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843B1 -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843B1
KR101546843B1 KR1020140105406A KR20140105406A KR101546843B1 KR 101546843 B1 KR101546843 B1 KR 101546843B1 KR 1020140105406 A KR1020140105406 A KR 1020140105406A KR 20140105406 A KR20140105406 A KR 20140105406A KR 101546843 B1 KR101546843 B1 KR 101546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mper
pin
socket
cable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환
박범수
이현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40105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8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sting or measuring purpos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셉터클 쉘(Shell)은 케이블 플러그(Plug)와 결속되고, 장치 내 점퍼핀(Jumper pin)은 외부 조작에 의해서 케이블 플러그의 해당 소켓(Socket)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이때 삽입된 점퍼핀에 고정된 각각의 점퍼 브래킷(Jumper bracket)은 점퍼판(Jumper plate)과 동시 접촉됨으로써, 케이블 소켓 간의 단락 회로(Short circuit)를 구성하는, 점퍼의 접속 신뢰성이 우수하며, 다수 소켓에 대한 점퍼 구성이 쉽고 간단한 리셉터클(Receptacle)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CABLE JUMPER OF RECEPTACLE TYPE}
본 발명에 있어서 점퍼 장치의 리셉터클 쉘(Shell)은 케이블 플러그(Plug)와 결속되고, 쉘 내부의 점퍼핀(Jumper pin)은 케이블 플러그의 해당 소켓(Socket)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이때 삽입된 점퍼핀에 고정된 각각의 점퍼 브래킷(Jumper bracket)은 점퍼판(Jumper plate)과 동시 접촉됨으로써, 케이블의 소켓 간의 단락 회로(Short circuit)가 구성되는 리셉터클(Receptacle) 형태의 점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점퍼(Cable jumper)는 배선 및 시험장비 점검에 있어서, 케이블 플러그 내 특정 소켓들 간의 동시 접촉, 혹은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피드백하기 위한 임시적 접지 장치이다.
케이블 소켓에 점퍼선(Jumper cable)을 삽입 후, 점퍼선 후단을 해당 소켓에 직접적으로 연결하거나 브레드보드를 통해 동시 접속시키는 종래의 케이블 점퍼의 경우 다음과 같은 아쉬움이 있었다.
첫째, 케이블 소켓과 점퍼선의 결속력은 소켓과 점퍼선과의 마찰력에 의존하므로, 결속력이 좋지 않아 작업 중 점퍼선의 이탈에 따른 접속 신뢰성이 낮았다.
둘째, 소켓 크기의 점퍼선 삽입이 어려우므로, 소켓과 접촉 면적이 균일하지 못하여, 외란에 의한 접촉 노이즈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셋째, 플러그 내의 다수 소켓에 대한 점퍼선을 설치할 경우, 점퍼선 설치가 번거로우며, 위에서 언급한 접속 신뢰성은 크게 나빠진다.
넷째, 점퍼선 피복의 내열 한계로 인해 높은 전류 환경에서 사용이 어렵다.
