 피시비 회로 기판이 내장되며, 하단 세로 블록에는 상기 부스바의 전기적 신호를 비접촉 감지하는 센싱부가 내장되는 T자형 절연블록으로서, 상기 상단 가로 블록 내부에는 상기 하측 나사 체결부와 일직선상 위치에 상측 나사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 세로 블록에는 외면에 상기 하측 나사 체결부에 치합되는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 상면으로 삽입 체결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측 나사 체결부와 하측 나사 체결부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체결나사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의 부스바가 전기적 활선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를 분리하여 상단 케이스 내부 회로를 보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활선상태에서 회로 분리되는 모듈형 안전부스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는
    부스바가 관통 체결된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으로 분리되는 이단 블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블록의 전후 측면 외측에는 단차 형성된 슬라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블록의 전후 측면 상측으로는 상기 슬라이드 슬롯에 슬라이딩 체결되는 슬라이딩 윙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슬롯과 슬라이딩 윙 사이에는 전자파 차폐물질이 삽입되어, 상기 부스바의 활선 상태에서 상기 하부 블록을 분리하여 상기 전자파 차폐물질을 분리 또는 삽입, 또는 교체 체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활선상태에서 회로 분리되는 모듈형 안전부스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폐물질은
    상기 슬라이딩 윙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블록의 체결 또는 교환으로 상기 전자파 차폐물질의 형성 또는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활선상태에서 회로 분리되는 모듈형 안전부스바.
KR20140032159A 2014-03-19 2014-03-19 전기적 활선상태에서 회로 분리되는 모듈형 안전부스바 KR101493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2159A KR101493239B1 (ko) 2014-03-19 2014-03-19 전기적 활선상태에서 회로 분리되는 모듈형 안전부스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2159A KR101493239B1 (ko) 2014-03-19 2014-03-19 전기적 활선상태에서 회로 분리되는 모듈형 안전부스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3239B1 true KR101493239B1 (ko) 2015-02-16

Family

ID=52593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2159A KR101493239B1 (ko) 2014-03-19 2014-03-19 전기적 활선상태에서 회로 분리되는 모듈형 안전부스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23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695Y1 (ko) * 2015-03-06 2016-06-27 주식회사 인터엠 단자대
KR101640748B1 (ko) * 2015-03-19 2016-07-19 주식회사 비엠티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력 모니터링 분·배전반
KR101659378B1 (ko) 2015-07-01 2016-09-23 주식회사 비엠티 모듈형 부스바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제어시스템
KR20170001701U (ko) * 2015-11-06 2017-05-16 이진훈 카혼
KR101776774B1 (ko) 2016-05-20 2017-09-08 주식회사 비엠티 자기장 차폐구조를 구비한 전류 감지 모듈
CN113687123A (zh) * 2021-08-27 2021-11-23 合肥科威尔电源系统股份有限公司 罗氏线圈检测机构及具有该机构的检测装置及检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3771A (ja) * 1995-09-20 1997-04-04 Yazaki Corp 電気接続箱のバスバー構造
JP2000324667A (ja) 1999-05-13 2000-11-24 Yazaki Corp 電気接続箱の電流検出装置
KR20070088120A (ko) * 2006-02-24 2007-08-29 (주)설악전기 클립형 부스바 커넥터를 채용한 분전반
KR101104103B1 (ko) 2011-11-08 2012-01-12 주식회사 비엠티 모듈형 안전부스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3771A (ja) * 1995-09-20 1997-04-04 Yazaki Corp 電気接続箱のバスバー構造
JP2000324667A (ja) 1999-05-13 2000-11-24 Yazaki Corp 電気接続箱の電流検出装置
KR20070088120A (ko) * 2006-02-24 2007-08-29 (주)설악전기 클립형 부스바 커넥터를 채용한 분전반
KR101104103B1 (ko) 2011-11-08 2012-01-12 주식회사 비엠티 모듈형 안전부스바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695Y1 (ko) * 2015-03-06 2016-06-27 주식회사 인터엠 단자대
KR101640748B1 (ko) * 2015-03-19 2016-07-19 주식회사 비엠티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력 모니터링 분·배전반
KR101659378B1 (ko) 2015-07-01 2016-09-23 주식회사 비엠티 모듈형 부스바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제어시스템
KR20170001701U (ko) * 2015-11-06 2017-05-16 이진훈 카혼
KR200484391Y1 (ko) * 2015-11-06 2017-08-31 이진훈 카혼
KR101776774B1 (ko) 2016-05-20 2017-09-08 주식회사 비엠티 자기장 차폐구조를 구비한 전류 감지 모듈
CN113687123A (zh) * 2021-08-27 2021-11-23 合肥科威尔电源系统股份有限公司 罗氏线圈检测机构及具有该机构的检测装置及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3239B1 (ko) 전기적 활선상태에서 회로 분리되는 모듈형 안전부스바
CA2884675C (en) Circuit breaker terminal shield with position indicator
US10182495B2 (en) Ground terminal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130107412A1 (en) Installation switching device with a current sensing unit
CN106233554A (zh) 电流转换器用的用于避免过压的对接模块和包括对接模块的电流转换器
CN101995506A (zh) 用于测量在低压配电器的导体中流动的电流的模块
US9673573B2 (en) Connector with sensor
US9779890B2 (en) Terminal shield with integrated current transformer
US10153464B2 (en) Battery cover
JP7149655B2 (ja) 開閉器用端子、開閉器、及び分電盤
US10741981B2 (en) Power unit boxes
US9354280B2 (en) Current sensor, table tap with current sensor, and magnetic substance cover for current sensor
CN107223210B (zh) 用于集成式地测量在混合模块的高压接触装置内的电流的装置和具有该装置的混合模块
JP5977067B2 (ja) 配電機器の封印構造
US20210202201A1 (en) Safety apparatus having terminal shield with indication circuit, and circuit interruption apparatus
US20180331525A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JP2013183581A (ja) 分電盤
JP2016163362A (ja) 分電盤
JP5276650B2 (ja) 電力測定器
JP2016163363A (ja) 分電盤
TWI545608B (zh) 配線器具
KR20150003033U (ko) 온도 표시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CN104871013A (zh) 电流互感器和具有这种电流互感器的负载中断器
KR102125435B1 (ko)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
JP5946689B2 (ja) 分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