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224Y1 - 전선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전선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224Y1
KR200442224Y1 KR2020070003341U KR20070003341U KR200442224Y1 KR 200442224 Y1 KR200442224 Y1 KR 200442224Y1 KR 2020070003341 U KR2020070003341 U KR 2020070003341U KR 20070003341 U KR20070003341 U KR 20070003341U KR 200442224 Y1 KR200442224 Y1 KR 200442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using
hole
crimping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661U (ko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3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224Y1/ko
Publication of KR200800036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6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2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6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using a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cable-accommodating recesses or bore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단에 심선이 드러난 2개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 전선압착구(30)가 삽입된다. 상기 전선압착구(30)가 상기 하우징(10)과 결합하면, 상기 하우징(10) 및 상기 전선압착구(30)의 제1 및 제2전선통과공(19, 32)에 각각 고정되게 위치하는 제1전선(51)과 제2전선(52)의 심선(53,53')이 상기 전선압착구(3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압착핑거(35)에 의해 서로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 압착핑거(35)의 내면에는 다수개의 누름돌기(3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과 전선압착구(30)의 결합은 체결돌기(18)와 체결홈(39)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전선을 연결하더라도 노출된 심선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분리 후 재연결이 용이하고, 부품의 교체없이 언제라도 전선을 분리하고 재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며, 원터치식으로 하우징과 전선압착구가 결착되므로 전선연결작업이 용이하다.
전선, 연결