따라서, 케이블 소켓간의 점퍼를 구성함에 있어서, 소켓과 점퍼선의 결속을 장치로 구속함으로써 접속 신뢰성이 우수하고, 다수 소켓의 점퍼 연결에도 접속 신뢰성이 확보되며, 높은 전류 환경에 사용 가능한, 간단한 구조의 점퍼 장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87723호(1999.11.27.)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소켓 간의 점퍼를 구성함에 있어서, 소켓과 점퍼 선의 결속을 장치로 구속함으로써 접속 신뢰성이 우수하고, 다수 소켓의 점퍼 연결에도 접속 신뢰성이 확보되며, 높은 전류 환경에 사용 가능한, 간단한 구조의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에 따르면, 케이블 플러그와 결속가능하도록 형성된 쉘(Shell)와, 쉘(160) 내부에 위치되며, 플러그(200)에 구비된 플러그 소켓(Plug socket)과 연결가능하도록 형성된 점퍼핀(Jumper pin)과, 점퍼핀(110)이 관통 장착된 점퍼판(Jumper plate)와, 점퍼핀(110)과 점퍼판(130)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점퍼핀(110)에 고정된 점퍼 브래킷(Jumper bracket)과, 점퍼핀(110)과 점퍼판(130) 사이의 전기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점퍼판(130)에 설치된 절연 브래킷(Insulating bracket)과, 점퍼판과 플러그 사이에 개재된 홀더(Holder);를 포함하며, 플러그(200)에는 소켓(210)이 다수개 구비되며, 점퍼 브래킷과 점퍼판(130)이 접촉하여 소켓과 소켓 사이에 단락 회로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쉘(160)은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이며, 플러그에는 쉘의 개구된 하부가 삽입되는 인서트 홀더(Insert holder)가 형성될 수 있으며, 쉘의 하부에는 인서트 홀더와 접촉하는 환형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점퍼핀이 쉘을 관통하여 소켓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점퍼 브래킷에 점퍼핀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중공과 점퍼핀에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쉘 외부에 위치되는 점퍼핀의 머리에는 점퍼핀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드라이버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점퍼핀과 소켓이 접촉되는 점퍼핀의 하단부는 소켓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핀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에 의하면, 케이블 소켓 간의 점퍼를 구성함에 있어서, 소켓과 점퍼 선의 결속을 장치로 구속함으로써 접속 신뢰성이 우수하고, 다수 소켓의 점퍼 연결에도 접속 신뢰성이 확보되며, 높은 전류 환경에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리셉터클 형태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케이블 소켓과 점퍼 장치간의 결속 신뢰성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블 소켓에 점퍼 장치가 결속된 상태에서 장비의 이동, 충격 등의 외란에도 결속 신뢰성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점퍼핀은 케이블 소켓에 적합한 본래 리셉터클 핀(Pin) 형태를 가짐으로써, 소켓과 접촉 면적이 균일하여 접촉에 의한 노이즈 영향성을 크게 줄인 장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 소켓과 점퍼핀과의 균일한 접촉 면적을 가지며, 점퍼핀과 점퍼 브라켓, 점퍼 브라켓과 점퍼판을 통한 넓은 면적의 단락회로를 구성함으로써, 높은 전류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켓 간의 1:1 접점 이외에, 케이블 플러그 내의 소켓 개수와 동일하게 다수 소켓의 한 점 단락 회로 구성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작고, 취급이 용이하며, 사용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의 사시 투시도,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의 요부속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의 사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에 구비된 점퍼핀의 사시도이다.
케이블 점퍼는 시험 장비를 이용한 배선 및 장비점검에 있어서, 0 V(Volt), Vcc 와 같은 디지털 입력과, 출력신호의 피드백 입력 등 가상의 입력 신호 생성 등을 위한 케이블 내 특정 배선들 간의 임시적 접지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편의성으로 인해서 케이블 소켓에 점퍼선(Jumper cable)을 삽입 후, 점퍼선 후단을 해당 소켓에 직접적으로 연결하거나 브레드보드를 통해 동시 접속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종래 방식의 경우, 케이블 소켓과 점퍼선의 결속력이 소켓과 점퍼선과의 마찰력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결속력이 좋지 않아, 장비의 이동 및 외부 충격 등과 같은 다양한 외란에 의해 점퍼선이 쉽게 이탈되며, 소켓과 점퍼선의 접촉 면적이 작고 불균일하여, 점퍼에 의한 노이즈가 발생되어 배선 및 장비 점검에 있어서 예기치 못한 에러를 발생시키는 등의 아쉬움이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는, 케이블 플러그(200)와 결속가능하도록 형성된 쉘(160; Shell)과, 쉘(160) 내부에 위치되며, 플러그(200)에 구비된 플러그 소켓(210; Plug socket)과 연결가능하도록 형성된 점퍼핀(110; Jumper pin)과, 점퍼핀(110)이 관통 장착된 점퍼판(130; Jumper plate)과, 점퍼핀(110)과 점퍼판(130)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점퍼핀(110)에 고정된 점퍼 브래킷(120; Jumper bracket)과, 점퍼핀(110)과 점퍼판(130) 사이의 전기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점퍼판(130)에 설치된 절연 브래킷(140; Insulating bracket)과, 점퍼판(130)과 플러그(200) 사이에 개재된 홀더(150; Holder)를 포함하며, 플러그(200)에는 소켓(210)이 다수개 구비되며, 점퍼 브래킷(120)과 점퍼판(130)이 접촉하여 소켓(210)과 소켓(210) 사이에 단락 회로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쉘(160)은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이며, 플러그(200)에는 쉘(160)의 개구된 하부가 삽입되는 인서트 홀더(Insert holder)가 형성되며, 쉘(160)의 하부에는 인서트 홀더와 접촉하는 환형돌기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점퍼핀(110)이 쉘(160)을 관통하여 소켓(210)에 장착된다.