Description

전선연결장치{Wire connecting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전선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선압착구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선압착구를 보인 정면도.
도 5에서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를 사용하여 전선을 연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14: 제1입구
16: 제2입구 17: 테이퍼부
18: 체결돌기 19: 제1전선통과공
19': 제1스토퍼 30: 전선압착구
32: 제2전선통과공 33: 제2스토퍼
35: 압착핑거 36: 변형공간
37: 누름돌기 51: 제1전선
52: 제2전선 53,53': 심선
본 고안은 전선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전선을 서로 연결하여 전기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선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과 전선의 연결은 각각의 선단에서 인슐레이션을 일부 제거하여 내부의 심선이 드러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심선을 서로 꼬고 그 외면을 둘러 테이프를 감아서 절연을 하도록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선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되면, 이들 전선을 분리할 때, 기존의 테이프를 폐기하여야 한다. 그리고, 다시 전선사이를 연결할 때는 새로운 테이프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으로 전선을 연결할 때에는 심선을 서로 꼬아야 하므로 작업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일단 한번 꼬았던 심선은 다시 풀더라도 완벽하게 직선으로 풀 수 없어 다시 전선을 연결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선을 연결함에 있어 전선의 심선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선의 연결과 분리를 반복할 수 있는 전선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내부에 원형단면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단부에 제1입구가 타단부에 제2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과 제1입구를 연통시키는 제1전선통과공이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입구를 통해 상기 제1전선통과공 내부로 들어온 제1전선을 고정하며, 상기 내부공간의 내면에 체결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2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내부를 관통하여 제2전선통과공이 형성되어 제2전선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안내하며, 일단부에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됨에 따라 압착됨으로써 상기 제2전선통과공의 직경을 작아지게 하여 상기 제1전선과 제2전선의 심선을 밀착시키는 압착핑거가 구비되고, 외주면 일측에 상기 체결돌기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전선압착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착핑거의 선단 외면 사이의 거리(D)는 상기 내부공간의 대응되는 부분의 내경(d) 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면은 상기 내부공간의 직경이 상기 제1입구로 갈수록 점차로 작아지는 테이퍼부로 형성되고, 상기 압착핑거의 외면은 상기 전선압착구의 선단에 상기 내부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압착핑거는 상기 전선압착구의 선단에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압착핑거 사이에는 변형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전선압착구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압착핑거가 서로 가까워지게 되어 압착된다.
상기 압착핑거의 내면에는 다수개의 누름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제1전선통과공 입구와 상기 전선압착구의 제2전선통과공 입구에는 각각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가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제1전선통과공의 외부와 대응되는 면이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2전선통과공의 외부와 대응되는 면이 상기 전선압착구의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전선을 연결하더라도 노출된 심선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분리후 재연결이 용이하여 연결된 상태가 정확하게 되고, 부품의 교체없이 언제라도 전선을 분리하고 재연결하는 것이 가능하여 유지보수비용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으며, 원터치식으로 하우징과 전선압착구가 결착되므로 전선연결작업이 용이하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전선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전선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선압착구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선압착구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선연결장치의 외관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대략 원통형상의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은 그 단면이 원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하우징(10)의 외관은 원기둥형태 또는 사각기둥 형태 등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양단에는 상기 내부공간(12)을 외부와 연통하는 제1입구(14)와 제2입구(16)가 있다. 상기 제1입구(14)는 상기 제2입구(16)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직경이 작다.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12)은 상기 제1입구(14)가 있는 단부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입구(14)를 향하는 상기 내부공간(12)의 내면을 테이퍼부(17)라고 부르기로 한다.
상기 제2입구(16)와 인접한 상기 내부공간(12)의 내면에는 체결돌기(18)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18)는 상기 내부공간(12)의 내면을 둘러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간헐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2)에서 상기 제1입구(14)까지는 제1전선통과공(19)이 상기 하우징(1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전선통과공(19)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전선(51)이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입구(14)와 인접한 상기 제1전선통과공(19)의 내면에는 제1스토퍼(19')가 형성된다. 상기 제1스토퍼(19')는 상기 제1전선통과공(19)의 내면을 둘러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간헐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19')는 상기 제1입구(14)쪽이 상기 제1전선통과공(19)의 내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1전선통과공(19) 내부쪽이 직립되게 형성되어 제1전선(51)이 제1전선통과공(19) 내부로는 쉽게 삽입되나 반대방향으로는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기 하우징(10)은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질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지만, 합성수지재질이라도 그 강도가 충분히 유지될 수 있다면 상관없다.
전선압착구(30)는 상기 하우징(10)의 제2입구(16)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으로 삽입된다. 상기 전선압착구(30)는 후술할 제1전선(51)과 제2전선(52)의 심선을 압착하여 밀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선압착구(30)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전선압착구(30)의 전체 길이는 상기 내부공간(12) 보다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선압착구(30)의 뒷부분이 상기 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전선압착구(30)에서 상기 체결돌기(18)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체결돌기(18)와 결합하는 체결홈(39)이 형성된다.
상기 전선압착구(30)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제2전선통과공(32)이 형성된다. 상기 제2전선통과공(32)은 제2전선(52)이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전선통과공(32)의 일단부 입구에는 제2스토퍼(33)가 형성된다. 상기 제2스토퍼(33)는 상기 제2전선통과공(32)의 입구 내면을 둘러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간헐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33)는 상기 제2전선통과공(32)의 입구쪽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전선통과공(32) 내부쪽이 직립되게 형성되어 제2전선(52)이 제2전선통과공(32)의 내부로는 쉽게 삽입되나 반대방향으로는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선압착구(30)의 일단부에 압착핑거(35)가 구비된다. 상기 압착핑거(35)는 본 실시예에서 2개가 구비되는데, 상기 전선압착구(30)의 길이방향으로 변형공간(36)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착핑거(35)는 상기 내부공간(12)의 테이퍼부(17)와 대응되도록 상기 압착핑거(35)의 단면이 그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선압착구(30)의 선단 외면의 직경,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양측 압착핑거(35)의 선단의 외면 사이의 거리(D)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의 내경(d)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착핑거(35)는 상기 내부공간(12)에 대하여 대응되는 부분의 직경이 대체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압착핑거(35)가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압착핑거(35)에 대응되는 제2전선통과공(32)의 내경이 상대적으로 더 좁아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압착핑거(35)의 내면, 즉 상기 제2전선통과공(32)의 일부 내면을 형성하는 부분에는 누름돌기(37)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돌기(37)는 상기 압착핑거(35)의 내면에 다수개가 돌출되어 전선(51,52)의 심선(53,53')을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서로 연결되는 제1전선(51)과 제2전선(52)은 각각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심선(53,53')이 인슐레이션(54,54')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형상이다. 상기 제1전선(51)과 제2전선(52)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선단의 인슐레이션(54,54')을 일부 제거하여 심선(53,53')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전선연결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전선(51)과 제2전선(5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미리 각각 서로 대응되는 선단의 인슐레이션을 제거하여 심선(53,53')이 드러나도록 한다. 심선(53)이 드러난 제1전선(51)을 상기 하우징(10)의 제1입구(14)를 통해 제2전선통과공(32)으로 삽입한다. 상기 제1전선(51)이 상기 제2전선통과공(32)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 심선(53)의 선단이 있도록 삽입된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전선압착구(30)를 상기 하우징(10)에 결합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2전선(52)을 상기 전선압착구(30)의 제2전선통과공(32)의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제2전선(52)의 심선(53')이 상기 압착핑거(35)에 대응되는 상기 제2전선통과공(32) 내에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전선압착구(30)에 제2전선(52)이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전선압착구(30)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으로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체결돌기(18)와 상기 전선압착구(30)의 체결홈(39)을 체결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과 같이, 상기 전선압착구(30)와 하우징(10)이 결합되면, 상기 압착핑거(35)는 상기 변형공간(36)의 존재 때문에 양단의 것이 서로 근접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전선압착구(30)의 외경(D)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의 내경(d)보다 상대적으로 크므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전선압착구(30)가 삽입됨에 의해 상기 압착핑거(35)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따라서, 상기 압착핑거(35)에 대응되는 제2전선통과공(32)의 직경이 작아지고, 상기 제2전선통과공(32)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전선(51,52)의 심선(53,53')이 서로 밀착된다.
한편, 상기 제1전선(51)과 제2전선(52) 사이의 연결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설명된 과정을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전선압착구(30)의 뒷부분을 손잡이 삼아 상기 하우징(10)과 전선압착 구(30)를 분리시키면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압착핑거(35)는 본 실시예에서 2개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다수개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전선연결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전선의 심선을 서로 꼬지 않고 압착시켜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심선의 변형없이 2개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연결된 전선을 분리하였다가 다시 연결하더라도 연결상태가 신뢰성 있게 유지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하우징과 전선압착구가 심선을 감싸게 됨으로써 절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심선을 절연시키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불필요하여 전선연결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하우징에 전선압착구를 체결함에 의해 전선의 연결이 수행되고, 하우징에서 전선압착구를 분리함에 의해 전선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전선연결장치를 반영구적으로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전선연결장 치의 유지보수비용이 최소화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원터치식으로 하우징과 전선압착구가 결착되므로 전선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Claims (6)