점퍼 브래킷(120)에는 점퍼핀(110)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중공과 접하게 되는 점퍼핀(110)에는 나사산(111)이 각각 형성된다.
쉘(160) 외부에 위치되는 점퍼핀(110)의 머리에는 점퍼핀(1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드라이버체결홈이 형성된다.
점퍼핀(110)과 소켓(210)이 접촉되는 점퍼핀(110)의 하단부는 소켓(21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핀 구조(112)로 형성된다.
점퍼핀(110), 점퍼 브래킷(120), 점퍼판(130)은 물리적 접촉이 발생되는 부분으로 강성 및 내마모성이 뛰어나야 하며, 접촉 저항을 낮추기 위해서 금(Gold)과 같은 높은 전기 전도성의 물질이 선택적으로 표면에 도포 될 수 있다.
절연 브래킷(140)은 점퍼판(130)에 설치되어, 점퍼핀(110)과 점퍼판(130) 사이의 원하지 않는 전기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서, 부도체 혹은 어노다이징(Anodizing)과 같은 표면처리가 된 링(Ring)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 은 4핀 케이블 플러그에 대한 3개 핀의 점퍼구성 예시를 나타낸다. 도 3에서 점선은 소켓(210)으로부터의 전기 흐름을 나타낸다.
케이블 플러그(200)의 인서트 홀더(Insert holder)과 점퍼장치의 쉘(160)이 체결되어 점퍼장치는 플러그(200)에 고정된다.
해당 점퍼핀(110)을 장치 내부로 삽입 시, 점퍼핀(110)에 고정된 점퍼 브라켓(120)이 점퍼판(130)에 접촉할 때까지 점퍼핀(110)은 이동하며, 이와 동시에 플러그 소켓(210) 내부에 삽입되어 접촉하게 된다.
3개의 점퍼핀(110)이 모두 이동이 불가한 구간까지 삽입되면, 점퍼핀(110)이 삽입된 해당 3개의 소켓(210)들은 모두 접지 상태가 된다.
따라서 4핀의 소켓(210)의 경우, 2~4핀의 다양한 점퍼 조합이 간단한 조작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도 4는 점퍼핀(110)의 구조를 나타낸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점퍼핀(110)은 간단한 조작으로 소켓에 삽입되어야하며, 이와 동시에 점퍼 장치에 고정되어야한다.
점퍼핀(110)의 상부에 나사산(111) 구조를 사용하여 이송 및 고정을 제공하며, 하부에는 핀 구조(112)를 사용하여 소켓(210)과의 넓은 접촉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100: 케이블 점퍼장치 110: 점퍼핀
111: 나사산 112: 핀 구조
120: 점퍼 브래킷 130: 점퍼판
140: 절연 브래킷 150: 홀더
160: 쉘 200: 플러그
210: 소켓

Claims (7)

  1. 케이블 플러그(200)와 결속가능하도록 형성된 쉘(160; Shell);
    상기 쉘(160)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플러그(200)에 구비된 플러그 소켓(210; Plug socket)과 연결가능하도록 형성된 점퍼핀(110; Jumper pin);
    상기 점퍼핀(110)이 관통 장착된 점퍼판(130; Jumper plate);
    상기 점퍼핀(110)과 상기 점퍼판(130)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상기 점퍼핀(110)에 고정된 점퍼 브래킷(120; Jumper bracket);
    상기 점퍼핀(110)과 상기 점퍼판(130) 사이의 전기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점퍼판(130)에 설치된 절연 브래킷(140; Insulating bracket);
    상기 점퍼판(130)과 상기 플러그(200) 사이에 개재된 홀더(150; Holder);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200)에는 상기 소켓(210)이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점퍼 브래킷(120)과 상기 점퍼판(130)이 접촉하여 소켓(210)과 소켓(210) 사이에 단락 회로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160)은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이며,
    상기 플러그(200)에는 상기 쉘(160)의 개구된 하부가 삽입되는 인서트 홀더(Insert holder)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쉘(160)의 하부에는 상기 인서트 홀더와 접촉하는 환형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퍼핀(110)이 상기 쉘(160)을 관통하여 상기 소켓(210)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퍼 브래킷(120)에 상기 점퍼핀(110)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과 상기 점퍼핀(110)에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쉘(160) 외부에 위치되는 상기 점퍼핀(110)의 머리에는 상기 점퍼핀(1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드라이버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퍼핀(110)과 상기 소켓(210)이 접촉되는 상기 점퍼핀(110)의 하단부는 상기 소켓(21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핀 구조(1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
KR1020140105406A 2014-08-13 2014-08-13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 KR101546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406A KR101546843B1 (ko) 2014-08-13 2014-08-13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406A KR101546843B1 (ko) 2014-08-13 2014-08-13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843B1 true KR101546843B1 (ko) 2015-08-24

Family

ID=54061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406A KR101546843B1 (ko) 2014-08-13 2014-08-13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8950A (zh) * 2018-08-15 2018-12-21 长沙星联电力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直插式防水灯座及防水补光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8174A (ja) 1998-08-11 2000-02-25 Nec Saitama Ltd コンタクトピ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8174A (ja) 1998-08-11 2000-02-25 Nec Saitama Ltd コンタクトピ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8950A (zh) * 2018-08-15 2018-12-21 长沙星联电力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直插式防水灯座及防水补光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8392B1 (en) Arrangement for energized rail for movable sockets
TWI678029B (zh) 連接端子及電連接器
US20180337472A1 (en) Wire plug-in aid sleeve structure for wire connection terminal
DK3014707T3 (en) Plug connector module
JP3207095U (ja) 高接触密度を有するコネクタ
JP6372026B2 (ja) 電気コネクタ
US9184514B2 (en) Wiring structure improvement of insulation piercing connector
KR101546843B1 (ko) 리셉터클 형태의 케이블 점퍼 장치
JP2020535435A (ja) 複数の離散的インピーダンス要素を備える高電圧コネクタ用センサ
KR101219019B1 (ko) 방수용 플러그와 콘센트 구조체
JP2010133763A (ja) 同軸プローブ構造
US20150118918A1 (en) Assembly of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 cable un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assembly
CN102509918B (zh) 一种活塞内用短接电连接器
US20180212346A1 (en) Freely translatable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having protection against damage from foreign bodies
CN202487894U (zh) 一种电连接器
US10290987B2 (en) Linearly moveable sliding contact element having transport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US20180166808A1 (en) Sliding element for cont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US8888523B2 (en) Extension apparatus for power outlet
US20170146568A1 (en) Electronic test equipment
WO2018198782A1 (ja) サービスプラグ
US2433892A (en) Electrical connection
KR20180092343A (ko) 더미 플러그를 갖는 콘센트 직접 고정형 멀티탭
JP2006073396A (ja) 多接点コネクタ
KR200485894Y1 (ko) 다접점 커넥터의 결합구조
KR102191418B1 (ko)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