  1. 내부에 원형단면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단부에 제1입구가 타단부에 제2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과 제1입구를 연통시키는 제1전선통과공이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입구를 통해 상기 제1전선통과공 내부로 들어온 제1전선을 고정하며, 상기 내부공간의 내면에 체결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2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내부를 관통하여 제2전선통과공이 형성되어 제2전선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안내하며, 일단부에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됨에 따라 압착됨으로써 상기 제2전선통과공의 직경을 작아지게 하여 상기 제1전선과 제2전선의 심선을 밀착시키는 압착핑거가 구비되고, 외주면 일측에 상기 체결돌기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전선압착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핑거의 선단 외면 사이의 거리(D)는 상기 내부공간의 대응되는 부분의 내경(d) 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은 상기 내부공간의 직경이 상기 제1입구로 갈수록 점차로 작아지는 테이퍼부로 형성되고,
    상기 압착핑거의 외면은 상기 전선압착구의 선단에 상기 내부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핑거는 상기 전선압착구의 선단에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압착핑거 사이에는 변형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전선압착구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압착핑거가 서로 가까워지게 되어 압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핑거의 내면에는 다수개의 누름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1전선통과공 입구와 상기 전선압착구의 제2전선통과공 입구에는 각각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가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제1전선통과공의 외부와 대응되는 면이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2전선통과공의 외부와 대응되는 면이 상기 전선압착구의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장치.
KR2020070003341U 2007-02-27 2007-02-27 전선연결장치 KR200442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341U KR200442224Y1 (ko) 2007-02-27 2007-02-27 전선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341U KR200442224Y1 (ko) 2007-02-27 2007-02-27 전선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661U KR20080003661U (ko) 2008-09-01
KR200442224Y1 true KR200442224Y1 (ko) 2008-10-20

Family

ID=41325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341U KR200442224Y1 (ko) 2007-02-27 2007-02-27 전선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2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702B1 (ko) * 2013-12-24 2015-05-04 구서 전선 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827B1 (ko) * 2015-07-30 2017-01-12 주식회사 아이디스 커넥터 연결부 방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702B1 (ko) * 2013-12-24 2015-05-04 구서 전선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661U (ko) 2008-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9756A (en) Sealed corrosion-proof crimped terminal of splice
US6705884B1 (en)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JP4097589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108933336B (zh) 免剥皮电线连接器用端子
US7367853B2 (en) Cable connector
EP1397846B1 (en) No-crimp electrical connector side-by-side type
JP2008021646A6 (ja) ケーブルコネクタ
KR200442224Y1 (ko) 전선연결장치
US5290179A (en) Jack plug
JP6594777B2 (ja) 接続装置、その組立体、およびその接続方法
KR20160030544A (ko) 전기 접촉 요소
EP0639869A2 (en) Sealed corrosion-proof crimped terminal or splice
US6881090B1 (en) Rotatable no strip no crimp electrical connector for wires
KR0155360B1 (ko) 전기단자접속기
US7699645B1 (en) Connector for multistranded insulated conductor cable
JP2009245697A (ja) 圧着端子
KR20160119689A (ko) 코일단말의 접속구조
KR100864244B1 (ko) 전선연결장치
KR200363546Y1 (ko) 전선연결용 접속블록
JP2009054357A (ja) シールド電線の端末接続構造ならびに端子付きシールド電線および端子付きシールド電線の製造方法
KR101103797B1 (ko) 전기접속 단자대
JP4695013B2 (ja) 防水型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101286898B1 (ko) 신호 전송 안정성이 우수한 bnc 커넥터
KR20100118437A (ko) 터미널
JP6077775B2 (ja) 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